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키야 학파
힌두교 |
---|
![]() |
상키야 학파(산스크리트어: सांख्य) 또는 샹키아 학파는 힌두교의 정통 육파철학 중의 하나로, 불교 경전 및 논서에서는 수론파(數論派)로 한역(漢譯)되어 불리고 있다.[1] 힌두교의 전통에 따르면, 상키아 학파의 시조는 카필라(Kapila: BC 4~3세기)이다.[1] 그러나 현존하고 있는 가장 오랜 원전은 이스바라크리슈나(Iśvarakṛṣṇa · 자재흑 · 自在黑: AD 4세기 또는 3세기)의 《삼키아송(Sāṁkhya Kārikā)》이다.[2]
상키아 학파는 힌두교의 정통 육파철학 중 가장 오랜 학파이다.[1][3] 산스크리트어 상키아(सांख्य · Sāṁkhya)의 문자 그대로의 뜻은 '숫자(number)'로,[3] 이 때문에 상키아 학파는 수론파(數論派)로 한역되었다. 이 때의 수(數)는 숫자 자체가 아니라 '수열 또는 나열(enumeration)'을 의미하는데, 즉 삼키아 학파(수론파)라는 명칭은 우주의 전개 원리들을 순차적으로 나열하고 있기 때문에 붙여진 명칭이다.[3]
상키아 학파에서는 두 가지 근본 원리인 푸루샤(purusa, 아트만, 神我, 신아, 영혼, cosmic spirit, 정신)와 프라크리티(prakriti, 자성, 自性, self-nature, 자연, 自然, nature, 신체, cosmic substance, 물질)를 포함한 총 25가지의 우주적 전개 원리들을 통해 우주를 구성하고 있는 여러 계층적 구성 부분들을 밝히고 있으며 또한 우주의 전개와 해체를 설명하고 있다.[1][3] 그런데, 힌두 철학자들에 따르면, 이러한 25가지의 우주적 전개 원리들을 보여주는 상키아 학파의 철학은 이론에 그치고 마는 형이상학적 담론 또는 사색이 결코 아니며, 뚜렷한 목적을 가지고 제공되는, 존재 즉 인간과 우주에 대한 철학적 설명 또는 견해이다.[4] 상키아 철학의 목적은 고(비참)의 원인을 영원히 제거할 지식을 제공하여서 영혼이 속박으로부터 벗어나게 하려는 것("모크샤 · 해탈")이다.[4]
철학 개요
[편집]상키아 학파는, 우파니샤드의 철학자인 웃다라카(Uddalaka Aruni)의 1원론적(一元論的) 철학인, 유(有, sat, 존재)가 정신(스피릿)적인 원리이면서 동시에 물질(질료) 전개의 원리라는 견해를 비판하고 정신(스피릿)적 원리로서의 푸루샤(purusha, 아트만, 神我, 신아, 영혼, cosmic spirit)와 질료적인 원리로서의 프라크리티(prakriti, 자성, 自性, self-nature, 자연, 自然, nature, 신체, cosmic substance, 물질)라고 하는 서로 별개인 두 가지 근본 원리 또는 실체에 의거하여 세계가 전개되고 해체된다는 2원론을 수립하였다. 처음에는 이 2원론을 통일하는 최고신으로서의 브라만(梵)을 시인하고 유신론에 바탕을 두었으나 후에는 이를 부정하고 무신론적 2원관이 되었다.[1]
상키아 학파에 따르면, 푸루샤는 순수의식으로서 아무런 작용도 하지 않고 다만 프라크리티를 관조(觀照)할 따름이다. 그런데 질료인인 프라크리티는 물질(질료)을 전개하는 힘을 지니며 그 결과로서 나오는 물질은 구성의 우열에 따라 차이가 생겨나고 푸루샤와 결합하여 개체(아항카라 · ahamkara)가 된다. 개체(아항카라)의 세계는 고(苦)인데, 고는 푸루샤와 프라크리티의 결합에 기인한다. 그러므로 푸루샤가 프라크리티를 자기 자신으로 동일시 하지 않는 상태에 이르는 것이 해탈(解脫)이다. 그렇지만 푸루샤는 불변순수(不變純粹)이기 때문에 해탈에 의한 변화는 없다. 해탈을 위한 푸루샤의 지(智), 즉 아트마 즈냐나를 얻기 위해서는 요가의 수행이 강조되었다.[1]
푸루샤와 프라크리티를 두 가지 최고 원리로 하는 상키아 학파의 이원론적 철학은, 이(理)와 기(氣)를 두 가지 최고 원리로 하는 중국 및 한국 철학의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과 그 견해가 유사하다. 서양철학의 경우 데카르트의 레스 코그니탄스(res cogitans: 생각하는 자, 사유를 속성으로 하는 실체)와 레스 엑스텐사(res extensa: 연장하는 자, 연장을 속성으로 하는 실체)의 심신이원론(心身二元論)과 유사하다. 푸루샤의 개념은 서양의 밀교 중의 하나인 헤르메스주의의 신에 대한 견해 중에서 신이 모든 악에서 벗어나 있는 지고한 선(Supreme Good)이라는 개념과 유사하다. 반면 헤르메스주의의 신에 대한 견해 중에서 신이 선과 악을 포괄하는 전체 존재라는 개념은 상키아 철학의 기초가 되었던 우파니샤드의 철학자 웃다라카의 1원론적 철학과 유사하다.
용어 목록
[편집]한국어 | 중국어 (금칠십론 외) |
산스크리트 | 산스트리트 발음 | 영어 |
---|---|---|---|---|
경[5] | 經[5] | सूत्र sūtra[5] |
수뜨라[6][7] 수트라 |
sutra[8] |
논[5] 논서 |
論[5] | प्रकरण prakaraṇa[9] |
쁘라까라나[10] | treatise, monograph, book[11] |
마하바라타[12] | 摩訶婆羅多[13] 摩诃婆罗多[14] |
महाभारत Mahābhāratam[16] |
마하바랏[17][18] 마하바랏트[17][18] 마하바랫트[17] 마하- 바-랫따[19] |
Mahabharata[20] 발음: 마하- 바-라타[21] 마하- 브라타[22] |
바가바드 기타[12] | 薄伽梵歌[23][24] 薄伽梵頌[23] 薄伽梵颂[24] |
भगवद्गीता bhagavadgītā[25] |
바가받 기따[26] | Bhagavad-Gita 발음: 바가받 기다[27] |
비즈냐나빅슈[28] | Vijñānabhikṣu[28] | |||
소[5] 주석서[5] |
疏[5] | भाष्य bhāṣya |
바시아[41] | bhashya[42] |
수론해설경[28] 수론경 |
數論解說經[28] 數論經[43] 数论经[44] |
सांख्यप्रवचन सूत्र sāṃkhyapravacana[45] Sāṁkhyapravacanasūtra[46] Sāṁkhyapravacana-sūtra[28] Sâṃkhya-Pravachana-Sûtram[47] सांख्यसूत्र sāṃkhyasūtra[48] |
상키아 프라와차나 수뜨라 상키아 수뜨라[49] |
Samkhya Pravachana Sutra[46] Samkhya Sutra[46] |
슈베타슈바타라 우파니샤드[12] | 白螺氏奧義書[50] 白螺氏奥义书[51] |
श्वेताश्वतरोपनिषद् Śvetāśvataropaniṣad[52] |
스웻따 스웻따롭 니샷[53] 스웻따 스웻따르 옵니샷[54] 스웻따스 바따롭 니샷[55] |
Shvetashvatara Upanishad[52] |
아슈리[28] 아수리[58] |
阿修利[59] | आसुरि[60] Āsuri[28][61] |
아-수리 [aːˈsʊri, ah-soo-ri][62] | Asuri[60] |
카타 우파니샤드[12] | 石氏奧義書[63] 石氏奥义书[64] 伽陀奧義書[63] 伽陀奥义书[64] |
कठोपनिषद् Kaṭhopaniṣad[65] |
까토파니샤드[66] | Katha Upanishad[65] |
카필라[28] 가비라[69] |
迦毘羅[70][71] 迦毘罗[72] 迦毘羅仙[71] 迦毘罗仙[72] 迦毗羅仙人[73] 迦毗罗仙人[74] |
कपिल kapila[75] |
카필라[76] | Kapila[77][78][79][80][81][82] |
판차쉬카[28] 반시하[83] |
般尸訶[84] 般屍訶[85] 般尸诃[86] |
पञ्चशिख Pañcaśikha[87][88] Pañcaśika[28] |
판차쉬카[89][90][91] | Pancasikha[92] Panchashikha[93][94] |
해탈법품[12] | 解脫法品[12] | मोक्षधर्मपर्व Mokṣadharmaparva[95] |
목샤 다르마 파르와[96] | Moksha-dharma Parva[97] |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힌 두 교 > 힌두교 > 힌두교 전사(前史) > 상키아 학파,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상키아 학파
Samkhya學派
한역 불전(韓譯佛典)에서는 수론파 (數論派)로 번역된다. 시조는 카필라 (Kapila:BC 4∼BC 3세기의 사람)라고 하며, 6파 가운데에서 가장 오랜 것. 이 파는 1원론적(一元論的)인 <우파니샤드>의 철인(哲人) 우다라카의 유(有:sat)가 정신적인 원리이면서 동시에 물질 전개(展開)의 원리이기도 함을 비판하고 정신적 원리로서의 신아(神我:푸루샤), 물질적인 원리로서의 자성(自性:프라크리티) 또는 승인(勝因:프라다나)이라고 하는 2원론을 수립하였다. 처음에는 이 2원론을 통일하는 최고신으로서의 범(梵)을 시인하고 유신론에 바탕을 두었으나 후에는 이를 부정하고 무신론적 2원관이 되었다.
푸루샤(神我)는 순수의식으로서 아무런 작용도 하지 않고 다만 프라크리티(自我)를 관조(觀照)할 따름이다. 그러나 질료인(質料因)인 프라크리티는 물질을 전개하는 힘을 지니며 그 결과로서 나오는 물질은 구성의 우열에 따라 차이가 생겨나고 푸루샤와 결합하여 개체가 된다. 개체의 세계는 고(苦)이며 그것은 푸루샤와 프라크리티의 결합에 유인(由因)된다. 그러므로 푸루샤가 물질로부터 떨어져나간 상태에 이르는 것이 해탈(解脫)이다. 그렇지만 푸루샤는 불변순수(不變純粹)이기 때문에 해탈에 의한 변화는 없다. 해탈을 위한 푸루샤의 지(智)를 얻기 위해서는 요가의 수행(修行)이 강조되었다. - ↑ 가 나 다 동양사상 > 동양의 사상 > 인도의 사상 > 정통바라문 계통의 철학체계 > 삼키아설,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삼키아설
Samkhya說
삼키아, 즉 수론학파(數論學派)의 개조는 가피라(전 350∼전250 ?)라고 전해지고 있으나 현존하고 있는 최고 원전은 이시바라크리슈나(自在黑, 4세기)의 <삼키아 송(領)>이다. 삼키아 학파에서는 <우파니샤드>의 철학자인 웃달라카(전 600 ?∼전 500 ?)의 사상(思想)을 비판적으로 개혁하여 유일(唯一)한 유(有) 대신에 두 개의 실재적 원리를 산정하였다. 하나는 정신적 원리로서의 순수정신인데 푸루샤(神我), 혹은 아트만이라고도 한다. 이에 대하여 또 하나의 원리는 물질적인 근본원질(根本原質:프라크리티, 自性 또는 프라다나)인데, 이것은 현상세계의 개전(開戰)의 원리가 되기 때문에 미개전자(未開展者:아브야크타, 非變異)라고도 불린다. 순수정신은 실체로서의 개아이며 원자대(原子大)로서 다수 존재하는데 그 본질은 지(知, 즈냐) 또는 사(思, 칫트, 체타냐)라고 한다. 그것은 아무런 활동도 하지 않은 채 다만 근본원질(根本原質)을 관조할 뿐이요 그 자체는 상주불변이며 순수청정한 것이어서 생사도, 윤회도, 해탈도 모두 순수정신 그 자체에는 본질적인 관계가 없다. 이에 대하여 근본원질은 근본적인 질료인(質料因)이지만 순수정신의 관조를 기회인(機會因)으로 하여 개전(파리나마, 轉變)을 개시한다. 그때에 근본원질에서 최초로 생기는 것을 근원적 사기능(根源的 思機能:붓디, 覺) 또는 큰 것(마하도, 大)이라고 부른다. 이것은 확인의 작용(作用:決智)을 본질로 하고 있는 것이어서 정신적 작용의 근본이 된다. 그러나 순수한 물질적인 것으로 신체 속의 한 기관이다. 다음에 이 근원적 사유기능(思惟機能)으로부터 자아의식(自我意識:아항카라, 我慢)을 생한다. 이것이 있기 때문에 사람은 항상 "내가 한다. 이 물건은 나에게 속한다. 이것이 나다"라고 하여 자기 본위의 견해를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은 자기중심적인 자아의식의 그릇된 생각이 우리들의 윤회를 성립시키는 근본이 되고 있다. 다음에 그 자아의식으로부터 두 종류의 창조가 있게 된다. 한편으로는 10가지의 기관(目·耳·鼻·舌·身이라고 하는 다섯 가지 감각기관과 발성기관·수·족·배설기관·생식기관이라고 하는 다섯 가지의 행동기관)이 생기고 다른 한편으로는 다섯 가지의 대상영역의 미세한 요소(要素:단마트라, 唯)가 생기는데, 후자로부터 5원소가 생긴다(聲唯→空大, 觸唯→風大, 色唯→火大, 味唯→水大, 香唯→地大). 이상 열기한 제원리를 합쳐서 <25원리>(二五諦)라고 일컫는다. 순수정신은 본래 순수청정(純粹淸淨)한 것이기는 하지만 물질에 의하여 제약되어 있기 때문에 이 생존은 괴로움이 되는 것이다. 그래서 그 순수청정한 본성이 나타나도록 하지 않으면 안된다. 허탈의 직접적인 원인은 지(智)인 것이다. 수행에 의하여 순수정신의 자가 완성되었을 때에 해탈이 일어나지만 그 해탈도 근본질료인(根本質料因)의 편에서 일어나는 것이요, 순수정신 그 자체에는 하등의 변화도 없다. - ↑ 가 나 다 라 Bernard, Theos (1947).《Hindu Philosophy》. Philosophical Library, New York. 66쪽.
The Sāṁkhya is the oldest school of Hindū Philosophy, for it is the first attempt to harmonize the philosophy of the Vedas through reason. The unique position of the Sāṁkhya in the history of thought is the fact that it expounds by careful reflection the first systematic account of the process of cosmic evolution which attempts to comprehend the universe as a sum total of twenty-five categories. This exposition is no mere metaphysical speculation, but is a purely logical account based on the scientific principles of conservation, transformation and dissipation of energy. The Sāṁkhya is held to be the most notable attempt in the realm of pure philosophy.
The term Sāṁkhya is derived from the word sāṁkhyā, "number." This name is used because the Sāṁkhya enumerates the principles of cosmic evolution by rational analysis; and in the philosophical sense, the term is used because this system teaches discriminative knowledge which enables us to distinguish between Spirit and Matter. - ↑ 가 나 Bernard, Theos (1947).《Hindu Philosophy》. Philosophical Library, New York. 66–67쪽
66쪽: The unique position of the Sāṁkhya in the history of thought is the fact that it expounds by careful reflection the first systematic account of the process of cosmic evolution which attempts to comprehend the universe as a sum total of twenty-five categories. This exposition is no mere metaphysical speculation, but is a purely logical account based on the scientific principles of conservation, transformation and dissipation of energy. . . . The term Sāṁkhya is derived from the word sāṁkhyā, "number." This name is used because the Sāṁkhya enumerates the principles of cosmic evolution by rational analysis; and in the philosophical sense, the term is used because this system teaches discriminative knowledge which enables us to distinguish between Spirit and Matter.
67쪽: The purpose of the Sāṁkhya is to provide that knowledge which will forever remove the cause of misery and thereby release the soul from its bondage.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길희성(2014), 《인도 철학사》2판 8쇄, 민음사. pp. 91-92.
그러나 기원전 약 200년부터는 종래에 바라문의 전통 內에서 여러가지 흐름을 형성하여 오던 사상들이 각기 獨自的인 學派를 이루게 되었으며 이들은 자기들의 哲學的 見解들을 간략하게 집약하여 진술하는 經 sūtra이라는 문헌을 산출하게 되었다. 이 經들은 각 학파의 根本經典이 되었으며, 그 내용이 너무 간결하고 난해하기 때문에 자연히 그에 대한 註釋書인 疏 bhāṣya와 이 疏의 내용을 체계화하여 다루는 論 prakaraṇa이 씌어지게 되었다. - ↑ Sutra Pronunciation Sanskrit सूत्र sūtra. 2025년 8월 11일에 확인.
- ↑ How to say formula in Sanskrit | How to pronounce Sūtra - with meaning - Easy to learn. 2025년 8월 11일에 확인.
- ↑ https://en.wikipedia.org/wiki/Sutra 2025년 8월 11일에 확인.
Sutra (Sanskrit: सूत्र, romanized: sūtra, lit. 'string, thread') in Indian literary traditions refers to an aphorism or a collection of aphorisms in the form of a manual or, more broadly, a condensed manual or text. Sutras are a genre of ancient and medieval Indian texts found in Hinduism, Buddhism and Jainism. - ↑ https://en.wiktionary.org/wiki/प्रकरण#Sanskrit
- ↑ Prakarana Pronunciation Sanskrit प्रकरण prakaraṇa. 2025년 8월 11일에 확인.
- ↑ Sanskrit Dictionary: prakaraṇa. 2025년 8월 11일에 확인.
Monier-Williams Search
prakaraṇa n. treatise, monograph, book, chapter (especially introduction or prologue) - ↑ 가 나 다 라 마 바
길희성(2014), 《인도 철학사》2판 8쇄, 민음사. p. 92.
상키야 Sāṁkhya哲學은 인도의 체계화된 철학학파 가운데서 가장 먼저 형성된 것으로 여겨진다.2) 상키야 哲學思想은 우리가 이미 고찰한 바와 같이 『카타 우파니샤드』나 『슈베타슈바타라 우파니샤드』와 같은 후기 우파니샤드에 분명하게 나타나 있으며 또한 『마하바라타』의 제12권 『解脫法品』에도 여러가지 초기 상키야哲學의 형태가 나타나 있음을 우리는 이미 보았다. 특히 『바가바드 기타』가 형성된 당시, 즉 서력기원전 2~3세기 경에는 상키야는 요가와 더불어 하나의 잘 확립된 思想으로서 존재한 듯이 보이며, 『기타』에 사상적으로 至大한 영향을 주었던 것이다. 그러나 이런 고대 문헌들에 나타나 있는 상키야철학은 어디까지나 아직도 충분히 발달되지 않은 초기의 것으로서 나중에 형성된 古典的 無神論的 상키야哲學과는 많은 차이점을 보이고 있다.
2) 상키야哲學은 세계를 25원리(tattva)에 의하여 說明하므로 數를 중시한다하여 數論이라 불려 왔다. 〈Sāṁkhya〉라는 말도 〈計算하는 者〉라는 뜻을 지닌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 ↑ https://zh.wikipedia.org/zh-tw/摩诃婆罗多 2025년 8월 13일에 확인.
《摩訶婆羅多》(梵語:महाभारतम्,拉丁字母轉寫:Mahābhāratam,發音:[məɦaːˈbʱaːrət̪əm];/məhɑːˈbɑːrətə/),乃古印度兩大著名梵文史詩之一,成書於公元前三世紀至公元五世紀之間,與另一經典《羅摩衍那》齊名。 - ↑ https://zh.wikipedia.org/zh-cn/摩诃婆罗多 2025년 8월 13일에 확인.
《摩诃婆罗多》(梵语:महाभारतम्,拉丁字母转写:Mahābhāratam,发音:[məɦaːˈbʱaːrət̪əm];/məhɑːˈbɑːrətə/),乃古印度两大著名梵文史诗之一,成书于公元前三世纪至公元五世纪之间,与另一经典《罗摩衍那》齐名。 - ↑ https://sanskritdictionary.com/mahābhārata/173980/1 2025년 8월 13일에 확인.
mahābhārata महाभारत
Definition: n. (with or scilicet ākhyāna-),"great narrative of the war of the bharata-s", Name of the great epic poem in about 215,000 lines describing the acts and contests of the sons of the two brothers dhṛtarāṣṭra- and pāṇḍu-, descendants of bharata-, who were of the lunar line of kings reigning in the neighbourhood of hastinā-pura- (the poem consists of 18 books with a supplement called hari-vaṃśa-, the whole being attributed to the sage vyāsa-) Literary Source: āśvalāyana-gṛhya-sūtra Literary Source: mahābhārata etc. (Literary Source: IW. 370 etc.) - ↑ https://en.wikipedia.org/wiki/Mahabharata 2025년 8월 13일에 확인.
The Mahābhārata (/məˌhɑːˈbɑːrətə, ˌmɑːhə-/ mə-HAH-BAR-ə-tə, MAH-hə-; Sanskrit: महाभारतम्, IAST: Mahābhāratam, pronounced [mɐɦaːˈbʱaːrɐt̪ɐm]) is a smriti text (also described as a Sanskrit epic) from ancient India, one of the two important epics of Hinduism known as the Itihasas, the other being the Ramayana. It narrates the events and aftermath of the Kurukshetra War, a war of succession between two groups of princely cousins, the Kauravas and the Pāṇḍavas. It contains philosophical and devotional material, such as a discussion of the four "goals of life" or puruṣārtha(12.161). Among the principal works and stories in the Mahābhārata are the Bhagavad Gita, the story of Damayanti, the story of Shakuntala, the story of Pururava and Urvashi, the story of Savitri and Satyavan, the story of Kacha and Devayani, the story of Rishyasringa and an abbreviated version of the Rāmāyaṇa, often considered as works in their own right. - ↑ 가 나 다 https://www.howtopronounce.com/hindi/mahabharata 2025년 8월 13일에 확인.
- ↑ 가 나 https://www.howtopronounce.com/hindi/mahabharáta-4 2025년 8월 13일에 확인.
- ↑ https://www.youtube.com/watch?v=8NugQVCA9UI Mahabharata Pronunciation Sanskrit महाभारत Mahābhārata 2025년 8월 13일에 확인.
- ↑ https://en.wikipedia.org/wiki/Mahabharata 2025년 8월 13일에 확인.
Mahabharata
The Mahābhārata (/məˌhɑːˈbɑːrətə, ˌmɑːhə-/ mə-HAH-BAR-ə-tə, MAH-hə-; Sanskrit: महाभारतम्, IAST: Mahābhāratam, pronounced [mɐɦaːˈbʱaːrɐt̪ɐm]) is a smriti text (also described as a Sanskrit epic) from ancient India, one of the two important epics of Hinduism known as the Itihasas, the other being the Ramayana. It narrates the events and aftermath of the Kurukshetra War, a war of succession between two groups of princely cousins, the Kauravas and the Pāṇḍavas. It contains philosophical and devotional material, such as a discussion of the four "goals of life" or puruṣārtha (12.161). Among the principal works and stories in the Mahābhārata are the Bhagavad Gita, the story of Damayanti, the story of Shakuntala, the story of Pururava and Urvashi, the story of Savitri and Satyavan, the story of Kacha and Devayani, the story of Rishyasringa and an abbreviated version of the Rāmāyaṇa, often considered as works in their own right. . . . Traditionally, the authorship of the Mahābhārata is attributed to Vyāsa. . . . The title is translated as "Great Bharat (India)", or "the story of the great descendants of Bharata", or as "The Great Indian Tale". - ↑ https://en.dict.naver.com/#/search?query=Mahabharata 2025년 8월 13일에 확인.
Mahabharata ( Mahabharatum ) 미국∙영국 [məhɑ́:bɑ́:rətə]
명사 마하바라다(摩訶婆羅多) ((옛 인도의 대서사시))
동아출판 프라임 영한사전 - ↑ https://en.dict.naver.com/#/search?query=Mahabharata 2025년 8월 13일에 확인.
Mahābhārata
종교 마하바라타
종교학대사전 - ↑ 가 나 https://zh.wikipedia.org/zh-tw/薄伽梵歌 2025년 8월 13일에 확인.
薄伽梵歌
《薄伽梵歌》(梵語:भगवद् गीता,羅馬化:Bhagavad Gītā,字面意思是「薄伽梵(至尊神)之頌讚/贊歌」),又稱為《薄伽梵頌》,是印度教的教典,敘述了印度兩大史詩之一《摩訶婆羅多》中的一段對話(位於《毗濕摩篇》的23–40),也被稱為神之歌(Gītā)。學術界認為它成書於公元前五世紀到公元前二世紀。《摩訶婆羅多》中敘述的事件導致了現在爭鬥時的到來,在這個年代的開始(大約五千年前),黑天向他的朋友兼奉獻者阿周那講述了《薄伽梵歌》。它是唯一一本記錄神而不是神的代言人或者先知的言論的經典。 - ↑ 가 나 https://zh.wikipedia.org/zh-cn/薄伽梵歌 2025년 8월 13일에 확인.
薄伽梵歌
《薄伽梵歌》(梵语:भगवद् गीता,罗马化:Bhagavad Gītā,字面意思是“薄伽梵(至尊神)之颂赞/赞歌”),又称为《薄伽梵颂》,是印度教的教典,叙述了印度两大史诗之一《摩诃婆罗多》中的一段对话(位于《毗湿摩篇》的23–40),也被称为神之歌(Gītā)。学术界认为它成书于公元前五世纪到公元前二世纪。《摩诃婆罗多》中叙述的事件导致了现在争斗时的到来,在这个年代的开始(大约五千年前),黑天向他的朋友兼奉献者阿周那讲述了《薄伽梵歌》。它是唯一一本记录神而不是神的代言人或者先知的言论的经典。 - ↑ https://sanskritdictionary.com/bhagavadgītā/160928/1 https://sanskritdictionary.com/scans/monierwilliams/mw0744.jpg 2025년 8월 13일에 확인.
bhagavadgītā भगवद्गीता
Definition: f. plural (sometimes with upaniṣad-; once °ta-, n., bhāgavata-purāṇa) "kṛṣṇa-'s song", Name of a celebrated mystical poem (interpolated in the mahābhārata where it forms an episode of 18 chapters from vi, 830-1532, containing a dialogue between kṛṣṇa- and arjuna-, in which the Pantheism of the vedānta- is combined with a tinge of the sāṃkhya- and the later principle of bhakti- or devotion to kṛṣṇa- as the Supreme Being; see IW. 122 etc.) - ↑ https://www.youtube.com/watch?v=-XUsETVyTHo Bhagavad Gita भगवद्गीता Bhagavad gītā Sanskrit Pronunciation. 2025년 8월 13일에 확인.
- ↑ https://en.dict.naver.com/#/search?query=Bhagavad%20Gita 2025년 8월 13일에 확인.
Bhagavad-Gita 미국∙영국 [bʌ́ɡəvədɡí:tɑ:]
명사 힌두교 인도 2대 서사시의 하나인 Mahabharata의 일부
동아출판 프라임 영한사전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길희성(2014), 《인도 철학사》2판 8쇄, 민음사. p. 93.
상키야철학은 전통적으로 카필라 Kapila라는 기원전 4세기 경의 聖賢을 元祖로 하며, 그의 제자 아슈리 Āsuri 판차쉬카 Pañcaśika 등에 의하여 대대로 전승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이들 초기 상키야思想家들의 著書는 하나도 남아 있는 것이 없고 카필라에 의해서 씌어졌다고 전해지는 『數論解說經 Sāṁkhyapravacana-sūtra』은 학자들에 의하면 빨라야 9세기 정도에 씌어진 僞作으로 여겨지고 있다.3) 17세기의 베단타철학자인 비즈냐나빅슈 Vijñānabhikṣu는 이 經의 주석서를 썼으며, 그는 또한 상키야철학에 대한 중요한 기본서로서 『數論精要 Sāṁkhya-sāra』라는 책을 썼다.
3) 이 經은 Śaṅkara에 의해서 언급되지 않고 있으며 9세기의 Vācaspatimiśra는 이 經 대신에 『數論頌』에 주석을 쓴 것으로 보아 상당히 나중에 만들어진 것으로 간주된다. - ↑ 문을식(2013), 《요가 · 상캬 철학의 이해》, 도서출판 여래
- ↑ 길희성(2014), 《인도 철학사》2판 8쇄, 민음사. 〈상키아 · 요가 철학〉 pp. 91-104.
- ↑ S.C. Chatterjee · D.M Datta 지음, 김형준 옮김(2009), 《학파로 보는 인도 사상》초판 4쇄, 예문서원. 〈7. 상키야 학파〉 pp. 255-289.
- ↑ R. 뿔리간들라 지음, 이지수 옮김(1991), 《인도철학》, 민족사. 〈제5장 샹캬 학파〉 pp. 124-147.
- ↑ 가 나 길희성(2014), 《인도 철학사》2판 8쇄, 민음사. p. 92.
상키야 Sāṁkhya哲學은 인도의 체계화된 철학학파 가운데서 가장 먼저 형성된 것으로 여겨진다.2)
. . .
2) 상키야哲學은 세계를 25원리(tattva)에 의하여 說明하므로 數를 중시한다하여 數論이라 불려 왔다. 〈Sāṁkhya〉라는 말도 〈計算하는 者〉라는 뜻을 지닌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 ↑ Bernard, Theos (1947).《Hindu Philosophy》. Philosophical Library, New York. p. 66.
The Sāṁkhya is the oldest school of Hindū Philosophy, for it is the first attempt to harmonize the philosophy of the Vedas through reason. The unique position of the Sāṁkhya in the history of thought is the fact that it expounds by careful reflection the first systematic account of the process of cosmic evolution which attempts to comprehend the universe as a sum total of twenty-five categories. This exposition is no mere metaphysical speculation, but is a purely logical account based on the scientific principles of conservation, transformation and dissipation of energy. The Sāṁkhya is held to be the most notable attempt in the realm of pure philosophy. - ↑
How to pronounce sankhya in English (1 out of 22). 2025년 8월 8일에 확인.
Sankhya Pronunciation Sanskrit साङ्ख्य Sāṅkhya Sāṃkhya. 2025년 8월 8일에 확인.
Sankhya Sutra Pronunciation Sanskrit सान्ख्यसूत्र sānkhyasūtra. 2025년 8월 8일에 확인.
Sankhya Karika Pronunciation Sanskrit साङ्ख्यकारिका sāṅkhyakārikā. 2025년 8월 8일에 확인.
How to say "samkhya"! (High Quality Voices). 2025년 8월 8일에 확인.
How to say "sankhya's"! (High Quality Voices). 2025년 8월 8일에 확인.
How to say "sankhya"! (High Quality Voices). 2025년 8월 8일에 확인. - ↑ Google tranaslation of Hindi सांख्य Sāṃkhya. 2025년 8월 8일에 확인.
- ↑ sankhya pronunciation in Sanskrit - Pronunciation by KrSaurav (Male from India). 2025년 8월 8일에 확인.
- ↑ https://en.wikipedia.org/wiki/Samkhya 2025년 8월 9일에 확인.
Samkhya or Sankhya (/ˈsɑːŋkjə/; Sanskrit: सांख्य, romanized: sāṃkhya) is a dualistic orthodox school of Hindu philosophy. - ↑ https://en.wikipedia.org/wiki/Samkhya 2025년 8월 9일에 확인.
Samkhya or Sankhya (/ˈsɑːŋkjə/; Sanskrit: सांख्य, romanized: sāṃkhya) is a dualistic orthodox school of Hindu philosophy. - ↑ "San·khya",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Fifth Edition (2011), p. 1554.
San·khya (säng′kyə) n. Hinduism A system of Hindu philosophy based on a dualism involving the ultimate principles of soul and potential matter. [Sanskrit sāṁkhya-, based on enumeration, Sankhya < saṁkhyā, enumeration : sam, together; see sandhi + khyāti, he tells.] - ↑ https://www.youtube.com/watch?v=QT8vyEsD5iI 2025년 8월 11일에 확인.
- ↑ https://en.wikipedia.org/wiki/Bhashya 2025년 8월 11일에 확인.
Bhashya (Sanskrit: भाष्य, Bhāṣya) is a "commentary" or "exposition" of any primary or secondary text in ancient or medieval Indian literature. Common in Sanskrit literature, Bhashyas are also found in other Indian languages such as Tamil. Bhashyas are found in various fields, ranging from the Upanishads to the Sutras of Hindu schools of philosophy, from ancient medicine to music. - ↑ https://zh.wikipedia.org/zh-tw/数论经 2025년 8월 19일에 확인.
數論經(天城體:सांख्यप्रवचन सूत्र)印度哲學數論派的重要經典,分為6卷。
傳統上認為此書是數論派創始人迦毗羅仙人(約前3世紀)所作,但此說早已被學術界證偽。現在一般認為此書晚至14世紀,是晚期數論學者的託名作品。該書一方面整理了古代數論的觀點、學說,一方面又受到其他派別的強烈影響,尤其是吠檀多派。
資料來源
《古印度六派哲學經典》,商務印書館,姚衛群編,ISBN 7-100-03480-9,173頁注釋 - ↑ https://zh.wikipedia.org/zh-cn/数论经 2025년 8월 19일에 확인.
数论经(天城体:सांख्यप्रवचन सूत्र)印度哲学数论派的重要经典,分为6卷。
传统上认为此书是数论派创始人迦毗罗仙人(约前3世纪)所作,但此说早已被学术界证伪。现在一般认为此书晚至14世纪,是晚期数论学者的托名作品。该书一方面整理了古代数论的观点、学说,一方面又受到其他派别的强烈影响,尤其是吠檀多派。
资料来源
《古印度六派哲学经典》,商务印书馆,姚卫群编,ISBN 7-100-03480-9,173页注释 - ↑ https://sanskritdictionary.com/scans/monierwilliams/mw1199.jpg
https://sanskritdictionary.com/sāṃkhyapravacana/259373/1 2025년 8월 19일에 확인.
sāṃkhyapravacana सांख्यप्रवचन
Definition: n. equals yoga-sūtra-, or equals sāṃkhya-sūtra- ([qq. vv.]) - ↑ 가 나 다 https://en.wikipedia.org/wiki/Samkhya_Pravachana_Sutra 2025년 8월 19일에 확인.
The Samkhya Pravachana Sutra (Sanskrit: सांख्यप्रवचन सूत्र Sāṁkhyapravacanasūtra) is a collection of major Sanskrit texts of the Samkhya school of Hindu philosophy. It includes the ancient Samkhya Sutra of Kapila, Samkhya karika of Ishvarakrishna, Samkhya Sutra Vritti of Aniruddha, the Bhasya (commentary) of Vijnana Bhikshu, the Vrittisara of Vedantin Mahadeva, Tattva Samasa and commentary of Narendra, and works of Gaudapada, Vachaspati Mishra, and Panchashikha.[1]
[1] Samkhya Pravachana Sutra NL Sinha, The Samkhya Philosophy, page i
The text provides foundational doctrines of one of the influential schools of Hindu philosophy, such as "nothing can come out of nothing, and nothing can altogether vanish out of existence" in its doctrine of Sat-Karya-Siddhanta,[2] a debate on the two theories for the origin of the world - the creationists (Abhava Utpatti) and the evolutionists (Vivarta, changing from one state to another),[3] the doctrine of Parinama (transformation),[4] among others.
[2] Samkhya Pravachana Sutra NL Sinha, The Samkhya Philosophy, page ii
[3] Samkhya Pravachana Sutra NL Sinha, The Samkhya Philosophy, page iii
[3] Samkhya Pravachana Sutra NL Sinha, The Samkhya Philosophy, page iv
Samkhya Pravachana Sutra is also known as Samkhya Sutra.[5][5] SC Banerji (1989), A Companion to Sanskrit Literature, Motilal Banarsidass, ISBN 978-8120800632, page 315 - ↑ Kapila etc., translated by Nandalal Singa (1915), The Sacred Books of the Hindus, Vol. XI. The Samkhya Philosophy, Containing (1) Sâmkhya-pravachana Sûtram, With the Vritti of Aniruddha, and the Bhâṣya of Vijnâna Bhikṣu and Extracts from the Vritti-sâra of Mahâdeva Vedantin; (2) Tatva Samâsa; (3) Sâmkhya Kârikâ; (4) Panchaśikhâ Sûtram. Allabadad : Sudhindra Nath Vasu. page i.
The present volume of the Sacred Books of the Hindus which bears the modest title of theSâṃkhya-Pravachana-Sûtram
,is, in reality, a collection of all the available original documents of the School of the Sâṃkhyas, with the single exception of the commentary composed by Vyâsa on the Sâṃkhya-Pravachana-Yoga-Sûtram of Patañjali. For it contains in its pages not only the Sâṃkhya-Pravachana-Sûtram of Kapila together with the Vṛitti of Aniruddha, the Bhâsya of Vijñâna Bhikṣu, and extracts of the original portions from the Vṛittisâra of Vedântin Mahâdeva, but also the Tattva-Samâsa together with the commentary of Narendra, the Sâṃkhya-Kârikâ of Ȋśvarakṛiṣṇa with profuse annotations based on the Bhâsya of Gauḍapâda and the Tattva-Kaumudî of Vâchaspati Miśra, and a few of the Aphorisms of Pañchaśikha with explanatory notes according to the Yoga-Bhâsya which has quoted them. An attempt, moreover, has been made to make the volume useful in many other respects by the addition, for instance, of elaborate analytical tables of contents to the Sâṃkhya-Pravachana-Sûtram and the Sâṃkhya-Kârikâ, and of a number of important appendices.
- ↑ https://sanskritdictionary.com/scans/monierwilliams/mw1199.jpg
https://sanskritdictionary.com/sāṃkhyasūtra/259395/1 2025년 8월 19일에 확인.
sāṃkhyasūtra सांख्यसूत्र
Definition: n. Name of six books of aphorisms of the sāṃkhya- philosophy (ascribed to kapila-, but prob. written in the 14th or 15th century A.D.) - ↑ https://www.youtube.com/watch?v=xXE8DaxL2Io Sankhya Sutra Pronunciation Sanskrit सान्ख्यसूत्र sānkhyasūtra 2025년 8월 19일에 확인.
- ↑
https://zh.wikipedia.org/zh-tw/奥义书 2025년 8월 12일에 확인.
8. 白螺氏奧義書(屬於黑夜柔吠陀) - ↑
https://zh.wikipedia.org/zh-cn/奥义书 2025년 8월 12일에 확인.
8. 白螺氏奥义书(属于黑夜柔吠陀) - ↑ 가 나
https://en.wikipedia.org/wiki/Shvetashvatara_Upanishad 2025년 8월 12일에 확인.
The Shvetashvatara Upanishad (Sanskrit: श्वेताश्वतरोपनिषद्, IAST: Śvetāśvataropaniṣad) is an ancient Sanskrit text embedded in the Yajurveda. It is listed as number 14 in the Muktika canon of 108 Upanishads. The Upanishad contains 113 mantras or verses in six chapters. - ↑ https://www.howtopronounce.com/svetasvatara-upanishad 2025년 8월 12일에 확인.
- ↑ https://www.howtopronounce.com/svetasvatara-upanishad 2025년 8월 12일에 확인.
- ↑ https://www.howtopronounce.com/svetasvatara-upanishad 2025년 8월 12일에 확인.
- ↑ https://www.youtube.com/watch?v=pGDnWfF6Bqk Shvetashvatara Upanishad Pronunciation Sanskrit. 2025년 8월 12일에 확인.
- ↑ https://www.howtopronounce.com/svetasvatara-upanishad 2025년 8월 12일에 확인.
- ↑ https://kabc.dongguk.edu/m/content/view?dataId=ABC_IT_K1032_T_001 금칠십론(金七十論) 상권, 진제(眞諦) 한역, 번역자 미상. 2025년 8월 17일에 확인.
그리고 세간을 두루 관찰하매, 아수리(阿修利, Āsuri)라고 하는 어떤 한 바라문의 종성이 천 년의 하늘[千年天]에 제사지내는 것을 보았다. 그는 몸을 감추고서 그에게 다가가서 말하기를, “아수리여, 그대는 재가(在家)의 법을 희롱하는구나”라고 말하고는 바로 돌아가 버렸다. 그리고 천 년이 지난 후 다시 와 거듭 앞에서와 같은 말을 하였다. 그러자 그 바라문이 선인에게 바로 답하여 말하기를, “세간의 존귀한 분이시여, 저는 실로 재가의 법을 희롱하며 즐기고 있습니다”라고 하였다. 그러자 선인은 그 말을 듣고 다시 되돌아갔다. 그 후 다시와 앞에서와 같이 거듭 말하자, 그 바라문은 그에 대해 답하기를 역시 그와 같이 하였다.
이에 선인이 묻기를, “그대는 능히 범행(梵行)에 청정하게 머물 수 있는 것인가, 머물 수 없는 것인가?”라고 하자, 바라문은 능히 그와 같이 청정하게 머물수 있을 것이라고 말하고 나서 바로 재가, 즉 세속의 법[家法]을 버리고 출가의 행을 닦아 가비라의 제자가 되었다. - ↑ https://tripitaka.cbeta.org/T54n2137_001?format=line 金七十論卷上. 2025년 8월 17일에 확인.
T54n2137_p1245a10║見此世間沈沒盲闇起大悲心。咄哉生死
T54n2137_p1245a11║在盲闇中。遍觀世間。見一婆羅門姓阿修利。
T54n2137_p1245a12║千年祠天隱身往彼說如是言。阿修利汝戲
T54n2137_p1245a13║在家之法。說是言竟即便還去。滿千年已而
T54n2137_p1245a14║復更來重說上。言是婆羅門即答仙曰。世尊
T54n2137_p1245a15║我實戲樂在家之法。是時仙人聞已復去。其
T54n2137_p1245a16║後更來又說上言。婆羅門答之亦如是說。仙
T54n2137_p1245a17║人問曰汝能清淨住梵行不。婆羅門言如是
T54n2137_p1245a18║能住。即捨家法修出家行為迦毘羅弟子。 - ↑ 가 나 https://en.wikipedia.org/wiki/Asuri_(Samkhya) 2025년 8월 17일에 확인.
Asuri (Sanskrit: आसुरि) was a Vedic sage in the tradition of Hinduism in the ancient Indian Subcontinent. He was the disciple of the Vedic sage Kapila. Later he became the teacher of Shamkhya philosophy founded by the sage Kapila. Shamkhya philosophy is one of the six schools of the ancient Indian philosophy. - ↑ https://www.wisdomlib.org/definition/asuri 2025년 8월 17일에 확인.
Purana and Itihasa (epic history) [«previous (A) next»] — Asuri in Purana glossary
Āsuri (आसुरि).—An ancient Maharṣi. He was the ācārya of Kapila Sāṃkhyadarśana and the guru of the maharṣi Pañcaśikha. Once Āsuri had a full vision of God. He gave many precepts on spiritual matters to other Maharṣis. The Bhāgavata says that Āsuri received his spiritual enlightenment from his wife, Kapilā. (Mahābhārata, Śānti Parva, Chapter 218, Verses 10-14).
Source: archive.org: Puranic Encyclopedia
...
1b) A pupil of Kapila from whom he learnt sāṅkhya; a siddha;1 did not comprehend Hari's māyā;2 was invited for the rājasūya of Yudhiṣṭhira.3
1) Bhāgavata-purāṇa I. 3. 10; III. 24. 17; VI. 15. 14.
2) Bhāgavata-purāṇa IX. 4. 57.
3) Bhāgavata-purāṇa X. 74. 9.
...
1e) A son of Brahmā.* * Vāyu-purāṇa 101. 338.
Source: Cologne Digital Sanskrit Dictionaries: The Purana Index
Sanskrit dictionary [«previous (A) next»] — Asuri in Sanskrit glossary
Āsuri (आसुरि).—A pupil of Kapila. मुनिरासुरयेऽनुकम्पया प्रददौ (munirāsuraye'nukampayā pradadau) Sāṃkhyakārikā 7.
Source: DDSA: The practical Sanskrit-English dictionary
8) Āsuri (आसुरि):—[from āsura] m. [f(ī). , [cf. Lexicographers, esp. such as amarasiṃha, halāyudha, hemacandra, etc.]], ([from] asura), Name of a teacher, [Śatapatha-brāhmaṇa; Bṛhad-āraṇyaka-upaniṣad etc.]
Source: Cologne Digital Sanskrit Dictionaries: Monier-Williams Sanskrit-English Dictionary - ↑ Google 검색: sanskrit pronunciation of आसुरि 2025년 8월 17일에 확인.
The Sanskrit word आसुरि (āsuri) is pronounced [aːˈsʊri] in the International Phonetic Alphabet (IPA). In simpler terms, it's pronounced "ah-soo-ri," with the "a" as in "father," the "su" as in "sue," and the "ri" as in "ree".
Here's a breakdown:
- आ (ā): This is a long "a" sound, like the "a" in "father".
- सु (su): This is pronounced like the English word "sue".
- रि (ri): This is pronounced like the English word "ree" or the "ri" in "river".
- ↑ 가 나
https://zh.wikipedia.org/zh-tw/奥义书 2025년 8월 12일에 확인.
7. 石氏奧義書(或譯伽陀奧義書,屬於黑夜柔吠陀) - ↑ 가 나
https://zh.wikipedia.org/zh-cn/奥义书 2025년 8월 12일에 확인.
7. 石氏奥义书(或译伽陀奥义书,属于黑夜柔吠陀) - ↑ 가 나
https://en.wikipedia.org/wiki/Katha_Upanishad 2025년 8월 12일에 확인.
The Katha Upanishad (Sanskrit: कठोपनिषद्, IAST: Kaṭhopaniṣad), is an ancient Hindu text and one of the mukhya (primary) Upanishads, embedded in the last eight short sections of the Kaṭha school of the Krishna Yajurveda. It is also known as Kāṭhaka Upanishad, and is listed as number 3 in the Muktika canon of 108 Upanishads. - ↑ https://forvo.com/word/katha_upanishad/ katha upanishad pronunciation in Sanskrit - Pronunciation by tesuji (Male from United States). 2025년 8월 12일에 확인.
- ↑ https://www.howtopronounce.com/katha-upanishad 2025년 8월 12일에 확인.
- ↑ https://www.howtopronounce.com/katha-upanishad 2025년 8월 12일에 확인.
- ↑ https://kabc.dongguk.edu/m/content/view?dataId=ABC_IT_K1032_T_001 금칠십론(金七十論) 상권, 진제(眞諦) 한역, 번역자 미상. 2025년 8월 16일에 확인.
옛날 가비라(迦毘羅, Kapila)라고 이름하는 어떤 한 선인(仙人)이 있었는데, 허공으로부터 태어났다. 그는 태어나면서부터 자연적으로 네 가지 공덕을 갖추고 있었는데, 첫째는 법(法)이며, 둘째는 지혜[慧]이며, 셋째는 이욕(離欲)이며, 넷째는 자재(自在)로서2), 이 네 가지를 하나로 모아 몸을 삼았다. 그는 이 세간이 무지의 어둠[盲間]에 빠져 있는 것을 보고 크나큰 자비심을 일으켰다.
2) 이것은 이해ㆍ판단작용[決智, adhyavasāya]의 원리인 대(大, mahat)가 갖는 삿트바(sattva)적인 성질의 공덕으로서, 자세한 내용은 제23송 참조. - ↑ https://tripitaka.cbeta.org/T54n2137_001?format=line 金七十論卷上. 2025년 8월 16일에 확인.
T54n2137_p1245a08║昔有仙人名迦毘羅。從空而生
T54n2137_p1245a09║自然四德。一法二慧三離欲四自在總四為
T54n2137_p1245a10║身。見此世間沈沒盲闇起大悲心。 - ↑ 가 나 https://zh.wikipedia.org/zh-tw/迦毘羅仙 2025년 8월 14일에 확인.
迦毘羅(天城體:कपिल ऋषि,IAST:kapila、迦毘羅仙)是吠陀的仙人之一,印度的古典哲學數論派的開祖。生沒年不詳,一說是西元前300年前後的人物,另一說是前6世紀或前7世紀的人物。 - ↑ 가 나 https://zh.wikipedia.org/zh-cn/迦毘羅仙 2025년 8월 14일에 확인.
迦毘罗(天城体:कपिल ऋषि,IAST:kapila、迦毘罗仙)是吠陀的仙人之一,印度的古典哲学数论派的开祖。生没年不详,一说是西元前300年前后的人物,另一说是前6世纪或前7世纪的人物。 - ↑ https://zh.wikipedia.org/zh-tw/数论_(印度哲学) 2025년 8월 14일에 확인.
根據傳統說法,數論的創始人是迦毗羅仙人(Kapila)(因此又稱為「迦毗羅論」)。但是,沒有任何可靠的證據能證明這一點。 - ↑ https://zh.wikipedia.org/zh-cn/数论_(印度哲学) 2025년 8월 14일에 확인.
根据传统说法,数论的创始人是迦毗罗仙人(Kapila)(因此又称为“迦毗罗论”)。但是,没有任何可靠的证据能证明这一点。 - ↑ https://sanskritdictionary.com/?iencoding=iast&q=kapila&lang=sans&action=Search
https://sanskritdictionary.com/kapila/49303/1
https://sanskritdictionary.com/scans/monierwilliams/mw0250.jpg
https://sanskritdictionary.com/scans/monierwilliams/mw0251.jpg
2025년 8월 14일에 확인.
kapila कपिल
Definition: m. Name of an ancient sage (identified by some with viṣṇu- and considered as the founder of the sāṃkhya- system of philosophy), mahābhārata; bhagavad-gītā etc. - ↑ https://www.youtube.com/watch?v=igZry2gEOgY Kapila Pronunciation Sanskrit कपिल kapila. 2025년 8월 14일에 확인.
- ↑ https://en.dict.naver.com/#/search?query=kapila 2025년 8월 14일에 확인.
Kapila
명사 카필라: 기원전 4-3세기경의 인도의 철학자, 산캬(Sankhya)학파의 시조.
YBM 올인올 영한사전 - ↑ James G. Lochtefeld (2002), The Illustrated Encyclopedia of Hinduism, The Rosen Publishing Group, Inc., New York. p. 350.
Kapila
A powerful and ornery sage in Hindu mythology. Kapila’s most famous mythic exploit occurs in the story of the Descent of the Ganges. King Sagar is on the verge of completing his hundredth horse sacrifice (ashvamedha). This will give him enough religious merit to claim the throne of Indra, king of the gods. Indra forestalls this threat by stealing the sacrificial horse and tying it outside Kapila’s ashram. Sagar dispatches his sixty-thousand sons to find the horse. When they finally locate it at Kapila’s ashram, they find the sage deep in meditation. The sons assume that the sage’s meditation is a ploy to keep from having to answer their questions, so they begin to abuse him physically. Kapila becomes extremely angry. The accumulated power generated by his long asceticism (tapas) is released like fire, burning the sixty-thousand sons to ash. Kapila later informs Sagar’s sole surviving descendant, Anshuman, that the only way to bring peace to the souls of the departed is to bring the Ganges down to earth and have their ashes touched by her waters. Fulfilling this condition galvanizes several generations of Sagar’s descendants—Anshuman, Dilip, and Bhagirath—until the last is finally successful in bringing the river to earth.
Kapila
(2) Philosopher cited as the traditional founder of the Samkhya philosophical school, one of the six schools of Hindu philosophy. Little is known about him; much of what is known has a legendary tone that makes its value as historical data questionable. Kapila may have lived in the seventh century B.C.E. If this is true, Kapila would have lived about a thousand years earlier than Ishvarakrishna. The latter is the first Samkhya figure from whom we have a well-attested text, the Samkhyakarikas, which is the foundational text for the school. - ↑ Margaret and James Stutley (1977, 2019), A Dictionary of Hinduism: Its Mythology, Folklore and Development 1500 B.C.-A.D. 1500, Routledge, New York. p. 142.
Kapila I. According to tradition the name of the founder of the Sāṁkhya system,1 but Hindu accounts of him are so full of legends and contradictions that little historical value can be attributed to them.2 The Buddhist references to Kapila deserve more serious consideration, since they connect his name with the city of Kapilavastu, the birthplace of the Buddha, and ascribe to him and his followers, some of whom are named, a sphere of activity which agrees well with the close relationship that existed between Buddhist and Sāṁkhya philosophy.3
1 His date is unknown, but he probably lived during the seventh century B.C. (Radhakrishnan and Moore, Sourcebook in Indian Philosophy, p. 425).
2 Kapila is sometimes said to be a son of Brahmā; or an incarnation of Viṣṇu (DHI., p. 391); or of Agni.
3 ERE., VII, p. 659.
v. Darśana(s).
II. A ṛṣi who burnt up Sagara’s 60,000 sons by his fiery glance (VP., IV.4).
v. Aṁśumat; Bhagīratha. - ↑ Ingrid Fischer-Schreiber, Franz-Karl Ehrhard, Kurt Friedrichs, Michael S. Diener (1989), The Encyclopedia of Eastern Philosophy and Religion: Buddhism • Hinduism • Taoism • Zen, Shambhala Publications, Inc., Boston. p. 174
Kapila H, founder of the → Sankhya philosophy; a → rishi about whose life no details are known. His works have also been lost. The Tattvasamāsa ("summary of the truth"), a text that consists of only fifty-four words and is ascribed to him, holds no key to the origins of Sānkhya, its earliest authentic text is the so-called Sankhya-Kārikā of Īshvarakrishna, which undoubtedly dates back to sometime before 500 C.E. - ↑ Constance A. Jones and James D. Ryan (2007), Encyclopedia of Hinduism, Facts On File, Inc., New York, pp. 227-228.
Kapila (c. 100 C.E.) philosopher
The sage Kapila is the legendary founder of Samkhya tradition, and thus a key figure in the history of yoga. He is said to have passed on his knowledge to Asuri, who in turn passed it on to Panchashikha. According to the oldest commentary on the samkhya karika, a later text, Kapila was a “wise ascetic, . . . born of heaven, . . . and innately endowed with the four fundamental dispositions of virtue, knowledge, renunciation, and supernatural power.”
The story is told that Kapila, out of pity for suffering humanity, selected a Brahmin householder, Asuri, as an appropriate person to whom to reveal the knowledge of Samkhya. Kapila approached him as he was performing sacrifices (as he had been doing for thousands of years). Asuri would not listen. Only after being approached two more times did he relent and become Kapila’s student.
Some sources say Kapila is the son of Svambhuva’s daughter, Manu, and Prajapati’s son, Kardama. Other sources say that he may be an incarnation of Vishnu who learned his wisdom directly from Shiva; as such he would then be known as Hiranyagarbha, or lord of the world. There are numerous references to Kapila in the epics and later texts, which give him various powers and statuses.
Further reading: John Davies, Hindu Philosophy: An Exposition of the System of Kapila (New Delhi: Cosmo, 1981). - ↑ Denise Cush, Catherine Robinson and Michael York (ed.) (2008), Encyclopedia of Hinduism, Routledge, New York, p. 409.
KAPILA
The Sāṃkhyakārikas (Verses on Sāṃkhya) form the earliest available complete work of classical Sāṃkhya (one of the six schools of Hindu philosophy). Its author was Īśvarakṛṣṇa (fourth to fifth century CE). According to tradition, Kapila is the name of the founder of the Sāṃkhya system.
At Sāṃkhyakārika 69, Īśvarakṛṣṇa refers to a sage who explained and ‘enumerated’ the Sāṃkhya philosophy. According to Īśvarakṛṣṇa, this sage (identified by tradition as ‘Kapila’) passed on the Sāṃkhya teaching to Āsuri, who transmitted it to Pañcaśikha (who expanded and spread it). Commentators on Īśvarakṛṣṇa’s kārikas suggested possible lines of Sāṃkhya teachers (from Pañcaśika to Īśvarakṛṣṇa). Īśvarakṛṣṇa was regarded as having simplified the old system after a period of several centuries.
In Sāṃkhya literature, Kapila has been described as a compassionate, wise ascetic, heaven-born, endowed with power, knowledge, virtue and renunciation. He has been called one of the seven great seers or sages (sapta mahāṛṣi), the others being Voḍhu, Āsuri, Pañcaśika, Sanātana, Sanaka and Sananda. For Vācaspati Miśra, Kapila was an incarnation of Viṣṇu, obtained total knowledge from Maheśvara and was born at the dawn of creation. Another account relates that, with the aid of an ‘artificial mind’ (nirmāṇacitta), Kapila, as a ‘primal wise man’, taught Āsuri Sāṃkhya wisdom.
There are doubts about possible linkages between references to Kapila in earlier Hindu literature and later Sāṃ- khya writings. In the Ṛgveda and Upaniṣads, ‘kapila’ is a term for a colouṛ But at Śvetāśvatara Upaniśad 5.2, ‘kapila’ (as a colour reference) is connected to a seer born at the dawn of creation, possibly linking to Rudra.
There are various references to Kapila in the Bhagavadgītā and Mokṣadharma of the Mahābhārata. In the Bhagavadgītā, there is reference to Kapila as a ‘perfected one’ (siddha). In the Moksadharma, Kapila is connected to Viṣṇu, Śiva and Agni. See also: Agni; Bhagavadgītā; Īśvarakṛṣna; Mahābhārata; Ṛṣi; Rudra; Ṣaḍdarśana; Saṃhitā; Sāṃkhya; Sāṃkhyakārikas; Siddha; Śiva; Upaniṣads; Vācaspati Miśra; Viśṇu
Martin Ovens
Further reading
Larson, G.J. and R.S. Bhattacharya. 1987. Encyclopedia of Indian Philosophies, Vol. 4, Sāṃkhya: A Dualist Tradition in Indian Philosophy. Delhi: Motilal Banarsidass. - ↑ https://kabc.dongguk.edu/m/content/view?dataId=ABC_IT_K1032_T_003 금칠십론(金七十論) 하권, 진제(眞諦) 한역, 번역자 미상. 2025년 8월 18일에 확인.
“그렇다면 이러한 지혜는 누구로부터 획득된 것인가?”
게송으로 답하겠다.
이러한 지혜는 수승한 길상(吉祥)으로,是智勝吉祥
모니(牟尼)께서 자비의 마음으로 설하신 것이니,牟尼依悲說
먼저 아수리를 위해 설하셨고,先爲阿修利
다음에 반시하에게 설하셨다.34)次與般尸訶
34) 제70송.
‘이러한 지혜는 수승한 길상(吉祥)이다’라고 함은, 이러한 지혜는 그 옛날 네 가지 베다가 아직 출현하지 않았을 때 최초로 성취되었는데, 이러한 지혜에 의해 네 가지 베다와 여러 가지의 도(道)가 그 후에 성취될 수 있었기 때문에 모든 것 가운데 가장 뛰어난 것[一切最勝]이라고 말한 것이다. 또한 자아는 이러한 지혜로 말미암아 세 가지 괴로움과 스물네 가지 근본 괴로움, 그리고 세 가지 속박의 원리(遠離)를 획득하고,35) 독존 해탈한다. 그래서 이러한 지혜를 ‘가장 수승한 길상’이라고 말한 것이다.
35) 세 가지 괴로움이란 내적 조건에 의한 괴로움[依內苦]과 외적 조건에 의한 괴로움[依外苦], 그리고 하늘에 의한 괴로움[依天苦]을 말하며(제1송 참조), 세 가지 속박이란 자성박ㆍ보시박ㆍ변이박을 말한다(제45송 참조).
‘모니(牟尼, mum)께서 자비의 마음으로 설하셨다.’ 즉 누가 처음으로 이러한 지혜를 획득하였던 것인가 하면, 바로 가비라 대선인(大仙人)이다. 앞(제1송)에서 설하였듯이 가비라선인은 처음 출현하면서부터 네 가지 공덕을 갖추고 있었는데, 첫째가 법이며, 둘째가 지혜이며, 셋째가 이욕이며, 넷째가 자재이다. 즉 그는 이러한 지혜를 얻고 나서 크나큰 자비심에 따라 그것을 설하셨던 것인데, 이러한 지혜를 수호하여 지니고, 다른 이를 제도하고자 하는 자비심으로 인해 ‘먼저 아수리를 위해 설하셨다.’
그리고 아수리선인은 ‘다음에 반시하(般尸訶, Pañcaśikha)를 위해 설하셨다’ 이 반시하는 이 논을 자세히 설하였는데, 6십천(十千) 게송이나 되었다. 일찍이 가비라선인이 아수리를 위해 간략히 설한 것은 다음과 같은 것이었다.
“최초에는 오로지 어둠[闇]만이 생겨났다. 이러한 어둠 중에 지혜의 밭[智田]이 있었다. 지혜의 밭이 바로 자아[人]이다. 즉 자아가 존재하여도 아직 지혜를 갖지 않았기 때문에 밭이라고 일컬은 것이다. 다음으로 회전 변이하였으니, 이것이 첫 번째 전변의 생[轉生]이다. 나아가 해탈한다.”
아수리선인이 반시하를 위해 간략히 설한 것도 역시 이와 같은 것이었지만, 반시하가 이러한 지혜를 자세히 설하여 6십천 게송이나 되었던 것이다. 그 후 순서대로 계승되어 마침내 성(姓)은 구식(狗式, Kusala)이고, 이름은 자재흑(自在黑, Īśvarakṛṣṇa)이라고 하는 바라문이 이를 70게송으로 가려 취하게 되었으니, 게송으로 설하고 있는 바와 같다.
제자들이 차례대로 출현하여弟子次第來
위대한 스승의 지혜를 전수하였는데,傳受大師智
자재흑이 간략히 설하였던 것은自在黑略說
이미 진실의의 근본을 알았기 때문이다.36)已知實義本
36) 제71송.
‘제자들이 차례대로 출현하여 위대한 스승의 지혜를 전수하였다’고 함은, 이러한 지혜는 가비라로부터 비롯되어 아수리에 이르고, 아수리는 반시하에게 전하였으며, 반시하는 갈가(褐伽, Garga)에게 전하였으며, 갈가는 우루거(優樓佉, Ulūka)에게 전하였으며, 우루거는 발바리(跋婆利)에게 전하였으며, 발바리는 자재흑에게 전한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은 순서로 자재흑은 이러한 지혜를 획득하였는데, 대론(大論)은 수지(受持)하기가 어렵다는 것을 알았기 때문에 70게송으로 간략하게 줄였으니, 앞에서 설한 바와 같다.
세 가지 괴로움에 의한 핍박이 있기 때문에
이것을 소멸하는 원인에 대해 알기 원한다.37)
37) 제1송 전반.
위의 게송이 바로 그것이다. 그래서 ‘자재흑이 간략히 설하였던 것은 이미 진실의의 근본을 알았기 때문이다’라고 말한 것이다. - ↑ https://tripitaka.cbeta.org/T54n2137_003?format=line 金七十論卷上. 2025년 8월 18일에 확인.
T54n2137_p1262a19║外曰。此智從何而得。以偈答
T54n2137_p1262a20║曰。
T54n2137_p1262a21║是智勝吉祥牟尼依悲說
T54n2137_p1262a22║先為阿修利次與般尸訶
T54n2137_p1262a23║是智勝吉祥者。此智昔四皮陀未出時初得
T54n2137_p1262a24║成就。由此智四皮陀及諸道。後得成故。故
T54n2137_p1262a25║說一切最勝。三種苦及二十四本苦并三縛。
T54n2137_p1262a26║由此智故我得遠離獨存解脫。故說此智最
T54n2137_p1262a27║吉祥。牟尼依悲說者。誰初得此智。謂迦毘羅
T54n2137_p1262a28║大仙人。如前說。迦毘羅仙人初出有四德。一
T54n2137_p1262a29║法二智三離欲四自在。得此智已依大悲說。
T54n2137_p1262b01║護持此智為欲度他。由慈悲故先為阿修利
T54n2137_p1262b02║說。是阿修利仙人。次為般尸訶說。是般尸
T54n2137_p1262b03║訶廣說此論。有六十千偈。迦毘羅仙人為阿
T54n2137_p1262b04║修利略說如此。最初唯闇生此暗中有智田。
T54n2137_p1262b05║智田即是人有人未有智故稱為田。次迴轉
T54n2137_p1262b06║變異。此第一轉生。乃至解脫。阿修利仙人為
T54n2137_p1262b07║般尸訶略說亦如是。是般尸訶廣說此智有
T54n2137_p1262b08║六十千偈。次第乃至婆羅門姓拘式名自在
T54n2137_p1262b09║黑。抄集出七十偈。故說偈言。
T54n2137_p1262b10║弟子次第來傳受大師智
T54n2137_p1262b11║自在黑略說已知實義本
T54n2137_p1262b12║弟子次第來傳受大師智者。是智者從迦毘
T54n2137_p1262b13║羅來至阿修利。阿修利傳與般尸訶。般尸訶
T54n2137_p1262b14║傳與褐伽。褐伽傳與優樓佉。優樓佉與跋
T54n2137_p1262b15║婆利。跋婆利自在黑。如是次第自在黑得此
T54n2137_p1262b16║智。見大論難可受持。故略抄七十偈。如前說。
T54n2137_p1262b17║三苦所逼故欲知滅苦因等。故說自在黑略
T54n2137_p1262b18║說已知實義本。 - ↑ https://zh.wikipedia.org/zh-tw/数论颂 2025년 8월 18일에 확인.
《數論頌》共有72頌(śloka),不過原本可能只有70頌。[4]據《數論頌》文中自述,作者的思想源自智者迦毗羅,其後傳至阿修利(Āsuri),再傳至般屍訶(Pañcaśikha),「般屍訶傳與褐伽,褐伽傳與優樓佉,優樓佉傳與跋婆利,跋婆利傳與自在黑,如是次第。」[5]
[4] Gerald James Larson (2011), Classical Sāṃkhya: An Interpretation of Its History and Meaning, Motilal Banarsidass, ISBN 978-8120805033, pages 146-147
[5] 《金七十論》 - ↑ https://zh.wikipedia.org/zh-cn/数论颂 2025년 8월 18일에 확인.
《数论颂》共有72颂(śloka),不过原本可能只有70颂。[4]据《数论颂》文中自述,作者的思想源自智者迦毗罗,其后传至阿修利(Āsuri),再传至般尸诃(Pañcaśikha),“般尸诃传与褐伽,褐伽传与优楼佉,优楼佉传与跋婆利,跋婆利传与自在黑,如是次第。”[5]
[4] Gerald James Larson (2011), Classical Sāṃkhya: An Interpretation of Its History and Meaning, Motilal Banarsidass, ISBN 978-8120805033, pages 146-147
[5] 《金七十论》 - ↑ https://www.wisdomlib.org/definition/pancashikha 2025년 8월 18일에 확인.
Purana and Itihasa (epic history)
[«previous (P) next»] — Pancashikha in Purana glossary
Pañcaśikha (पञ्चशिख).—A sage of ancient times. The Purāṇas give the following details about him.
He was a disciple of Āsuri. He was brought up breastfed by Kapilā, wife of Āsuri and so he was known as Kāpila also. He dwelt in Pañcasrotas and performed a Yāga for a thousand years and got his name Pañcaśikha. He went to the assembly of the learned king Janaka and entered into a polemic contest with him and defeated him. The defeated King gave Pañcaśikha great respect and he lived in the court of Janaka as his Guru for a number of years. (Chapter 218, Śānti Parva).
Source: archive.org: Puranic Encyclopedia - ↑ https://sanskritdictionary.com/pañcaśikha/124679/1
https://sanskritdictionary.com/scans/monierwilliams/mw0577.jpg 2025년 8월 18일에 확인.
pañcaśikha पञ्चशिख
Definition: m. Name of a sāṃkhya- teacher (called also -muni-, a pupil of āsuri-) mahābhārata, vāyu-purāṇa etc. - ↑ Google 검색 sanskrit pronunciation of पञ्च 2025년 8월 18일에 확인.
- ↑ Google 검색 pronunciation of शिख 2025년 8월 18일에 확인.
- ↑ https://www.youtube.com/watch?v=piNiJEgBURg Shikha Pronunciation Sanskrit शिखा śikhā. 2025년 8월 18일에 확인.
- ↑ https://en.wikipedia.org/wiki/Samkhya#Historical_development 2025년 8월 18일에 확인
Traditional credited founders
Sage Kapila is traditionally credited as a founder of the Samkhya school.[136] It is unclear in which century of the 1st millennium BCE Kapila lived.[137] Kapila appears in Rigveda, but context suggests that the word means 'reddish-brown color'. Both Kapila as a 'seer' and the term Samkhya appear in hymns of section 5.2 in Shvetashvatara Upanishad (c.300 BCE), suggesting Kapila's and Samkhya philosophy's origins may predate it. Numerous other ancient Indian texts mention Kapila; for example, Baudhayana Grhyasutra in chapter IV.16.1 describes a system of rules for ascetic life credited to Kapila called Kapila Sannyasa Vidha.[137] A 6th century CE Chinese translation and other texts consistently note Kapila as an ascetic and the founder of the school, mention Asuri as the inheritor of the teaching and a much later scholar named Pancasikha[138] as the scholar who systematized it and then helped widely disseminate its ideas.[139] Isvarakrsna is identified in these texts as the one who summarized and simplified Samkhya theories of Pancasikha, many centuries later (roughly 4th or 5th century CE), in the form that was then translated into Chinese by Paramartha in the 6th century CE.[137]
[136] Sharma, C. (1997), A Critical Survey of Indian Philosophy, New Delhi: Motilal Banarsidass Publ, ISBN 81-208-0365-5. p. 149.
[137] Gerald James Larson and Ram Shankar Bhattacharya, The Encyclopedia of Indian Philosophies, Volume 4, Princeton University Press, ISBN 978-0691604411, pages 107-109.
[138] "Samkhya: Part Two: Samkhya Teachers". sreenivasarao's blogs. 3 October 2012. Retrieved 15 May 2019.
[139] Bilimoria, Purushottama; Mohanty, J. N.; Rayner, Amy; Powers, John; Phillips, Stephen; King, Richard; Chapple, Christopher Key (22 November 2017). Bilimoria, Purushottama (ed.). History of Indian Philosophy: Routledge history of world philosophies (1 ed.). New York : Routledge, 2017. pp. 131–132. - ↑ https://en.wikipedia.org/wiki/Asuri_(Samkhya) 2025년 8월 18일에 확인.
According to the references of the Shankhya philosophy, Asuri was the first recipient of the Shamkhya philosophy[3] and the second teacher after his teacher Kapila in the tradition of Shamkhya school of the Indian philosophy.[4] He was the teacher of the sage Panchashikha. He transmitted his knowledge of the Shamkhya philosophy to his disciple Panchashikha. And then Panchashikha taught Shamkhya philosophy to his disciple Kings Janadeva Janaka and Dharmadhwaja Janaka.
[3] Kapila (1974). The Samkhya Philosophy, Containing (1) Sâmkhya-pravachana Sûtram: With the Vritti of Aniruddha, and the Bhâṣya of Vijnâna Bhikṣu and Extracts from the Vritti-sâra of Mahâdeva Vedantin (2) Tatva Samâsa (3) Sâmkhya Kârikâ (4) Panchaśikhâ Sûtram. AMS Press. ISBN 978-0-404-57811-4.
[4] Larson, Gerald James (2001). Classical Sāṃkhya: An Interpretation of Its History and Meaning. Motilal Banarsidass Publ. ISBN 978-81-208-0503-3. - ↑ https://sreenivasaraos.com/2012/10/03/samkhya-part-two-samkhya-teachers/ 2025년 8월 18일에 확인.
7.2. According to Samkhya traditions, it appears, there were as many as twenty-six Samkhya teachers. The more important of them are: Kapila, Asuri, Panchashikha, Vindyavasa, Varsaganya, Jaigisavya and Isvarakrishna. - ↑ https://www.wisdomlib.org/definition/mokshadharmaparva 2025년 8월 13일에 확인.
In Hinduism
Purana and Itihasa (epic history)
[«previous (M) next»] — Mokshadharmaparva in Purana glossary
Mokṣadharmaparva (मोक्षधर्मपर्व).—A sub-divisional Parva of Śānti Parva. It contains the chapters 174 to 365 of Śānti Parva.
Source: archive.org: Puranic Encyclopedia - ↑ https://www.youtube.com/watch?v=4oI8Vxx73Z8 Moksha Pronunciation Sanskrit मोक्ष mokṣa. 2025년 8월 13일에 확인.
https://www.youtube.com/watch?v=-y1nW1vvOro Dharma धर्म dharma Sanskrit Pronunciation. 2025년 8월 13일에 확인.
https://forvo.com/word/anushasana_parva/ Anushasana Parva pronunciation in Sanskrit - Pronunciation by ArvindAruna (Male from Canada). 2025년 8월 13일에 확인. - ↑ https://en.wikipedia.org/wiki/Shanti_Parva 2025년 8월 13일에 확인.
The Shanti Parva (Sanskrit: शान्ति पर्व; IAST: Śānti parva) ("Book of Peace") is the twelfth of the eighteen parvas (books) of the Indian epic Mahabharata. It traditionally has three parts and 365 chapters. The critical edition has three parts and 353 chapters. It is the longest book among the eighteen books of the epic.
. . .
The Shanti Parva traditionally has 3 upa-parvas (parts, little books) and 365 adhyayas (chapters). The following are the sub-parvas:- Rajadharma-anusasana Parva (chapters: 1–130)[ – describes the duties of kings and leaders, among other things
- Apaddharma-anusasana Parva (chapters: 131–173) – describes the rules of conduct when one faces adversity
- Moksha-dharma Parva (chapters: 174–365) – describes behavior and rules to achieve moksha (emancipation, release, freedom)
참고 문헌
[편집]- (영어) Bernard, Theos (1947).《Hindu Philosophy》. Philosophical Library, New York.
외부 링크
[편집]- (영어) 상키야 학파 - 인터넷 철학 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