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톨로지교의 위키백과 편집
2009년 일련의 사건들로 인해 사이언톨로지교 소유 네트워크가 차단되어 사이언톨로지 관련 위키백과 문서에 편집할 수 없게 되었다. 사이언톨로지교는 오랫동안 인터넷에서 논란이 되는 역사를 가지고 있었으며, 웹에서 비판적인 정보를 조작하고 삭제하려는 캠페인을 시작했다. 위키백과 역사 초창기부터 사이언톨로지 관련 내용으로 갈등이 발생했다. 분쟁은 2005년에 사이언톨로지를 학대적인 컬트 또는 종교로 묘사할지 여부를 놓고 사용자들 간의 의견 불일치가 심화되면서 본격적으로 시작되었고, 그 후 10년 동안 계속되었다.[3]
위키백과의 익명 편집을 해당 편집이 발생한 조직과 연결하는 공개 검색 데이터베이스인 위키스캐너는 사이언톨로지교 통제 컴퓨터에서 직접 추적 가능한 위키백과 편집의 성격을 공개했다. 뉴스 기관들은 사이언톨로지교와 연결된 편집이 주요 사이언톨로지 문서에서 비판을 삭제하고, 사이언톨로지와 신 컬트 인식 네트워크 간의 연결을 축소하며, 시민권리위원회와 같은 사이언톨로지 계열 단체에 대한 링크를 추가하기 위해 이루어졌다고 보도했다.[4]
2009년 1월, 사이언톨로지와 관련된 사안이 위키백과 중재위원회에 회부되었다. 위키백과 관리자들은 이 사안 동안 사이언톨로지교 통제 컴퓨터가 여러 사용자 계정을 사용하여 조직을 홍보하는 데 사용되었다는 증거를 제시했다. "COFS"라는 가명을 사용하는 한 사용자는 이러한 편집 패턴을 인정하고 사이언톨로지 컴퓨터에서의 편집이 계속될 것이라고 밝혔다. 2009년 5월, 중재위원회는 편향된 편집을 막기 위해 사이언톨로지교 소유의 IP 주소에서의 편집을 제한하기로 결정했다. 이 결정은 사이언톨로지교 통제 IP 주소가 사이트의 공개 프록시와 동일한 차단 가능한 상태를 받게 되었음을 의미했다. 많은 사이언톨로지 비판자들도 차단되었다. 위원회는 양측 모두 "정책을 이용"하고 "전쟁터 전술"을 사용했으며, 생존 인물에 대한 문서가 편집의 "가장 큰 희생자"였다고 결론 내렸다.[5][6] 2022년 1월 7일, 사이언톨로지 소유 IP 주소를 공개 프록시처럼 차단하는 규칙이 해제되었다.[7]
중재위원회 위원 로저 데이비스가 결정문의 대부분을 작성했으며, 뉴욕 타임스에 이 사건의 논란이 되는 성격 때문에 특정 개인에 직접 초점을 맞추지 않도록 결정이 작성되었다고 언급했다.[8] 사이언톨로지교 대변인 카린 파우의 성명은 중재 결정이 일상적인 문제라고 일축하며 사이언톨로지 문서에 여전히 "심각한 오류"가 남아있다고 주장했다.[9] CNN에 대한 성명에서 파우는 사이언톨로지교가 위키백과를 조작하기 위한 조직적인 캠페인을 벌였다는 것을 부인했다.[10] 사이언톨로지 대표 토미 데이비스는 세인트피터스버그 타임스에 조직을 비판하는 사용자들도 차단되었다는 점을 강조했으며, 사이언톨로지교 지도부가 위키백과 항목을 조작하기 위한 캠페인을 기획했다는 것을 역시 부인했다.[11]
배경
[편집]사이언톨로지교는 인터넷에서 논란의 여지가 많은 역사를 가지고 있다.[12] 이들은 인터넷에서 표현의 자유를 제한하려 했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이 갈등은 사이언톨로지 대 인터넷[13][14][15] 또는 사이언톨로지 대 넷[16][17][18]로 알려지게 되었다. 이 조직은 웹상에서 대중 이미지를 조작하고 통제하려고 시도했다.[12][13] 이 분쟁에 관련된 초기 소송에는 Religious Technology Center v. Netcom[17]과 Religious Technology Center v. F.A.C.T. Net이 포함되었다.[19] 저자 마이크 고드윈은 그의 저서 《Cyber Rights: Defending Free Speech in the Digital Age》에서 "인터넷상의 지적 재산권과 관련된 최초의 광범위하게 알려진 사례 중 하나에서 사이언톨로지교는 비평가들, 그들 중 상당수는 교회의 전 회원이었던 사람들을 침묵시키는 데 있어 저작권 및 영업 비밀법의 사용을 탐구해 왔다"고 언급했다.[17] 가디언은 "내부 관계자와 보안 전문가들에 따르면, 사이언톨로지스트들은 10년 이상 동안 조직에 비판적인 온라인 정보를 삭제하기 위한 조직된 캠페인을 벌여왔다"고 보도했다.[12] 인터넷에서의 활동에 대한 비판에 대해 사이언톨로지는 자신들의 노력이 비밀스러운 영적 문서에 대한 저작권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13][14]
이러한 법적 소송 중에는 Xenu 이야기를 묘사하는 고급 사이언톨로지 방법인 오퍼레이팅 스위스 (OT) 레벨을 포함한 정보를 공개한 alt.religion.scientology라는 주제에 초점을 맞춘 뉴스그룹이 포함되었다.[13][14] 1995년, 사이언톨로지교를 대표하는 변호사들은 유즈넷에서 alt.religion.scientology를 삭제하려고 시도했다.[13][15] 이 기동은 사이언톨로지에게 정반대의 영향을 미쳐 alt.religion.scientology의 인기를 높이고 컬트 오브 더 데드 카우 해커 조직으로부터 "선전포고"를 불러왔다.[15] 펜실베이니아주 피츠버그의 카네기 멜런 대학교 컴퓨터 과학 학과 및 신경 기반 인지 센터의 데이비드 S. 투레츠키 교수는 사이언톨로지 비평가이자 인터넷상의 표현의 자유를 지지하는 사람이다.[14] 그는 사이언톨로지 조직이 "서비스 제공업체가 고객의 발언에 대해 법적 책임을 지도록 함으로써 인터넷상의 표현의 자유를 위협하려고 시도하고 있었다"고 언급했다.[14] 언론인이자 The Skeptic의 설립자인 웬디 M. 그로스먼은 사이언톨로지의 인터넷 정보 억압 시도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했다.
인터넷 대 사이언톨로지 ...는 원래 넷 전쟁이었다. 이야기는 본질적으로 매우 간단했다 (그리고 이 싸움은 오늘날까지도 새로운 미디어로 다양하게 번역되어 계속되고 있다). 사이언톨로지에는 입문자들만 볼 수 있는 많은 초특급 비밀들이 있는데, 이들은 비싼 사이언톨로지 훈련에 많은 시간을 투자해야 한다. 사이언톨로지가 이 비밀들을 인터넷에서 지키려던 시도는 이들이 어디에나 출판되는 결과를 낳았다. 이 소동은 완전히 가라앉지 않았다.
세 명이 비밀을 지킬 수 있다면 두 명이 죽어야 한다고 마크 트웨인이 말했다. [실제로는 벤저민 프랭클린] 그것은 인터넷 이전의 이야기였다. 사이언톨로지는 약 15년 전, 어떤 것에 대한 최대의 홍보를 보장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그것을 억압하려 시도하는 것이라는 사실을 처음으로 알게 되었다.[20]
역사
[편집]초기 갈등
[편집]위키백과에서 사이언톨로지 주제 내 갈등은 웹사이트 초창기부터 발생했다.[21] 저자 조나단 지트레인은 2009년에 예일 대학교 출판부에서 출판한 저서 《인터넷의 미래와 이를 막는 방법》에서 "위키백과가 성장하면서 이전에는 만난 적 없는 편집자들이 유입되기 시작했고, 그들은 동시에 편집하는 문서들에 대해 의견이 달랐다. 한 사람은 사이언톨로지를 '컬트'라고 말하고, 다른 사람은 '종교'로 다시 바꾸고, 첫 번째 사람은 다시 되돌렸다"고 언급했다.[21] 2005년 가디언의 위키백과 관련 기사에서 찰스 아서(Charles Arthur)는 사람들이 온라인에서 "사이언톨로지가 컬트(cult)로 분류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논쟁했으며, 사이언톨로지의 "컬트주의"를 위키백과 자체의 "컬트주의"에 비유했다.[22] ABC 뉴스는 2009년 기사에서 "사이언톨로지에 대한 위키백과 분쟁은 2005년부터 계속되어 왔다"고 언급했다.[23]
2006년, 위키백과에서 사이언톨로지 주제 내 갈등은 구체적인 의견 불일치로 인해 연장되었다.[24] 맥클래치 신문의 언론인 앨런 비에르가(Alan Bjerga)는 2006년 8월에 "위키백과 대변인 웨인 새위치(Wayne Saewyc)는 논란이 되는 주제에 대한 논쟁은 엄청난 시간을 소모하고 때로는 짜증나는 일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예를 들어, 사이언톨로지 항목에서는 기여자들이 9개월 동안 사이언톨로지 출산 방식이 'silent birth'로 불려야 하는지 'quiet birth'로 불려야 하는지 논쟁했다."라고 보도했다.[24] 2006년 10월 위키백과 관련 기사에서 인디펜던트의 폴 발레리(Paul Vallely)는 "일부 페이지는 광신도들과 특정 이익 집단에 의해 점령된 것 같다 (사이언톨로지 페이지를 시도해 보라)"라고 논평했다.[25] 위키백과 사용자이자 사이언톨로지 비평가인 데이비드 제라드(David Gerard)는 2006년 10월 데일리 텔레그래프에서 사이트의 사이언톨로지 문서 상태에 대해 "위키백과 항목은 웹상에서 찾을 수 있는 가장 균형 잡히고 유익한 설명이라고 믿는다"고 인용되었다.[3] 제라드는 해당 주제에서 "NPOV"(중립적인 시각)에 대해 "이것은 NPOV가 위키백과의 가장 혁명적인 것 중 하나인 이유를 잘 보여주는 좋은 예시이다. 웹상에는 사이언톨로지교 사이트가 많고, 일반적으로 매우 비판적인 비평가 사이트도 많다. 위키백과에서는 중립적이어야 하며, 사실을 인용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3]
위키스캐너 폭로
[편집]2007년 버질 그리피스가 위키스캐너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면서 사이언톨로지 조직 컴퓨터에서 위키백과 문서에 대한 변경 사항이 공개되었다.[26] CBS 뉴스는 "많은 편집들이 예상대로 자기 이익적이었다. 사이언톨로지 공식 기관의 PC가 교회의 위키백과 항목에서 비판을 제거하는 데 사용되었다"고 보도했다.[27] 인디펜던트는 "사이언톨로지교로 추적된 IP 주소를 가진 컴퓨터들이 컬트의 전 세계적인 운영에 대한 비판적인 문단을 삭제하는 데 사용되었다"고 언급했다.[28] 타임스는 사이언톨로지교에서 운영하는 컴퓨터가 컬트 인식 네트워크에 대한 위키백과 문서의 정보를 조작하는 데 사용되었다고 보도했다. "사이언톨로지교 네트워크에 연결된 컴퓨터가 그것과 '컬트 인식 네트워크'라는 그룹 간의 연결에 대한 언급을 삭제하는 데 사용되었다."[29] 포브스는 "사이언톨로지 관계자들이 반컬트 조직에 대한 비판적인 의견을 삭제한 것으로 보인다"고 언급했다.[30]
슈피겔은 위키스캐너에 의해 밝혀진 사이언톨로지교와 관련된 컴퓨터들이 위키백과에서 수행한 편집 중 일부를 더 자세히 보도했다. 2003년부터 2007년까지 170건의 편집이 이루어졌는데, 이 중 상당수는 정신의학에 대한 사이언톨로지스트의 비판적인 견해에 초점을 맞추었다. 예를 들어, "커트 코베인" 문서가 사이언톨로지스트에 의해 편집되어 사이언톨로지 설립의 "시민권리위원회"(CCHR) 링크가 포함되었고,[4] "가수의 어린 시절 리탈린 처방이 자살로 이어졌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31] 여러 편집은 사이언톨로지와 관련된 조직의 웹페이지 링크를 추가하는 것을 포함했다.[4]
슬레이트에 글을 쓴 언론인 마이클 애거는 사이언톨로지 관련 IP 주소에 의한 위키백과 내 사이언톨로지 관련 문서 편집이 반드시 조직 직원에 의해 이루어졌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고 언급했다. 버질 그리피스는 "기술적으로, 우리는 그것이 해당 회사의 대리인에게서 왔는지 알 수 없다. 하지만, 우리는 그 편집이 그들의 네트워크에 접근할 수 있는 사람에게서 왔다는 것을 안다. 만약 편집이 근무 시간 중에 이루어졌다면, 우리는 그 사람이 해당 회사의 직원이었거나 네트워크에 접근이 허용된 손님이었다고 합리적으로 추정할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31]
찬놀로지 프로젝트
[편집]사이언톨로지 조직이 유명인 회원 톰 크루즈가 등장하는 사이언톨로지 홍보 영상을 인터넷에서 삭제하려 시도한 후, "어나니머스"로 알려진 웹 기반 활동가 그룹은 사이언톨로지에 대한 노력을 집중했다.[12] 어나니머스는 사이언톨로지 웹사이트를 방해하고 온라인에서 반사이언톨로지 자료를 유포했다.[12] 2008년 7월, 메신저 신문은 "인터넷 집단 어나니머스와 사이언톨로지교 간의 전쟁"이 "주로 유튜브, 위키백과 및 다른 웹사이트의 전장에서 벌어졌고", 이후 사이언톨로지 건물 앞에서 시위가 일어나는 운동으로 발전했다고 언급했다.[32] 찬놀로지 프로젝트로 알려진 이 운동은 "위키백과 스타일의 웹사이트(누구나 편집 가능)와 익명 인터넷 채팅방을 통해 조직되었다."[33] 뉴욕 타임스는 톰 크루즈 영상의 인터넷 삭제 시도와 관련된 행동을 통해 사이언톨로지교가 스트라이샌드 효과의 희생양이 되었다고 언급했다. 스트라이샌드 효과는 인터넷에서 정보를 억압하려는 시도가 정반대의 영향을 미 미치는 현상이다.[34]
중재위원회 금지 조치
[편집]
2009년 1월, 더 레지스터는 위키백과 중재위원회에 회부된 사이언톨로지 관련 진행 중인 사건을 보도하며, "사이트 관리자들에 따르면, 여러 친사이언톨로지 계정들이 사이언톨로지 소유 컴퓨터를 사용하여 사이트를 편집해 왔다"고 언급했다.[35] 위키백과의 중재위원회는 편집 공동체가 특히 어려운 분쟁을 해결하기 위해 선출한 자원봉사자 그룹으로 구성된다.[36][37] 중재 사건 동안, 사이언톨로지 관련 페이지는 조직 구성원들에 의해 수정되었다.[35][38] 사이언톨로지 회원들은 자신들의 주장을 광고하기 위해 항목을 조작했다.[39] 더 레지스터는 위키백과 사용자 중 한 명이 사이언톨로지 조직에서 운영하는 컴퓨터로 편집했음을 인정했다고 언급했다. "이 친사이언톨로지 편집자 중 한 명은 — 한때 'COFS'라는 별명을 사용했다 — 이를 인정했다. 그리고 그는 사이언톨로지 컴퓨터에서 사이언톨로지 문서 편집을 계속할 것이라고 맹세했다."[35] 더 레지스터는 'COFS' 사용자가 "나는 자발적으로 떠나지 않을 것이며 a) 내 컴퓨터, b) 공용 컴퓨터, c) 내 무선 노트북, d) 사이언톨로지교 컴퓨터 및 내가 원하는 모든 스테이션을 계속 사용할 것이다"라고 말했다고 인용했다.[35] 가디언은 더 레지스터를 인용하며, "기술 뉴스 웹사이트 더 레지스터는 교회가 인터넷 비판에 대처하기 위한 조직적인 운영을 하고 있다고 주장한다"고 언급했다.[40]
위키백과 정책을 준수하기 위해 위키백과 중재위원회는 2009년 5월 28일[41]에 사이언톨로지교가 관리하는 네트워크 내 편집자들의 사적인 편집을 막기 위해 사이언톨로지 조직의 IP 주소에서의 편집을 제한하기로 결정했다.[5][42] 이 결정은 사이언톨로지 통제 IP 주소에 사이트의 공개 프록시와 동일한 차단 가능한 상태를 부여했다.[43][44][45] 중재위원회 위원 10명이 이 판결에 찬성했고,[46][47][48] 이로써 해당 사용자들은 기존 문서를 편집하거나 사이트에 새 문서를 만들 수 없게 되었다.[49] 위키백과는 이전에 개별 사용자를 사이트에서 자주 차단했지만, 전체 조직을 차단한 적은 없었다.[50] 중재 결정은 조직의 지지자들과 그들의 관행에 대한 비평가들 간의 "오랜 투쟁"의 정점이었다.[51] ABC 뉴스는 이 갈등이 "위키백과 역사상 가장 오랫동안 지속된 분쟁 중 하나"라고 언급했다.[23] 이 갈등은 사이언톨로지 주제 내에서 400개가 넘는 문서와 관련이 있었다.[52][53] 이는 지난 4년 동안 사이언톨로지 주제와 관련하여 위키백과 중재위원회에 회부된 네 번째 중재 사건이었다.[23][54][55] 이 사건은 중재위원회의 결정이 내려지기 전 6개월 동안 진행되었다.[56]
위원회는 사이언톨로지 조직이 "서버와 장비의 적절한 사용을 보장할" 책임이 있다고 판결했으며,[1] 사이언톨로지 관련 컴퓨터에서의 편집과 관련된 이해충돌을 지적했다.[57] IP 주소 차단에는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주에 있는 사이언톨로지교 사무실에서 발생하는 IP 주소가 포함되었다.[58] 이 조직은 또한 클리어워터, 플로리다에 본부를 두고 있다.[11]
News.com.au는 "위키백과가 발견한 증거에 따르면, 알려진 사이언톨로지 IP 주소를 가진 여러 사용자들이 '사이언톨로지교 장비에서 (사이언톨로지 관련 문서를) 공개적으로 편집하고 활동을 조율했다'"고 보도했다.[59] 스카이 뉴스는 사이언톨로지 컴퓨터에 대한 차단이 "교회 또는 그와 관련된 단체가 '소유하거나 운영하는' 모든 컴퓨터 주소"에 적용된다고 언급했다.[60] 폭스 뉴스 채널은 이 결정에 대해 "백과사전 관리자들은 사이언톨로지 컴퓨터가 400개가 넘는 교회 관련 페이지를 반복적으로 변경하여 부정적인 언급을 삭제하고 긍정적인 언급을 추가했음을 발견했다. 변경 사항의 양이 관리자들이 이를 되돌릴 수 있는 능력을 압도했기 때문에 차단이 이루어졌다"고 보도했다.[61] 폭스 뉴스 채널은 사이언톨로지 통제 IP 주소를 차단하기로 한 중재위원회의 결정을 "전례 없는 움직임"이라고 묘사했다.[61] 가디언도 "사이언톨로지 세계에 대한 당신의 감정이 어떻든 간에, 위키백과의 전면적인 차단 결정은 전례 없는 일로 보인다"고 유사하게 언급했다.[12] 인포월드는 사이언톨로지 조직의 편집이 "교회를 좋게 보이게 하고/또는 인터넷 초기부터 조직을 그림자처럼 따라다닌 끊임없는 대중 비판에 대응하려는 거대한 조직적인 노력"에 의해 동기 부여되었다고 썼다.[62] 와이어드 뉴스는 사이언톨로지 조직에 대한 차단이 "논란이 많은 종교와 관련된 문서의 반복적이고 기만적인 편집"으로 인해 발생했다고 보도했다.[63] 로스앤젤레스 타임스는 이 차단이 "교회의 사적인 위키 개정주의"에서 비롯되었다고 언급했다.[64] 슈피겔은 회의론자들이 사이언톨로지 통제 IP 주소에 대한 차단의 효능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으며, 개인이 여러 계정 이름을 생성할 가능성에 대해 언급했다.[65]
"수많은 반사이언톨로지 편집자"들도 중재위원회에 의해 주제 기반으로 차단되었다.[5][42] 위원회는 "악화 요인"이 "여러 인터넷 조직에서 온 사이언톨로지의 저명한 비판자들이 자신의 이름으로 편집하고 자신 또는 서로의 자가 출판 자료를 인용하는 명백한 존재"였다고 언급했다.[5] 위원회는 양측 모두 "정책을 이용"하고 "전쟁터 전술"을 사용하여 "비하적이거나 칭찬적인" 문서를 만들었으며, 생존 인물에 대한 문서가 "최악의 희생자"였다고 결론 내렸다.[5][6]
2022년 1월 7일, 사이언톨로지 소유 IP 주소를 공개 프록시처럼 차단하는 규칙이 해제되었다.[7]
위키미디어 코멘트
[편집]
사이언톨로지 사건 결정문의 대부분은 중재위원회 위원 로저 데이비스가 작성했다.[8] 데이비스는 뉴욕 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이 사건은 시작부터 논란이 될 것이 분명했다. 우리가 한 일은 특정 개인에게 직접적으로 공격을 가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한 것이다"라고 말했다.[8] 그는 논란이 되는 주제에 대한 반복되는 논쟁 편집 패턴이 있다고 언급했다. "우리가 계속해서 부딪히는 문제 중 하나는 제가 핵심 신념 문제라고 부르는 것, 즉 정치, 종교, 민족주의이다. 소수 종교, 소수 민족성."[8]
위키미디어 재단 대변인이자 커뮤니케이션 책임자인 제이 월시[9]는 이 결정이 해당 주제 내의 적대감을 줄이고 문서를 적절한 상태로 되돌리는 데 중점을 두었다고 밝혔다.[66] 월시는 블룸버그 비즈니스위크에 조직의 이익에 부합하는 편집도 허용되지만, 문서에 "가치 있는 맥락을 추가"하는 절차 내에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9] 월스트리트 저널에 대한 성명에서 월시는 "이것은 주제에 대한 적대감을 줄이고 문서가 의미 있는 상태로 돌아가도록 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중재위원회는 위키백과인들이 모든 면에서 중립적이어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달하고 싶어한다고 생각한다. 그들은 이러한 상황을 가볍게 여기지 않는다. 그들은 우리가 사람이나 개인을 검열하는 것인지에 대한 관점이 있다는 것을 이해한다. 이것은 위키백과와 위키백과를 읽는 사람들을 위해 무엇이 최선인지에 관한 것이다"라고 말했다.[67] 내셔널 퍼블릭 라디오 계열사인 KUOW-FM의 로스 레이놀즈가 중재 결정에 "사이언톨로지교의 IP 주소 차단"이 포함된 이유를 묻자, 월시는 "간단한 대답은 이러한 컴퓨터와 편집이 어디서 왔는지 조사한 결과, 궁극적으로 이 범위 내의 대부분의 편집은 단일 사용자 계정에서 나왔다는 결정이다. 이들은 정보를 변경하거나 이동하거나, 어떤 경우에는 삭제하려는 단일 의도를 가진 사람들이었고, 이는 검열로 간주될 수 있으며, 이는 위키백과에서 잘 작동하지 않는 것이다. 그리고 이것은 그러한 효과를 진정시키고, 이러한 문서에 중립성과 품질을 되찾기 위한 노력이다"라고 답했다.[68]
위키백과 미디어 담당 댄 로젠탈은 ABC 뉴스에 "사이언톨로지는 위키백과에서 가장 논란이 많은 주제 중 하나이다. 낙태, 대통령 선거 등과 관련된 문서와 비교할 수 있지만, 그 어떤 것도 이 정도의 비통함과 싸움은 없었다"고 말했다.[23] 로젠탈은 "이해충돌이 있다는 것을 암시할 수 있다. 관련 없는 두 사람이 함께 모이는 대신", 사이언톨로지 조직의 홍보자들은 "함께 모여 '이것을 친사이언톨로지 문서로 만들자'고 말하고 있었다."[23] 로젠탈은 "의도를 가진 사람들이 선전 활동을 하는 것을 막기 위해 고안된 규칙을 위반하는 사용자를 차단하는 것이 표준적인 관행이다"라고 언급했다.[69][70] 로젠탈은 기물 파손을 막거나 선전을 막기 위해 만들어진 규정을 위반한 경우 하루 약 300명의 사용자가 위키백과에서 차단되거나 금지된다고 말했다.[71] 위키미디어 독일 대변인 캐트린 쇼네빌레는 컴퓨터보헤에 이 결정이 영어 위키백과 버전에 영향을 미쳤으며, 미래에 유사한 결정이 독일어 위키백과 사이트에 적용될지는 미지수라고 밝혔다.[72]
사이언톨로지 성명
[편집]사이언톨로지 대변인 카린 파우는 위키백과 중재 결정에 대해 "사이언톨로지스트들이 위키백과에 게시된 내용에 신경 쓰는가? 물론이다. 그 중 일부는 매우 증오심이 많고 잘못된 내용이었다"고 말했다.[73] 파우는 "이 모든 것이 위키백과에서 더 정확하고 유용한 문서로 이어지기를 바란다"고 언급했다.[60] 그녀는 중재위원회의 결정을 "위키백과가 편집 과정을 정리하기 위한 일상적인 내부 조치"로 특징지었다.[74] 파우는 "더 중요한 것은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적대감을 목적으로 비객관적이고 편향적인 편집에 관여한 사람들을 위키백과가 마침내 차단했다는 사실"이라고 강조했다.[2][75] 파우는 ABC 뉴스에 "사람들은 항상 위키백과에서 갈등을 겪는다. 누구든 게시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이유는 분명하다"고 말했다.[23] 블룸버그 비즈니스위크는 파우의 발언을 보도하며, "[파우]는 자신의 조직이 신념 체계와 회원에 대한 잘못된 정보를 인터넷에서 정기적으로 모니터링한다고 말한다. 이 판결 이후에도 위키백과의 사이언톨로지 문서에는 '심각한 오류'가 남아있으며, 그녀는 결국 수정되기를 바란다고 말한다. 그러나 현재로서는 그녀의 그룹이 그렇게 할 수 있는 능력은 약화되었다."라고 언급했다.[9] CNN에 대한 성명에서 파우는 "위키백과를 변경하려는 조직적인 노력을 알지 못한다"고 주장했다.[10]
사이언톨로지 조직의 대표인 토미 데이비스는 세인트피터스버그 타임스에 조직 구성원들이 사실적 부정확하다고 인지하는 것을 바로잡으려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놓치고 있는 이야기는 교회를 끊임없이 공격하고 위키백과를 이용한 사람들이 있었다는 것이다. 그 사람들은 차단되었다."[11] 데이비스는 사이언톨로지 지도부가 위키백과 항목을 조작하기 위한 캠페인을 기획했다는 것을 부인했다. 그는 "교회는 거대하다 ... 사이언톨로지스트들은 자신들의 종교에 대해 말할 것을 말할 것이다"라고 주장했다.[11]
평가
[편집]
2009년 저서 《사이언톨로지》에서 기여자 미카엘 로스슈타인은 "Xenu"에 대한 위키백과 문서에 대해 긍정적으로 언급하며, "Xenu 신화에 대한 가장 냉철하고 계몽적인 글은 아마도 위키백과의 익명 문서일 것이다"라고 말했다.[76] 2010년 저서 《인사이더스 가이드 투 더 그레이터 탬파 베이 지역》에서 사이언톨로지에 대해 글을 쓴 작가 앤 W. 앤더슨은 "2009년 5월, 위키백과는 ... 사이언톨로지 관련 항목을 반복적으로 편집하는 일부 컴퓨터에 매우 드문 금지 조치를 내렸다"고 언급했다.[77] 2009년 8월 타임에 실린 "위키백과의 짧은 역사"라는 기사에서 언론인 댄 플레처는 "5월에 위키백과는 사이언톨로지교가 '중립적인 시각'이라는 백과사전의 황금률을 제시하지 않는 편집을 하고 있다는 이유로 사이언톨로지교 소유의 IP 주소를 차단했다"고 언급했다.[78]
ABC 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앨버타 대학교의 사회학자 스티븐 A. 켄트는 "역사적으로 사이언톨로지는 자신에 대해 비판하는 사람들의 발언을 통제하려 노력해 왔다. 그러나 인터넷은 통제와 검열에 대한 극복할 수 없는 문제들을 제기했고, 위키백과의 조치는 인터넷 사용자들이 반발했을 때 발생한 수많은 분쟁 중 하나일 뿐이다. 사이언톨로지는 이 문제를 그냥 넘어갈 수 없다. 그들은 자신들의 대표성을 계속 주장하려 할 것이다"라고 언급했다.[23] 포린 폴리시의 예브게니 모로조프는 중재 결정을 비판하는 블로그 게시물을 작성하며, "나는 사이언톨로지의 팬은 아니지만, 위키백과에서 그들을 차단하는 것은 역효과를 낳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불행히도, 이는 위키백과 관리자/편집자들이 특정 사상에 반대하는 비중립적인 집단으로 보이게 한다"고 밝혔다.[79] 2010년 8월 가디언 기사에서 언론인 레이첼 샤비와 제미마 키스는 "편집자들은 콘텐츠를 변경할 때 익명을 유지할 수 있지만, 갈등은 위키백과 중재위원회로 넘어간다. 사이언톨로지는 위원회가 운동에 의한 편집을 차단하기 전까지 정기적인 갈등의 원천이었다"고 언급했다.[80]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가 나 Moore, Matthew (2009년 5월 30일). “Church of Scientology members banned from editing Wikipedia”. 《데일리 텔레그래프》 (런던). 2010년 10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8월 24일에 확인함.
- ↑ 가 나 종교 뉴스 서비스 (2009년 6월 6일). “Wikipedia bans Church of Scientology from editing entries”. 《롱 비치 프레스-텔레그램》. 3면.
- ↑ 가 나 다 Brown, Mick (2006년 10월 28일). “Wiki's world”. 《데일리 텔레그래프》 (런던). 2010년 11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8월 24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Lischka, Konrad; Frank Patalong; Christian Stöcker (2007년 8월 16일). “Wiki-Scanner spürt Manipulationen auf” (독일어). 《슈피겔》 (www.spiegel.de). 2011년 2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8월 24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마 Shea, Danny (2009년 5월 29일). “Wikipedia Bans Scientology From Site”. 《허핑턴 포스트》. 2009년 5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5월 29일에 확인함.
- ↑ 가 나 “Wikipedia bars Church of Scientology”. 《디 에이지》 (오스트레일리아: www.theage.com.au). 2009년 5월 31일. 2010년 2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8월 24일에 확인함.
- ↑ 가 나 Revision as of 7 January 2022 of Wikipedia:Arbitration/Requests/Clarification and Amendment Retrieved 30 January 2022
- ↑ 가 나 다 라 Cohen, Noam (2009년 6월 8일). “The Wars of Words on Wikipedia's Outskirts”. 《뉴욕 타임스》. 2012년 11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8월 24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MacMillan, Douglas (2009년 5월 29일). “Wikipedia referees Scientology debate”. 《블룸버그 비즈니스위크》 (www.businessweek.com). 2010년 12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8월 24일에 확인함.
- ↑ 가 나 Finley-Price, Wes (2009년 5월 29일). “Wikipedia bans Church of Scientology”. 《CNN》. 2010년 1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8월 24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Brassfield, Mike (2009년 5월 30일). “Wikipedia shuts down Scientology editors”. 《세인트피터스버그 타임스》. 1B면.
- ↑ 가 나 다 라 마 바 “Wikipedia bans Scientology in propaganda row”. 《가디언》 (Guardian Newspapers Ltd.). 2009년 5월 29일.
- ↑ 가 나 다 라 마 Lippard, Jim; Jeff Jacobsen (1995). 《Scientology v. The Internet: Free Speech & Copyright Infringement on the Information Super-Highway》. 《Skeptic》 3. 35–41쪽. 2010년 3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9월 4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마 Streeter, Michael (2008). 《Behind Closed Doors: The Power and Influence of Secret Societies》. New Holland Publishers (UK) Ltd. 212, 218–219쪽. ISBN 978-1-84537-937-7.
- ↑ 가 나 다 Leyden, Josh (2008년 1월 25일). “Critics split over DDoS attacks on Scientology – Xenu phobia”. 《더 레지스터》 (www.channelregister.co.uk). 2012년 3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9월 4일에 확인함.
- ↑ Whinston, Andrew B.; Dale O. Stahl; Soon-Yong Choi (1997). 《The Economics of Electronic Commerce》.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57쪽. ISBN 978-1-57870-014-1.
- ↑ 가 나 다 Godwin, Mike (2003). 《Cyber Rights: Defending Free Speech in the Digital Age》. 케임브리지, 매사추세츠: The MIT Press. 209–220쪽. ISBN 978-0-262-57168-5.
- ↑ Grossman, Wendy M. (December 1995). “alt.scientology.war”. 《Wired》. 3권 12호. 2010년 8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9월 4일에 확인함. alternate link 보관됨 2007-02-08 - 웨이백 머신
- ↑ Taylor, Ramona Leigh (Spring 2000). 《Praying for Relief: The Impact of Secular Organizations on Internet and Trademark Law》. 《Richmond Journal of Law and Technology》 6. note 25.
- ↑ Grossman, Wendy M. (2009년 10월 23일). “net.wars: The power of Twitter--It was the best of mobs, it was the worst of mobs.”. 《newswireless.net》. 2010년 7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9월 4일에 확인함.
- ↑ 가 나 Zittrain, Jonathan (2009). 《The Future of the Internet – And How to Stop It》. 예일 대학교 출판부. 135쪽. ISBN 978-0-300-15124-4.
- ↑ Arthur, Charles (2005년 12월 15일). “Log on and join in, but beware the web cults”. 《가디언》 (런던). 2014년 9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8월 24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Heussner, Ki Mae; Ned Potter (2009년 5월 29일). “Wikipedia Blocks Church of Scientology From Editing Entries”. 《ABC 뉴스》 (ABC). 2009년 6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8월 24일에 확인함.
- ↑ 가 나 Bjerga, Alan (2006년 8월 22일). “Wikipedia new front for political foes”. 《샬럿 옵서버》 (노스캐롤라이나주). 1A면.
- ↑ Vallely, Paul (2006년 10월 18일). “Do we need a more reliable online encyclopedia than Wikipedia ?”. 《인디펜던트》 (Financial Times Information Limited).
- ↑ Deflem, Mathieu 편집 (2008). 《Surveillance and Governance: Crime Control and Beyond》. JAI Press. 268쪽. ISBN 978-0-7623-1416-4.
- ↑ Collins, Dan (2007년 8월 16일). “Changing Reality With A Mouse Click”. 《CBS 뉴스》 (CBS). 2010년 11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8월 24일에 확인함.
- ↑ Verkaik, Robert (2007년 8월 18일). “Wikipedia and the art of censorship”. 《The Independent》 (www.independent.co.uk). 2010년 12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8월 24일에 확인함.
- ↑ Blakely, Rhys (August 16, 2007). “Wal-Mart, CIA, ExxonMobil Changed Wikipedia Entries”. 《타임스》 (폭스 뉴스 채널). July 18, 2011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August 24, 2010에 확인함.
- ↑ Greenberg, Andy (2008년 7월 19일). “The Wiki-Hacker Strikes Again”. 《포브스》 (www.forbes.com). 2010년 6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8월 24일에 확인함.
- ↑ 가 나 Agger, Michael (2007년 8월 24일). “Wikipedia Unmasked”. 《슬레이트》 (워싱턴 포스트 컴퍼니).
- ↑ “Church vs slate”. 《메신저 – 이스턴 쿠리어》 (애들레이드, 오스트레일리아: Nationwide News Pty Limited). 2008년 7월 9일. 023면.
- ↑ “Scientology: Fair game – An online onslaught against Scientology”. 《이코노미스트》 (The Economist Newspaper Limited.). 2008년 2월 2일. 52면.
- ↑ Morozov, Evgeny (2008년 12월 26일). “Free speech and the Internet: Living with the Streisand Effect”. 《뉴욕 타임스》. 2012년 6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9월 28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Metz, Cade (2009년 1월 9일). “'Lord of the Universe' disciple exits Wikipedia – Scientologists entrench”. 《더 레지스터》 (www.theregister.co.uk). 2010년 9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8월 24일에 확인함.
- ↑ “Wikipedia takes up Scientology”. 《리치먼드 타임스-디스패치》 (Richmond Newspapers, Inc.). 2009년 6월 14일. A-19면.
- ↑ “Religion news in brief”. 《가디언》 (런던: www.guardian.co.uk). Associated Press. 2009년 6월 10일. 2010년 8월 24일에 확인함.
- ↑ “Wikipedia chiude le porte a Scientology” (이탈리아어). 《BitCity》 (www.bitcity.it). 2009년 5월 31일. 2011년 7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8월 24일에 확인함.
- ↑ “Wikipedia sperrt Scientology aus” (독일어). 《Computer Bild》 (www.computerbild.de). 2009년 5월 29일. 2011년 1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8월 24일에 확인함.
- ↑ Fitzsimmons, Caitlin (2009년 5월 30일). “Internet: Wikipedia acts to stop Scientology 'edit-warring'”. 《가디언》 (Guardian Newspapers Ltd.).
- ↑ Singel, Ryan (2009년 5월 29일). “Wikipedia Bans Church of Scientology”. 《와이어드 뉴스》 (www.wired.com). 2010년 8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8월 28일에 확인함.
- ↑ 가 나 Metz, Cade (2009년 5월 29일). “Wikipedia bans Church of Scientology”. 《The Register》. 2009년 5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5월 29일에 확인함.
- ↑ Fitzsimmons, Caitlin (2009년 5월 29일). “Wikipedia bans Church of Scientology from editing”. 《가디언》 (런던: Guardian News and Media Limited). 2013년 9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8월 28일에 확인함.
- ↑ “Wikipedia sperrt Zugriff für Scientology-Mitgliede” (독일어). 《Big-screen.de》 (www.big-screen.de). 2009년 5월 29일. 2010년 12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8월 24일에 확인함.
- ↑ “Wikipedia sperrt Scientology aus” (독일어). 《Golem.de》 (www.golem.de). 2009년 5월 29일. 2009년 9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8월 24일에 확인함.
- ↑ “Scientology messa al bando da Wikipedia” (이탈리아어). 《Il Gazzettino》 (www.gazzettino.it). 2009년 6월 2일. 2011년 7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8월 24일에 확인함.
- ↑ Falco, Nico (2009년 6월 1일). “Scientology bannata da Wikipedia” (이탈리아어). 《Julie News》 (www.julienews.it). 2010년 8월 24일에 확인함.
- ↑ Mandelli, Lamberto (2009년 6월 2일). “La Chiesa di Scientology e Wikipedia ai ferri corti” (이탈리아어). 《Macity》 (www.macitynet.it). 2011년 7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8월 24일에 확인함.
- ↑ “Wikipedia censura Scientology” (이탈리아어). 《La Stampa》 (www.lastampa.it). 2009년 6월 1일. 2011년 1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8월 24일에 확인함.
- ↑ “Church of Scientology krijgt Wikipedia ban – Spotlight” (네덜란드어). 《Excite.nl》 (spotlight.excite.nl). 2009년 5월 29일. 2011년 7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8월 24일에 확인함.
- ↑ Chapman, Glenn (2009년 5월 29일). “Wikipedia blocks Scientology from altering entries”. 《프랑스 통신사》 (프랑스). 2009년 6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8월 24일에 확인함. alternate link 보관됨 5월 31, 2009 - 웨이백 머신
- ↑ “Wikipedia blokkeert Scientology-schrijvers” (네덜란드어). 《Nederlands Dagblad》. 2009년 5월 30일. 2011년 9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8월 24일에 확인함.
- ↑ Shaer, Matthew (2009년 6월 1일). “Wikipedia bans edits to its Scientology pages. But at what cost?”. 《크리스천 사이언스 모니터》. 2010년 11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8월 24일에 확인함.
- ↑ “Wikipedia mette al bando Scientology” (이탈리아어). 《Barimia》 (www.barimia.info). 2009년 6월 1일. 2011년 7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8월 24일에 확인함.
- ↑ Tosatto, Marco (2009년 5월 30일). “"Wiki" esclude Scientology” (이탈리아어). 《La Stampa》 (www.lastampa.it). 2011년 1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8월 24일에 확인함.
- ↑ Linthicum, Kate (2009년 6월 5일). “Wikipedia blocks access from Church of Scientology in L.A.”. 《로스앤젤레스 타임스》 (캘리포니아주). 2011년 1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8월 24일에 확인함.
- ↑ “Wikipedia bans Scientology edits”. 《UPI》 (www.upi.com). 2009년 5월 31일. 2010년 12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8월 24일에 확인함.
- ↑ “Scientology, critics banned from editing Wikipedia entry”. 《Youngstown Vindicator》 (www.vindy.com). Associated Press. 2009년 6월 27일. 2011년 9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8월 24일에 확인함.
- ↑ Rakowski, Ian (2009년 5월 29일). “Wikipedia bans Church of Scientology from site”. 《News.com.au》 (오스트레일리아: www.news.com.au). 2012년 6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8월 24일에 확인함.
- ↑ 가 나 “Wikipedia To Block Edits By Scientologists”. 《스카이 뉴스》 (영국: news.sky.com). 2009년 5월 30일. 2013년 2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8월 24일에 확인함.
- ↑ 가 나 “Wikipedia Blocks Church of Scientology From Editing Pages”. 《폭스 뉴스 채널》 (Fox Television Stations, Inc.). 2009년 5월 29일. 2010년 8월 24일에 확인함. alternate link 보관됨 2011-02-07 - 웨이백 머신
- ↑ “Wikipedia to Scientologists: Edit this, suckers”. 《인포월드》 (www.infoworld.com). 2009년 6월 1일. 2010년 6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8월 24일에 확인함.
- ↑ John C, Abell (2009년 8월 25일). “Wikipedia Will Screen Changes on Articles About Living People”. 《와이어드 뉴스》 (www.wired.com). 2010년 8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8월 24일에 확인함.
- ↑ Dan, Neil (2009년 7월 28일). “Scientology mounts a PR pushback”. 《로스앤젤레스 타임스》 (캘리포니아주). 2012년 10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8월 24일에 확인함.
- ↑ “Verbannt: Wikipedia sperrt Scientology-Autoren aus” (독일어). 《슈피겔 온라인》 (www.spiegel.de). 2009년 5월 29일. 2010년 8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8월 24일에 확인함.
- ↑ “Wikipedia udelukker Scientology” (네덜란드어). 《Kristeligt Dagblad》 (www.kristeligt-dagblad.dk). 2009년 6월 2일. 2010년 8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8월 24일에 확인함.
- ↑ Taylor, Marisa (2009년 6월 1일). “Wikipedia Bans Scientology Church's Edits”. 《월스트리트 저널》 (wsj.com). 2010년 11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9월 4일에 확인함.
- ↑ Reynolds, Ross (2009년 6월 1일). “Wikipedia and Scientology”. 《KUOW-FM》 (www.kuow.org). 2010년 6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9월 4일에 확인함.
- ↑ “Wikipedia Blocks War Of Words”. 《포스트 앤드 쿠리어》 (이브닝 포스트 출판사). 2009년 6월 14일. 3F면.
- ↑ “Wikipedia-Scientology: Scientology, critics banned from editing Wikipedia entry”. 《KXMD》 (www.kxnet.com). Associated Press. 2009년 6월 11일. 2011년 7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8월 24일에 확인함.
- ↑ “Wikipedia clamps down on Scientology postings”. 《산호세 머큐리 뉴스》. 2009년 6월 6일. 3C면.
- ↑ “Wikipedia schließt Scientology-Autoren aus” (독일어). 《컴퓨터보헤》 (www.computerwoche.de). 2009년 5월 29일. 2010년 10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8월 24일에 확인함.
- ↑ “Wikipedia bans Scientology edits”. 《선데이 헤럴드 선》 (멜버른, 오스트레일리아: Nationwide News Pty Limited). 2009년 5월 31일. 034면.
- ↑ Linthicum, Kate (2009년 6월 4일). “Wikipedia Blocks Dozens of Users in Scientology Dispute”. 《로스앤젤레스 타임스》.
- ↑ “Scientology, critics banned from editing Wikipedia entry”. 《그랜드 래피즈 프레스》. 2009년 6월 13일. C2면.
- ↑ Rothstein, Mikael (2009), 〈'His name was Xenu. He used renegades. ...' – Aspects of Scientology's Founding Myth〉, Lewis, James R. (편집), 《Scientology》,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 371쪽, ISBN 978-0-19-533149-3
- ↑ Anderson, Anne W. (2010). 《Insiders' Guide to the Greater Tampa Bay Area: Including Tampa, St. Petersburg, & Clearwater》. Insiders' Guide. 290–291쪽. ISBN 978-0-7627-5347-5.
- ↑ Fletcher, Dan (2009년 8월 18일). “A Brief History of Wikipedia”. 《타임》. 2010년 8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8월 24일에 확인함.
- ↑ Morozov, Evgeny (2009년 5월 29일). “Why Wikipedia was wrong to ban Scientology”. 《포린 폴리시》 (neteffect.foreignpolicy.com). 2011년 4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8월 28일에 확인함.
- ↑ Shabi, Rachel; Jemima Kiss (2010년 8월 18일). “Wikipedia editing courses launched by Zionist groups”. 《가디언》 (런던: Guardian News and Media Limited). 2013년 8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8월 30일에 확인함.
더 읽어보기
[편집]- AGK; Ragesoss (2009년 6월 1일). “End of Scientology arbitration brings blocks, media coverage”. 《더 사인포스트》. 2010년 8월 24일에 확인함.
- Gardner, Sue (June 2009). “Foundation report to the Board, June 2009”. 《위키미디어 메타 위키》 (위키미디어 재단). 2010년 8월 24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사이언톨로지교의 위키백과 편집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위키미디어 재단 커뮤니케이션 책임자, KUOW-FM에 출연하여 사이언톨로지 중재 사건 논의 — (kuow.org: .mp3 듣기, 프로그램 목록)이 문서는 위키백과의 사용자 문서입니다.JayWalsh이 문서는 백과사전의 항목이 아닙니다. 지금 보고 계시는 문서가 한국어 위키백과가 아닌 다른 웹 사이트에 있다면, 귀하는 위키백과의 미러 사이트를 보고 계십니다. 이 문서는 원본에 비해 오래 되었을 수 있으며, 이 문서를 작성한 사용자는 위키백과를 제외한 다른 웹사이트와 직접적인 관계가 없을 수 있습니다. 이 문서의 원본은 https://ko.wikipedia.org/wiki/사이언톨로지교의 위키백과 편집에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