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키야 학파
힌두교 |
---|
![]() |
상키야 학파(산스크리트어: सांख्य) 또는 샹키아 학파는 힌두교의 정통 육파철학 중의 하나로, 불교 경전 및 논서에서는 수론파(數論派)로 한역(漢譯)되어 불리고 있다.[1] 힌두교의 전통에 따르면, 상키아 학파의 시조는 카필라(Kapila: BC 4~3세기)이다.[1] 그러나 현존하고 있는 가장 오랜 원전은 이스바라크리슈나(Iśvarakṛṣṇa · 자재흑 · 自在黑: AD 4세기 또는 3세기)의 《삼키아송(Sāṁkhya Kārikā)》이다.[2]
상키아 학파는 힌두교의 정통 육파철학 중 가장 오랜 학파이다.[1][3] 산스크리트어 상키아(सांख्य · Sāṁkhya)의 문자 그대로의 뜻은 '숫자(number)'로,[3] 이 때문에 상키아 학파는 수론파(數論派)로 한역되었다. 이 때의 수(數)는 숫자 자체가 아니라 '수열 또는 나열(enumeration)'을 의미하는데, 즉 삼키아 학파(수론파)라는 명칭은 우주의 전개 원리들을 순차적으로 나열하고 있기 때문에 붙여진 명칭이다.[3]
상키아 학파에서는 두 가지 근본 원리인 푸루샤(purusa, 아트만, 神我, 신아, 영혼, cosmic spirit, 정신)와 프라크리티(prakriti, 自性, 자성, 신체, cosmic substance, 물질)를 포함한 총 25가지의 우주적 전개 원리들을 통해 우주를 구성하고 있는 여러 계층적 구성 부분들을 밝히고 있으며 또한 우주의 전개와 해체를 설명하고 있다.[1][3] 그런데, 힌두 철학자들에 따르면, 이러한 25가지의 우주적 전개 원리들을 보여주는 상키아 학파의 철학은 이론에 그치고 마는 형이상학적 담론 또는 사색이 결코 아니며, 뚜렷한 목적을 가지고 제공되는, 존재 즉 인간과 우주에 대한 철학적 설명 또는 견해이다.[4] 상키아 철학의 목적은 고(비참)의 원인을 영원히 제거할 지식을 제공하여서 영혼이 속박으로부터 벗어나게 하려는 것("모크샤 · 해탈")이다.[4]
철학 개요
[편집]상키아 학파는, 우파니샤드의 철학자인 웃다라카(Uddalaka Aruni)의 1원론적(一元論的) 철학인, 유(有, sat, 존재)가 정신(스피릿)적인 원리이면서 동시에 물질(질료) 전개의 원리라는 견해를 비판하고 정신(스피릿)적 원리로서의 푸루샤(purusha, 아트만, 神我, 신아, 영혼, cosmic spirit)와 질료적인 원리로서의 프라크리티(prakriti, 自性, 자성, 물질, cosmic substance)라고 하는 서로 별개인 두 가지 근본 원리 또는 실체에 의거하여 세계가 전개되고 해체된다는 2원론을 수립하였다. 처음에는 이 2원론을 통일하는 최고신으로서의 브라만(梵)을 시인하고 유신론에 바탕을 두었으나 후에는 이를 부정하고 무신론적 2원관이 되었다.[1]
상키아 학파에 따르면, 푸루샤는 순수의식으로서 아무런 작용도 하지 않고 다만 프라크리티를 관조(觀照)할 따름이다. 그런데 질료인인 프라크리티는 물질(질료)을 전개하는 힘을 지니며 그 결과로서 나오는 물질은 구성의 우열에 따라 차이가 생겨나고 푸루샤와 결합하여 개체(아항카라 · ahamkara)가 된다. 개체(아항카라)의 세계는 고(苦)인데, 고는 푸루샤와 프라크리티의 결합에 기인한다. 그러므로 푸루샤가 프라크리티를 자기 자신으로 동일시 하지 않는 상태에 이르는 것이 해탈(解脫)이다. 그렇지만 푸루샤는 불변순수(不變純粹)이기 때문에 해탈에 의한 변화는 없다. 해탈을 위한 푸루샤의 지(智), 즉 아트마 즈냐나를 얻기 위해서는 요가의 수행이 강조되었다.[1]
푸루샤와 프라크리티를 두 가지 최고 원리로 하는 상키아 학파의 이원론적 철학은, 이(理)와 기(氣)를 두 가지 최고 원리로 하는 중국 및 한국 철학의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과 그 견해가 유사하다. 서양철학의 경우 데카르트의 레스 코그니탄스(res cogitans: 생각하는 자, 사유를 속성으로 하는 실체)와 레스 엑스텐사(res extensa: 연장하는 자, 연장을 속성으로 하는 실체)의 심신이원론(心身二元論)과 유사하다. 푸루샤의 개념은 서양의 밀교 중의 하나인 헤르메스주의의 신에 대한 견해 중에서 신이 모든 악에서 벗어나 있는 지고한 선(Supreme Good)이라는 개념과 유사하다. 반면 헤르메스주의의 신에 대한 견해 중에서 신이 선과 악을 포괄하는 전체 존재라는 개념은 상키아 철학의 기초가 되었던 우파니샤드의 철학자 웃다라카의 1원론적 철학과 유사하다.
용어 목록
[편집]산스크리트 | 발음 | 한자(금칠십론 외) | 한국어 | 영어 |
---|---|---|---|---|
सांख्य |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힌 두 교 > 힌두교 > 힌두교 전사(前史) > 상키아 학파,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상키아 학파
Samkhya學派
한역 불전(韓譯佛典)에서는 수론파 (數論派)로 번역된다. 시조는 카필라 (Kapila:BC 4∼BC 3세기의 사람)라고 하며, 6파 가운데에서 가장 오랜 것. 이 파는 1원론적(一元論的)인 <우파니샤드>의 철인(哲人) 우다라카의 유(有:sat)가 정신적인 원리이면서 동시에 물질 전개(展開)의 원리이기도 함을 비판하고 정신적 원리로서의 신아(神我:푸루샤), 물질적인 원리로서의 자성(自性:프라크리티) 또는 승인(勝因:프라다나)이라고 하는 2원론을 수립하였다. 처음에는 이 2원론을 통일하는 최고신으로서의 범(梵)을 시인하고 유신론에 바탕을 두었으나 후에는 이를 부정하고 무신론적 2원관이 되었다.
푸루샤(神我)는 순수의식으로서 아무런 작용도 하지 않고 다만 프라크리티(自我)를 관조(觀照)할 따름이다. 그러나 질료인(質料因)인 프라크리티는 물질을 전개하는 힘을 지니며 그 결과로서 나오는 물질은 구성의 우열에 따라 차이가 생겨나고 푸루샤와 결합하여 개체가 된다. 개체의 세계는 고(苦)이며 그것은 푸루샤와 프라크리티의 결합에 유인(由因)된다. 그러므로 푸루샤가 물질로부터 떨어져나간 상태에 이르는 것이 해탈(解脫)이다. 그렇지만 푸루샤는 불변순수(不變純粹)이기 때문에 해탈에 의한 변화는 없다. 해탈을 위한 푸루샤의 지(智)를 얻기 위해서는 요가의 수행(修行)이 강조되었다. - ↑ 가 나 다 동양사상 > 동양의 사상 > 인도의 사상 > 정통바라문 계통의 철학체계 > 삼키아설,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삼키아설
Samkhya說
삼키아, 즉 수론학파(數論學派)의 개조는 가피라(전 350∼전250 ?)라고 전해지고 있으나 현존하고 있는 최고 원전은 이시바라크리슈나(自在黑, 4세기)의 <삼키아 송(領)>이다. 삼키아 학파에서는 <우파니샤드>의 철학자인 웃달라카(전 600 ?∼전 500 ?)의 사상(思想)을 비판적으로 개혁하여 유일(唯一)한 유(有) 대신에 두 개의 실재적 원리를 산정하였다. 하나는 정신적 원리로서의 순수정신인데 푸루샤(神我), 혹은 아트만이라고도 한다. 이에 대하여 또 하나의 원리는 물질적인 근본원질(根本原質:프라크리티, 自性 또는 프라다나)인데, 이것은 현상세계의 개전(開戰)의 원리가 되기 때문에 미개전자(未開展者:아브야크타, 非變異)라고도 불린다. 순수정신은 실체로서의 개아이며 원자대(原子大)로서 다수 존재하는데 그 본질은 지(知, 즈냐) 또는 사(思, 칫트, 체타냐)라고 한다. 그것은 아무런 활동도 하지 않은 채 다만 근본원질(根本原質)을 관조할 뿐이요 그 자체는 상주불변이며 순수청정한 것이어서 생사도, 윤회도, 해탈도 모두 순수정신 그 자체에는 본질적인 관계가 없다. 이에 대하여 근본원질은 근본적인 질료인(質料因)이지만 순수정신의 관조를 기회인(機會因)으로 하여 개전(파리나마, 轉變)을 개시한다. 그때에 근본원질에서 최초로 생기는 것을 근원적 사기능(根源的 思機能:붓디, 覺) 또는 큰 것(마하도, 大)이라고 부른다. 이것은 확인의 작용(作用:決智)을 본질로 하고 있는 것이어서 정신적 작용의 근본이 된다. 그러나 순수한 물질적인 것으로 신체 속의 한 기관이다. 다음에 이 근원적 사유기능(思惟機能)으로부터 자아의식(自我意識:아항카라, 我慢)을 생한다. 이것이 있기 때문에 사람은 항상 "내가 한다. 이 물건은 나에게 속한다. 이것이 나다"라고 하여 자기 본위의 견해를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은 자기중심적인 자아의식의 그릇된 생각이 우리들의 윤회를 성립시키는 근본이 되고 있다. 다음에 그 자아의식으로부터 두 종류의 창조가 있게 된다. 한편으로는 10가지의 기관(目·耳·鼻·舌·身이라고 하는 다섯 가지 감각기관과 발성기관·수·족·배설기관·생식기관이라고 하는 다섯 가지의 행동기관)이 생기고 다른 한편으로는 다섯 가지의 대상영역의 미세한 요소(要素:단마트라, 唯)가 생기는데, 후자로부터 5원소가 생긴다(聲唯→空大, 觸唯→風大, 色唯→火大, 味唯→水大, 香唯→地大). 이상 열기한 제원리를 합쳐서 <25원리>(二五諦)라고 일컫는다. 순수정신은 본래 순수청정(純粹淸淨)한 것이기는 하지만 물질에 의하여 제약되어 있기 때문에 이 생존은 괴로움이 되는 것이다. 그래서 그 순수청정한 본성이 나타나도록 하지 않으면 안된다. 허탈의 직접적인 원인은 지(智)인 것이다. 수행에 의하여 순수정신의 자가 완성되었을 때에 해탈이 일어나지만 그 해탈도 근본질료인(根本質料因)의 편에서 일어나는 것이요, 순수정신 그 자체에는 하등의 변화도 없다. - ↑ 가 나 다 라 Bernard, Theos (1947).《Hindu Philosophy》. Philosophical Library, New York. 66쪽.
The Sāṁkhya is the oldest school of Hindū Philosophy, for it is the first attempt to harmonize the philosophy of the Vedas through reason. The unique position of the Sāṁkhya in the history of thought is the fact that it expounds by careful reflection the first systematic account of the process of cosmic evolution which attempts to comprehend the universe as a sum total of twenty-five categories. This exposition is no mere metaphysical speculation, but is a purely logical account based on the scientific principles of conservation, transformation and dissipation of energy. The Sāṁkhya is held to be the most notable attempt in the realm of pure philosophy.
The term Sāṁkhya is derived from the word sāṁkhyā, "number." This name is used because the Sāṁkhya enumerates the principles of cosmic evolution by rational analysis; and in the philosophical sense, the term is used because this system teaches discriminative knowledge which enables us to distinguish between Spirit and Matter. - ↑ 가 나 Bernard, Theos (1947).《Hindu Philosophy》. Philosophical Library, New York. 66–67쪽
66쪽: The unique position of the Sāṁkhya in the history of thought is the fact that it expounds by careful reflection the first systematic account of the process of cosmic evolution which attempts to comprehend the universe as a sum total of twenty-five categories. This exposition is no mere metaphysical speculation, but is a purely logical account based on the scientific principles of conservation, transformation and dissipation of energy. . . . The term Sāṁkhya is derived from the word sāṁkhyā, "number." This name is used because the Sāṁkhya enumerates the principles of cosmic evolution by rational analysis; and in the philosophical sense, the term is used because this system teaches discriminative knowledge which enables us to distinguish between Spirit and Matter.
67쪽: The purpose of the Sāṁkhya is to provide that knowledge which will forever remove the cause of misery and thereby release the soul from its bondage. - ↑
How to pronounce sankhya in English (1 out of 22). 2025년 8월 8일에 확인.
Sankhya Pronunciation Sanskrit साङ्ख्य Sāṅkhya Sāṃkhya. 2025년 8월 8일에 확인.
Sankhya Sutra Pronunciation Sanskrit सान्ख्यसूत्र sānkhyasūtra. 2025년 8월 8일에 확인.
Sankhya Karika Pronunciation Sanskrit साङ्ख्यकारिका sāṅkhyakārikā. 2025년 8월 8일에 확인.
How to say "samkhya"! (High Quality Voices). 2025년 8월 8일에 확인.
How to say "sankhya's"! (High Quality Voices). 2025년 8월 8일에 확인.
How to say "sankhya"! (High Quality Voices). 2025년 8월 8일에 확인. - ↑ Google tranaslation of Hindi सांख्य Sāṃkhya. 2025년 8월 8일에 확인.
- ↑ sankhya pronunciation in Sanskrit - Pronunciation by KrSaurav (Male from India). 2025년 8월 8일에 확인.
- ↑ 문을식(2013), 《요가 · 상캬 철학의 이해》, 도서출판 여래
- ↑ 길희성(2014), 《인도 철학사》2판 8쇄, 민음사. 〈상키아 · 요가 철학〉 pp. 91-104.
- ↑ S.C. Chatterjee · D.M Datta 지음, 김형준 옮김(2009), 《학파로 보는 인도 사상》초판 4쇄, 예문서원. 〈7. 상키야 학파〉 pp. 255-289.
- ↑ R. 뿔리간들라 지음, 이지수 옮김(1991), 《인도철학》, 민족사. 〈제5장 샹캬 학파〉 pp. 124-147.
- ↑ https://en.wikipedia.org/wiki/Samkhya 2025년 8월 9일에 확인.
Samkhya or Sankhya (/ˈsɑːŋkjə/; Sanskrit: सांख्य, romanized: sāṃkhya) is a dualistic orthodox school of Hindu philosophy. - ↑ https://en.wikipedia.org/wiki/Samkhya 2025년 8월 9일에 확인.
Samkhya or Sankhya (/ˈsɑːŋkjə/; Sanskrit: सांख्य, romanized: sāṃkhya) is a dualistic orthodox school of Hindu philosophy. - ↑ "San·khya",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Fifth Edition (2011), p. 1554.
San·khya (säng′kyə) n. Hinduism A system of Hindu philosophy based on a dualism involving the ultimate principles of soul and potential matter. [Sanskrit sāṁkhya-, based on enumeration, Sankhya < saṁkhyā, enumeration : sam, together; see sandhi + khyāti, he tells.]
참고 문헌
[편집]- (영어) Bernard, Theos (1947).《Hindu Philosophy》. Philosophical Library, New York.
외부 링크
[편집]- (영어) 상키야 학파 - 인터넷 철학 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