브라질의 경제
![]() | |
---|---|
![]() | |
순위 | 12위 (명목, 2020년) 8위 (PPP, 2020년) |
통화 | 브라질 헤알 (BRL, R$) |
회계 년도 | 역년 |
무역 기구 | WTO, BRICS, 메르코수르, G-20, 기타 등등 |
통계 | |
GDP | $1.363조 (명목, 2020년 추정치.) $3.078조 (PPP, 2020년) |
1인당 GDP | $6,450 (명목, 2020년 추정치.) $14,563 (PPP, 2020년 추정치.) |
산업별 GDP | 1차 산업: 5.5% 2차 산업: 18.5% 3차 산업: 76% (2016년 추정치.) |
인플레이션 (CPI) | 3.6% (2020년 추정치.) 3.75% (2018년) |
53.9 (2018년) | |
노동인구 | 106,328,664 명 (2019년) |
124위 (2020년) | |
무역 | |
수출 | $217.7백만 (2017년) |
주요 수출국가 | ![]() ![]() ![]() ![]() ![]() 기타 39% |
수입 | $150.72백만 (2017년) |
주요 수입국가 | ![]() ![]() ![]() ![]() ![]() 기타 35% |
−$9.762백만 (2017년 추정치.) | |
총 외채 | $684.6백만 (2018년 1월) |
국가 재정 | |
GDP의 84% (2017년 추정치.) | |
(GDP의) −1.1% (2017년 추정치.) | |
외환보유고 | $373.9백만 (2017년 추정치.) |
주요 내용 출처: CIA World Fact Book (모든 값은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미국 달러) |
브라질은 개발도상혼합경제로서[1] 2019년 명목 GDP 기준 전 세계 9위, 구매력 평가 기준 8위이다.
자료
[편집]다음의 표는 1980~2018년 주요 경제 지표를 나타낸 것이다. 58% 이하의 인플레이션은 녹색이다.[2][3]
연도 | GDP (단위: 10억 US$ PPP) |
1인당 GDP (단위: US$ PPP) |
GDP 성장 (실질) |
인플레이션율 (단위: %) |
실업 (단위: %) |
정부 부채 (단위: GDP 중 %) |
---|---|---|---|---|---|---|
1980 | 567.7 | 4,787 | ![]() |
![]() |
n/a | n/a |
1981 | ![]() |
![]() |
![]() |
![]() |
n/a | n/a |
1982 | ![]() |
![]() |
![]() |
![]() |
n/a | n/a |
1983 | ![]() |
![]() |
![]() |
![]() |
n/a | n/a |
1984 | ![]() |
![]() |
![]() |
![]() |
n/a | n/a |
1985 | ![]() |
![]() |
![]() |
![]() |
n/a | n/a |
1986 | ![]() |
![]() |
![]() |
![]() |
n/a | n/a |
1987 | ![]() |
![]() |
![]() |
![]() |
n/a | n/a |
1988 | ![]() |
![]() |
![]() |
![]() |
n/a | n/a |
1989 | ![]() |
![]() |
![]() |
![]() |
n/a | n/a |
1990 | ![]() |
![]() |
![]() |
![]() |
n/a | n/a |
1991 | ![]() |
![]() |
![]() |
![]() |
10.1 % | n/a |
1992 | ![]() |
![]() |
![]() |
![]() |
![]() |
n/a |
1993 | ![]() |
![]() |
![]() |
![]() |
![]() |
n/a |
1994 | ![]() |
![]() |
![]() |
![]() |
![]() |
n/a |
1995 | ![]() |
![]() |
![]() |
![]() |
![]() |
n/a |
1996 | ![]() |
![]() |
![]() |
![]() |
![]() |
n/a |
1997 | ![]() |
![]() |
![]() |
![]() |
![]() |
n/a |
1998 | ![]() |
![]() |
![]() |
![]() |
![]() |
n/a |
1999 | ![]() |
![]() |
![]() |
![]() |
![]() |
n/a |
2000 | ![]() |
![]() |
![]() |
![]() |
![]() |
65.6 % |
2001 | ![]() |
![]() |
![]() |
![]() |
![]() |
![]() |
2002 | ![]() |
![]() |
![]() |
![]() |
![]() |
![]() |
2003 | ![]() |
![]() |
![]() |
![]() |
![]() |
![]() |
2004 | ![]() |
![]() |
![]() |
![]() |
![]() |
![]() |
2005 | ![]() |
![]() |
![]() |
![]() |
![]() |
![]() |
2006 | ![]() |
![]() |
![]() |
![]() |
![]() |
![]() |
2007 | ![]() |
![]() |
![]() |
![]() |
![]() |
![]() |
2008 | ![]() |
![]() |
![]() |
![]() |
![]() |
![]() |
2009 | ![]() |
![]() |
![]() |
![]() |
![]() |
![]() |
2010 | ![]() |
![]() |
![]() |
![]() |
![]() |
![]() |
2011 | ![]() |
![]() |
![]() |
![]() |
![]() |
![]() |
2012 | ![]() |
![]() |
![]() |
![]() |
![]() |
![]() |
2013 | ![]() |
![]() |
![]() |
![]() |
![]() |
![]() |
2014 | ![]() |
![]() |
![]() |
![]() |
![]() |
![]() |
2015 | ![]() |
![]() |
![]() |
![]() |
![]() |
![]() |
2016 | ![]() |
![]() |
![]() |
![]() |
![]() |
![]() |
2017 | ![]() |
![]() |
![]() |
![]() |
![]() |
![]() |
2018 | ![]() |
![]() |
![]() |
![]() |
![]() |
![]() |
농업
[편집]브라질의 농업은 근년에 와서 공업생산보다는 뒤져 있으나, 여전히 브라질 경제의 근간을 이루고 있다. 노동인구의 약 43%가 농업에 종사하나, 국민총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15%에 불과하다. 그러나 농축산물의 수출이 외화 수입의 약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수출을 위한 농산물 중 특기할 만한 것은 커피로서, 커피의 연생산량은 약 30만t으로 세계 생산량의 3분의 1을 차지하며 양자가 모두 세계 제1위이다. 이 밖의 산물로는 쌀·옥수수·콩·오렌지·카사바·토마토·담배·설탕·낙화생·솜 등이 있다. 또 세계 유수의 축산왕국으로, 농지의 대부분은 목장이다. 목축업은 남부의 여러 주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데, 아르헨티나를 능가할 만큼 중요한 산업이다.
공업
[편집]한편, 1930년대부터 공업화가 추진되었는데, 특히 제2차세계대전 후에 급격히 진전하였다. 그 중에서도 제조공업의 발전이 현저한데, 제철·자동차·농업기계를 중심으로 섬유·제지·화학공업 등이 왕성하며, 미국·독일 등의 기업도 진출하고 있다. 상파울루 근교는 최대의 공업지대이다. 또 브라질은 지하자원도 풍부하여, 철광석·망간·보크사이트·주석 등의 매장량이 풍부하며, 석유는 85%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주요 수출품은 커피·철·광석·콩이고, 주요 수입품은 기계·차량·연료·석유·금속제품·화학제품·곡류이다. 주요 수출 상대국은 미국·독일·네덜란드·러시아·아르헨티나·에스파냐의 순이며, 수입 상대국은 미국·독일·사우디아라비아·아르헨티나 등이다.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Trebat, Thomas J. (1983). 《Brazil's State-Owned Enterprises: A Case Study of the State as Entrepreneur》.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15쪽. ISBN 978-0-521-23716-1.
brazil free market economy.
- ↑ “Report for Selected Countries and Subjects”. 《www.imf.org》 (미국 영어). 2018년 9월 14일에 확인함.
- ↑ “Report for Selected Countries and Subjects”. 《www.imf.org》. 2019년 12월 25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Ministry of Finance (Brazil) 보관됨 2010-01-20 - 웨이백 머신
- IBGE : Brazilian Institute of Geography and Statistics
- World Bank Summary Trade Statistics Brazil
- Brazil profile 보관됨 2015-12-22 - 웨이백 머신 at the 월드 팩트북
- Brazil profile at 세계은행 그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