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브루스 A. 웨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브루스 A. 웨어(Bruce A. Ware, 1953년 9월 30일 - )는 미국의 신학자이자 미국 복음주의신학회 전 회장이자 탁월한 신학자이자 하나님 중심의 사람'으로 평가하며, 많은 신학자들에게 멘토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Western Conservative Baptist Seminary에서 교수사역, Trinity Evangelical Divinity School에서 성경 및 조직신학과 학과장을 역임한 후, 현재는 Southern Baptist Theological Seminary에서 교수로 재직 중이다

학력

[편집]

신학

[편집]

1. 신론

[편집]

웨어는 하나님의 본성에 대한 고전적 기독교 이해를 지지하며, 하나님의 주권, 불변성, 전지하심을 강조한다. 그는 하나님의 철저한 예지를 부정하는 열린 신학(Open Theism)에 대해 비판적 입장을 취하며, 열린 신학이 하나님의 위대함을 감소시키고 약속에 대한 신뢰를 약화시킨다고 주장한다.

2. 삼위일체론

[편집]

웨어는 "영원한 권위와 복종의 관계"(eternal relations of authority and submission) 관점을 따른 삼위일체론을 지지합니다. 이 관점에서 아들은 영원히 아버지께 복종하는 관계에 있으며, 이 견해는 교회와 가정에서의 성역할과 관련된 보완주의(complementarian) 논의에 영향을 미쳤다.

3. 그리스도론

[편집]

그는 저서 The Man Christ Jesus에서 그리스도의 두 본성, 즉 완전한 신성과 완전한 인성을 탐구하며, 이 연합이 구원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임을 강조한다.

4. 구원론

[편집]

웨어는 예정과 신앙을 통한 칭의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개혁주의적 구원론을 옹호합니다. 그는 Still Sovereign의 공동 편집자로서, 선택, 예지, 은혜에 관한 다양한 관점을 논의했다.

5. 교육적 접근

[편집]

웨어는 Big Truths for Young Hearts라는 어린이용 체계적 신학서를 저술하여, 복잡한 신학적 개념을 어린이들도 이해할 수 있도록 전달하려는 노력을 보여준다.

열린신학 비판

[편집]

웨어는 열린신학이 복음주의의 중심 확신을 위태롭게 하며, 이 신학이 복음주의 안에 합법적 모델로 인정받기 어렵다고 평가합니다. 그는 “하나님의 주권과 전지성, 성경의 권위”를 철저히 수호하는 입장에서 성경적 신관을 전개하며 열린신학의 신학적 결함과 위험성을 논리적으로 비판한다.

  • 하나님이 무지하거나 잘못된 결정을 할 수 있다는 주장을 하여 하나님의 전지성(omniscience)을 부정한다.
  • 성경적 구원사를 왜곡하고 구원의 임시성을 강조해 성경의 무오성과 예언의 신빙성에 의문을 제기한다.
  • 창세 전 하나님이 구원받을 사람을 예지하고 선택하는 예정 교리를 부정하여 하나님의 주권과 예지의 완전성을 훼손한다.
  • 예수 그리스도의 대속적 죽음과 부활의 의미가 불확실해진다 (십자가의 죄 사함과 부활의 확증력 약화).
  • 하나님 인도하심과 섭리에 대한 신자의 확신, 고통과 시련의 의미, 그리고 교회의 궁극적 종말론적 소망이 파괴될 우려가 있다.

저서

[편집]
  • Ware, Bruce A.; Schreiner, Thomas R. (1995). 《Still Sovereign: Contemporary Perspectives on Election, Foreknowledge, and Grace》. Grand Rapids, MI: Baker Books. ISBN 9780801022326. OCLC 53288151. 
  • ——— (2000). 《God's Lesser Glory: The Diminished God of Open Theism》. Wheaton, IL: Crossway Books. ISBN 9781581342291. OCLC 44775399. 
  • ——— (2003). 《Their God is Too Small: Open Theism and the Undermining of Confidence in God》. Wheaton, IL: Crossway Books. ISBN 9781581344813. OCLC 52057699. 
  • ——— (2004). 《God's Greater Glory: The Exalted God of Scripture and the Christian Faith》. Wheaton, IL: Crossway Books. ISBN 9781581344431. OCLC 56334001. 
  • ——— (2004). 《Father, Son, and Holy Spirit: Relationships, Roles, and Relevance》. Wheaton, IL: Crossway Books. ISBN 9781581346688. OCLC 56825509. 
  • Serving God with Determined Faith: Studies in the Book of Nehemiah (2005)
  • ——— (2009). 《Big Truths for Young Hearts》. Wheaton, IL: Crossway Books. ISBN 9781433523144. OCLC 769341433. 
  • ——— (2012). 《The Man Jesus Christ: Theological Reflections on the Humanity of Christ》. Wheaton, IL: Crossway Books. ISBN 9781433524165. OCLC 818819635. 

편집

[편집]

논문

[편집]
  • ——— (Summer 2000). “Despair amidst suffering and pain: a practical outworking of open theism's diminished view of God”. 《Southern Baptist Journal of Theology》 4 (2): 56–75. 
  • ——— (Spring 2001). “Tampering With the Trinity: Does the Son Submit to His Father?”. 《Journal for Biblical Manhood and Womanhood》 6 (1): 4–12. 
  • ——— (June 2002). “Defining Evangelicalism's Boundaries Theologically: Is Open Theism Evangelical?”. 《Journal of the Evangelical Theological Society》 45 (2): 193–212. 
  • ——— (June 2002). “Rejoinder to Replies by Clark H. Pinnock, John Sanders, and Gregory A. Boyd”. 《Journal of the Evangelical Theological Society》 45 (2): 245–256. 
  • ——— (2006). 〈Divine election to salvation〉. Brand, Chad Owen (편집). 《Perspectives on Election: five views》. Nashville, TN: Broadman & Holman Publishers. ISBN 9780805427295. OCLC 73275402. 
  • ——— (Spring 2006). “Cur Deus Trinus? The Relation of the Trinity to Christ's Identity as Savior and to the Efficacy of his Atoning Death”. 《Southern Baptist Journal of Theology》 10 (1): 48–56. 
  • "Unity and Distinction of the Trinitarian Persons." In Whtifield, Keith S. (ed.) Trinitarian Theology: Theological Models and Doctrinal Application. Nashville, TN: B&H Academic. 2018. pp. 17–62. ISBN 978-1535958066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Bruce A. Ware, At-Large Member”. Evangelical Theological Society. 2013년 7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0월 9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