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토 초함수
수학에서 사토 초함수 또는 초함수(hyperfunction)는 함수를 일반화한 것으로, 경계에서 하나의 정칙 함수에서 다른 정칙 함수로 '도약'하는 것을 의미하며, 비공식적으로는 무한 차수의 분포로 생각될 수 있다. 초함수는 사토 미키오가 1958년에 일본어로 (영어로는 1959년, 1960년) 도입했으며, 로랑 슈바르츠, 그로텐디크 등의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발전했다.
공식화
[편집]실직선 상의 초함수는 상반평면에 정의된 하나의 정칙 함수와 하반평면에 정의된 다른 정칙 함수의 '차이'로 생각할 수 있다. 즉, 초함수는 (f, g) 쌍으로 지정되는데, 여기서 f는 상반평면의 정칙 함수이고 g는 하반평면의 정칙 함수이다.
비공식적으로, 초함수는 실직선 자체에서 의 차이이다. 이 차이는 f와 g에 동일한 정칙 함수를 더해도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h가 전체 복소평면에서 정칙 함수라면 초함수 (f, g)와 (f + h, g + h)는 동등한 것으로 정의된다.
1차원에서의 정의
[편집]이러한 동기는 층 코호몰로지의 아이디어를 사용하여 구체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를 상의 정칙 함수의 층이라고 하자. 실직선 상의 초함수를 첫 번째 국소 코호몰로지 군으로 정의한다:
구체적으로, 와 를 각각 상반평면과 하반평면이라고 하자. 그러면 이므로
어떤 층의 0번째 코호몰로지 군은 단순히 그 층의 전체 단면이므로, 초함수는 상부 복소수 반평면과 하부 복소수 반평면에 각각 하나씩 있는 한 쌍의 정칙 함수를 전체 정칙 함수를 법으로 하여 정의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더 일반적으로, 인 임의의 열린집합 에 대해 를 몫 로 정의할 수 있다. 여기서 는 인 임의의 열린집합이다. 이 정의는 의 선택에 의존하지 않음을 보일 수 있으며, 이는 초함수를 정칙 함수의 "경계값"으로 생각하는 또 다른 이유를 제공한다.
예시
[편집]- f가 전체 복소평면에서 정칙 함수이면, f의 실수 축으로의 제한은 (f, 0) 또는 (0, -f)로 표현되는 초함수이다.
- 단위 계단 함수는 로 표현될 수 있다. 여기서 는 z의 복소 로그의 주값이다.
- 디랙 델타 "함수"는 로 표현된다. 이는 코시 적분 공식의 재진술이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실수 선 바로 아래의 f 적분을 계산하고 실수 선 바로 위의 g 적분을 빼면 된다. 둘 다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진행한다. 초함수는 구성 요소가 동일한 함수의 해석적 연속이더라도 자명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이는 헤비사이드 함수를 미분하여 쉽게 확인할 수 있다.
- I를 유계 구간으로 포함하는 지지집합을 가진 실직선 상의 연속 함수 (또는 더 일반적으로 분포) g에 대해, g는 (f, -f)에 대응한다. 여기서 f는 I의 보집합에서 정의된 정칙 함수이며, 로 주어진다. 이 함수 f는 x점에서 실수 축을 가로지를 때 g(x)만큼 값이 변화한다. f에 대한 공식은 g를 디랙 델타 함수와의 합성곱으로 작성함으로써 이전 예시로부터 얻을 수 있다.
- 단위 분할을 사용하여 모든 연속 함수(분포)를 콤팩트 지지집합을 갖는 함수(분포)들의 국소 유한 합으로 쓸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위 임베딩을 로 확장할 수 있다.
- f가 0에서 본질적 특이점을 제외하고 모든 곳에서 정칙 함수인 경우(예: e1/z), 는 지지집합 0을 갖는 초함수이지만 분포는 아니다. f가 0에서 유한 차수의 극을 갖는다면 는 분포이며, 따라서 f가 본질적 특이점을 갖는다면 는 0에서 "무한 차수의 분포"처럼 보인다. (분포는 항상 어떤 점에서 유한 차수를 갖는다.)
초함수의 연산
[편집]가 임의의 열린 부분집합이라고 하자.
- 정의에 따라 는 덧셈과 복소수 곱셈이 잘 정의된 벡터 공간이다. 명시적으로:
- 명백한 제한 사상은 를 층으로 만든다 (실제로는 말랑한 층이다).
- 실수 해석 함수 와의 곱셈 및 미분은 잘 정의된다: 이 정의로 는 D가군이 되고, 임베딩은 D가군의 사상이 된다.
- 는 의 정칙점이라고 불리는데, 만약 가 의 어떤 작은 이웃에서 실수 해석 함수로 제한된다면 그렇다. 만약 가 두 개의 정칙점이라면, 적분은 잘 정의된다: 여기서 는 인 임의의 곡선이다. 상반평면과 하반평면이 단일 연결이므로 적분은 이 곡선들의 선택에 독립적이다.
- 콤팩트 지지집합을 갖는 초함수의 공간을 라고 하자. 쌍선형 형식 를 통해 콤팩트 지지집합을 갖는 각 초함수에 대해 상의 연속 선형 함수를 연관시킨다. 이는 이중 공간인 와 의 동형을 유도한다. 고려할 가치가 있는 특별한 경우는 콤팩트 지지집합을 갖는 연속 함수 또는 분포의 경우이다: 만약 (또는 )를 위 임베딩을 통해 의 부분집합으로 간주하면, 이는 정확히 전통적인 르베그 적분을 계산한다. 또한: 만약 가 콤팩트 지지집합을 갖는 분포이고, 가 실수 해석 함수이며, 이면 따라서 이 적분 개념은 와 같은 형식적인 표현에 정확한 의미를 부여하며, 이는 일반적인 의미에서는 정의되지 않는다. 더욱이: 실수 해석 함수가 에서 조밀하기 때문에 는 의 부분공간이다. 이는 동일한 임베딩 의 다른 설명이다.
- 가 의 열린집합들 사이의 실수 해석 사상이라면, 와의 합성은 에서 로의 잘 정의된 연산자이다: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Imai, Isao (2012) [1992], 《Applied Hyperfunction Theory》, Mathematics and its Applications (Book 8), Springer, ISBN 978-94-010-5125-5.
- Kaneko, Akira (1988), 《Introduction to the Theory of Hyperfunctions》, Mathematics and its Applications (Japanese Series, Vol. 3), Springer, ISBN 978-90-277-2837-1
- Kashiwara, Masaki; Kawai, Takahiro; Kimura, Tatsuo (2017) [1986], 《Foundations of Algebraic Analysis》 Reprint판, 번역 Kato, Goro, Princeton Legacy Library (Book 5158), PMS-37, Princeton University Press, ISBN 978-0-691-62832-5
- Komatsu, Hikosaburo 편집 (1973), 《Hyperfunctions and Pseudo-Differential Equations, Proceedings of a Conference at Katata, 1971》, Lecture Notes in Mathematics 287, Springer, ISBN 978-3-540-06218-9.
- Komatsu, Hikosaburo, 《Relative cohomology of sheaves of solutions of differential equations》, 192–261쪽.
- Sato, Mikio; Kawai, Takahiro; Kashiwara, Masaki, 《Microfunctions and pseudo-differential equations》, 265–529쪽. - It is called SKK.
- Martineau, André (1960–1961), 《Les hyperfonctions de M. Sato》, Séminaire Bourbaki, Tome 6 (1960-1961), Exposé no. 214, MR 1611794, Zbl 0122.34902.
- Morimoto, Mitsuo (1993), 《An Introduction to Sato's Hyperfunctions》, Translations of Mathematical Monographs (Book 129),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ISBN 978-0-82184571-4.
- Pham, F. L. 편집 (1975), 《Hyperfunctions and Theoretical Physics, Rencontre de Nice, 21-30 Mai 1973》, Lecture Notes in Mathematics 449, Springer, ISBN 978-3-540-37454-1.
- Cerezo, A.; Piriou, A.; Chazarain, J., 《Introduction aux hyperfonctions》, 1–53쪽.
- Sato, Mikio (1958), “Cyōkansū no riron (Theory of Hyperfunctions)” (일본어), 《Sūgaku》 (Mathematical Society of Japan) 10 (1): 1–27, doi:10.11429/sugaku1947.10.1, ISSN 0039-470X
- Sato, Mikio (1959), “Theory of Hyperfunctions, I”, 《Journal of the Faculty of Science, University of Tokyo. Sect. 1, Mathematics, Astronomy, Physics, Chemistry》 8 (1): 139–193, hdl:2261/6027, MR 0114124.
- Sato, Mikio (1960), “Theory of Hyperfunctions, II”, 《Journal of the Faculty of Science, University of Tokyo. Sect. 1, Mathematics, Astronomy, Physics, Chemistry》 8 (2): 387–437, hdl:2261/6031, MR 0132392.
- Schapira, Pierre (1970), 《Theories des Hyperfonctions》, Lecture Notes in Mathematics 126, Springer, ISBN 978-3-540-04915-9.
- Schlichtkrull, Henrik (2013) [1984], 《Hyperfunctions and Harmonic Analysis on Symmetric Spaces》 Softcover reprint ofe original 1판, Progress in Mathematics, Springer, ISBN 978-1-4612-9775-8
외부 링크
[편집]- Jacobs, Bryan. “Hyperfunction” (영어). 《Wolfram MathWorld》. Wolfram Research.
- “Hyperfunction” (영어). 《Encyclopedia of Mathematics》. Springer-Verlag. 2001. ISBN 978-1-55608-0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