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세페 페아노
보이기
	
	
| 
주세페 페아노 이탈리아어: Giuseppe Peano | |
|   | |
| 출생 | 1858년 8월 27일 사르데냐 왕국 쿠네오 | 
|---|---|
| 사망 | 1932년 4월 20일(73세) 이탈리아 왕국 토리노 | 
| 국적 | 이탈리아 | 
| 교육 | 토리노 대학교 | 
| 출신 학교 | 토리노 대학교 | 
| 주요 업적 | 페아노 공리계 | 
| 수상 | Knight of the Order of Saints Maurizio and Lazzaro Knight of the Crown of Italy Commendatore of the Crown of Italy Correspondent of the Accademia dei Lincei | 
| 분야 | 수학 | 
| 소속 | 토리노 대학교 | 
| 박사 지도교수 | 엔리코 도비디오(이탈리아어: Enrico D’Ovidio) | 
| 기타 지도교수 | 엔리코 도비디오(이탈리아어: Enrico D’Ovidio) | 
주세페 페아노(이탈리아어: Giuseppe Peano IPA: [dʒuˈzɛppe peˈaːno], 1858년 8월 27일 ~ 1932년 4월 20일)는 이탈리아의 수학자이자 철학자이다. 집합론의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
생애
[편집]이탈리아 쿠네오 근처의 작은 마을인 스피네타(이탈리아어: Spinetta)에서 태어났다. 토리노에서 고등학교를 나왔고, 토리노 대학교에 1876년에 입학하여 1880년에 졸업하였다. 이후 토리노 대학교에서 조교로 있었고, 1882년부터는 미적분학 과목을 가르치기 시작하였다. 1884년에는 지도 교수 안젤로 제노키(이탈리아어: Angelo Genocchi)의 미적분학 교재를 대필하였고, 몇 년 뒤 수리논리학에 대한 책을 스스로의 이름으로 출판하였다. 이 책에서 합집합(∪)과 교집합(∩)에 대한 현대적인 기호가 최초로 등장하였다.

1887년에 화가의 딸인 카롤라 크로시오(이탈리아어: Carola Crosio)와 결혼하였다.
1889년 《산술의 원리》에서 데데킨트와 헤르만 그라스만의 아이디어를 활용하여 자연수에 관한 공리로부터 유리수를 이끌어 내는 데 성공하였다.[1]
1890년에 토리노 대학교 정교수가 되었다.
1932년 4월 20일에 심장마비로 사망하였다. 사망 전날까지 활발하게 강의를 계속하였다고 한다.
각주
[편집]- ↑ 모리스 클라인저, 심재관역, 《수학의 확실성》, (주)사이언스북스, 2007
외부 링크
[편집]- O’Connor, John J.; Robertson, Edmund F. “Giuseppe Peano” (영어). 《MacTutor History of Mathematics Archive》. 세인트앤드루스 대학교.
- “Giuseppe Peano” (영어). 《수학 계보 프로젝트》. 미국 수학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