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브란덴부르크령 황금 해안

브란덴부르크(프로이센)령 황금 해안
국기
국기

오늘날 가나황금 해안에 표시한
그로스프리드리히스부르크의 위치
(검은 점과 깃발로 표시)
그로스프리드리히스부르크의 내부 (1884년 2월)
그로스프리드리히스부르크의 내부 (1884년 2월)
수도그로스프리드리히스부르크
브란덴부르크 선제후
(이후 프로이센 국왕)
1682년~1688년
1688년~1713년
1713년~1721년


프리드리히 빌헬름
프리드리히 1세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
역사
 • 브란덴부르크
아프리카 회사 설립
1682년
 • 프로이센 황금 해안
정착촌으로 개칭
1701년 1월 15일
 •  네덜란드에 매각1721년
인문
공용어독일어, 아칸어
종교
종교개신교, 로마 가톨릭, 아칸 종교

브란덴부르크령 황금 해안 (프로이센령 황금 해안)은 17세기브란덴부르크-프로이센과 이후 프로이센 왕국서아프리카 황금 해안에 건설한 식민지였다. 브란덴부르크령 식민지는 1682년부터 1701년까지, 프로이센령 식민지는 1701년부터 1721년까지 존속했다. 1721년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 국왕이 7,200두카트와 노예 12명의 가격으로 네덜란드 서인도 회사에 매각하면서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역사

[편집]

브란덴부르크령 황금 해안

[편집]

1682년 5월 브란덴부르크 아프리카 회사(BAC, 독일어: Brandenburgisch-Afrikanische Compagnie)가 신규 설립되어 브란덴부르크 선제후 프리드리히 빌헬름에게서 식민지 관리 칙허를 받게 되면서 독일의 아프리카 식민개척이 시작되었다. 당시 브란덴부르크 아프리카 회사는 훗날 프로이센 왕국이 되는 브란덴부르크 변경백국의 기업이었으며, 지금의 가나 스리포인츠곶 일대에 기니만에 면한 항구 정착촌 두 곳을 건설하며 서아프리카에 첫발을 내딛었다.

  • 그로스프리드리히스부르크 (Groß Friedrichsburg, 홀란디아)[1] - 지금의 포케수. 1682년에 세워졌으며 식민지의 수도로 삼았다.
  • 도로테아 요새 (Dorothea, 아카다)[1] - 지금의 아크위다. 1684년 4월에 세워졌으며 1687년~1698년, 1711년~1712년 4월에는 네덜란드에 점령당했다.[2]

프로이센령 황금 해안

[편집]

1701년 1월 15일 프로이센 왕국의 건국을 앞두고 식민지 명칭을 '프로이센령 황금 해안 정착촌'으로 변경하였다. 그로부터 3일 뒤 프로이센 왕국이 정식으로 건국되었으며, 브란덴부르크 선제후이자 프로이센 공작이었던 프리드리히 3세프로이센 국왕으로 즉위하면서 프리드리히 1세를 칭하게 되었다.

프로이센은 대서양 무역에 뛰어든 마지막 주요 유럽 강대국이자 최초의 독일 국가였다. 당시 프로이센은 유럽의 무역 중심지로부터 다소 고립되어 있었기 때문에 대서양 무역에 참여하고 경제력을 공고히 만들고자 식민지 확보에 나선 것이었다.[3] 보다 직접적인 개척방향은 프로이센의 황금 채굴량을 늘리고,[4] 대서양 노예 무역에 참여하기 위한 노예자원의 공급, 아라비아검과 타조 깃털 무역이 있었다. 그러나 식민지 개척에 나선 지 머지않아 황금이 고갈되고 노예무역의 이윤이 더 커지자 식민지의 무역거래는 거의 전적으로 노예무역에 맞춰지게 되었다.[4] 프로이센은 황금해안과 더불어 덴마크 왕국의 영토였던 카리브해의 세인트토머스섬 (현재 미국령 버진아일랜드의 일부)을 임대하여 노예 운송의 목적으로 활용하였으며, 프로이센령 황금해안과 카리브해 간의 대서양 무역경로를 만들 수 있었다.[5]

네덜란드에 매각

[편집]

프로이센이 세운 황금해안의 두 정착지는 다른 유럽국가의 거점과 가까워 경쟁 관계에 놓였다. 이 무렵 브란덴부르크 아프리카 회사는 네덜란드프랑스의 압류로 인해 식민지에 두었던 자사의 상선을 한 척만 남기고 모두 잃었으며, 네덜란드 세력과의 치열해지는 경쟁으로 수입이 줄어들던 참이었다. 프로이센의 노예 생산량은 전성기에도 네덜란드의 4분의 1 미만에 그쳤으며, 본국이 식민지에 들이는 지원도 줄어갔다.[5] 1711년부터 1712년 4월까지는 네덜란드가 도로테아 요새를 점령하는 일이 있었다. 결국 1717년 프로이센은 황금해안 식민지에서 인력을 철수시키고 방치하였다.

1721년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 국왕은 금사슬에 묶인 노예소년 12명과 금화 7,200두카트를 대가로 황금해안 식민지를 네덜란드 서인도 회사에 매각하였다. 이로써 39년간의 프로이센 통치는 끝이 났다. 당시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는 서아프리카 식민지에 별다른 애착심이 있지 않았고 오히려 왕국의 자원을 소모할 뿐이라는 시각을 갖고 있었다. 네덜란드 서인도 회사는 식민지의 이름을 '홀란디아' (Hollandia)로 바꾸고 네덜란드령 황금 해안 식민지의 일부로 편입하였다.[6][5]

한편 프로이센의 철수 직후 그로스프리드리히스부르크에는 현지 아한타 족장 존 캐누 (John Canoe, 유럽인들이 붙여준 이름)가 점령해 머물고 있었는데, 후술할 네덜란드로의 매각 이후에도 버티다가 1724년 네덜란드군과의 전투에서 전사하였다.

역대 총독

[편집]

브란덴부르크 시대 총독

[편집]

프로이센 시대 총독

[편집]
  • 1701년 – 1704년 – 아드리안 그로베
  • 1704년 – 1706년 – 요한 문츠
  • 1706년 – 1709년 – 하인리히 라미
  • 1709년 – 1710년 – 프란스 드 랑게
  • 1710년 – 1716년 – 니콜라스 뒤부아
  • 1716년 – 1717년 – 안톤 귄터 판 데르 멘덴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Accada and Hollandia: p.252. New Cambridge Modern History Atlas, H.C. Darby and Harold Fullard
  2. Briggs, P. (2014). 《Ghana》. Bradt Travel Guide Series. Bradt Travel Guides. 257쪽. ISBN 978-1-84162-478-5. 2019년 5월 16일에 확인함. 
  3. Jones, Adam (1984). 《Archival Materials on the Brandenburg African Company (1682-1721)》. 《History in Africa》 11. 379–389쪽. doi:10.2307/3171645. ISSN 0361-5413. JSTOR 3171645. 
  4. Walter, Rodney (1969). 《Gold and Slaves on the Gold Coast》. 《Transactions of the Historical Society of Ghana》 10. 13–28쪽. 
  5. Koslofsky, Craig; Zaugg, Roberto (2016년 6월 16일). 《Ship's Surgeon Johann Peter Oettinger: A Hinterlander in the Atlantic Slave Trade, 1682–96》. 《Slavery Hinterland》. 25–44쪽. doi:10.1017/9781782047032.002. ISBN 978-1-78204-703-2. 
  6. Sutton, Angela (2014). 《Competition and the Mercantile Culture of the Gold Coast Slave Trade in the Atlantic World Economy, 1620-1720》. 
  • World Statesmen.org: Ghana
  • Accada and Hollandia: pg. 252. New Cambridge Modern History Atlas, H.C. Darby and Harold Fullard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