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사이먼 파벤블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Simon Farbenbloom
Simon Farbenbloom
국적오스트레일리아
시민권오스트레일리아
경력주일본 오스트레일리아대사관 근무(1993–1997)[1]
주제네바 국제기구 대표부 근무(1999–2003)[1]
주태국 방콕 오스트레일리아대사관 차석대사(2010–2013)·ESCAP 상주대표 겸임[2][3]
DFAT 자유무역협정국(FTA Division) 부수석·수석 협상관(2005–2010)·부국장급 보직(2014 전후)[1][4]
주제네바 WTO 상주대표부 부대표·공사(2016–2019)[1]
DFAT 상품·시장접근(Goods & Market Access) 과장(Assistant Secretary, 2020)[5]
주중 오스트레일리아대사관 경제담당 공사참사관(2021–)[6]
직업외교관·통상정책가
활동 기간1993년 ~ 현재[1]
고용주Department of Foreign Affairs and Trade (DFAT), Australia[5]
소속Enhanced Integrated Framework (EIF) 이사회 부의장(Vice‑Chair)[1]
현직주중 오스트레일리아대사관 경제담당 공사참사관[6]
전직WTO 상주 부대표(2016–2019)[1]
주태국 방콕 차석대사(2010–2013)[3]
칭호주중 오스트레일리아대사관 경제담당 공사참사관(Minister‑Counsellor, Economic)
칭호 기간2021년 ~ 현재[6][7]
사이먼 파벤블룸
한글 표기: 사이먼 파벤블룸
공식 로마자 표기: Simon Farbenbloom

사이먼 파벤블룸(영어: Simon Farbenbloom)은 오스트레일리아의 외교관이자 통상정책가이다. 세계 무역 기구(WTO) 상주 부대표(2016–2019)를 역임했고, 2021년부터 중국 베이징 주재 오스트레일리아대사관에서 경제담당 공사참사관(Minister‑Counsellor, Economic)으로 재직하고 있다.[1][6] 그는 DFAT에서 중국·인도·한국과의 자유무역협정(FTA) 협상에 부수석 협상관으로 참여했으며, 2005~2010년에는 ASEAN·중국·일본·한국과의 FTA 협상에서 수석 협상관을 맡았다.[1] WTO 분쟁해결기구(DSB)에서는 패널 위원으로 활동했다.[8][9]

생애 및 교육

[편집]

공개 자료에 따르면 파벤블룸은 1990년대 초부터 오스트레일리아 정부에서 국제통상·경제외교 업무를 수행했다. 1993~1997년 주일본 대사관, 1999~2003년 주제네바 대표부에서 근무하며 다자무역 규범과 아시아 지역 경제협력을 담당했다.[1] 2010~2013년에는 방콕 주재 차석대사로 근무하면서 유엔 아시아태평양경제사회위원회(ESCAP)에 대한 상주대표(PR)를 겸임했다.[2][3]

경력

[편집]
  • 1993–1997: 주일본 오스트레일리아대사관 — 외교관 보직(통상·경제 담당).[1]
  • 1999–2003: 주제네바 국제기구 대표부 — WTO·다자통상 담당.[1]
  • 2005–2010: DFAT FTA 교섭팀 — ASEAN·중국·일본·한국과의 FTA 수석 협상관.[1]
  • 2010–2013: 주태국 방콕 차석대사·ESCAP 상주대표.[2][3]
  • ARF 재난구호훈련 참석[10]
  • 2012: 방콕에서 개최된 UNODC 회의 의장(호주 측) — 지역 마약·범죄 대응 정책 논의 주재.[3]
  • 2014: 상원 청문(Estimates) 출석 — 한‑호 FTA(KaFTA) 이행·감독 관련 질의 응답.[11]
  • 2016–2019: 주제네바 WTO 상주대표부 부대표(공사) — 다자통상·분쟁해결 업무 총괄.[1]
  • 2020: DFAT 상품·시장접근(Goods & Market Access) 과장(Assistant Secretary).[5]
  • 2021–현재: 주중 오스트레일리아대사관 경제담당 공사참사관 — 거시정책·양자경제 관계·기업 환경 분석 총괄.[6][7]

주요 활동

[편집]

FTA 정책·협상

[편집]

DFAT 자유무역협정국(Fre​e Trade Agreements Division)에서 중국·인도·한국과의 양자 FTA 협상에 부수석 협상관으로 참여했고, 2005~2010년에는 ASEAN, 중국, 일본, 한국과의 FTA 협상에서 수석 협상관으로 활동했다.[1] 2021년에는 AANZFTA 12차 공동위원회(FJC)를 오스트레일리아 측 공동의장으로 주재하며 업그레이드 협상을 이끌었다.[12]

WTO 분쟁해결 활동

[편집]

WTO 분쟁해결기구 패널 위원으로서 ‘미국—제로잉 및 일몰재심 관련 조치(DS322)’ 등 사건에 참여했고, 일부 사건의 이행심(21.5)에서도 패널을 맡았다.[8] DFAT 공식 목록에는 ‘미국—우루과이라운드협정법 129조 사건(DS221)’ 패널 위원 경력도 등재되어 있다.[9]

방콕 주재 시기 지역 다자협력

[편집]

방콕 근무 당시 ESCAP 상주대표를 겸임하며 태국 내 다자협력 이슈와 역내 개발·재난대응 연계 의제를 담당했다. 2012년에는 UNODC 주최 지역 회의를 의장으로 주재했다.[2][3] 같은 해 대사관 주관 민관 교류 행사에 공식 대표로 참석했다.[13]

대외 활동

[편집]
  • 2021년 11월: ACBC 공동 브리핑에서 중국 거시정책 프레임과 호주 기업 환경을 주제로 발표.[6]
  • 2023년 3월: ACBC 전국 브리핑 패널 — 대중 경제관계·통상 현안 논의.[7]

연표

[편집]
연표 (펼치기)
연도 사건 출처
1993–1997 주일본 오스트레일리아대사관 근무 [1]
1999–2003 주제네바 국제기구 대표부 근무 [2]
2005–2010 ASEAN·중국·일본·한국과의 FTA 협상 수석 협상관 [3]
2010–2013 주태국 방콕 차석대사·ESCAP 상주대표 겸임 [4]
[5]
2012 방콕 ‘Taste of Australia’ 개막식 공식 대표 참석 [6]
2014 상원 외교·국방·통상위원회 청문 출석(KaFTA 관련) [7]
2016–2019 WTO 상주대표부 부대표(공사) [8]
2020 DFAT 상품·시장접근(GMB) 과장(Assistant Secretary) [9]
2021-04 AANZFTA 제12차 공동위원회(온라인) 공동의장 [10]
2021– 주중 오스트레일리아대사관 경제담당 공사참사관 [11]
2023-03 ACBC 전국 브리핑 패널 참여 [12]

외부 링크

[편집]

각주

[편집]
  1. “Simon Farbenbloom” (영어). Enhanced Integrated Framework (EIF). 2025년 10월 26일에 확인함. 
  2. “List of Participants — Asia Economic Forum/ESCAP (contact list)” (PDF) (영어). UN ESCAP. 2011년 7월 27일. 2025년 10월 26일에 확인함. 
  3. “UNODC calls on members to translate research into action” (영어). UNODC (Regional Office for Southeast Asia and the Pacific). 2012년 6월 1일. 2025년 10월 26일에 확인함. 
  4. “Senate Estimates Hansard (Foreign Affairs and Trade)” (영어). Parliament of Australia. 2020년 3월 5일. 2025년 10월 26일에 확인함. 
  5. “DFAT Organisation Chart (April 2019/updated 2020)” (PDF) (영어). Australian Government, DFAT. 2025년 10월 26일에 확인함. 
  6. “National Briefing with the Australian Embassy Beijing” (영어). Australia China Business Council. 2021년 11월 11일. 2025년 10월 26일에 확인함. 
  7. “Event Report: National Briefing with Australia’s Ambassador to China & Federal Trade Representatives 2023” (영어). Australia China Business Council. 2023년 3월 27일. 2025년 10월 26일에 확인함. 
  8. “United States Trade Representative — 2012 Annual Report” (PDF) (영어). Office of the U.S. Trade Representative. 2013년 3월 1일. 2025년 10월 26일에 확인함. 
  9. “Australian nationals who have served as WTO panelists” (영어). DFAT. 2025년 10월 26일에 확인함. 
  10. choikwangmo. “Prominent ARF DiREx 2013 Participants(2025)”. 《goedelescherbachandriemann》. 2025년 10월 1일에 확인함. 
  11. “Report on the Korea‑Australia Free Trade Agreement” (PDF) (영어). Parliament of Australia. 2014년 10월 2일. 2025년 10월 26일에 확인함. 
  12. “AANZFTA news — 12th FJC (April 2021)” (영어). Australian Government, DFAT. 2021년 4월 7일. 2025년 10월 26일에 확인함. 
  13. 'Taste of Australia 2012' Opening” (영어). Australian Embassy Bangkok. 2012년 6월 6일. 2025년 10월 26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