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사이온지 킨시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icon for infobox
사이온지 킨시게
西園寺 公重
신상정보
시대 가마쿠라 시대 후기 - 난보쿠초 시대
출생 분포 원년 (1317년)
사망 쇼헤이 22년/조지 6년 9월 3일
(1367년 9월 27일)
별명 치쿠린인(竹林院) 내대신,
호쿠잔(北山) 태정대신
계명 편조광원(遍照光院)
관위 정2위 내대신 (북조)
태정대신 (남조)
주군 고다이고 천황고곤 천황→고다이고 천황→
고묘 천황스코 천황고무라카미 천황
씨족 사이온지가
부모 아버지 : 사이온지 사네히라
어머지 : 집안 하녀
형제자매 킨무네, 킨시게, 킨나리, 이마노오카타(今御方), 오오이노미카도 후유노부의 아내
배우자 종3위 이쿠코[1]?
자녀 사네나가, , 킨토시?

사이온지 킨시게 (일본어: 西園寺公重 さいおんじ きんしげ[*])가마쿠라 시대 후기부터 난보쿠초 시대에 걸쳐 살은 공경이자 가인이다. 내대신 사이온지 사네히라의 차남이다. 곤다이나곤 사이온지 킨무네의 이복동생이다. 관위는 정2위 내대신 (북조), 태정대신 (남조)이다. 치쿠린인(竹林院)호쿠잔(北山)이라고도 칭했다.

약력

[편집]

쇼츄 2년 (1325년) 12월에 원복하고, 같은 시기에 종4위상 시종에 서임되었다. 고다이고 천황의 신임도 두터웠고[2], 이후 계속 승진하여 가랴쿠 3년 (1328년) 9월, 종3위에 서임되어 공경의 반열에 올랐다. 겐코 원년/겐토쿠 3년 (1331년) 1월에 토사노곤노카미, 2월에 참의좌중장, 10월에 곤츄나곤에 임명되었고, 겐코 2년/쇼쿄 원년 (1332년) 9월에 종2위로 승진했다. 다음달에는 황태자 야스히토 친왕춘궁다이부를 겸하였으나, 겐코 3년/쇼코 2년 (1333년) 5월, 고곤 천황이 폐하는 바람에, 다이부 자리에서도 물러나게 되었다.

가계

[편집]

각주

[편집]
  1. 신요와카집(新葉和歌集)』에 킨시게가 이쿠코의 죽음을 애도하는 애상가가 있으므로, 킨시게의 아내 (타니모리 요시오미) 또는 딸 (이노우에 무네오)이었다고 생각된다.
  2. 고다이고 천황이 킨시게를 발탁한 이유는 간토모우시츠기였더 적자이자 형님인 킨무네를 친막부파로 간주해 견제하려는 의도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편집]
  • 오기 타카시『新葉和歌集―本文と研究』카사마 서원, 1984년, ISBN 9784305101815
  • 모리 시게아키「北朝と室町幕府」(『増補改訂 南北朝期公武関係史の研究』시분카쿠출판, 2008년, ISBN 9784784214167
  • 하시모토 요시카즈「建武政権転覆未遂の真相(Ⅲ)―東西同時蜂起計画の信憑性」(『政治経済史学』제503호 일본정치경제사학연구소, 2008년 9월, NCID AN0012728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