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리튼 국민당
보이기
브리튼 국민당 | |
|---|---|
| 약자 | BNP |
| 당수 | 아담 월커 |
| 당주석/총재 | 존 히친스 틴달 아담 월커 |
| 창립준비위원장 | 존 히친스 틴달 |
| 창당일 | 1982년 |
| 중앙 당사 | 영국 런던 |
| 당원 수 (2014년) | 약 500명 |
| 이념 | 파시즘 우익 포퓰리즘 민족주의 반세계화 유럽회의주의 |
| 스펙트럼 | 극우[1][2] |
| 상징색 | 빨강, 흰색, 파랑 |
| 유럽의회 의석 | 0 / 73 |
| 지방의회 | 1 / 20,565 |
| 하원 | 0 / 650 |
| 상원 | 0 / 802 |
| 스코틀랜드 의회 | 0 / 129 |
| 웨일스 의회 | 0 / 60 |
| 런던 의회 | 0 / 25 |
| 경찰국장 | 0 / 40 |
| 웹사이트 | |
| www | |

브리튼 국민당(영어: British National Party, 약칭 BNP)은 1982년 영국의 정치인 존 히친스 틴달에 의해 만들어진 영국의 극우 정당이다. 당의 강령은 반 이민 정책이며, 사형제의 부활을 주장하고, 무기징역형 강화, 치안 강화, 포퓰리즘 배격, 동성애 및 동성 결혼 반대, 다문화주의 반대 주장을 하고 있다. 또한 인권, 시민단체를 빙자하여 개인과 특정세력의 이권을 옹호하는 이권세력이 있다고 지적하기도 한다. 또한 이민자와 그 후손들에게 원래의 땅으로 돌아가라는 공격적인 구호를 내세웠다.
역사
[편집]이전에 신설된 국민전선에서 1982년 분리되었다. 군소 정당으로 지방 의회에서 소수 의석을 차지하다가, 노동당에 실망한 유권자층의 지지를 얻었으며, 보수당의 정책에 염증을 느낀 보수당 지지자들도 흡수하였다. 1999년부터는 닉 그리핀이 당수를 맡고 있다. 2008년 한때 영국의 지방선거에서 50 곳의 지방의회 의석을 차지하기도 했다. 2010년 총선거에서는 패하여 전국에서 일부 이탈자가 있었으며, 현재 1개의 의석을 보유하고 있다. 2014년 7월 닉 그리핀은 총선 패배에 대한 책임 사퇴를 하고 당수 대행체제로 개편하였다.
이념적 지향
[편집]사형제의 부활과 무기징역형 강화 등의 각종 형량의 강화와 사회 치안 강화를 주장한다. 그밖에 포퓰리즘 배격, 동성애 및 동성 결혼 반대를 강령으로 하고 있다. 또한, 다문화주의 반대 주장을 하는데 그 근거로는 영국 사회가 이슬람화나 이슬람주의를 부추긴다는 것이다.
역대 선거결과
[편집]| 년도 | 합계 | 득표율 | +/– |
|---|---|---|---|
| 1983년 총선[3] | 14,621 |
0.1% |
0.1% |
| 1987년 총선[4] | 563 |
0.1% |
0.1% |
| 1992년 총선[5] | 7,631 |
0.1% |
0.1% |
| 1997년 총선[6] | 35,832 |
0.1% |
0.0% |
| 2001년 총선[7] | 47,129 |
0.2% |
0.1% |
| 2005년 총선[8] | 192,746 |
0.7% |
0.5% |
| 2010년 총선[9] | 563,743 |
1.9% |
1.2% |
| 2015년 총선[10] | 1,667 |
0.0% |
0.0% |
| 년도 | 합계 | 득표율 | 의석 | +/– |
|---|---|---|---|---|
| 1999년 총선[11] | 102,647 |
1.1% |
0 / 87
|
|
| 2004년 총선[12] | 808,200 |
4.9% |
0 / 78
|
|
| 2009년 총선[13] | 943,598 |
6.3% |
2 / 72
|
|
| 2014년 총선 | 179,694 |
1.09% |
0 / 73
|
역대 당 대표
[편집]| # | 이름 | 재임 기간 | 년도 | 주석 및 기타 |
|---|---|---|---|---|
| 1대 | 존 히친스 틴달 | 1982년 ~ 1999년 10월 | 17년 | |
| 2대 | 닉 그리핀 | 1999년 10월 ~ 2014년 6월 21일 | 15년 | |
| 3대 | 아담 월커 | 2014년 6월 21일 ~ 현재 | 재임 |
각주
[편집]- ↑ Driver 2011, 132쪽; Bottom & Copus 2011, 146쪽; Copsey 2011, 1쪽; Messina 2011, 165쪽; Trilling 2012, 5쪽.
- ↑ Copsey 2008, 1쪽; Copsey 2011, 1쪽; Goodwin 2011, xii쪽.
- ↑ Bryn Morgan. “General Election results, 1 May 1997” (PDF). House of Commons Library. 6쪽. 2016년 4월 17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0월 18일에 확인함.
- ↑ Bryn Morgan. “General Election results, 1 May 1997” (PDF). House of Commons Library. 6쪽. 2016년 4월 17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0월 18일에 확인함.
- ↑ Bryn Morgan. “General Election results, 1 May 1997” (PDF). House of Commons Library. 6쪽. 2016년 4월 17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0월 18일에 확인함.
- ↑ Bryn Morgan. “General Election results, 1 May 1997” (PDF). House of Commons Library. 6쪽. 2016년 4월 17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0월 18일에 확인함.
- ↑ Bryn Morgan. “General Election results, 7 June 2001” (PDF). House of Commons Library. 11쪽. 2015년 12월 22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0월 18일에 확인함.
- ↑ “2005 General election results”. UK Political Info. 2015년 10월 18일에 확인함.
- ↑ “Election 2010 Results”. BBC News. 2014년 1월 22일에 확인함.
- ↑ "UK 2015 general election results in full", The Guardian,
- ↑ “UK Results - after 12 out of the 12 regions declared”. 《BBC News》. 2014년 1월 22일에 확인함.
- ↑ “European Election: United Kingdom Result”. 《BBC News》. 2009년 6월 14일. 2014년 1월 22일에 확인함.
- ↑ “European Election 2009: UK Results”. 《BBC News》. 2009년 6월 8일. 2014년 1월 22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