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치론
철학 |
---|
![]() |
철학자 |
전통 |
시대 |
문학 |
분과 |
목록 |
![]() |
가치론(價値論)은 가치의 본질, 원천, 유형을 연구한다. 철학의 한 분야이자 경제학, 사회학, 인류학, 심리학 등 사회과학과 밀접하게 관련된 학제간 분야이다.
가치는 어떤 것의 가치로, 일반적으로 선과 악이라는 용어에 해당하는 긍정적 및 부정적 정도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가치는 정서, 의사결정, 행동과 관련된 많은 인간의 노력에 영향을 미친다. 가치론자들은 본래적 가치와 도구적 가치의 대조와 같은 다양한 유형의 가치를 구별한다. 어떤 존재가 외부 요인과 무관하게 그 자체로 선할 경우 본래적 가치를 갖는다. 어떤 존재가 다른 선한 것으로 이끄는 수단으로서 유용할 경우 도구적 가치를 갖는다. 다른 분류는 경제적, 도덕적, 미적, 종교적 가치를 포함하여 이익의 유형에 초점을 맞춘다. 추가 분류는 절대적 가치와 다른 것에 상대적인 가치를 구별한다.
다양한 사상 학파는 가치의 본질과 기원에 대해 논쟁한다. 가치 실재론자는 가치가 실재의 객관적인 특징으로 존재한다고 주장한다. 반실재론자들은 이를 거부하며, 일부는 가치를 주관적인 인간의 창조물로 보고 다른 일부는 가치 진술을 무의미하다고 본다. 가치의 원천에 관해서는 쾌락주의자들은 기쁨만이 본래적 가치를 갖는다고 주장하는 반면, 욕구론자들은 욕구를 가치의 궁극적인 원천으로 논한다. 또 다른 접근 방식인 완전주의는 특징적인 인간 능력의 함양을 강조한다. 가치 다원론은 다양한 본래적 가치의 원천을 식별하며, 다른 유형에 속하는 가치들이 비교 가능한지 여부의 문제를 제기한다. 가치론자들은 다양한 탐구 방법을 사용하며, 직관과 사고 실험에 의존하는 것부터 언어 분석, 1인칭 경험 묘사, 행동 관찰, 설문조사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가치론은 다양한 분야와 관련되어 있다. 윤리학은 주로 올바른 행동의 규범적 개념에 초점을 맞추는 반면, 가치론은 무엇이 선한지에 대한 평가적 개념을 탐구한다. 경제학에서 가치 이론은 상품의 경제적 가치를 평가하고 설명하는 틀이다. 사회학과 인류학은 지배적인 선호와 신념을 반영하여 가치를 사회와 문화의 측면으로 검토한다. 심리학에서 가치는 일반적으로 개인의 인격을 형성하는 추상적인 동기적 목표로 이해된다. 가치론의 뿌리는 인간이 추구해야 할 최고선에 대한 성찰로서 고대에 있다. 중세철학과 근대철학 시대에 다양한 전통이 이 사고 분야에 기여했지만, 19세기 말과 20세기 초에 이르러서야 독자적인 학문 분야로 정립되었다.
정의
[편집]
가치론은 공리론 및 가치 이론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가치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이다. 철학의 한 분야로서, 무엇이 선한지 그리고 어떤 것이 선하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탐구한다. 다양한 유형의 가치를 구별하고, 가치를 어떻게 측정하고 비교할 수 있는지를 탐구한다. 이 분야는 또한 가치가 실재의 근본적인 측면인지, 그리고 가치가 정서, 욕구, 의사결정, 행동과 같은 현상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한다.[2] 가치론은 가치가 정치, 경제, 과학, 개인 영역의 근간을 이루는 지침 원칙이기 때문에 많은 인간 노력과 관련이 있다.[3] 웰빙, 효용, 미, 인간 생명, 지식, 지혜, 자유, 사랑, 정의와 같은 현상을 분석하고 평가한다.[4]
가치론의 정확한 정의는 논쟁 중이며 일부 이론가들은 대안적인 특징화에 의존한다. 넓은 의미에서 가치론은 평가적 및 규범적 주제를 연구하는 모든 철학 분야를 포괄하는 총괄적인 명칭이다. 이 관점에 따르면, 가치론은 철학의 주요 분야 중 하나이며, 윤리학, 미학, 사회철학, 정치철학, 종교철학을 포함한다.[5] 유사하게 넓은 특징화는 가치론을 사회학, 인류학, 심리학, 경제학과 같은 분야의 연구를 철학과 통합하는 다학제적 탐구 영역으로 본다.[6] 좁은 의미에서 가치론은 결과주의 학파에 특히 관련이 있는 윤리학의 하위 분야이다. 이는 결과의 가치를 평가하는 방법을 결정하기 때문이다.[7]
"공리론"(axiology)이라는 단어는 고대 그리스어 용어인 ἄξιος (axios, 의미: '가치 있는')와 λόγος (logos, 의미: '연구' 또는 '이론')에서 유래했다.[8] 비록 가치론의 뿌리가 고대로 거슬러 올라가지만, 이 사고 분야는 공리론이라는 용어가 만들어진 19세기 말과 20세기 초에 이르러서야 독자적인 학문 분야로 구상되었다.[9] "가치론"(value theory)과 "공리론"(axiology)이라는 용어는 보통 동의어로 사용되지만, 일부 철학자들은 이들을 구별한다. 한 특징화에 따르면, 공리론은 어떤 것이 가치 있고 얼마나 가치 있는지에 대한 이론으로만 자신을 제한하는 가치론의 하위 분야이다.[10][a] "시간학"(timology)이라는 용어는 더 오래되고 덜 일반적인 동의어이다.[12]
가치
[편집]가치는 어떤 것의 가치, 유용성 또는 장점이다.[b] 가치론자들은 가치를 묘사하고 비교하는 데 사용되는 표현을 "평가적 용어"라고 부른다.[15] 그들은 또한 가치의 유형이나 범주에 관심을 가진다. 제안된 분류들은 중복되며 가치의 원천, 수혜자, 기능과 같은 요인에 기반한다.[16]
평가적 용어
[편집]가치는 평가적 용어를 통해 표현된다. 예를 들어, 선, 최선, 위대, 훌륭하다는 단어는 긍정적인 가치를 전달하는 반면, 악하다, 끔찍하다와 같은 단어는 부정적인 가치를 나타낸다.[15] 가치론자들은 얇은 평가적 용어와 두꺼운 평가적 용어를 구별한다. 선하고 악하다는 것과 같은 얇은 평가적 용어는 추가적인 서술적 내용 없이 순수한 평가를 표현한다.[c] 이들은 평가 외에 성격과 같은 다른 특성을 표현하여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하는 용감하다거나 잔인하다는 것과 같은 두꺼운 평가적 용어와 대조된다.[18] 가치는 종종 선악에 해당하는 긍정적 및 부정적 크기를 포괄하는 정도로 이해된다. '가치'라는 용어는 때때로 부정적인 정도를 나타내는 '반가치'(disvalue)라는 용어와 대조하기 위해 긍정적인 정도로 제한된다. '더 낫다', '더 나쁘다'는 단어는 정도를 비교하는 데 사용되지만, 양적 비교가 항상 가능한지는 논쟁의 여지가 있다.[19] 평가는 가치를 평가하거나 측정하는 것으로, 종종 가장 유리한 선택을 찾기 위해 다른 옵션의 이점을 비교하는 데 사용된다.[20]
평가적 용어는 때때로 규범적 또는 의무론적 용어와 구별된다. 옳다, 그르다, 의무와 같은 규범적 또는 의무론적 용어는 무엇을 해야 하는지 또는 무엇이 필요한지를 표현함으로써 행동이나 다른 상태를 규정한다.[21] 평가적 용어는 사람들이 통제하거나 책임질 수 있는 것에 국한되지 않기 때문에 더 넓은 범위를 갖는다. 예를 들어, 소화나 지진과 같은 비자발적 사건은 엄격한 의미에서 옳거나 그르지 않더라도 긍정적 또는 부정적인 가치를 가질 수 있다.[22] 이러한 구별에도 불구하고 평가적 개념과 규범적 개념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예를 들어, 행동 결과의 가치는 그 규범적 상태(즉, 행동이 옳은지 그른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23]
유형
[편집]내재적 가치와 도구적 가치
[편집]

어떤 것이 외부 요인이나 결과와 독립적으로 그 자체로 선하거나 그 자체로 가치가 있다면 본래적 가치 또는 최종적 가치를 갖는다. 어떤 것이 바람직한 목적을 달성하는 수단으로서 유용하거나 다른 선한 것으로 이어진다면 외재적 가치 또는 도구적 가치를 갖는다. 예를 들어, 전자레인지나 돈과 같은 도구는 그것들이 수행하는 유용한 기능 때문에 도구적 가치를 갖는다.[24] 어떤 경우에는 이런 방식으로 생산된 것이 그 자체로 도구적 가치를 갖는데, 돈을 사용하여 전자레인지를 사는 경우가 그렇다. 이로 인해 각각의 연결 고리가 다음 연결 고리를 유발함으로써 가치를 얻는 도구적으로 가치 있는 것들의 사슬이 생길 수 있다. 본래적으로 가치 있는 것들은 이러한 사슬의 종착점에 있으며 이전의 모든 연결 고리들의 가치를 뒷받침한다.[25]
본래적 가치와 도구적 가치를 구별하는 한 가지 제안은 G. E. 무어가 제안한 것으로, 가치 있는 것을 다른 모든 것과 고립시켜 상상하는 사고 실험에 의존한다. 그러한 상황에서 순수하게 도구적으로 가치 있는 것들은 아무런 목적도 수행하지 못하므로 가치를 잃는 반면, 순수하게 본래적으로 가치 있는 것들은 여전히 가치 있는 상태로 남는다.[26][d] 일반적인 견해에 따르면, 기쁨은 본래적 가치의 원천 중 하나이다. 제안된 다른 원천으로는 욕구 만족, 미덕, 생명, 건강, 미, 자유, 지식 등이 있다.[28]


본래적 가치와 도구적 가치는 배타적인 범주가 아니다. 따라서 어떤 것은 그 자체로 선하면서도 다른 선한 것으로 이어지는 경우 본래적 가치와 도구적 가치를 모두 가질 수 있다.[29] 유사한 의미에서 어떤 것은 동시에 긍정적인 도구적 가치와 부정적인 도구적 가치를 모두 가질 수 있다. 이는 그 결과 중 일부는 좋지만 다른 일부는 나쁜 경우에 해당한다. 어떤 것의 총 도구적 가치는 그 모든 결과의 가치 균형이다.[30]
도구적 가치는 다른 가치들에 의존하므로, 엄밀한 의미에서 가치로 이해되어야 하는지는 미지수이다. 예를 들어, 본래적으로 가치 있는 것으로 이어지는 인과 사슬의 전체 가치는 본래적으로 가치 있는 것에 영향을 주지 않고 도구적으로 가치 있는 연결 고리가 추가되거나 제거되더라도 동일하게 유지된다. 전체 가치가 변하지 않는다는 관찰은 추가되거나 제거된 것들이 가치를 갖지 않는다는 주장의 근거로 사용되기도 한다.[31]
전통적으로 가치 이론가들은 내재적 가치와 최종적 가치라는 용어를 서로 바꿔 사용할 수 있는 용어로 사용했으며, 외재적 가치와 도구적 가치도 마찬가지였다. 이러한 관행은 20세기에 이들이 유사하지만 동일하지 않은 개념이라는 생각에 기반하여 의문이 제기되었다. 이 견해에 따르면, 어떤 것이 내재적 가치를 갖는 것은 그 가치의 원천이 내재적 속성이기 때문이다. 이는 그 가치가 다른 대상과의 관계에 의존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외재적 가치는 외부 관계에 의존한다. 이 견해는 도구적 가치를 외부 인과 관계에 기반한 외재적 가치의 한 유형으로 본다. 동시에, 이는 외부 비인과 관계에서 비롯되는 다른 유형의 비도구적 외재적 가치가 존재한다는 것을 허용한다. 최종적 가치는 내재적 또는 외재적 속성이 원인인지 여부와 관계없이 그 자체로 가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32][e]
절대적 가치와 상대적 가치
[편집]또 다른 구별은 절대적 가치와 상대적 가치 사이의 대조에 의존한다. 절대적 가치(또는 simpliciter 가치라고도 함)는 무조건적인 가치의 형태이다. 어떤 것이 다른 것에 상대적이거나 특정 고려 사항이나 관점에 제한될 경우 상대적 가치를 갖는다.[34]
상대적 가치의 한 형태는 엔티티의 유형으로 제한되며, "그것은 좋은 칼이다" 또는 "잭은 좋은 도둑이다"와 같은 문장에서 표현된다. 이 형태는 "좋은"이라는 단어가 다른 용어의 의미를 수식하기 때문에 속성적 좋음으로 알려져 있다. 특정 유형으로서 속성적으로 좋다는 것은 그 유형의 특징적인 자질을 소유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좋은 칼은 날카롭고 좋은 도둑은 잡히지 않고 훔치는 기술을 가지고 있다. 속성적 좋음은 술어적 좋음과 대조된다. "기쁨은 좋다"는 문장이 한 예인데, '좋다'는 단어가 기쁨의 무조건적인 가치를 말하기 위한 술어로 사용되었기 때문이다.[35] 속성적 좋음과 술어적 좋음은 서로 동반할 수 있지만, 항상 그런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좋은 도둑이 되는 것이 반드시 좋은 일은 아니다.[36]
또 다른 유형의 상대적 가치는 좋음을 특정 인물로 제한한다. 개인적 가치라고도 알려진 이 가치는[f] 특정 인물에게 이익이 되거나, 그들의 복지를 증진하거나, 그들의 이익에 부합하는 것을 표현한다. 예를 들어, 어린이가 쓴 시는 다른 사람들에게는 가치가 없더라도 부모에게는 개인적 가치를 가질 수 있다. 반대로 비개인적 가치는 특정 인물이나 관점에 제한되지 않고 일반적으로 좋은 것이다.[38] 무어와 같은 일부 철학자들은 개인적 가치의 존재를 부정하며, 모든 가치는 비개인적이라고 주장한다. 다른 철학자들은 개인적 가치와 비개인적 가치 간의 관계에 대한 이론을 제안했다. 누적 이론은 비개인적 가치가 모든 개인적 가치의 합에 불과하다고 말한다. 또 다른 견해는 비개인적 가치를 전체 우주의 관점에서 본 특정 유형의 개인적 가치로 이해한다.[39]
행위자-상대적 가치는 때때로 평가적 관점의 또 다른 개인별 제한으로서 개인적 가치와 대조된다. 행위자-상대적 가치는 개인이 책임지거나 죄를 지는 것에 대한 도덕적 고려 사항에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메이가 페드로를 공항에서 태우러 오겠다고 약속하면 행위자-상대적 가치는 메이가 공항으로 운전해야 할 의무를 부여한다. 이 의무는 메이에게 이익이 되지 않더라도 유효하며, 이 경우 개인적 가치 없이 행위자-상대적 가치가 존재한다. 결과주의에서[g] 행위자-상대적 가치는 종종 윤리적 딜레마와 관련하여 논의된다. 한 딜레마는 개인이 다른 가해자에 의해 두 명의 무고한 사람이 살해되는 것을 막기 위해 한 명의 무고한 사람을 살해해야 하는지 여부에 초점을 맞춘다. 행위자-중립적 관점은 한 명의 살인이 두 명의 살인보다 낫기 때문에 이 아이디어를 지지하는 경향이 있다. 행위자-상대적 관점은 이 결론을 거부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최초의 살인이 행위자-상대적 가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피해야 한다고 주장한다.[41]
전통적으로 대부분의 가치론자들은 절대적 가치를 가치론의 주요 주제로 여기고 이 유형에 초점을 맞춘다. 그러나 피터 기치와 필리파 풋과 같은 일부 철학자들은 절대적 가치 개념 자체는 무의미하며 상대적 가치의 한 형태로 이해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42]
기타 구분
[편집]다양한 분류 원칙에 따라 다른 가치 분류가 제안되었지만, 모든 이론가에게 널리 받아들여지는 단일 접근 방식은 없다.[43] 일부는 가치를 가지는 존재의 유형에 초점을 맞춘다. 이들은 개인, 집단, 사회, 환경, 비활성 사물과 같은 존재에 대한 별도의 범주를 포함한다. 또 다른 하위 분류는 관련된 이익의 유형에 주목하며 물질적, 경제적, 도덕적, 사회적, 정치적, 미적, 종교적 가치를 포함한다. 가치의 수혜자에 따른 분류는 자기 지향적 가치와 타자 지향적 가치를 구별한다.[44]
역사적으로 영향력 있는 접근 방식은 세 가지 가치 영역을 식별한다: 진리, 선함, 미.[h] 예를 들어, 신 칸트 학파 철학자 빌헬름 빈델반트는 이들을 의식의 가장 높은 목표로 특징지으며, 생각은 진리를, 의지는 선함을, 정서는 아름다움을 목표로 한다고 말한다. 유사한 견해는 중국 철학자 장다이녠(Zhang Dainian)이 제안한 것으로, 진리의 가치는 지식에 속하고, 선함의 가치는 행동에 속하며, 아름다움의 가치는 예술에 속한다고 말한다.[46] 이 세 가지 구분은 프란츠 브렌타노와 위르겐 하버마스의 철학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47] 제안된 다른 가치 유형으로는 객관적, 주관적, 잠재적, 실제적, 우발적, 필연적, 내재적, 구성적 가치 등이 있다.[48]
사상 학파
[편집]실재론과 반실재론
[편집]가치 실재론은 가치가 마음과 독립적으로 존재한다는 견해이다.[49][i] 이는 객관적인 사실들이 주관적인 신념과 선호도에 관계없이 무엇이 가치를 갖는지를 결정한다는 것을 의미한다.[50] 이 견해에 따르면, "그 행위는 나쁘다"는 평가적 진술은 "그 행위는 고통을 유발한다"는 경험적 진술만큼 객관적으로 참 또는 거짓이다.[51]
실재론자들은 종종 가치를 가치 있는 것의 속성으로 분석한다.[52] 예를 들어, 친절함이 좋다고 말하는 것은 친절함이 좋음의 속성을 소유하고 있다고 주장하는 것이다. 가치 실재론자들은 어떤 유형의 속성이 관련되는지에 대해 의견이 일치하지 않는다. 자연주의자들은 가치가 자연적인 속성이라고 말한다. 크기나 모양과 같은 자연적인 속성은 경험적 관찰을 통해 알 수 있으며 자연과학에서 연구된다. 비자연주의자들은 이 견해를 거부하지만 가치가 실재한다는 것에는 동의한다. 그들은 가치가 경험적 속성과 크게 다르며 실재의 다른 영역에 속한다고 말한다. 한 견해에 따르면, 가치는 경험적 관찰이 아니라 합리적 또는 정서적 직관을 통해 알려진다.[53]
실재론자들 사이의 또 다른 의견 불일치는 가치를 지닌 존재가 구체적인 개별자인지 아니면 사태인지에 관한 것이다.[54] 예를 들어, "빌"이라는 이름은 개별자를 지칭하는 반면, "빌은 기쁘다"라는 문장은 개별자 "빌"과 속성 "기쁘다"가 결합된 사태를 지칭한다. 일부 가치론자들은 가치가 빌에게 직접적으로 속하는 속성이라고 주장하는 반면, 다른 이들은 빌이 기쁘다는 사태의 속성이라고 주장한다.[55] 이러한 구별은 가치론의 다양한 논쟁에 영향을 미친다. 어떤 경우에는 한 견해에 따르면 가치가 내재적이고 다른 견해에 따르면 외재적이다.[56]
가치 실재론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는 반실재론과 대조된다. 가장 강력한 형태의 반실재론은 어떤 형태로든 가치의 존재를 부정하며, 가치 진술은 무의미하다고 주장한다.[57][j] 이 입장과 실재론 사이에는 다양한 중간 견해가 있다. 일부 반실재론자들은 가치 주장이 의미를 갖는다는 것을 받아들이지만, 진릿값을 갖는다는 것을 부인하는데,[k] 이러한 입장을 비인지주의라고 한다. 예를 들어, 정서주의자들은 가치 주장들이 "만세!" 또는 "야유!"와 같은 감탄사들이 사실을 진술하기보다는 감정을 표현하는 것과 유사하게 정서적 태도를 표현한다고 말한다.[60][l]
인지주의자들은 가치 진술이 진릿값을 가진다고 주장한다. 즉, "지식은 본래적으로 선하다"와 같은 문장은 참이거나 거짓이다. 이 견해에 따르면, 오류 이론가들은 가치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모든 가치 진술이 거짓이라고 주장함으로써 반실재론을 옹호한다.[62] 또 다른 견해는 가치의 존재를 받아들이지만, 그것들이 마음과 독립적이라는 것을 부인한다. 이 견해에 따르면, 개인이 그것을 원하기 때문에 대상이 가치를 갖는지 여부는 개인의 정신 상태에 의해 결정된다.[63] 유사한 견해는 장폴 사르트르와 같은 실존주의자들이 옹호하는데, 그들은 가치가 세계에 의미를 부여하는 인간의 창조물이라고 주장했다.[64] 주관주의 이론은 가치가 각 주체에 상대적이라고 말하는 반면, 보다 객관주의적인 관점은 가치가 개별 정신보다는 일반적인 마음에 의존한다고 주장한다.[65]
가치가 마음과 독립적이라는 것을 인정하지만 다른 사실로 환원될 수 있다는 다른 입장은 가치가 실재의 근본적인 부분이 아니라는 것을 의미한다. 환원주의의 한 형태는 어떤 것이 그것을 선호하는 것이 적합하다면, 사람들이 실제로 그것을 선호하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좋다는 것을 주장한다. 이것은 적절한 태도 가치론으로 알려진 입장이다. 밀접하게 관련된 환원주의적 견해인 '벅패싱'(buck-passing)은 사람들이 어떤 방식으로 그것을 대할 이유가 있다면 어떤 것이 가치 있다는 것을 주장한다. 이러한 이유는 가치 있는 것의 다른 특징에서 비롯된다. 일부 견해에 따르면 환원주의는 실재론의 한 형태이지만, 가장 강력한 형태의 실재론은 가치가 실재의 근본적인 부분이며 다른 측면으로 환원될 수 없다고 말한다.[66]
가치의 원천
[편집]가치의 원천에 대한 다양한 이론들이 제안되었다. 이들은 본질적으로 어떤 종류의 것들이 선한지를 명확히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67] 역사적으로 영향력 있는 쾌락주의 이론은[m] 사람들이 느끼는 방식이 가치의 유일한 원천이라고 주장한다.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기쁨만이 본질적인 선이며, 고통만이 본질적인 악이라고 말한다.[69] 이 견해에 따르면, 지식, 건강, 정의를 포함한 다른 모든 것은 쾌락이나 고통으로 이어지는 한에서만 도구적 가치를 갖는다. 쾌락주의자들은 보통 '쾌락'이라는 용어를 음식과 성의 육체적 쾌락뿐만 아니라 책 읽기의 즐거움이나 친구의 승진에 대한 행복과 같은 더 지적이거나 추상적인 쾌락을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이해한다. 쾌락 경험은 정도가 다양하며, 쾌락주의자들은 보통 그 강도와 지속 시간을 쾌락이 갖는 가치의 크기와 연관시킨다.[70][n]
많은 쾌락주의자들은 쾌락과 고통을 대칭적인 반대 개념으로 간주한다. 즉, 쾌락의 가치는 강도가 같다면 고통의 반가치와 균형을 이룬다고 본다. 그러나 일부 쾌락주의자들은 이러한 대칭성을 거부하고 쾌락을 경험하는 것보다 고통을 피하는 것에 더 큰 비중을 둔다.[72] 쾌락이 가치 있다는 것은 널리 받아들여지지만, 쾌락주의자들이 쾌락만이 가치의 유일한 원천이라는 주장은 논란의 여지가 있다.[73] 밀접하게 관련된 이론인 복지주의는 웰빙을 가치의 유일한 원천으로 이해한다. 웰빙은 개인에게 궁극적으로 좋은 것이며, 쾌락 외에도 건강, 개인적 성장, 의미 있는 인간 관계, 삶의 목적 의식과 같은 다른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74]
욕구 이론은 약간 다른 설명을 제공하며, 욕구 만족[o]이 가치의 유일한 원천이라고 주장한다.[p] 이 이론은 많은 사람들이 쾌락을 원하고 욕구 만족이 종종 쾌락을 동반하기 때문에 쾌락주의와 중복된다. 그러나 중요한 차이점이 있다. 사람들은 지식, 성취, 존경과 같은 다양한 다른 것들도 원하며, 욕구 만족이 항상 쾌락을 초래하지 않을 수도 있다.[77] 일부 욕구 이론가들은 가치가 욕구 만족 자체의 속성이라고 주장하는 반면, 다른 이론가들은 가치가 욕구를 만족시키는 대상의 속성이라고 말한다.[78] 욕구 이론의 한 논쟁은 모든 욕구가 가치의 원천인지 여부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이 돈이 자신을 행복하게 만든다는 잘못된 믿음을 가지고 있다면, 돈에 대한 욕구의 만족이 가치의 원천인지 여부는 의문이다. 이러한 고려 사항을 다루기 위해 일부 욕구 이론가들은 욕구가 완전히 정보화되고 합리적인 사람이라면 가질 수 있는 경우에만 가치를 제공할 수 있다고 말함으로써, 오도된 욕구는 가치의 원천에서 제외된다.[79]
완전주의는 인간 본성의 실현과 특징적인 인간 능력의 함양을 본질적인 선의 원천으로 식별한다. 이는 신체적, 정서적, 의지적, 인지적, 사회적, 예술적, 종교적 분야에 속하는 능력과 성격을 포괄한다. 완전주의자들은 어떤 인간 탁월성이 가장 중요한지에 대해 의견이 일치하지 않는다. 많은 이들은 지식, 창의성, 건강, 아름다움, 자유로운 행위, 자비와 용기와 같은 도덕적 미덕 등 다양한 인간 탁월성을 인정하는 다원적이다.[80] 한 가지 제안에 따르면, 인간의 선에는 두 가지 주요 분야가 있다. 세계를 이해하는 데 책임이 있는 이론적 능력과 세계와 상호 작용하는 데 책임이 있는 실용적 능력이다.[81] 일부 완전주의자들은 인간 본성의 이상적인 특징을 인간 번영의 목표로 제시하며, 인간 탁월성은 이 목표의 실현을 촉진하는 측면이라고 주장한다. 이 견해는 아리스토텔레스가 합리성을 인간 존재의 본질이자 이상적인 상태로 강조한 것에서 나타난다.[82] 비인본주의적 버전은 완전주의를 자연 세계 전반으로 확장하여, 본질적 가치의 원천으로서의 탁월성은 인간 영역에 국한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83]
일원론과 다원론
[편집]일원론적 가치 이론은 본래적 가치의 단일 원천만이 존재한다고 주장한다. 이들은 다양한 것들이 가치를 가지고 있다는 데 동의하지만, 모든 근본적으로 선한 것들이 동일한 유형에 속한다고 주장한다. 예를 들어, 쾌락주의자들은 쾌락 외에는 아무것도 본래적 가치를 갖지 않는다고 주장하는 반면, 욕구 이론가들은 욕구 만족이 근본적인 선의 유일한 원천이라고 주장한다. 다원주의자들은 이 견해를 거부하며, 단순한 단일 가치 체계는 가치 영역의 복잡성을 포착하기에는 너무 조악하다고 주장한다. 그들은 다양한 가치 원천이 서로 독립적으로 존재하며, 각각이 세계의 전체 가치에 기여한다고 말한다.[84]
가치 다원론의 한 가지 동기는 사람들이 행복, 우정, 성공, 지식 등 다양한 종류의 것들을 가치 있게 여긴다는 관찰이다.[85] 이러한 다양성은 사람들이 우정과 경력 성공 사이의 선택과 같이 경쟁하는 가치들 사이에서 어려운 결정을 내릴 때 특히 두드러진다.[86] 이러한 경우, 가치 다원론자들은 다른 항목들이 다른 유형의 가치를 가지고 있다고 주장할 수 있다. 일원론자들은 본래적 가치의 단일 원천만을 받아들이기 때문에, 가치 있는 항목 중 일부는 도구적 가치만 있고 본래적 가치는 없다고 제안함으로써 다른 설명을 제공할 수 있다.[87]

다원론자들은 자신들의 견해가 실제 결정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다양한 설명을 제안했다. 합리적인 결정은 종종 어떤 행동 방침을 추구해야 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가치 비교에 의존한다.[89] 일부 다원론자들은 어려운 선택에 직면했을 때 사람들이 더 높은 가치를 증진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다양한 가치 유형의 상대적 중요성과 비중을 반영하는 가치 위계를 논한다.[90] 예를 들어, 철학자 막스 셸러는 가치를 그 지속성과 성취도에 따라 쾌락, 효용, 활력, 문화, 신성이라는 수준으로 순위를 매긴다. 그는 쾌락과 같은 낮은 가치를 더 높은 가치를 희생하면서 증진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한다.[91][q]
급진적 다원론자들은 이러한 접근 방식을 거부하고, 다른 유형의 가치들이 서로 비교할 수 없다고 주장함으로써 다양성을 더 강조한다. 이는 각 가치 유형이 고유하며, 어떤 것이 더 우월한지 결정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93][r] 일부 가치 이론가들은 급진적 다원론을 사용하여 가치 충돌이 불가피하며, 한 가치의 획득이 다른 가치의 상실을 항상 보상할 수 없으며, 일부 윤리적 딜레마는 해결 불가능하다고 주장한다.[95] 예를 들어, 철학자 이사야 벌린은 이 아이디어를 자유와 평등의 가치에 적용하여, 한 가치의 이득이 다른 가치의 손실을 보충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유사하게, 철학자 조셉 라즈는 변호사가 될 것인지 클라리넷 연주자가 될 것인지와 같이 직업 경로의 가치를 비교하는 것이 종종 불가능하다고 말했다.[96] 이 맥락에서 상호 비교 불가능성과 공통 척도 부재는 종종 동의어로 사용된다. 그러나 루스 창과 같은 철학자들은 이들을 구별한다. 이 관점에 따르면, 공통 척도 부재는 다른 유형의 가치를 정량화할 공통된 척도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공통 척도 부재 가치는 비교 가능할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만약 비교 가능하다면, 한 가치가 다른 가치보다 낫다고 말할 수 있지만, 얼마나 더 나은지는 정량화할 수 없다.[97]
기타
[편집]전체의 본래적 가치가 그 부분의 본래적 가치에 의해 어떻게 결정되는지에 대한 몇 가지 논쟁이 있다. 가법성 원리에 따르면, 전체의 본래적 가치는 단순히 그 부분의 본래적 가치들의 합이다. 예를 들어, 덕 있는 사람이 행복해지면 행복의 본래적 가치는 덕의 본래적 가치에 단순히 더해져 전체 가치를 증가시킨다.[98]

가법성 원리에 대한 다양한 반례가 제안되었으며, 이는 부분과 전체의 관계가 더 복잡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예를 들어, 이마누엘 칸트는 사악한 사람이 행복해진다면, 이 행복은 그 자체로는 좋지만 전체 가치를 증가시키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오히려 칸트에 따르면, 사악함이 행복으로 보상되어서는 안 되므로 상황을 더 악화시킨다고 보았다. 이러한 상황은 유기적 통일체로 알려져 있다. 즉, 그 본래적 가치가 그 부분의 본래적 가치들의 합과 다른 전체이다.[100] 가치론의 전체론이라고 불리는 또 다른 관점은 어떤 것의 본래적 가치가 그 맥락에 달려 있다고 주장한다. 전체론자들은 행복이 덕의 맥락에서는 긍정적인 본래적 가치를 가지며, 악의 맥락에서는 부정적인 본래적 가치를 갖는다고 주장할 수 있다. 원자론자들은 본래적 가치가 맥락에 독립적이라고 주장하며 이 견해를 거부한다.[101]
가치 집계 이론은 각 개인이 결과에 긍정적 또는 부정적으로 영향을 받는 방식에 따라 결과의 전체 가치를 계산하기 위한 구체적인 원칙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정부가 일부 사람들에게 긍정적으로, 다른 사람들에게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새로운 정책을 시행하는 경우, 가치 집계 이론을 사용하여 정책의 전체 가치가 긍정적인지 부정적인지 결정할 수 있다. 가치론적 공리주의는 가법성 원리를 받아들여 총 가치는 단순히 모든 개별 가치의 합이라고 말한다.[102] 가치론적 평등주의자들은 가치의 총합뿐만 아니라 가치가 어떻게 분배되는지에도 관심을 가진다. 그들은 두 결과의 총합이 같더라도 일부는 많이 이득을 보고 다른 일부는 적게 이득을 보는 결과보다 균형 잡힌 이득 분배가 있는 결과가 더 낫다고 주장한다.[103] 가치론적 우선주의자들은 특히 불우한 개인들의 이득에 관심을 가진다. 그들은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에게 이득을 제공하는 것이 다른 사람들에게 동일한 이득을 제공하는 것보다 더 큰 가치를 가진다고 말한다.[103]
또 다른 논쟁은 삶의 의미에 대한 것으로, 삶 또는 존재 전체가 더 높은 의미나 목적을 가지고 있는지 여부를 탐구한다.[104] 자연주의적 관점은 삶의 의미가 물리적 세계 내에서 발견되며, 모든 사람에게 진실인 객관적인 가치 또는 개인적 선호에 따라 달라지는 주관적인 가치로 존재한다고 주장한다. 인간이 의미를 찾는 분야로는 자유 행사, 대의에 헌신, 이타주의 실천, 긍정적인 사회 관계, 개인적인 행복 추구 등이 제안된다.[105] 대조적으로 초자연주의자들은 의미가 자연 세계 너머에 있다고 제안한다. 예를 들어, 다양한 종교는 하느님이 더 높은 목적을 위해 세상을 창조하여 존재에 의미를 부여했다고 가르친다. 관련 관점은 불멸의 영혼이 초월적 실재와 연결되고 영적으로 진화함으로써 의미의 원천 역할을 한다고 주장한다.[106] 실존적 허무주의자들은 더 높은 목적이 없다고 주장함으로써 자연주의적 설명과 초자연주의적 설명을 모두 거부한다. 그들은 삶이 무의미하며, 그 결과로 계속 살아갈 더 높은 이유가 없으며 모든 노력, 성취, 행복, 고통이 궁극적으로 무의미하다고 제안한다.[107]
형식적 가치론은 철학자 로버트 S. 하트만이 처음 개발한 가치 이론이다. 이 접근 방식은 가치론을 논리학 및 수학과 유사한 형식 과학으로 다룬다. 이는 공리를 사용하여 가치의 추상적인 정의를 제공하며, 가치를 사물의 속성이 아니라 개념의 속성으로 이해한다. 가치는 개체가 그 개념을 얼마나 충족하는지를 측정한다. 예를 들어, 좋은 자동차는 신뢰할 수 있는 엔진과 효과적인 브레이크와 같이 자동차의 모든 바람직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 반면, 나쁜 자동차는 많은 특성이 부족하다. 형식적 가치론은 세 가지 근본적인 가치 유형을 구별한다. 본래적 가치는 사람에게 적용되고, 외재적 가치는 사물, 행동, 사회적 역할에 적용되며, 체계적 가치는 개념적 구성물에 적용된다. 형식적 가치론은 이러한 가치 유형이 어떻게 위계를 형성하고 어떻게 측정될 수 있는지를 탐구한다.[108]
방법
[편집]가치론자들은 탐구를 수행하고, 이론을 정당화하며, 가치를 측정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사용한다. 직관주의자들은 평가적 주장을 평가하기 위해 직관에 의존한다. 이 맥락에서 직관은 자명한 주장의 즉각적인 파악 또는 이해를 의미하며, 이는 다른 관찰로부터 추론하지 않고도 그 진실성을 평가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109] 가치론자들은 이러한 종류의 이해를 얻기 위해 종종 사고 실험에 의존한다. 사고 실험은 철학적 문제를 예시하는 상상된 시나리오이다. 철학자들은 반사실적 사고를 사용하여 가능한 결과를 평가하고 근본적인 문제에 대한 통찰력을 얻는다.[110] 예를 들어, 철학자 로버트 노직은 이상적인 삶을 가상으로 시뮬레이션할 수 있는 경험 기계를 상상한다. 노직은 사람들이 이 즐거운 시뮬레이션에서 남은 여생을 보내고 싶어 하지 않을 것이라는 주장에 근거하여 쾌락이 본래적 가치의 유일한 원천이라는 쾌락주의자들의 주장에 반대한다. 그에 따르면, 이 사고 실험은 현실과의 진정한 연결의 가치가 쾌락으로 환원될 수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111][s]
현상학자들은 가치 경험에 대한 상세한 1인칭 설명을 제공한다. 그들은 욕구, 관심, 선호에서부터 사랑과 미움의 형태를 띤 감정에 이르기까지 정서적 경험을 면밀히 조사한다. 그러나 그들은 자신들의 탐구를 이러한 현상에만 국한하지 않고, 가치가 경험 전반에 스며든다고 주장한다.[112] 현상학적 방법의 핵심 측면은 선입견과 판단을 보류하여 의식에 나타나는 경험의 본질을 이해하는 것이다.[113]
개념과 일상 언어의 분석은 또 다른 탐구 방법이다. 가치에 대해 이야기할 때 사용되는 용어와 문장을 조사함으로써, 가치론자들은 그 의미를 명확히 하고, 중요한 구별을 밝혀내고, 가치론적 이론에 대한 찬반 논증을 공식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114] 예를 들어, 자연주의자와 비자연주의자 사이의 주요 논쟁은 "선"이라는 용어의 개념 분석에 달려 있으며, 특히 그 의미가 기쁨과 같은 자연적 용어를 통해 분석될 수 있는지 여부에 달려 있다.[115][t]

사회과학에서 가치론자들은 개인과 집단의 평가적 관점을 측정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특히, 그들은 개인의 가치 위계를 결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예를 들어, 개인이 진리에 더 큰 비중을 두는지, 도덕적 선함이나 아름다움에 더 큰 비중을 두는지 등을 결정한다.[117] 그들은 직접 측정 방법과 간접 측정 방법을 구별한다. 직접 측정 방법은 사람들이 어떤 것을 가치 있게 여기고 어떤 가치 우선순위를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 직접적인 질문을 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 접근 방식은 사람들이 자신의 평가적 관점을 알고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 간접 측정 방법은 이러한 가정을 공유하지 않고, 대신 가치가 무의식적인 수준에서 행동과 선택을 안내한다고 주장한다. 결과적으로, 그들은 사람들이 어떻게 결정하고 행동하는지 관찰하여, 특정 행동 방침을 선택하는 원인이 되는 근본적인 가치 태도를 추론하려고 한다.[118]
심리학 및 관련 사회과학에서는 가치 우선순위를 측정하기 위해 다양한 목록 또는 가치 척도가 제안되었다. 로키치 가치 조사는 도덕적 가치와 능력과 같은 도구적 가치와 자유와 가족의 안전과 같은 최종적 가치의 두 그룹으로 나뉜 총 36가지 가치를 고려한다. 참가자들은 각 가치가 참가자의 삶에 미치는 영향에 따라 순위를 매기도록 요청받아, 각 가치에 할당된 상대적 중요성을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슈워츠의 기본 인간 가치 이론은 로키치 가치 조사의 수정판으로, 보다 문화 간적이고 보편적인 평가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는 이웃하는 가치들이 서로 호환됨을 반영하기 위해 가치들을 원형으로 배열한다. 예를 들어, 변화에 대한 개방성과 자기 향상은 호환되지만, 변화에 대한 개방성과 보존은 서로 충돌할 수 있다.[119]
다양한 분야에서
[편집]윤리학
[편집]윤리학과 가치론은 중첩되는 탐구 분야이다. 윤리학은 도덕적 현상을 연구하며, 사람들이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 또는 어떤 행동이 도덕적으로 옳은지에 초점을 맞춘다.[120] 가치론은 일반적으로 가치의 본질, 원천 및 유형을 탐구한다.[2] 일부 철학자들은 가치론을 윤리학의 하위 분야로 이해한다. 이는 사람들이 무엇을 해야 하는지가 가치 고려 사항에 영향을 받지만, 반드시 그것에만 국한되지는 않는다는 생각에 기반한다.[7] 다른 견해는 윤리학을 가치론의 하위 분야로 본다. 이 관점은 윤리학이 사람들이 통제할 수 있는 것에 영향을 미치는 도덕적 가치에 관심을 가지는 반면, 가치론은 누구의 통제도 벗어나는 것을 포함하여 더 넓은 범위의 가치를 탐구한다는 생각에 따른다.[121] 일부 관점은 윤리학과 가치론을 대조하며, 윤리학이 다루는 규범적 개념과 가치론이 다루는 평가적 개념이 다르다고 주장한다.[23] 가치론적 윤리는 도덕적 관점에서 가치의 본질과 역할을 탐구하는 윤리학의 하위 분야로, 어떤 목적이 추구할 가치가 있는지 결정하는 데 특별한 관심을 가진다.[122]
결과주의 윤리 이론은 윤리학과 가치론의 관점을 결합하여 행동의 옳고 그름이 그 결과의 가치에 달려 있다고 주장한다. 결과주의자들은 가능한 행동 방침을 비교하며, 사람들은 가장 좋은 전체 결과로 이어지는 것을 따라야 한다고 말한다.[123] 행동의 전체 결과는 그 효과의 총체, 즉 그렇지 않았으면 발생하지 않았을 인과 사슬을 시작함으로써 세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이다.[124] 결과주의의 다양한 버전은 가치 원천에 대한 다른 이론에 의존한다. 결과주의의 주요 형태인 고전적 공리주의는 도덕적 행동이 가장 많은 사람들에게 가장 많은 기쁨을 생산한다고 말한다. 이는 올바른 행동에 대한 결과주의적 관점과 기쁨을 본래적 가치의 유일한 원천으로 보는 쾌락주의적 관점을 결합한다.[125]
경제학
[편집]경제학은 개인 행위자와 사회 시스템의 관점에서 상품과 서비스가 어떻게 생산, 분배, 소비되는지를 연구하는 사회과학이다.[126] 경제학자들은 평가를 경제 활동의 원동력으로 본다. 그들은 경제 가치 개념과 관련 평가 개념을 사용하여 의사결정 과정, 자원 할당, 정책 영향을 이해한다. 상품의 경제적 가치 또는 이점은 그것이 경제적 주체에게 제공하는 이점으로, 종종 사람들이 그것을 위해 지불하려는 의사로 측정된다.[127]
경제적 가치 이론은 경제적 가치가 어떻게 발생하고 어떤 요인이 그것에 영향을 미치는지 설명하는 틀이다. 주요 틀로는 고전적인 노동가치론과 신고전적인 한계가치론이 있다.[128] 처음에 경제학자 애덤 스미스와 데이비드 리카도가 개발한 노동 이론은 사용가치 (상품이 제공하는 효용 또는 만족)와 교환 가치 (한 상품이 다른 상품과 교환될 수 있는 비율)를 구별한다.[129] 노동 이론은 교환 가치에 초점을 맞추는데, 이는 상품을 생산하는 데 필요한 노동량에 의해 결정된다고 말한다. 가장 단순한 형태에서는 교환 가치를 노동 시간에 직접적으로 연관시킨다. 예를 들어, 사냥꾼이 사슴 한 마리를 사냥하는 데 필요한 시간이 비버 한 마리를 사냥하는 데 필요한 시간의 두 배라면, 사슴 한 마리는 비버 두 마리 가치가 된다.[130] 철학자 카를 마르크스는 다양한 방식으로 노동가치론을 확장했다. 그는 투입된 시간과 자원을 넘어 자본주의자들이 직원들의 노동으로 어떻게 이윤을 얻을 수 있는지를 설명하는 잉여가치 개념을 도입했다.[131]
한계 가치 이론은 생산보다는 소비에 초점을 맞춘다. 이는 상품의 효용이 그 가치의 원천이라고 말한다. 특히, 이는 상품 한 단위를 더 소비함으로써 얻는 추가적인 만족인 한계효용에 관심을 가진다. 한계효용은 이미 많은 단위가 소비되었다면 종종 감소하여, 풍부하게 이용 가능한 상품의 교환 가치 감소로 이어진다.[132] 노동 이론과 한계 이론은 나중에 스라피안 가치 이론에 의해 도전받았는데, 이 이론은 노동의 양을 포함하되 이에 국한되지 않는 다양한 형태의 생산 비용을 고려한다.[133]
사회학
[편집]사회학은 사회 행동, 관계, 제도, 그리고 사회 전반을 연구한다.[134] 이러한 현상에 대한 분석과 설명에서 일부 사회학자들은 가치 개념을 사용하여 사회 응집력과 갈등, 사람들이 따르는 규범과 관행, 그리고 집단 행위와 같은 문제를 이해한다. 그들은 일반적으로 가치를 개인들이 소유하고 사회 집단에서 공유되는 주관적인 태도로 이해한다. 이 견해에 따르면, 가치는 사람들이 특정 방식으로 행동하도록 안내하는 추구할 가치가 있는 목표에 대한 믿음 또는 우선순위이다. 예를 들어, 교육을 중요하게 여기는 사회는 고품질 교육을 보장하기 위해 상당한 자원을 투자할 수 있다. 개인과 사회 집단의 측면으로서의 이러한 가치의 주관적인 개념은 상품의 측면으로서 가치를 이해하는 경제학에서 더 두드러지는 가치의 객관적인 개념과 대조된다.[135]
공유 가치는 사람들이 공동의 목표를 추구하는 데 도움을 주어 사회적 응집력을 높일 수 있다. 반대로 가치 차이는 사람들을 대립적인 집단으로 나누어 상충되는 프로젝트를 추진하게 할 수 있다. 일부 사회학자들은 가치 연구를 사용하여 사람들의 행동을 예측한다. 어떤 사람이 환경을 중요하게 여긴다는 관찰을 통해, 그들은 이 사람이 재활용을 하거나 친환경 법안을 지지할 가능성이 더 높다고 결론 내릴 수 있다.[136] 이러한 유형의 연구 중 하나는 가치 척도를 사용하여 개인과 집단의 가치관을 측정한다. 예를 들어, 로키치 가치 조사와 슈워츠의 기본 인간 가치 이론이 있다.[137]
인류학
[편집]인류학은 또한 인간의 행동과 사회를 연구하지만, 현대 사회 구조에만 국한하지 않고 과거와 현재의 인류를 모두 포함하여 초점을 확장한다.[138] 사회학자들과 유사하게, 많은 인류학자들은 가치를 추구할 가치가 있는 목표에 대한 사회적 표현으로 이해한다. 그들에게 가치는 바람직한 것에 대한 문화와 이데올로기와 관련된 정신 구조에 내재되어 있다. 인류학의 약간 다른 접근 방식은 가치의 실제적인 측면에 초점을 맞추며, 가치는 인간 활동을 통해 끊임없이 창조된다고 주장한다.[139]
인류학적 가치 이론가들은 가치를 사용하여 문화를 비교한다.[140] 그들은 모든 사회에 존재하는 보편적인 관심사로서 유사점을 조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류학자 클라이드 클러콘과 사회학자 프레드 스트로드트벡은 모든 문화에서 발견되는 일련의 가치 지향을 제안했다. 이러한 지향은 인간 본성, 인간 활동, 사회 조직, 자연과의 관계, 그리고 과거, 현재, 미래에 대한 초점을 중심으로 한다.[141] 가치는 또한 문화 간의 차이와 문화 내의 가치 변화를 분석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인류학자 루이 뒤몽은 이 아이디어를 따라, 다른 사회의 문화적 의미 체계가 가치 우선순위에서 다르다고 제안했다. 그는 가치가 다른 모든 가치보다 우세한 일련의 최고 가치들을 중심으로 계층적으로 정렬된다고 주장했다. 예를 들어, 뒤몽은 전통적인 인도 카스트 제도를 순수성 가치에 기반한 문화적 계층으로 분석했으며, 순수한 브라만에서부터 "불가촉" 달리트에 이르는 것을 포함한다.[142]
개인주의와 집단주의의 대조는 문화 간 가치 연구에서 영향력 있는 주제이다. 개인주의는 자기지향성, 독립성, 개인적 목표의 달성과 같은 개인의 자주권과 관련된 가치를 촉진한다. 집단주의는 협력, 동조, 집단적 이익을 위한 개인적 이익 포기와 같은 집단 관련 가치를 우선시한다. 대략적으로 단순화하면, 개인주의는 서양 문화에서 더 두드러지는 반면, 집단주의는 동양 문화에서 더 흔히 관찰된다고 종종 제안된다.[143]
심리학
[편집]정신 현상과 행동을 연구하는 심리학은 사회학 및 인류학과 대조적으로, 넓은 사회적, 문화적 맥락보다는 개인의 관점에 더 초점을 맞춘다.[144] 심리학자들은 가치를 추상적인 동기적 목표 또는 무엇이 중요한지에 대한 일반적인 원칙으로 이해하는 경향이 있다.[145] 이 관점에서 가치는 구체적인 상황에 얽매이지 않는 안정적인 평가 경향이므로 특정 계획 및 의도와는 다르다.[146]
가치에 대한 다양한 심리학 이론은 개인의 평가적 관점과 그들의 인격 사이에 밀접한 연관성을 설정한다.[147] 심리학자 필립 E. 버논과 고든 올포트가 정립한 초기 이론은 인격을 일관된 가치 체계로 통합된 여러 측면의 집합으로 이해한다. 이 이론은 이론, 경제, 미학, 사회, 정치, 종교라는 가치 영역에 해당하는 여섯 가지 인격 유형을 구별한다. 예를 들어, 이론적 인격을 가진 사람들은 지식의 가치와 진리의 발견에 특별한 중요성을 부여한다.[148] 버논과 올포트의 영향을 받아 심리학자 밀턴 로키치는 가치를 목표와 행동에 대한 지속적인 믿음으로 개념화했다. 그는 가치를 도구적 가치와 최종적 가치라는 범주로 나누었다. 그는 인격의 중심 측면은 사람들이 각 범주 내에서 가치에 우선순위를 두는 방식에 있다고 생각했다.[149] 심리학자 샬롬 슈워츠는 가치를 감정과 동기에 연결함으로써 이 접근 방식을 개선했다. 그는 서로 다른 옵션의 가치가 충돌하는 결정에서 가치 순위가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탐구했다.[150]
역사
[편집]가치론의 기원은 고대로 거슬러 올라가며, 좋은 삶과 추구할 가치가 있는 목적에 대한 초기 성찰에서 비롯되었다.[151] 소크라테스 (기원전 469~399년)[152]는 지식, 기쁨, 미덕의 올바른 조합을 최고선으로 보았으며, 적극적인 탐구는 쾌락과 관련이 있고 선에 대한 지식은 덕 있는 행동으로 이어진다고 주장했다.[153] 플라톤 (기원전 428~347년)[154]은 선을 보편적이고 불변하는 이념으로 개념화했다. 그것은 그의 형상론에서 가장 높은 형상이며, 다른 모든 형상의 원천이자 실재와 지식의 기초 역할을 한다.[155] 아리스토텔레스 (기원전 384~322년)[156]는 에우다이모니아를 최고선이자 인간 삶의 궁극적인 목표로 보았다. 그는 에우다이모니아를 이성에 따라 미덕을 행사함으로써 달성되는 행복 또는 번성으로 이해했으며, 이는 인간 잠재력의 완전한 실현으로 이어진다고 보았다.[157] 에피쿠로스 (기원전 341~271년)는 미묘한 이기적 쾌락주의를 제안하며, 개인적인 쾌락이 가장 큰 선이라고 주장했지만, 지나친 욕망과 미래에 대한 불안의 부정적인 영향을 피하기 위해 절제를 권장했다.[158] 스토아 학파에 따르면, 자연과 이성을 따르는 덕 있는 삶이 최고선이다. 그들은 자기 통제와 합리성이 외부 상황과 무관하게 유쾌한 평정심으로 이어진다고 생각했다.[159] 플라톤의 영향을 받은 플로티노스 (204/5–270 CE)는 선이 모든 것이 발산하는 실재의 궁극적인 원리라고 주장했다. 그에게 악은 별개의 대립 원리가 아니라 단순히 선과의 연결이 없어서 발생하는 존재의 결핍 또는 부재에 불과했다.[160]

고대 인도 철학에서는 기원전 600년경부터 사람들이 윤회에 갇혀 있다는 사상이 대두되었다.[162] 많은 전통이 이를 받아들였고, 이 윤회로부터의 해방이 최고선이라고 주장했다.[163] 힌두 철학은 네 가지 근본적인 가치인 의무, 경제적 부, 감각적 쾌락, 해탈을 구별한다.[164] 많은 힌두 학파는 해탈의 가치를 우선시한다.[165] 유사한 관점은 기원전 6세기에서 5세기 사이에 시작된 고대 불교의 사상에서 발견되는데, 열반의 달성을 통한 고통의 종식이 궁극적인 목표로 간주된다.[166] 고대 중국에서 공자 (기원전 551~479년)는 자기 수양이 덕 있는 삶을 이끄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보았으며, 인류에 대한 보편적인 자비를 최고의 미덕으로 여겼다.[161] 노자 (기원전 6세기)[u]는 최고의 미덕을 물에 비유하며 우주의 자연 질서와의 조화로운 삶의 중요성을 강조했다.[168]
종교적 가르침은 중세에 가치론에 영향을 미쳤다. 초기 기독교 사상가들은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 (354~430 CE)와 같이[169] 플라톤과 플로티노스의 이론을 종교적 틀로 각색했다. 그들은 하느님을 존재와 선의 궁극적인 원천으로 보았고, 악을 선의 단순한 결핍 또는 박탈로 보았다.[170] 아리스토텔레스주의에 의존하여, 기독교 철학자 토마스 아퀴나스 (1224~1274 CE)는[171] 신과의 교제, 즉 신을 복음적 시현으로 보는 것이 인간의 최고의 목적이라고 말했다.[172] 아랍-페르시아 철학에서 이븐 시나 (980~1037 CE)는[173] 지성을 최고의 인간 능력으로 간주했다. 그는 관상적 삶이 인간을 최고의 선으로 준비시키며, 이는 인간이 신체의 방해로부터 자유로워지는 내세에서만 달성된다고 생각했다.[174] 중국 사상에서 초기 성리학자 한유 (768~824 CE)는 학자를 이상적인 역할 모델로 보았는데, 그는 자기 수양을 통해 일상생활에서 이론과 행동의 조화로 표현되는 개인의 온전함을 달성한다.[175]
근대 초기에 토머스 홉스 (1588~1679)는[176] 가치를 개인의 관심사에 따라 달라지는 주관적인 현상으로 이해했으며, 상호 관심사와 이점을 정치적 결정의 핵심 원칙으로 검토했다.[177] 데이비드 흄 (1711~1776)은[178] 홉스의 주관주의에 동의하며, 가치가 객관적인 사실과 어떻게 다른지를 탐구했다.[179] 이마누엘 칸트 (1724~1804)는[180] 최고선은 도덕적 미덕에 비례하는 행복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도덕률을 존중하고 사람들의 내재적 가치를 존중함으로써 미덕의 우월성을 강조하며, 도덕적 미덕이 이상적으로는 개인적 행복을 동반하지만 항상 그런 것은 아니라고 덧붙였다.[181] 제러미 벤담 (1748~1832)과[182] 존 스튜어트 밀 (1806~1873)은[183] 가치에 대한 쾌락주의적 이론과 올바른 행동에 대한 결과주의적 이론을 결합한 고전적 공리주의를 정립했다.[184] 헤르만 로체 (1817~1881)는[185] 가치 철학을 발전시켜, 가치가 선을 중심으로 질서 있는 전체로서 세상을 의미 있게 만든다고 주장했다.[186] 로체의 영향을 받은 신 칸트 학파 철학자 빌헬름 빈델반트 (1848~1915)는[187] 철학을 가치 이론으로 이해하며, 보편적인 가치가 지식과 행동의 규범을 포함하여 모든 주체가 따라야 할 원칙을 결정한다고 주장했다.[188] 프리드리히 니체 (1844~1900)는[189] 가치가 인간의 창조물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전통적인 가치, 특히 기독교적 가치를 비판하며 생명 긍정, 힘, 탁월성을 중심으로 하는 모든 가치의 재평가를 요구했다.[190]

20세기 초, 실용주의 철학자 존 듀이 (1859~1952)는[192] 가치론적 자연주의를 옹호했다. 그는 가치와 가치 판단을 구별하며, 올바른 가치 평가 기술은 경험을 통해 배워야 한다고 덧붙였다.[193][v] G. E. 무어 (1873~1958)는[195] 유기적 통일체와 내재적 가치와 외재적 가치의 대조와 같은 다양한 가치론적 개념을 개발하고 정교화했다. 그는 가치의 본질에 대한 비자연주의와 가치의 지식에 대한 직관주의를 옹호했다.[196] W. D. 로스 (1877~1971)는[197] 무어의 직관주의를 받아들이고 더 상세히 설명하며, 이를 사용하여 가치론적 다원주의를 정립했다.[198][w] R. B. 페리 (1876~1957)와[200] 데이비드 프랄 (1886~1940)은[201] 가치가 관심과 호감과 같은 정서적 상태에서 비롯된다는 생각에 기반하여 체계적인 가치 이론을 명확히 했다.[202] 로버트 S. 하트만 (1910~1973)은[203] 형식적 가치론을 개발하며, 가치가 어떤 것이 이상적인 개념을 얼마나 구현하는지를 측정한다고 말했다.[204] A. J. 에이어 (1910~1989)는[205] 가치에 대한 반실재론을 제안하며, 가치 진술은 단지 화자의 승인 또는 비승인을 표현할 뿐이라고 주장했다.[206] J. L. 매키 (1917~1981)가[207] 도입한 다른 유형의 반실재론은 가치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모든 가치 주장은 거짓이라고 제안한다.[208] G. H. 폰 브리히트 (1916~2003)는[209] 좋은 운전자로서의 기술적 좋음과 좋은 식사로서의 쾌락적 좋음과 같이 "좋은"이라는 용어의 다른 의미 또는 종류를 구별하여 개념적 분석을 제공했다.[210]
대륙 철학에서 프란츠 브렌타노 (1838~1917)는[211] 가치에 대한 적절한 태도 이론의 초기 버전을 정립하며, 어떤 것이 사랑과 같이 그것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는 것이 적절하다면 그것은 좋다고 말했다.[212] 1890년대에 그의 제자들인 알렉시우스 마이농 (1853~1920)과[213] 크리스티안 폰 에렌펠스 (1859~1932)는[214] 일반적인 가치 이론에 대한 아이디어를 구상했다.[215] 브렌타노의 또 다른 제자인 에드문트 후설 (1859~1938)은[213] 현상학을 발전시키고 이 접근 방식을 가치 연구에 적용했다.[216] 후설의 접근 방식을 따라, 막스 셸러 (1874~1928)와 니콜라이 하르트만 (1882~1950)은 각각 포괄적인 가치론적 윤리 체계를 제안했다.[217] 가치가 객관적인 실재를 가진다고 주장하며, 그들은 다양한 가치 유형이 어떻게 위계를 형성하는지 탐구하고 이 위계적 관점에서 가치 충돌과 올바른 결정의 문제를 검토했다.[218] 마르틴 하이데거 (1889~1976)는[219] 가치론을 비판하며, 가치를 사물의 측면으로 이해함으로써 잘못된 형이상학적 관점에 의존한다고 주장했다.[220] 실존주의 철학자 장폴 사르트르 (1905~1980)는[221] 가치는 그 자체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능동적으로 창조된다고 제안하며, 이 과정에서 인간의 자유, 책임, 진정성의 역할을 강조했다.[222]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 ↑ 가 나
- Smith & Thomas 1998, Lead section
- Hirose & Olson 2015, 1–2쪽
- Schroeder 2021, Lead section
- ↑
- ↑
- ↑
- Schroeder 2021, Lead section
- Orsi 2015, 6–7쪽
- Bahm 1993, 4쪽
- Cowan 2020, 4쪽
- ↑
- ↑ 가 나
- Schroeder 2021, Lead section
- Orsi 2015, 6–7쪽
- Hurka 2006, 357쪽
- ↑
- ↑
- Grünberg 2000, 11–12쪽
- Hart 1971, 29쪽
- ↑
- Schroeder 2021, Lead section
- Orsi 2015, 6–7쪽
- ↑ Grenz, Guretzki & Nordling 2010, 18쪽
- ↑ Grünberg 2000, 11–12쪽
- ↑ HarperCollins 2022
- ↑ Schroeder 2021, § 1. Basic Questions
- ↑ 가 나
- Orsi 2015, 1쪽
- Rescher 1969, 1쪽
- ↑
- Li 2014, 70쪽
- Schroeder 2021, § 1.1 Varieties of Goodness
- Orsi 2015, 22–23쪽
- Rescher 1969, 13–14, 18쪽
- ↑
- Wiland & Driver 2022, § 2. Moral and Political Philosophy
- Chappell 2013, 188–189쪽
- ↑
- ↑
- Schroeder 2021, § 1.2 Good, Better, Bad, § 2.3 Incommensurability/Incomparability
- Orsi 2015, 122–123쪽
- Tappolet 2015, 82쪽
- Frankena 2006, 636–637쪽
- ↑
- Rescher 1969, 61–62쪽
- Frankena 2006, 636–637쪽
- ↑
- Orsi 2015, 8–9쪽
- Schroeder 2021, § 3. Relation to the Deontic
- ↑ Hurka 2006, 357–358쪽
- ↑ 가 나
- Orsi 2015, 8–9쪽
- Schroeder 2021, § 3. Relation to the Deontic
- Hurka 2006, 357–358쪽
- ↑ 가 나
- Hurka 2006a, 719–720쪽
- Schroeder 2021, § 2.1 Intrinsic Value
- Rønnow-Rasmussen 2015, 29–30쪽
- Zimmerman & Bradley 2019, Lead section
- ↑ 가 나
- Hurka 2006a, 719–720쪽
- Zimmerman & Bradley 2019, § 6. What Is Extrinsic Value?
- ↑ 가 나
- Zimmerman & Bradley 2019, § 2. What Is Intrinsic Value?
- Rønnow-Rasmussen 2015, 30–31쪽
- ↑ Orsi 2015, 31–32쪽
- ↑
- Zimmerman & Bradley 2019, § 1. What Has Intrinsic Value?
- Schroeder 2021, § 2.1 Intrinsic Value
- Heathwood 2015, 140쪽
- ↑ 가 나
- ↑ 가 나
- Zimmerman & Bradley 2019, § 6. What Is Extrinsic Value?
- Zimmerman 2001, 253쪽
- ↑
- Zimmerman & Bradley 2019, § 6. What Is Extrinsic Value?
- Zimmerman 2001, 252쪽
- ↑
- Schroeder 2021, § 2.1 Intrinsic Value
- Zimmerman & Bradley 2019, § 3. Is There Such a Thing As Intrinsic Value At All?, § 6. What Is Extrinsic Value?
- Rønnow-Rasmussen 2015, 29–30쪽
- ↑
- Chan, Gould & Pascual 2018, A1–A2쪽
- Jax 2023, 59–60쪽
- Gupta 2024, 11쪽
- ↑
- Orsi 2015, 45–46쪽
- Schroeder 2021, § 1. Basic Questions
- ↑
- Orsi 2015, 3–4쪽
- Schroeder 2021, § 1. Basic Questions
- Zimmerman 2015, 13–14쪽
- ↑ Silverstein 2016, 227쪽
- ↑ Tiberius 2015, 158쪽
- ↑
- Orsi 2015, 63–64쪽
- Schroeder 2021, § 1. Basic Questions
- Rønnow-Rasmussen 2011, 1–2쪽
- ↑
- Schroeder 2021, § 1.1.1 Good Simpliciter and Good For
- Orsi 2015, 63–65쪽
- ↑
- Sinnott-Armstrong 2023, Lead section
- Haines, Lead section
- Hooker 2023, § 1. Utilitarianism
- ↑
- Orsi 2015, 73–74쪽
- Schroeder 2021, § 3.3 Agent-Relative Value?
- Cullity 2015, 96–97쪽
- ↑
- Orsi 2015, 45–46, 61쪽
- Schroeder 2021, § 1.1.2 Attributive Good
- ↑ Rescher 1969, 13–14쪽
- ↑
- Rescher 1969, 15–16, 18쪽
- Pradhan 2024, 142쪽
- Hartman 2011, 306쪽
- ↑ De Haan 2020, 302쪽
- ↑
- Li 2014, 80–81쪽
- Ollig 1998, Lead section
- Martin 2016, 3–5, 42–43쪽
- ↑
- ↑
- Orsi 2015, 44쪽
- Bahm 1993, 60–63쪽
- Schroeder 2021, § 2.1.1 What is Intrinsic Value?
- Rønnow-Rasmussen 2015, 39–40쪽
- ↑ 가 나
- Zagzebski 2004, 11쪽
- Oddie 2013, Lead section
- ↑
- Frankena 2006, 639–640쪽
- Oddie 2013, Lead section
- ↑ Zagzebski 2004, 11–12쪽
- ↑
- Frankena 2006, 639–640쪽
- Oddie 2013, Lead section, § Do Value Claims Have Truth Makers?
- Oliver 1998
- ↑
- Frankena 2006, 639–640쪽
- Lutz 2023, Lead section, § 1. What Is Moral Naturalism?
- DeLapp, § 4a. Moral Realisms
- FitzPatrick 2011, 7–8쪽
- Ridge 2019, Lead section
- Oliver 1998
- ↑
- Orsi 2015, 35쪽
- Oddie 2013, Lead section
- Bradley 2006, 111–112쪽
- Oliveira 2016, § 1. Introduction
- ↑
- Orsi 2015, 35쪽
- Oddie 2013, Lead section
- Bradley 2006, 111–112, 115쪽
- Oliveira 2016, § 1. Introduction
- ↑
- Orsi 2015, 35–36, 130–131쪽
- Bradley 2006, 111–112쪽
- ↑ Oddie 2013, Lead section, § Are Value Claims Truth Evaluable?, § Value Realism by Degrees: a Flow Chart
- ↑ Oddie 2013, § Are Value Claims Truth Evaluable?, § Quasi-Realism and Creeping Minimalism
- ↑ HarperCollins 2022a
- ↑
- Oddie 2013, § Are Value Claims Truth Evaluable?
- Tappolet 2015, 80쪽
- DeNicola 2019, 267쪽
- Oliver 1998
- ↑
- Tappolet 2015, 80쪽
- Oddie 2013, § Quasi-Realism and Creeping Minimalism
- Oliver 1998
- ↑
- Oddie 2013, § Do Value Claims Have Truth Makers?
- Sayre-McCord 1988, 10쪽
- Zagzebski 2004, 14쪽
- Oliver 1998
- ↑
- Oddie 2013, § Are the Value Facts Mind Independent?
- Oddie 2015, 60–62쪽
- Mander 2016, § 2.3 An Overview
- ↑
- Onof, §6c. An Ethical Dimension
- Landau 2012, 1–2쪽
- ↑
- Oddie 2013, § Are the Value Facts Mind Independent?
- Oddie 2015, 60–62쪽
- ↑
- Oddie 2013, Lead section, § Are the Value Facts Irreducible?, § Value Realism by Degrees: a Flow Chart
- Oddie 2015, 67–68쪽
- Oliver 1998
- Howard 2023, Lead section, § 1.5 Buck Passing
- Suikkanen 2009, 768–769쪽
- ↑
- Hurka 2006, 357쪽
- Oliveira 2016, § 1. Introduction
- Kershnar 2010, 37쪽
- Heathwood 2015, 140쪽
- ↑ de Bres 2014, 336–338쪽
- ↑
- ↑
- Hurka 2006, 359–360쪽
- Moore 2019, § 2. Ethical Hedonism
- ↑
- Tilley 2012, § III. Axiological Hedonism
- Heathwood 2013, § What Determines the Intrinsic Value of a Pleasure or a Pain?
- ↑ Hurka 2006, 360쪽
- ↑
- Hurka 2006, 361쪽
- Moore 2019, § 2.3 Other Arguments Against Ethical Hedonism
- ↑
- Crisp 2021, Lead section, § 5.1 Welfarism
- Hall & Tiberius 2015, 175–176쪽
- Nebel 2024, § Introduction
- Hooker 2015, 15–16쪽
- ↑ Oddie 2017, 49쪽
- ↑
- Hurka 2006, 362–363쪽
- Scanlon 1993, 186–187쪽
- ↑
- ↑ Hurka 2006, 362–363쪽
- ↑
- Hurka 2006, 362–363쪽
- Heathwood 2016, 138–140쪽
- Schroeder 2021, § 3.2 Fitting Attitudes
- Scanlon 1993, 186–187쪽
- ↑
- Shea & Kintz 2022, 461쪽
- Hurka 2006, 364–366쪽
- Wall 2021, Lead section
- Heathwood 2015, 140쪽
- ↑ Hurka 2006, 364쪽
- ↑
- Hurka 2006, 365–366쪽
- Wall 2021, § 1. Perfectionism and Value Theory
- ↑
- ↑
- Heathwood 2015, 136–137, 139–140쪽
- Mason 2023, Lead section
- Schroeder 2021, § 2.2 Monism/Pluralism
- Hurka 2006, 358–359쪽
- ↑
- Mason 2023, Lead section
- Schroeder 2021, § 2.2 Monism/Pluralism
- Heathwood 2015, 145–146쪽
- ↑
- Mason 2023, § 2. The Attraction of Pluralism
- Schroeder 2021, § 2.2 Monism/Pluralism
- ↑ Schroeder 2021, § 2.2.2 Revisionary Commitments?
- ↑ Mason 2023, § 4.4 Accepting Incomparability
- ↑
- Mason 2023, § 4. Pluralism and Rational Choice
- Hsieh & Andersson 2021, Lead section, § 4. Deliberation and Choice
- ↑
- ↑
- Perrin 1991, 69, 73–74, 76–80쪽
- Davis & Steinbock 2024, § 3. Value Personalism
- ↑ Perrin 1991, 76–80쪽
- ↑
- Heathwood 2015, 142–143쪽
- Hsieh & Andersson 2021, § 1.2 Incommensurable or Incomparable?
- ↑ Hsieh & Andersson 2021, § 1.2 Incommensurable or Incomparable?
- ↑
- Mason 2023, § 4.4 Accepting Incomparability
- Hsieh & Andersson 2021, § 3.2 Moral Dilemmas?
- Heathwood 2015, 142–143쪽
- ↑
- Mason 2023, § 4.4 Accepting Incomparability
- Hsieh & Andersson 2021, § 1.2 Incommensurable or Incomparable?
- Cherniss & Hardy 2023, § 4.1 Berlin’s Definition of Value Pluralism
- ↑
- Mason 2023, § 4. Pluralism and Rational Choice
- Hsieh & Andersson 2021, § 1.2 Incommensurable or Incomparable?
- ↑
- Oddie 2001, 313, 318쪽
- Dancy 2004, 188쪽
- ↑ Hurka 2021, § 4. The Ideal
- ↑
- Oddie 2001, 313, 318쪽
- Dancy 2004, 176–177쪽
- ↑
- ↑
- ↑ 가 나
- ↑
- Metz 2023, Lead section
- Cowan 2020, 25–26쪽
- Groothuis 2020, 160–162쪽
- ↑
- Metz 2023, § 3. Naturalism
- Cowan 2020, 25–26쪽
- Yalom 2020, 431–435쪽
- ↑
- Metz 2023, § 2. Supernaturalism
- Groothuis 2020, 162–164쪽
- Seachris, § 3. Theories of Meaning in Life
- ↑
- Metz 2023, 4. Nihilism
- Pratt, § 3. Existential Nihilism
- Crosby 1998, § Existential Nihilism
- Groothuis 2020, 165–169쪽
- Crosby 1988, 30–32쪽
- ↑
- ↑
- Stratton-Lake 2020, § 1.1 Intuition
- Audi 2004, 2, 5쪽
- Martin 2002, 166쪽
- Li 2014, 4–5쪽
- Dabbagh 2022, 53쪽
- ↑
- Martin 2002, 166쪽
- Zaibert 2018, 37–38쪽
- Brown & Fehige 2019, Lead Section
- Goffi & Roux 2011, 165, 168–169쪽
- ↑
- ↑
- Davis & Steinbock 2024, § 3. Value Personalism
- Direk 2014, 371–372쪽
- Grünberg 1990, 199–201쪽
- Hart 1997, 1–2, 6–7쪽
- ↑
- Smith, § b. Phenomenological Reduction
- Staiti 2020, 368–369쪽
- ↑
- Moritz 1972, 33–46쪽
- Schroeder 2021, § Basic Questions
- ↑ 가 나
- Laskowski & Finlay 2017, 537–539쪽
- Chrisman 2016, 79쪽
- ↑
- Schwartz & Cieciuch 2016, 109–113쪽
- Schwartz 외. 2012, 669쪽
- ↑
- Schwartz & Cieciuch 2016, 106, 108쪽
- Hiles 2008, 53쪽
- Karp 2000, Lead section
- ↑
- Schwartz & Cieciuch 2016, 106–107쪽
- Powe 2007, 123쪽
- ↑
- Schwartz & Cieciuch 2016, 109–113쪽
- Karp 2000, Lead section, § The Rokeach tradition, § The Schwartz Scale of Values
- ↑
- Norman 2005, 622쪽
- Nagel 2006, Lead section
- Crisp 2011, § 1. Ethics and Metaethics
- ↑
- Schroeder 2021, Lead section
- Orsi 2015, 6–7쪽
- Bahm 1993, 4쪽
- Cowan 2020, 4쪽
- Hurka 2006, 357–358쪽
- ↑
- Findlay 1970, 1–2, 4쪽
- Kupperman 2005, 73–74쪽
- ↑
- Sinnott-Armstrong 2023, Lead section
- Crisp 2005, 200–201쪽
- Alexander & Moore 2021, § 1. Deontology's Foil: Consequentialism
- ↑ Dorsey 2020, 97–98쪽
- ↑
- Sinnott-Armstrong 2023, § 1. Classic Utilitarianism
- Chenneville 2017, 5쪽
- Hearn 1971, 2쪽
- ↑
- ↑
- ↑
- Pirgmaier 2021, 1, 8–9쪽
- Ayres 2023, 104쪽
- ↑
- ↑
- Pirgmaier 2021, 2–3쪽
- Ayres 2023, 104쪽
- ↑
- Moseley 2023, 48쪽
- Pirgmaier 2021, 7–8쪽
- ↑
- ↑
- ↑
- ↑
- Karp 2000, Lead section
- Steinert 2023, 33–34, 37, 39–40쪽
- Tormos 2019, 11쪽
- ↑
- Karp 2000, Lead section, § Social Values
- Steinert 2023, 39–40, 47쪽
- ↑
- Karp 2000, Lead section, § The Rokeach Tradition, § The Schwartz Scale of Values
- Tormos 2019, 13–15쪽
- ↑
- ↑
- Robbins 2023, § Foundations of Value Theory, § A Third Approach to Value
- Steinert 2023, 53–54, 56, 58쪽
- ↑
- Steinert 2023, 3, 55쪽
- Robbins 2023, § Foundations of Value Theory
- Sykes 2016, § Introduction
- ↑
- Steinert 2023, 54쪽
- Robbins 2023, § Foundations of Value Theory
- ↑
- Robbins 2023, § Foundations of Value Theory
- Sykes 2016, § Introduction, § General Overviews
- Steinert 2023, 3, 61–62쪽
- ↑
- Karp 2000, §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 Fatehi, Priestley & Taasoobshirazi 2020, 7–9쪽
- Kim 2002, 22쪽
- Serna & Martínez 2022, 423쪽
- ↑
- ↑
- Steinert 2023, 7–8쪽
- Schwartz & Cieciuch 2016, 106–107쪽
- ↑ Steinert 2023, 14, 19–20쪽
- ↑
- Steinert 2023, 4, 11–12쪽
- Schwartz & Cieciuch 2016, 106쪽
- ↑
- Steinert 2023, 11–12쪽
- Schwartz & Cieciuch 2016, 106쪽
- ↑
- Steinert 2023, 12–13쪽
- Schwartz & Cieciuch 2016, 106–107쪽
- ↑
- Steinert 2023, 13–15쪽
- Schwartz & Cieciuch 2016, 107–108쪽
- ↑
- Frankena 2006, 636–637쪽
- Li 2014, 3쪽
- Chang 2001, 68–69쪽
- ↑ Dehsen 2013, 178쪽
- ↑
- ↑ Dehsen 2013, 156쪽
- ↑
- Honderich 2005, 349쪽
- Bahm 1993, 112쪽
- ↑ Dehsen 2013, 13쪽
- ↑
- Hiles 2008, 52–53쪽
- Frankena 2006, 639쪽
- Crisp 2005a, 349쪽
- ↑
- O'Keefe, § 5. Ethics
- Gaskin 2005, 258쪽
- Frankena 2006, 639쪽
- ↑
- Durand, Shogry & Baltzly 2023, § 4. Ethics
- Pigliucci, § 3. The Third Topos: Ethics, § 4. Apatheia and the Stoic Treatment of Emotions
- McDonald 2021, 38쪽
- ↑
- Bahm 1993, 103쪽
- Darr 2023, 108쪽
- Emilsson 1998, Lead section
- ↑ 가 나
- Ebrey 2010, 43쪽
- Sim 2015, 64, 74쪽
- Richey, § 6. Self-cultivation
- Littlejohn, § 1b. Confucius (551-479 B.C.E.) of the Analects
- ↑ Borgolte 2019, 97쪽
- ↑
- Sharma 1999, 230쪽
- Bartley 2020, 37–38, 136쪽
- ↑
- Ranganathan, § 1a.iii. Puruṣārthas : dharma, artha, kāma and mokṣa
- Sharma 1999, 223–225, 230쪽
- Bailey 2011
- ↑ Sharma 1999, 230쪽
- ↑
- Wilson 2010
- Lougheed 2020, 243–244쪽
- Prasad 2007, xiii–xiv, 21, 23쪽
- ↑ Chan 2018, Lead section, § 2. Date and Authorship of the Laozi
- ↑
- Assandri 2021, 70–71쪽
- Slingerland 2007, 77쪽
- Chan 2018, Lead section
- Lobel 2017, 297쪽
- ↑ Dehsen 2013, 16쪽
- ↑
- Bahm 1993, 112쪽
- Frankena 2006, 639쪽
- Darr 2023, 108쪽
- ↑ Dehsen 2013, 185쪽
- ↑
- ↑ Dehsen 2013, 19쪽
- ↑ McGinnis 2010, 209–210쪽
- ↑
- Berthrong, § 3. The Emergence of Neo-Confucianism
- Hartman 1998
- ↑ Dehsen 2013, 88쪽
- ↑
- Hardin 2009, 6–7, 12, 16, 173, 177–179쪽
- Abelson & Nielsen 2006, § Hobbes
- Cowan 2020, 197, 210–211, 220쪽
- ↑ Dehsen 2013, 91쪽
- ↑
- Hardin 2009, 29, 51, 173, 177쪽
- Li 2014, 3쪽
- ↑ Dehsen 2013, 105쪽
- ↑
- Engstrom 1992, 747쪽
- Johnson & Cureton 2024, § 1. Aims and Methods of Moral Philosophy, § 2. Good Will, Moral Worth and Duty
- Direk 2014, 373–374쪽
- ↑ Dehsen 2013, 25쪽
- ↑ Dehsen 2013, 132쪽
- ↑
- Frankena 2006, 639쪽
- Sinnott-Armstrong 2023, § 1. Classic Utilitarianism
- Chenneville 2017, 5쪽
- Hearn 1971, 2쪽
- ↑ Woodward 2015, i쪽
- ↑
- Sullivan 2023, § 5.3 Value Theory
- Li 2014, 3쪽
- Sullivan 1998, § 4. Metaphysics
- Milkov, § 3a. Ethics
- Frankena 2006, 636쪽
- ↑ Dafermos 2018, 20쪽
- ↑
- Heis 2018, § 3.1 Conception of Philosophy: Philosophy as Theory of Value
- Kinzel 2024, § 2. From Kant to the Philosophy of Values
- Hiles 2008, 52쪽
- ↑ Dehsen 2013, 144쪽
- ↑
- Frankena 2006, 636, 639쪽
- Li 2014, 4쪽
- Anderson 2024, § 3. Value Creation
- Hiles 2008, 52쪽
- Direk 2014, 374, 378쪽
- ↑
- Frankena 2006, 637–638쪽
- Ylirisku & Arvola 2018, 53쪽
- ↑ Dehsen 2013, 52쪽
- ↑
- Hart 1971, 36–38쪽
- Marcum 2008, 192쪽
- ↑ Hart 1971, 37–38쪽
- ↑ Bunnin & Yu 2009, 443쪽
- ↑
- Findlay 1970, 2, 37–38, 41쪽
- Dancy 2004, 165쪽
- Hart 1971, 33쪽
- ↑ Kunnan 2020, 86쪽
- ↑
- Mason 2023, § 1.1 Foundational and Non-foundational Pluralism
- Simpson, Lead section, § 6. Ross’s Ethical Theory: Main Components and Principles
- Findlay 1970, 2쪽
- ↑ Mason 2023, § 1.1 Foundational and Non-foundational Pluralism
- ↑ Anderson 2013, 222쪽
- ↑ Townsend 2006, xvi쪽
- ↑
- Hart 1971, 31쪽
- Frankena 2006, 637쪽
- ↑ Edwards & Hartman 2023, 173쪽
- ↑
- Edwards 2021, 3–4쪽
- Hartman 2011, 105–106쪽
- ↑ Tuboly 2021, 2쪽
- ↑ Hart 1971, 34–35쪽
- ↑ Bunnin & Yu 2009, 406쪽
- ↑ Sayre-McCord 1988, 11–12쪽
- ↑ Rosenkrantz & Hoffman 2011, 332쪽
- ↑
- Frankena 2006, 637–638쪽
- Ylirisku & Arvola 2018, 53쪽
- ↑ Kriegel 2018, 2쪽
- ↑
- ↑ 가 나 Kuijper 2022, 298쪽
- ↑ Zimmer 2017, 135쪽
- ↑
- Frankena 2006, 637쪽
- Hart 1971, 30–31쪽
- ↑
- Frankena 2006, 637쪽
- Direk 2014, 371–372쪽
- ↑
- Frankena 2006, 637쪽
- Findlay 1970, 2쪽
- Hart 1971, 32쪽
- Direk 2014, 371–372쪽
- Løgstrup 2020, 105쪽
- ↑
- Frankena 2006, 637–639쪽
- Findlay 1970, 2쪽
- Hart 1971, 32쪽
- ↑ Dehsen 2013, 83쪽
- ↑
- Direk 2014, 372–373, 384–386쪽
- Findlay 1970, 2–3쪽
- Sullivan 2023, § 5.3 Value Theory
- ↑ Dehsen 2013, 168쪽
- ↑
- Abelson & Nielsen 2006, 426–428쪽
- Direk 2014, 384–385쪽
- 내용주
- ↑ 또 다른 견해는 공리론을 더 넓은 분야로 보고, 가치론은 가치의 본질에 관한 질문으로 제한한다.[11]
- ↑ 가치라는 용어는 다른 의미도 가지고 있는데, 예를 들어 수학 변수가 가지고 있는 정보나 양을 표현하는 수학 변수의 가치와 같은 것이다.[13] 가치론은 어떤 면에서 선하거나 악한 것에 대한 평가적 의미로만 관심을 가진다.[14]
- ↑ G. E. M. 앤스콤, 필리파 풋, 아이리스 머독과 같은 일부 철학자들은 순수한 얇은 평가적 용어는 없다고 주장했다.[17]
- ↑ 이 사고 실험의 비판자들은 그것이 본래적 가치의 본질에 대한 논란의 여지가 있는 가정에 의존하며 모든 경우에 적용될 수 없다고 주장한다.[27]
- ↑ 사회과학에서 일부 연구는 인간과 자연 간의 관계의 가치를 이해하기 위해 관계적 가치 개념에 의존한다. 이 견해에 따르면, 관계적 가치는 내재적 가치도 도구적 가치도 아닌 독특한 유형의 가치이다.[33]
- ↑ 사려 깊은 가치는 개인에게 좋은 것을 의미하는 밀접하게 관련된 개념이다.[37]
- ↑ 결과주의는 규범윤리학의 한 이론이다. 행동이 옳은지 여부는 그 결과에 달려 있다고 말한다.[40]
- ↑ 스콜라주의에서 이들은 초월자로 알려져 있으며 존재의 근본적인 측면으로 간주된다.[45]
- ↑ 이 입장이 도덕 영역으로만 제한될 경우 도덕 실재론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윤리학에서 영향력 있는 입장이다.[49]
- ↑ 이 견해는 때때로 급진적 허무주의라고 불린다.[58]
- ↑ 이는 가치 진술이 참도 거짓도 아니라는 것을 의미한다.[59]
- ↑ 투사주의는 가치가 감정의 세계로의 투사라고 주장하는 밀접하게 관련된 견해이다.[61]
- ↑ 이 견해는 이 명칭 아래의 관련 이론들과 구별하기 위해 때때로 가치론적 쾌락주의라고 불린다.[68]
- ↑ 질적 쾌락주의자들은 쾌락의 질이 강도와 지속 시간 외에 그 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추가적인 요인이라고 주장한다. 일부는 미술과 철학을 즐기는 것과 같은 정신의 고차원적 쾌락을 음식과 음료를 즐기는 것과 같은 육체의 저차원적 쾌락과 구별한다.[71]
- ↑ 일부 이론가들은 욕구 만족과 욕구 충족을 동의어로 사용하지만, 다른 이론가들은 이들을 구별한다. 후자의 관점에 따르면, 욕구 만족은 욕구가 만족된다는possibly false 믿음을 포함하는 주관적인 상태이다. 욕구 충족은 원하는 결과가 실제로 존재할 때 존재하는 객관적인 상태이며, 심지어 개인이 그것을 알지 못하더라도 그렇다.[75]
- ↑ 일부 욕구 이론은 일반적으로 선함을 설명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반면, 다른 이론은 특정 개인에게 좋은 것으로 제한한다.[76]
- ↑ 어떤 곳에서 셸러는 다섯 단계 대신 네 단계(감각적, 생명적, 영적, 신성한)에 대해 이야기한다.[92]
- ↑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이는 한 가치가 다른 가치보다 좋지도 나쁘지도 않고, 다른 가치만큼 좋지도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94]
- ↑ 무어의 고립 시험은 본래적 가치에 대한 또 다른 영향력 있는 사고 실험이다.[26]
- ↑ 이 문제는 무어의 논란이 되는 열린 질문 논증의 주요 주제이다.[115]
- ↑ 이 시기는 전통적인 출처에서 주어진다. 일부 현대 학자들은 더 늦은 날짜를 제안하거나 그러한 이름의 단일 인물이 있었는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다.[167]
- ↑ 클라렌스 어빙 루이스 (1883~1964)는 듀이의 통찰 중 많은 부분을 받아들이고 더 상세히 설명했다.[194]
- ↑ 로스는 주로 다른 유형의 일견 의무에 대한 그의 의무론적 다원주의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다른 유형의 가치에 대한 그의 가치론적 다원주의와 관련이 있지만 동일하지는 않다.[199]
출처
[편집]- Abelson, Raziel; Nielsen, Kai (2006). 〈Ethics, History of〉. Borchert, Donald M. 《Encyclopedia of Philosophy》 3 2판. Macmillan. 394–433쪽. ISBN 978-0-02-866072-1.
- Alexander, Larry; Moore, Michael (2021). “Deontological Ethics”.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23년 6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12월 30일에 확인함.
- Anderson, Douglas R. (2013). 〈Peirce: Pragmatism and Nature after Hegel〉. Schrift, Alan D. 《The History of Continental Philosophy》 (영어) 2.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17–238쪽. ISBN 978-0-226-74049-2.
- Anderson, R. Lanier (2024). “Friedrich Nietzsche”.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18년 9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9월 18일에 확인함.
- Arneson, Pat (2009). 〈Axiology〉. Littlejohn, Stephen W.; Foss, Karen A. 《Encyclopedia of Communication Theory》 (영어). Sage. 69–73쪽. ISBN 978-1-4129-5937-7.
- Assandri, Friederike (2021). 《The Daode Jing Commentary of Cheng Xuanying: Daoism, Buddhism, and the Laozi in the Tang Dynasty》 (영어).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087645-6.
- Audi, Robert (2004). 《The Good in the Right: A Theory of Intuition and Intrinsic Value》 (영어). Princeton University Press. ISBN 978-1-4008-2607-0.
- Ayres, Robert U. (2023). 《The History and Future of Economics》 (영어). Springer. ISBN 978-3-031-26208-1.
- Bahm, Archie J. (1993). 《Axiology: The Science of Values》 (영어). Rodopi. ISBN 978-90-5183-519-9.
- Bailey, Greg (2011). “Puruṣārthas”. 《Oxford Bibliographies》 (영어). Oxford University Press. doi:10.1093/obo/9780195399318-0044. 2024년 9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9월 20일에 확인함.
- Bartley, Christopher (2020). 《Indian Philosophy A–Z》 (영어). Edinburgh University Press. ISBN 978-0-7486-8084-9.
- Berthrong, John H. “Neo-Confucian Philosophy”. 《Internet Encyclopedia of Philosophy》. 2024년 2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9월 17일에 확인함.
- Bhushan, Vidya; Sachdeva, D. R. (2012). 《Fundamentals of Sociology》 (영어). Pearson Education India. ISBN 978-81-317-9967-3.
- Black, John; Hashimzade, Nigar; Myles, Gareth (2009). 〈Marginal Utility〉. 《A Dictionary of Economics》 (영어).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923704-3. 2024년 9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9월 14일에 확인함.
- Borgolte, Michael (2019). 《World History as the History of Foundations, 3000 BCE to 1500 CE》 (영어). Brill. ISBN 978-90-04-41508-9.
- Bradley, Ben (2006). “Two Concepts of Intrinsic Value”. 《Ethical Theory and Moral Practice》 9 (2): 111–130. doi:10.1007/s10677-006-9009-7.
- Brown, James Robert; Fehige, Yiftach (2019). “Thought Experiments”.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17년 11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0월 29일에 확인함.
- Bunnin, Nicholas; Yu, Jiyuan (2009). 《The Blackwell Dictionary of Western Philosophy》 (영어). John Wiley & Sons. ISBN 978-1-4051-9112-8. 2024년 1월 3일에 확인함.
- Chan, Alan (2018). “Laozi”.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23년 5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9월 20일에 확인함.
- Chan, Kai MA; Gould, Rachelle K; Pascual, Unai (2018). “Editorial overview: Relational Values: What Are They, and What's the Fuss about?”. 《Current Opinion in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35: A1–A7. Bibcode:2018COES...35A...1C. doi:10.1016/j.cosust.2018.11.003. hdl:10810/47635.
- Chang, Jiang (2001). 〈Axiology and Ethics: Past, Present, and Future〉. 《The Future of Value Inquiry》 (영어). Brill. 67–73쪽. ISBN 978-90-04-49451-0. 2024년 4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9월 21일에 확인함.
- Chappell, Timothy (2013). 〈10. There Are No Thin Concepts〉. Kirchin, Simon. 《Thick concepts》 1판. Oxford University Press. 182–196쪽. ISBN 978-0-19-967234-9.
- Chenneville, Tiffany (2017). 〈Ethics and Social Justice: A Review of Theoretical Frameworks and Pedagogical Considerations〉. Liston, Delores D.; Rahimi, Regina. 《Promoting Social Justice through the Scholarship of Teaching and Learning》 (영어). Indiana University Press. 3–14쪽. ISBN 978-0-253-03132-7.
- Cherniss, Joshua; Hardy, Henry (2023). “Isaiah Berlin”.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23년 6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9월 9일에 확인함.
- Chrisman, Matthew (2016). 《What is this Thing Called Metaethics?》 (영어). Taylor & Francis. ISBN 978-1-315-43832-0.
- Cowan, Steven B. (2020). 〈Introduction to Part One〉. Cowan, Steven B. 《Problems in Value Theory: An Introduction to Contemporary Debates》 (영어). Bloomsbury Publishing. 17–27쪽. ISBN 978-1-350-14741-6.
- Crisp, Roger (2005). 〈Deontological Ethics〉. Honderich, Ted. 《The Oxford Companion to Philosophy》. Oxford University Press. 200–201쪽. ISBN 978-0-19-926479-7.
- Crisp, Roger (2005a). 〈Good, Greatest〉. Honderich, Ted. 《The Oxford Companion to Philosophy》. Oxford University Press. 349쪽. ISBN 978-0-19-926479-7.
- Crisp, Roger (2011). 〈Ethics〉. 《Routledge Encyclopedia of Philosophy》 (영어). Routledge. doi:10.4324/9780415249126-L132-2. ISBN 978-0-415-25069-6. 2023년 8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1월 7일에 확인함.
- Crisp, Roger (2021). “Well-Being”.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24년 12월 15일에 확인함.
- Crosby, Donald A. (1988). 《The Specter of the Absurd: Sources and Criticisms of Modern Nihilism》 (영어). SUNY Press. ISBN 978-0-88706-719-8.
- Crosby, Donald A. (1998). 〈Nihilism〉. 《Routledge Encyclopedia of Philosophy》 (영어). Routledge. doi:10.4324/9780415249126-N037-1. ISBN 978-0-415-25069-6.
- Cullity, Garrett (2015). 〈Neutral and Relative Value〉. Hirose, Iwao; Olson, Jonas. 《The Oxford Handbook of Value Theory》 (영어). Oxford University Press. 96–116쪽. ISBN 978-0-19-022143-0.
- Dabbagh, Hossein (2022). 《The Moral Epistemology of Intuitionism: Neuroethics and Seeming States》 (영어). Bloomsbury Publishing. ISBN 978-1-350-29758-6.
- Dafermos, Manolis (2018). 《Rethinking Cultural-Historical Theory: A Dialectical Perspective to Vygotsky》 (영어). Springer Nature Singapore. ISBN 978-981-13-0191-9.
- Dancy, Jonathan (2004). 《Ethics Without Principles》 (영어).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927002-6.
- Darr, Ryan (2023). 《The Best Effect: Theology and the Origins of Consequentialism》 (영어). University of Chicago Press. ISBN 978-0-226-82999-9.
- Davis, Zachary; Steinbock, Anthony (2024). “Max Scheler”.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24년 9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9월 8일에 확인함.
- de Bres, Helena (2014). 〈Hedonism〉. Mandle, Jon; Reidy, David A. 《The Cambridge Rawls Lexic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336–338쪽. ISBN 978-0-521-19294-1. 2024년 9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9월 9일에 확인함.
- De Haan, Daniel D. (2020). 〈Beauty and Aesthetic Perception in Thomas Aquinas〉. Ramos, Alice M. 《Beauty and the Good: Recovering the Classical Tradition from Plato to Duns Scotus》 (영어). CUA Press. 288–318쪽. ISBN 978-0-8132-3353-6.
- Dehsen, Christian von (2013). 《Philosophers and Religious Leaders》 (영어). Routledge. ISBN 978-1-135-95102-3.
- DeLapp, Kevin M. “Metaethics”. 《Internet Encyclopedia of Philosophy》. 2024년 1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12월 19일에 확인함.
- DeNicola, Daniel R. (2019). 《Moral Philosophy: A Contemporary Introduction》 (영어). Broadview Press. ISBN 978-1-77048-704-8.
- Devettere, Raymond J. (2002). 《Introduction to Virtue Ethics: Insights of the Ancient Greeks》 (영어). Georgetown University Press. ISBN 978-1-58901-817-4.
- Direk, Zeynep (2014). “Phenomenology and Ethics: From Value Theory to an Ethics of Responsibility”. 《Studia Phaenomenologica》 14: 371–393. doi:10.5840/studphaen20141418. 2024년 9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9월 22일에 확인함.
- Dorsey, Dale (2020). 〈Consequences〉. Portmore, Douglas W. 《The Oxford Handbook of Consequentialism》 (영어). Oxford University Press. 93–112쪽. ISBN 978-0-19-090534-7. 2024년 1월 3일에 확인함.
- Durand, Marion; Shogry, Simon; Baltzly, Dirk (2023). “Stoicism”.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18년 9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9월 20일에 확인함.
- Ebrey, Patricia Buckley (2010). 《The Cambridge Illustrated History of China》 (영어).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12433-1.
- Edwards, Rem B. (2021). 〈1. Introduction〉. 《Formal Axiology and Its Critics》 (영어). Brill. 1–8쪽. ISBN 978-90-04-49596-8. JSTOR 10.1163/j.ctv20dsb9p.5. 2024년 9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9월 9일에 확인함.
- Edwards, Rem; Hartman, Robert S. (2023). Poff, Deborah C.; Michalos, Alex C., 편집. 《Encyclopedia of Business and Professional Ethics》 (영어). Springer. ISBN 978-3-030-22767-8.
- Emilsson, Eyjólfur Kjalar (1998). 〈Plotinus (AD 204/5–70)〉. 《Routledge Encyclopedia of Philosophy》. Routledge. doi:10.4324/9780415249126-A090-1. ISBN 978-0-415-25069-6. 2024년 9월 20일에 확인함.
- Engstrom, Stephen (1992). “The Concept of the Highest Good in Kant's Moral Theory”. 《Philosophy and Phenomenological Research》 52 (4): 747–780. doi:10.2307/2107910. JSTOR 2107910.
- Fatehi, Kamal; Priestley, Jennifer L; Taasoobshirazi, Gita (2020). “The Expanded View of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One, Two, or Four Dimens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Cross Cultural Management》 20 (1): 7–24. doi:10.1177/1470595820913077.
- Findlay, John Niemeyer (1970). 《Axiological Ethics》 (영어). Macmillan. ISBN 978-0-333-00269-8.
- FitzPatrick, William J. (2011). 〈Ethical Non-Naturalism and Normative Properties〉. Brady, Michael. 《New Waves in Metaethics》 (영어). Palgrave Macmillan. 7–35쪽. doi:10.1057/9780230294899_2. ISBN 978-0-230-29489-9. 2024년 2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12월 22일에 확인함.
- Fluehr-Lobban, Carolyn (2013). 《Ethics and Anthropology: Ideas and Practice》 (영어). AltaMira Press. ISBN 978-0-7591-2188-1.
- Frankena, William K. (2006). 〈Value and Valuation〉. Borchert, Donald M. 《Encyclopedia of Philosophy》 9 2판. Macmillan. 636–641쪽. ISBN 978-0-02-865789-9.
- Fraser, Ian (2009). 〈Exchange Value〉. 《The Concise Oxford Dictionary of Politics》 (영어).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920780-0. 2024년 9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9월 14일에 확인함.
- Gaskin, J. C. A. (2005). 〈Epicurus〉. Honderich, Ted. 《The Oxford Companion to Philosophy》. Oxford University Press. 258쪽. ISBN 978-0-19-926479-7.
- Gill, Robin (2024). 《Human Perfection, Transfiguration and Christian Ethics》 (영어).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1-009-47674-4.
- Goffi, Jean-Yves; Roux, Sophie (2011). “On the Very Idea of a Thought Experiment”. 《Thought Experiments in Methodological and Historical Contexts》 (Brill): 165–191. doi:10.1163/ej.9789004201767.i-233.35. ISBN 978-90-04-20177-4. S2CID 260640180. 2021년 10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4월 18일에 확인함.
- Grenz, Stanley J.; Guretzki, David; Nordling, Cherith Fee (2010). 《Pocket Dictionary of Theological Terms》 (영어). InterVarsity Press. ISBN 978-0-8308-6707-3.
- Groothuis, Douglas (2020). 〈The Meaning of Life Is Found in God〉. Cowan, Steven B. 《Problems in Value Theory: An Introduction to Contemporary Debates》 (영어). Bloomsbury Publishing. 160–170쪽. ISBN 978-1-350-14741-6.
- Grünberg, Ludwig (1990). 〈The Phenomenology of Value and the Value of Phenomenology〉. Tymieniecka, Anna-Teresa. 《The Moral Sense and its Foundational Significance: Self, Person, Historicity, Community: Phenomenological Praxeology and Psychiatry》 (영어). Springer. 199–206쪽. ISBN 978-94-009-0555-9.
- Grünberg, Ludwig (2000). 《The Mystery of Values: Studies in Axiology》 (영어). Rodopi. ISBN 978-90-420-0670-6.
- Gupta, Abhik (2024). 《Many Layers of Ecocentrism: Revering Life, Revering the Earth》 (영어). Taylor & Francis. ISBN 978-1-040-03034-9.
- Haines, William. “Consequentialism and Utilitarianism”. 《Internet Encyclopedia of Philosophy》. 2023년 12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12월 28일에 확인함.
- Hall, Alicia; Tiberius, Valerie (2015). 〈Well-Being and Subject Dependence〉. Fletcher, Guy. 《The Routledge Handbook of Philosophy of Well-Being》 (영어). Routledge. 175–186쪽. ISBN 978-1-317-40265-7.
- Hardin, Russell (2009). 《David Hume: Moral and Political Theorist》 (영어).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161013-4.
- HarperCollins (2022). “Value”. 《The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entry》. HarperCollins. 2024년 9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8월 28일에 확인함.
- HarperCollins (2022a). “Truth Value”. 《The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HarperCollins. 2024년 9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9월 8일에 확인함.
- Hart, Samuel L. (1971). “Axiology – Theory of Values”. 《Philosophy and Phenomenological Research》 32 (1): 29–41. doi:10.2307/2105883. JSTOR 2105883.
- Hart, James G. (1997). 〈Introduction〉. Hart, James G.; Embree, Lester. 《Phenomenology of Values and Valuing》. Contributions to Phenomenology (영어) 28. Springer. 1–9쪽. doi:10.1007/978-94-017-2608-5_1. ISBN 978-94-017-2608-5. 2024년 9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9월 16일에 확인함.
- Hartman, Charles (1998). 〈Han Yu (768–824)〉. 《Routledge Encyclopedia of Philosophy》. Routledge. doi:10.4324/9780415249126-G034-1. ISBN 978-0-415-25069-6. 2024년 3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9월 17일에 확인함.
- Hartman, Robert S. (2011). 《The Structure of Value: Foundations of Scientific Axiology》 (영어). Wipf and Stock Publishers. ISBN 978-1-7252-3067-5.
- Hearn, Thomas K. (1971). 〈Introduction〉. 《Studies in Utilitarianism》 (영어). Appleton-Century-Crofts. 1–14쪽. OCLC 149211.
- Heathwood, Chris (2013). 〈Hedonism〉. 《The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Ethics》 (영어) 1판. Wiley. doi:10.1002/9781444367072.wbiee780. ISBN 978-1-4051-8641-4.
- Heathwood, Chris (2015). 〈Monism and Pluralism about Value〉. Hirose, Iwao; Olson, Jonas. 《The Oxford Handbook of Value Theory》 (영어). Oxford University Press. 136–157쪽. ISBN 978-0-19-022143-0.
- Heathwood, Chris (2016). 〈11. Desire-fulfillment Theory〉. Fletcher, Guy. 《The Routledge Handbook of Philosophy of Well-Being》 (영어). Routledge. 135–147쪽. ISBN 978-1-317-40264-0.
- Heinaman, Robert (2016). 《Plato and Aristotle's Ethics》 (영어). Taylor & Francis. ISBN 978-1-351-91076-7.
- Heis, Jeremy (2018). “Neo-Kantianism”.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19년 8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9월 18일에 확인함.
- Hiles, David R. (2008). 〈Axiology〉. Given, Lisa M. 《The Sage Encyclopedia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L》 (영어) 1. Sage. 52–56쪽. ISBN 978-1-4129-4163-1.
- Hirose, Iwao (2015). 《Moral Aggregation》 (영어).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993368-6.
- Hirose, Iwao; Olson, Jonas (2015). 〈Introduction to Value Theory〉. Hirose, Iwao; Olson, Jonas. 《The Oxford Handbook of Value Theory》 (영어). Oxford University Press. 1–12쪽. ISBN 978-0-19-022143-0.
- Holtug, Nils (2015). 〈Theories of Value Aggregation: Utilitarianism, Egalitarianism, Prioritarianism〉. Hirose, Iwao; Olson, Jonas. 《The Oxford Handbook of Value Theory》 (영어). Oxford University Press. 267–284쪽. ISBN 978-0-19-022143-0.
- Honderich, Ingrid Coggin (2005). 〈Good, Form of the〉. Honderich, Ted. 《The Oxford Companion to Philosophy》. Oxford University Press. 349쪽. ISBN 978-0-19-926479-7.
- Hooker, Brad (2015). “The Elements of Well-Being”. 《Journal of Practical Ethics》 3 (1). SSRN 2624595.
- Hooker, Brad (2023). “Rule Consequentialism”.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24년 2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12월 29일에 확인함.
- Howard, Christopher (2023). “Fitting Attitude Theories of Value”.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25년 4월 25일에 확인함.
- Hsieh, Nien-hê; Andersson, Henrik (2021). “Incommensurable Values”.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24년 9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9월 6일에 확인함.
- Hurka, Thomas (2006). 〈13. Value Theory〉. Copp, David. 《The Oxford Handbook of Ethical Theory》 (영어). Oxford University Press. 357–379쪽. ISBN 978-0-19-514779-7.
- Hurka, Thomas (2006a). 〈Intrinsic Value〉. Borchert, Donald M. 《Encyclopedia of Philosophy》 4 2판. Macmillan. 719–720쪽. ISBN 978-0-02-866072-1.
- Hurka, Thomas (2021). “Moore's Moral Philosophy”.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23년 3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9월 21일에 확인함.
- Jax, Kurt (2023). 《Conservation Concepts: Rethinking Human–Nature Relationships》 (영어). Taylor & Francis. ISBN 978-1-000-99354-7.
- Johnson, Robert; Cureton, Adam (2024). “Kant's Moral Philosophy”.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24년 2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9월 18일에 확인함.
- Karp, David R. (2000). 〈Values Theory and Research〉. Borgatta, Edgar F.; Montgomery, Rhonda J. V. 《Encyclopedia of Sociology》 2판. Macmillan. ISBN 978-0-02-864853-8. 2024년 9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9월 14일에 확인함.
- Kershnar, Stephen (2010). 《Desert and Virtue: A Theory of Intrinsic Value》 (영어). Rowman & Littlefield. ISBN 978-0-7391-3936-3.
- Kim, Min-Sun (2002). 《Non-Western Perspectives on Human Communication: Implications for Theory and Practice》 (영어). Sage. ISBN 978-0-7619-2351-0.
- Kinneging, Andreas (2011). 〈Hartmann's Platonic Ethics〉. Poli, Roberto; Scognamiglio, Carlo; Tremblay, Frederic. 《The Philosophy of Nicolai Hartmann》 (영어). Walter de Gruyter. 195–220쪽. ISBN 978-3-11-025418-1.
- Kinzel, Katherina (2024). “Wilhelm Windelband”.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24년 9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9월 18일에 확인함.
- Kriegel, Uriah (2017). 〈Introduction〉. 《The Routledge Handbook of Franz Brentano and the Brentano School》 (영어). Taylor & Francis. 1–14쪽. ISBN 978-1-317-69055-9.
- Kriegel, Uriah (2018). 《Brentano's Philosophical System: Mind, Being, Value》 (영어).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879148-5.
- Kuijper, Hans (2022). 《Comprehending the Complexity of Countries: The Way Ahead》 (영어). Springer Nature Singapore. ISBN 978-981-16-4709-3.
- Kunnan, Antony John (2020). 〈A Case for an Ethics-Based Approach to Evaluate Language〉. Ockey, Gary J.; Green, Brent A. 《Another Generation of Fundamental Considerations in Language Assessment: A Festschrift in Honor of Lyle F. Bachman》 (영어). Springer Nature Singapore. 77–94쪽. ISBN 978-981-15-8952-2.
- Kupperman, Joel J. (2005). 〈Axiological Ethics〉. Honderich, Ted. 《The Oxford Companion to Philosophy》. Oxford University Press. 73–74쪽. ISBN 978-0-19-926479-7.
- Landau, Iddo (2012). “Foundationless Freedom and Meaninglessness of Life in Sartre's: Being and Nothingness”. 《Sartre Studies International》 18 (1): 1–8. doi:10.3167/ssi.2012.180101.[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Laskowski, Nicholas; Finlay, Stephen (2017). 〈34. Conceptual Analysis in Metaethics〉. McPherson, Tristram; Plunkett, David. 《The Routledge Handbook of Metaethics》 (영어). Routledge. 536–551쪽. ISBN 978-1-351-81791-2.
- Li, Deshun (2014). 《Value Theory: A Research into Subjectivity》 (영어). Springer. ISBN 978-3-642-25617-2.
- Littlejohn, Ronnie. “Chinese Philosophy: Overview of History”. 《Internet Encyclopedia of Philosophy》. 2023년 6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9월 20일에 확인함.
- Lobel, Diana (2017). 《Philosophies of Happiness: A Comparative Introduction to the Flourishing Life》 (영어). Columbia University Press. ISBN 978-0-231-54532-7.
- Lougheed, Kirk (2020). 《The Axiological Status of Theism and Other Worldviews》 (영어). Springer. ISBN 978-3-030-54820-9.
- Lutz, Matthew (2023). “Moral Naturalism”.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19년 10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12월 20일에 확인함.
- Løgstrup, K. E. (2020). 《Ethical Concepts and Problems》 (영어).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260282-4.
- Mander, W. J. (2016). 《Idealist Ethics》 (영어).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106570-5.
- Marcum, James A. (2008). 《An Introductory Philosophy of Medicine: Humanizing Modern Medicine》 (영어). Springer. ISBN 978-1-4020-6797-6.
- Martin, Robert M. (2002). 《The Philosopher's Dictionary》 (영어) 3판. Broadview Press. ISBN 978-1-55111-494-1.
- Martin, John Levi (2016). “The Birth of the True, the Good, and the Beautiful: Toward an Investigation of the Structures of Social Thought”. 《Current Perspectives in Social Theory》 35: 3–56. doi:10.1108/S0278-120420160000035001. ISBN 978-1-78635-470-9.
- Mason, Elinor (2023). “Value Pluralism”.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23년 6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9월 6일에 확인함.
- McDonald, Hugh P. (2021). 《Radical Axiology: A First Philosophy of Values》 (영어). Brill. ISBN 978-90-04-49581-4.
- McGinnis, Jon (2010). 《Avicenna》 (영어).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533147-9.
- Metz, Thaddeus (2023). “The Meaning of Life”.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25년 2월 12일에 확인함.
- Milkov, Nikolay. “Lotze, Rudolph Hermann”. 《Internet Encyclopedia of Philosophy》. 2019년 7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9월 18일에 확인함.
- Moore, Andrew (2019). “Hedonism”.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18년 9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9월 8일에 확인함.
- Moritz, Manfred (1972). 〈Axiology and Analysis〉. Kuypers, K. 《Human Sciences and the Problem of Values / Les Sciences Humaines et le Problème des Valeurs》 (영어). Springer. 33–46쪽. doi:10.1007/978-94-010-2424-2_3. ISBN 978-94-010-2424-2. 2024년 9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9월 16일에 확인함.
- Moseley, Fred (2023). 《Marx's Theory of Value in Chapter 1 of Capital: A Critique of Heinrich's Value-Form Interpretation》 (영어). Palgrave Macmillan. ISBN 978-3-031-13210-0.
- Mukherjee, Sampat; Mukherjee, Mallinath; Ghose, Amitava (2013). 《Microeconomics》 (영어). Prentice-Hall of India. ISBN 978-81-203-2318-6.
- Nagel, Thomas (2006). 〈Ethics〉. Borchert, Donald. 《Encyclopedia of Philosophy》 3 2판. Macmillan. 379–394쪽. ISBN 978-0-02-865790-5. 2018년 8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1월 7일에 확인함.
- Nebel, Jacob M. (2024). “A Choice-Functional Characterization of Welfarism”. 《Journal of Economic Theory》 222. doi:10.1016/j.jet.2024.105918.
- Norman, Richard (2005). 〈Moral Philosophy, History of〉. Honderich, Ted. 《The Oxford Companion to Philosophy》. Oxford University Press. 622–627쪽. ISBN 978-0-19-926479-7. 2021년 1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12월 19일에 확인함.
- Oddie, G. (2001). “Axiological Atomism”. 《Australasian Journal of Philosophy》 79 (3): 313–332. doi:10.1080/713659262.
- Oddie, Graham (2013). 〈Value Realism〉. 《The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Ethics》 (영어) 1판. Wiley. doi:10.1002/9781444367072.wbiee588. ISBN 978-1-4051-8641-4. 2024년 9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9월 9일에 확인함.
- Oddie, Graham (2015). 〈Value and Desire〉. Hirose, Iwao; Olson, Jonas. 《The Oxford Handbook of Value Theory》 (영어). Oxford University Press. 60–79쪽. ISBN 978-0-19-022143-0.
- Oddie, Graham (2017). 〈Desire and the Good: In Search of the Right Fit〉. Lauria, Federico; Deonna, Julien A. 《The Nature of Desire》 (영어). Oxford University Press. 29–56쪽. ISBN 978-0-19-067961-3.
- Oka, Tosihiro (2017). 〈The New Theory of International Values in the Context of the Ricardo-Sraffian Theory of Value and Distribution〉. Shiozawa, Yoshinori; Oka, Tosihiro; Tabuchi, Taichi. 《A New Construction of Ricardian Theory of International Values: Analytical and Historical Approach》 (영어). Springer. 77–98쪽. ISBN 978-981-10-0191-8.
- O'Keefe, Tim. “Epicurus”. 《Internet Encyclopedia of Philosophy》. 2024년 9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9월 19일에 확인함.
- Oliveira, Luis R. G. (2016). “Rossian totalism about intrinsic value”. 《Philosophical Studies》 173 (8): 2069–2086. doi:10.1007/s11098-015-0597-8.
- Oliver, Alex (1998). 〈Value, Ontological Status of〉. 《Routledge Encyclopedia of Philosophy》. Routledge. doi:10.4324/9780415249126-N066-1. ISBN 978-0-415-25069-6.
- Ollig, Hans-Ludwig (1998). 〈Neo-Kantianism〉. 《Routledge Encyclopedia of Philosophy》. Routledge. doi:10.4324/9780415249126-DC055-1. ISBN 978-0-415-25069-6. 2024년 3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9월 2일에 확인함.
- Onof, Christian J. “Sartre, Jean Paul: Existentialism”. 《Internet Encyclopedia of Philosophy》. 2024년 6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9월 5일에 확인함.
- Orsi, Francesco (2015). 《Value Theory》 (영어). Bloomsbury Publishing. ISBN 978-1-4725-2408-9.
- Pape, John (2000). 《Economics: An Introduction for South African Learners》 (영어). Juta and Company Ltd. ISBN 978-0-7021-5206-1.
- Perrin, Ron (1991). 《Max Scheler's Concept of the Person: An Ethics Of Humanism》 (영어). Springer. ISBN 978-1-349-21399-3.
- Peterson, John (2008). 《Aquinas: A New Introduction》 (영어). University Press of America. ISBN 978-0-7618-4180-7.
- Peterson, Martin (2013). 《The Dimensions of Consequentialism: Ethics, Equality and Risk》 (영어).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1-107-03303-0.
- Pigliucci, Massimo. “Stoicism”. 《Internet Encyclopedia of Philosophy》. 2021년 6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9월 20일에 확인함.
- Pirgmaier, Elke (2021). “The Value of Value Theory for Ecological Economics”. 《Ecological Economics》 179. Bibcode:2021EcoEc.17906790P. doi:10.1016/j.ecolecon.2020.106790. PMC 7445139. PMID 32863580.
- Powe, Neil A. (2007). 《Redesigning Environmental Valuation: Mixing Methods Within Stated Preference Techniques》 (영어). Edward Elgar Publishing. ISBN 978-1-84720-711-1.
- Pradhan, Ramesh Chandra (2024). 《Ethics, Self and the World: Exploring Metaphysical Foundations in Moral Philosophy》 (영어). Springer Nature Singapore. ISBN 978-981-97-3496-2.
- Prasad, Hari Shankar (2007). 《The Centrality of Ethics in Buddhism: Exploratory Essays》 (영어). Motilal Banarsidass. ISBN 978-81-208-3239-8.
- Pratt, Alan. “Nihilism”. 《Internet Encyclopedia of Philosophy》. 2025년 2월 7일에 확인함.
- Ranganathan, Shyam. “Hindu Philosophy”. 《Internet Encyclopedia of Philosophy》. 2024년 6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9월 17일에 확인함.
- Rescher, Nicholas (1969). 《Introduction to Value Theory》 (영어). Prentice-Hall. OCLC 1070925450.
- Richey, Jeff. “Confucius”. 《Internet Encyclopedia of Philosophy》. 2023년 9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9월 17일에 확인함.
- Ridge, Michael (2019). “Moral Non-Naturalism”.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24년 2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12월 20일에 확인함.
- Robbins, Joel (2023). “Values”. 《The Open Encyclopedia of Anthrop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4년 9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9월 14일에 확인함.
- Rogers, Alisdair; Castree, Noel; Kitchin, Rob (2013). 〈Use Value〉. 《A Dictionary of Human Geography》 (영어).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959986-8. 2024년 9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9월 14일에 확인함.
- Rosenkrantz, Gary S.; Hoffman, Joshua (2011). 《Historical Dictionary of Metaphysics》 (영어). Scarecrow Press. ISBN 978-0-8108-5950-0.
- Rønnow-Rasmussen, Toni (2011). 《Personal Value》 (영어).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960378-7.
- Rønnow-Rasmussen, Toni (2015). 〈Intrinsic and Extrinsic Value〉. Hirose, Iwao; Olson, Jonas. 《The Oxford Handbook of Value Theory》 (영어). Oxford University Press. 29–43쪽. ISBN 978-0-19-022143-0.
- Sayre-McCord, Geoffrey (1988). 〈Introduction: The Many Moral Realisms〉. Sayre-McCord, Geoffrey. 《Essays on Moral Realism》 (영어). Cornell University Press. 1–26쪽. ISBN 978-0-8014-9541-0.
- Scanlon, Thomas (1993). 〈Value, Desire, and Quality of Life〉. Nussbaum, Martha; Sen, Amartya. 《The Quality of Life》 (영어). Oxford University Press. 185–200쪽. doi:10.1093/0198287976.003.0015. ISBN 978-0-19-152136-2.
- Schellekens, Elisabeth (2010). 《Aesthetics and Morality》 (영어). Bloomsbury Publishing. ISBN 978-1-4411-2298-8.
- Schroeder, Mark (2021). “Value Theory”.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13년 6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8월 26일에 확인함.
- Schroeder, Mark (2021a). “Supplement to Value Theory: Atomism/Holism about Value”.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24년 9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8월 26일에 확인함.
- Schwartz, S. H.; Cieciuch, J. (2016). 〈Values〉. Leong, F. T. L.; Bartram, D.; Cheung, F. M.; Geisinger, K. F.; Iliescu, D. 《The ITC International Handbook of Testing and Assessment》 (영어).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935694-2.
- Schwartz, Shalom H.; Cieciuch, Jan; Vecchione, Michele; Davidov, Eldad; Fischer, Ronald; Beierlein, Constanze; Ramos, Alice; Verkasalo, Markku; Lönnqvist, Jan-Erik; Demirutku, Kursad; Dirilen-Gumus, Ozlem; Konty, Mark (2012). “Refining the Theory of Basic Individual Valu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03 (4): 663–688. doi:10.1037/a0029393. PMID 22823292.
- Seachris, Joshua. “The Meaning of Life: Contemporary Analytic Perspectives”. 《Internet Encyclopedia of Philosophy》. 2025년 2월 12일에 확인함.
- Serna, Cristina; Martínez, Isabel (2022). 〈Parenting and Adolescent Technological Addictions〉. Selin, Helaine. 《Parenting Across Cultures: Childrearing, Motherhood and Fatherhood in Non-Western Cultures》 (영어). Springer. 417–436쪽. ISBN 978-3-031-15359-4.
- Sharma, Arvind (1999). “The Purusārthas: An Axiological Exploration of Hinduism”. 《Journal of Religious Ethics》 27 (2): 223–256. doi:10.1111/0384-9694.00016.
- Sharma, Rajendra Kumar (1996). 《Fundamentals of Sociology》 (영어). Atlantic Publishers & Distributors. ISBN 978-81-7156-645-7.
- Sharma, Ram Nath (1991). 《Plato: An Interdisciplinary Perspective》 (영어). Atlantic Publishers & Distributors. ISBN 978-81-7156-166-7.
- Shea, Matthew; Kintz, James (2022). “A Thomistic Solution to the Deep Problem for Perfectionism”. 《Utilitas》 34 (4): 461–477. doi:10.1017/S0953820822000346.
- Silverstein, Matthew (2016). 〈Teleology and Normativity〉. Shafer-Landau, Russ. 《Oxford Studies in Metaethics 11》 (영어). Oxford University Press. 214–240쪽. ISBN 978-0-19-878464-7.
- Sim, May (2015). 〈Why Confucius' Ethics Is a Virtue Ethics〉. Besser-Jones, Lorraine; Slote, Michael. 《The Routledge Companion to Virtue Ethics》 (영어). Routledge. 63–76쪽. ISBN 978-1-135-09669-4.
- Simpson, David L. “Ross, William David”. 《Internet Encyclopedia of Philosophy》. 2019년 6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9월 19일에 확인함.
- Sinnott-Armstrong, Walter (2023). “Consequentialism”.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23년 6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12월 28일에 확인함.
- Slingerland, Edward (2007). 《Effortless Action: Wu-wei as Conceptual Metaphor and Spiritual Ideal in Early China》 (영어).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987457-6. 2023년 12월 19일에 확인함.
- Smith, Joel. “Phenomenology”. 《Internet Encyclopedia of Philosophy》. 2020년 5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9월 15일에 확인함.
- Smith, Barry; Thomas, Alan (1998). 〈Axiology〉. 《Routledge Encyclopedia of Philosophy》. Routledge. doi:10.4324/9780415249126-L120-1. ISBN 978-0-415-25069-6. 2023년 11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8월 27일에 확인함.
- Staiti, Andrea (2020). 〈Reduction〉. Santis, Daniele De; Hopkins, Burt C.; Majolino, Claudio. 《The Routledge Handbook of Phenomenology and Phenomenological Philosophy》 (영어). Routledge. 368–375쪽. ISBN 978-1-000-17042-9.
- Steinert, Steffen (2023). 《Interdisciplinary Value Theory》 (영어). Springer. ISBN 978-3-031-10733-7.
- Stratton-Lake, Philip (2020). “Intuitionism in Ethics”.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24년 9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9월 14일에 확인함.
- Suikkanen, Jussi (2009). “Buck-Passing Accounts of Value”. 《Philosophy Compass》 4 (5): 768–779. doi:10.1111/j.1747-9991.2009.00253.x.
- Sullivan, David (1998). 〈Lotze, Rudolph Hermann (1817–81)〉. 《Routledge Encyclopedia of Philosophy》. Routledge. doi:10.4324/9780415249126-DC049-1. ISBN 978-0-415-25069-6. 2024년 9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9월 18일에 확인함.
- Sullivan, David (2023). “Hermann Lotze”.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24년 9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9월 18일에 확인함.
- Sutton, Mark Q. (2021). 《Archaeology: The Science of the Human Past》 (영어). Routledge. ISBN 978-1-000-35113-2.
- Sykes, Karen (2016). “Value”. 《Oxford Bibliographies》 (영어). doi:10.1093/obo/9780199766567-0138. 2024년 3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9월 13일에 확인함.
- Taliaferro, Charles (2010). 《A Dictionary of Philosophy of Religion》 (영어). Bloomsbury Publishing. ISBN 978-1-4411-8504-4.
- Tappolet, Christine (2015). 〈Values and Emotions〉. Hirose, Iwao; Olson, Jonas. 《The Oxford Handbook of Value Theory》 (영어). Oxford University Press. 80–95쪽. ISBN 978-0-19-022143-0.
- Tiberius, Valerie (2015). 〈Prudential Value〉. Hirose, Iwao; Olson, Jonas. 《The Oxford Handbook of Value Theory》 (영어). Oxford University Press. 158–174쪽. ISBN 978-0-19-022143-0.
- Tilley, John J. (2012). 〈Hedonism〉. Chadwick, Ruth. 《Encyclopedia of Applied Ethics》 (PDF) (영어). Academic Press. ISBN 978-0-12-373932-2.
- Tormos, Raül (2019). 《The Rhythm of Modernization: How Values Change over Time》 (영어). Brill. ISBN 978-90-04-41191-3.
- Townsend, Dabney (2006). 《Historical Dictionary of Aesthetics》 (영어). Scarecrow Press. ISBN 978-0-8108-6483-2.
- Tuboly, Adam Tamas (2021). 〈Introduction: From Spying to Canonizing—Ayer and His Language, Truth and Logic〉. 《The Historical and Philosophical Significance of Ayer's Language, Truth and Logic》 (영어). Palgrave Macmillan. 1–38쪽. ISBN 978-3-030-50884-5.
- Turner, R. Kerry; Georgiou, Stavros; Clark, Rebecca; Brouwer, Roy; Burke, Jacob (2004). 《Economic Valuation of Water Resources in Agriculture: From the Sectoral to a Functional Perspective of Natural Resource Management》 (영어). Food &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ISBN 978-92-5-105190-0.
- Vilkka, Leena (2021). 《The Intrinsic Value of Nature》 (영어). Brill. ISBN 978-90-04-49510-4.
- Wall, Steven (2021). “Perfectionism in Moral and Political Philosophy”.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24년 9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9월 6일에 확인함.
- Welch, Patrick J.; Welch, Gerry F. (2009). 《Economics: Theory and Practice》 (영어). John Wiley & Sons. ISBN 978-0-470-45009-3.
- Wieland, Georg (2002). 〈Happiness (Ia IIae, qq. 1–5)〉. Pope, Stephen J. 《The Ethics of Aquinas》 (영어). 번역 Kaplan, Grant. Georgetown University Press. 57–68쪽. ISBN 978-0-87840-888-7.
- Wiland, Eric; Driver, Julia (2022). “Gertrude Elizabeth Margaret Anscombe”.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24년 3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9월 22일에 확인함.
- Wilson, Jeff (2010). “Saṃsāra and Rebirth”. 《Oxford Bibliographies》 (영어). Oxford University Press. doi:10.1093/obo/9780195393521-0141. 2024년 9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9월 20일에 확인함.
- Woodward, William R. (2015). 《Hermann Lotze》 (영어).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41848-5.
- Woodworth, Robert; Marquis, Donald (2014). 《Psychology: A Study of Mental Life》 (영어). Psychology Press. ISBN 978-1-317-66144-3.
- Yalom, Irvin D. (2020). 《Existential Psychotherapy》 (영어). Basic Books. ISBN 978-1-5416-4744-2.
- Ylirisku, Salu; Arvola, Mattias (2018). 〈The Varieties of Good Design〉. Vermaas, Pieter E.; Vial, Stéphane. 《Advancements in the Philosophy of Design》 (영어). Springer. 51–70쪽. ISBN 978-3-319-73302-9.
- Young, Robert A.; Loomis, John B. (2014). 《Determining the Economic Value of Water: Concepts and Methods》 (영어). Routledge. ISBN 978-1-135-04052-9.
- Zagzebski, Linda (2004). 《Divine Motivation Theory》 (영어).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53576-2.
- Zagzebski, Linda (2004a). 〈Morality and Religion〉. Wainwright, William. 《The Oxford Handbook of Philosophy of Religion》 (영어). Oxford University Press. 344–365쪽. ISBN 978-0-19-803158-1.
- Zaibert, Leo (2018). 《Rethinking Punishment》 (영어).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1-108-58261-2.
- Zimmer, Alfred (2017). 〈Christian von Ehrenfels (1859–1932)〉. Albertazzi, Liliana; Jacquette, Dale. 《The School of Alexius Meinong》 (영어). Taylor & Francis. ISBN 978-1-351-88226-2.
- Zimmerman, Michael J. (2001). 《The Nature of Intrinsic Value》 (영어). Rowman & Littlefield. 135–144쪽. ISBN 978-0-7425-1263-4.
- Zimmerman, Michael J. (2015). 〈Value and Normativity〉. Hirose, Iwao; Olson, Jonas. 《The Oxford Handbook of Value Theory》 (영어). Oxford University Press. 13–28쪽. ISBN 978-0-19-022143-0.
- Zimmerman, Michael J.; Bradley, Ben (2019). “Intrinsic vs. Extrinsic Value”.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24년 9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8월 29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