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석탄화력발전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폴란드 베우하투프에 있는 베우하투프 발전소
독일 그레벤브로이흐에 있는 프림머스도르프 발전소
석탄 화력 발전소 다이어그램
석탄에서 생산되는 전기의 비율

석탄화력발전소(coal-fired power station) 또는 석탄발전소석탄을 태워 전기를 생산하는 화력 발전소이다. 전 세계적으로 약 2,500개의 석탄 화력 발전소가 있으며,[1] 평균적으로 각각 1기가와트의 발전량을 낼 수 있다.[2][a] 이들은 전 세계 전력의 약 3분의 1을 생산하지만,[3] 주로 대기 오염으로 인해[4][5] 생산 에너지 단위당 가장 많은 질병과 조기 사망을 유발한다.[6] 전 세계 설치 용량은 2000년부터 2023년까지 두 배로 증가했으며, 2023년에는 2% 증가했다.[7]

석탄 화력 발전소는 화석연료 발전소의 한 종류이다. 석탄은 일반적으로 분쇄된 후 미분탄 보일러에서 연소된다. 화로의 열은 보일러 물을 증기로 바꾸고, 이 증기는 터빈을 돌려 발전기를 작동시키는 데 사용된다. 따라서 석탄에 저장된 화학 에너지는 차례로 열에너지, 역학적 에너지, 그리고 마지막으로 전력량으로 변환된다.

석탄 화력 발전소는 기후 변화의 가장 큰 단일 원인이며,[8] 연간 약 120억 톤의 이산화 탄소를 배출하는데,[2] 이는 전 세계 온실 기체 배출량의 약 5분의 1에 해당한다.[9] 중국은 전 세계 석탄 발전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10] 2020년부터 유럽[11]과 미주 지역의 폐쇄로 인해[12] 가동 중인 석탄 발전소의 총 수는 감소하기 시작했지만,[13][14] 주로 중국을 중심으로 아시아 지역에서는 건설이 계속되고 있다.[15] 석탄 생산 및 사용에 따른 건강 및 환경 비용이 전기 가격에 완전히 반영되지 않아 외부성으로 인해 일부 발전소의 수익성이 유지된다.[16][17] 그러나 새로운 발전소는 좌초자산이 될 위험에 직면해 있다.[18] 유엔 사무총장경제협력개발기구 국가들에게 2030년까지, 그리고 전 세계적으로는 2040년까지 석탄 화력 발전을 단계적으로 퇴출할 것을 촉구했다.[19]

역사

[편집]
1882년 개장한 세계 최초의 공공 증기 구동 석탄 발전소인 런던의 홀본 고가교 발전소

최초의 석탄 화력 발전소는 19세기 후반에 건설되었으며, 왕복 기관을 사용하여 직류를 생산했다. 20세기 초에는 증기 터빈 덕분에 훨씬 더 큰 발전소를 건설할 수 있었고, 교류가 더 넓은 지역에 전력을 공급하는 데 사용되었다.

석탄의 운송 및 공급

[편집]
헬퍼 (유타주) 근처의 캐슬 게이트 발전소

석탄은 도로 트럭, 철도, 바지선, 석탄 운반선 또는 석탄 슬러리 파이프라인을 통해 운송된다. 발전소는 때때로 탄광 근처에 건설되는데, 특히 장거리 운송할 가치가 없는 갈탄과 같은 석탄을 채굴하는 경우 그렇다. 따라서 컨베이어 벨트나 대형 디젤 전기 구동 광산용 트럭을 통해 석탄을 받을 수도 있다. "유닛 트레인"이라고 불리는 대형 석탄 열차는 길이가 2 km에 달할 수 있으며, 각각 약 100톤의 석탄을 실은 130~140개의 차량으로 구성되어 총 10,000톤 이상의 적재량을 운반한다. 완전 부하 상태의 대형 발전소는 매일 이 정도 규모의 석탄 운송이 최소 한 번 필요하다. 특히 전력 소비가 높은 가장 더운 여름이나 가장 추운 겨울철(지역 기후에 따라 다름) "성수기"에는 발전소가 하루에 3~5대의 열차를 받을 수도 있다.

현대식 언로더는 로터리 덤프 장치를 사용하여 바닥 덤프 차량에서 석탄이 얼어붙는 문제를 해결한다. 언로더에는 전체 열차를 당겨 각 차량을 석탄 호퍼 위에 배치하는 열차 위치 조절 팔이 포함되어 있다. 덤퍼는 개별 차량을 플랫폼에 고정하고 차량을 거꾸로 돌려 석탄을 덤프한다. 회전 커플러 덕분에 차량들이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전체 작업이 이루어진다. 유닛 열차를 언로딩하는 데는 약 3시간이 걸린다.

더 짧은 열차는 엔진의 공기압과 각 차량의 "핫 슈"에 의존하는 "공기 덤프"가 있는 철도 차량을 사용할 수 있다. 이 "핫 슈"는 언로딩 트레슬의 "핫 레일"과 접촉할 때 공기 덤프 장치를 통해 전기 충격을 보내고 차량 바닥의 문이 열려 트레슬의 구멍을 통해 석탄을 덤프하게 한다. 이러한 열차 중 하나를 언로딩하는 데는 1시간에서 1시간 반 정도 걸린다. 오래된 언로더는 여전히 수동으로 작동하는 하단 덤프 철도 차량과 석탄을 덤프하는 데 사용되는 "쉐이커"를 사용할 수도 있다.

석탄 운반선(석탄을 운반하는 화물선)은 최대 41,000 tonne (40,000 롱톤)의 석탄을 실을 수 있으며 하역하는 데 며칠이 걸린다. 일부 석탄 운반선은 자체 벙커를 하역하는 자체 운반 장비를 갖추고 있지만, 다른 선박은 발전소의 장비에 의존한다. 강이나 호수와 같이 잔잔한 물에서 석탄을 운반하기 위해 평평한 바닥의 바지선이 자주 사용된다. 바지선은 일반적으로 자체 동력이 없으며 예인선으로 이동시켜야 한다.

시동 또는 보조 목적으로 발전소는 연료유를 사용할 수도 있다. 연료유는 파이프라인, 탱커, 탱크차 또는 트럭으로 발전소에 공급될 수 있다. 오일은 최대 14,000 세제곱미터 (90,000 bbl) 용량의 수직 원통형 강철 탱크에 저장된다. 더 무거운 5호 "벙커" 및 6호 연료는 추운 기후에서 펌핑하기 전에 일반적으로 증기로 가열된다.

운영

[편집]
석탄 화력 발전소의 구성 요소

화력 발전소의 한 종류인 석탄 화력 발전소는 석탄에 저장된 화학 에너지를 차례로 열에너지, 역학적 에너지, 그리고 마지막으로 전력량으로 변환한다. 석탄은 일반적으로 분쇄된 후 미분탄 보일러에서 연소된다. 연소된 미분탄의 열은 보일러 물을 증기로 바꾸고, 이 증기는 터빈을 돌려 발전기를 작동시키는 데 사용된다. 다른 연료 유형을 연소하는 화력 발전소와 비교할 때, 석탄은 특정 연료 처리 및 재 폐기가 필요하다.

약 200 메가와트 용량 이상의 발전 설비의 경우, 강제 통풍 및 유도 통풍 팬, 공기 예열기, 비산재 수집기 등 주요 구성 요소의 중복을 위해 여러 개를 설치한다. 약 60 메가와트 용량의 일부 설비에서는 대신 유닛당 두 개의 보일러가 제공될 수 있다. 100대 석탄 발전소는 3,000 메가와트에서 6,700 메가와트까지 다양하다.

석탄 처리

[편집]

석탄은 거친 석탄을 5 cm (2 in) 미만의 크기로 분쇄하여 사용 준비를 한다. 그런 다음 석탄은 저장장에서 공장 내 저장 사일로로 시간당 최대 4,000톤의 속도로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운반된다.

분쇄 석탄을 연소하는 발전소에서는 사일로가 석탄을 분쇄기 (석탄 분쇄기)로 공급한다. 분쇄기는 5 cm 크기의 큰 조각을 활석 파우더의 농도로 분쇄하고 분류하며, 1차 연소 공기와 혼합하여 석탄을 보일러로 운반하고 과도한 수분 함량을 제거하기 위해 석탄을 예열한다. 500 메가와트e 발전소에는 6개의 이러한 분쇄기가 있을 수 있으며, 그 중 5개는 완전 부하 상태에서 시간당 250톤의 석탄을 보일러로 공급할 수 있다.

분쇄 석탄을 연소하지 않는 발전소에서는 5 cm 크기의 큰 조각을 직접 사일로에 공급할 수 있으며, 사일로는 이동식 화격자에 석탄을 떨어뜨리는 기계식 분배기 또는 더 큰 연료 조각을 효율적으로 연소할 수 있는 특정 종류의 연소기인 사이클론 연소기에 연료를 공급한다.

보일러 작동

[편집]

갈탄 (갈색 석탄)용으로 설계된 발전소는 독일, 빅토리아주, 노스다코타주와 같이 다양한 지역에서 사용된다. 갈탄은 흑탄보다 훨씬 젊은 형태의 석탄이다. 흑탄보다 에너지 밀도가 낮아 동등한 열 출력을 위해 훨씬 더 큰 화로가 필요하다. 이러한 석탄은 최대 70%의 물과 석탄재를 포함할 수 있어 화로 온도가 낮아지고 더 큰 유도 통풍 팬이 필요하다. 연소 시스템도 흑탄과 다르며 일반적으로 화로 출구 수준에서 뜨거운 가스를 끌어와 들어오는 석탄을 팬형 분쇄기에서 혼합하여 분쇄된 석탄과 뜨거운 가스 혼합물을 보일러에 주입한다.

재 처리

[편집]

재는 종종 애시 폰드에 저장된다. 애시 폰드대기 오염 방지 장치(습식 스크러버 등)와 함께 사용하면 공기 중 오염 물질의 양은 줄어들지만, 이러한 구조물은 주변 환경에 심각한 건강 위험을 초래한다.[20] 전력 회사들은 특히 미국에서 라이너 없이 애시 폰드를 건설하는 경우가 많았고, 따라서 재에 포함된 화학 물질이 지하수와 지표수로 침출될 수 있다.[21]

1990년대 이후 미국의 전력 회사들은 많은 신규 발전소를 건식 재 처리 시스템으로 설계했다. 건식 재는 일반적으로 라이너와 지하수 모니터링 시스템을 포함하는 쓰레기 매립지에 처리된다.[22] 건식 재는 콘크리트, 도로 건설을 위한 구조물 채움재 및 그라우트와 같은 제품으로 재활용될 수도 있다.[23]

비산재 수집

[편집]

비산재는 화로 출구와 유도 통풍 팬 전에 위치한 전기 집진기 또는 직물 백 필터 (또는 때로는 둘 다)를 통해 연도가스에서 포집 및 제거된다. 비산재는 집진기 또는 백 필터 아래의 수집 호퍼에서 주기적으로 제거된다. 일반적으로 비산재는 공압으로 저장 사일로로 운반되어 현장의 애시 폰드에 저장되거나, 트럭이나 철도 차량으로 쓰레기 매립지로 운반된다.

바닥재 수집 및 처리

[편집]

화로 바닥에는 바닥재를 수집하기 위한 호퍼가 있다. 이 호퍼는 화로에서 떨어지는 재와 클링커를 식히기 위해 물로 채워져 있다. 클링커를 분쇄하고 분쇄된 클링커와 바닥재를 현장의 애시 폰드 또는 외곽의 쓰레기 매립지로 운반하는 장치가 포함되어 있다. 재 추출기는 도시 고형 폐기물 소각 보일러에서 재를 배출하는 데 사용된다.

유연성

[편집]
석탄 화력 발전소 애니메이션

효과적인 에너지 정책, 에너지법, 전력 시장은 그리드 유연성에 필수적이다.[24] 일부 석탄 화력 발전소의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가스 화력 발전소보다 조정 가능한 발전량이 적다. 유연성의 핵심 측면은 낮은 최소 부하이다.[25] 그러나 석탄 발전소에 대한 특정 유연성 업그레이드는 재생 가능 에너지원과 배터리 저장 장치를 배치하는 것보다 비용이 더 많이 들 수 있다.[26]

석탄 발전

[편집]
석탄은 전 세계 전기의 30% 이상을 생산한다

2020년 기준에 연소되는 석탄의 3분의 2는 전기를 생산하는 데 사용된다.[14] 2020년에는 석탄이 34%로 가장 큰 전력원이었다.[27] 2020년 전 세계 석탄 화력 발전의 절반 이상이 중국에서 이루어졌고,[27]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에서는 석탄이 전기의 약 60%를 공급했다.[3]

2020년 전 세계적으로 2,059 GW의 석탄 화력 발전 용량이 가동 중이었으며, 50 GW가 새로 시운전되고 25 GW가 건설 중이었고 (주로 중국), 38 GW가 퇴역했다 (주로 미국과 EU).[28]

2023년까지 전 세계 석탄 발전 용량은 주로 중국에서 47.4 GW의 추가로 인해 2,130 GW로 증가했다.[29](pp. 7-64)

일부 국가들은 2021년 유엔 기후 변화 회의(COP26)에서 글로벌 석탄에서 청정 에너지 전환 선언을 통해 석탄 발전에서 전환할 것을 약속했지만, 특히 인도네시아와 베트남과 같은 개발도상국에서는 여전히 상당한 어려움이 남아 있다.[30]

효율성

[편집]

효율성이 높은 순서대로 석탄 화력 발전소는 크게 네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아임계, 초임계, 초초임계, 그리고 열병합 (열 및 전력 병합 또는 CHP라고도 함).[31] 아임계는 가장 비효율적인 유형이지만, 최근 혁신을 통해 기존 아임계 발전소를 개조하여 초임계 발전소의 효율성을 충족하거나 심지어 능가할 수 있게 되었다.[32]

IGCC 설계

[편집]

IGCC(Integrated gasification combined cycle)는 고압 가스화기를 사용하여 석탄(또는 기타 탄소 기반 연료)을 가압 합성가스로 변환하는 석탄 기반 발전 기술이다. 가스화 공정은 복합 사이클 발전기를 사용할 수 있게 하여 일반적으로 더 높은 효율을 달성한다. IGCC는 또한 발전 전에 합성가스에서 특정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그러나 이 기술은 기존 석탄 화력 발전소보다 비용이 더 많이 든다.

이산화 탄소 배출

[편집]
에너지원별 온실가스. 석탄은 온실가스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에너지원이다.

석탄은 주로 탄소로 구성되어 있어 석탄 화력 발전소는 탄소 집약도가 높다. 평균적으로 석탄 발전소는 다른 에너지원에 비해 단위 전력 생산당 훨씬 더 많은 온실 기체를 배출한다 (또한 에너지원의 전 생애 온실가스 배출량 참조). 2018년에는 전기를 생산하기 위해 연소된 석탄에서 10 Gt CO2 이상이 배출되었는데,[33] 이는 연료 연소로 인한 총 34 Gt 중 일부였다.[34] (2018년 전체 온실 가스 배출량은 55 Gt CO2e였다[35]).

완화

[편집]

단계적 퇴출

[편집]
2010년대 중반까지 매년 폐쇄되는 석탄 발전소 용량이 증가했다.[36] 그러나 이후 폐쇄율은 정체되었고,[36] 전 세계적인 석탄 단계적 퇴출은 아직 파리 기후 협정의 목표와 일치하지 않는다.[37]
일부 석탄 발전소 용량의 폐쇄와 병행하여 다른 석탄 발전소도 계속 추가되고 있지만, 연간 추가 용량은 2010년대 이후 감소하고 있다.[38]

2015년부터 2020년까지 석탄 발전량은 절대적인 면에서 거의 감소하지 않았지만, 일부 시장 점유율은 풍력과 태양광에 의해 대체되었다.[27] 2020년에는 중국만이 석탄 발전량을 늘렸고, 전 세계적으로는 4% 감소했다.[27] 그러나 2021년 중국은 2025년까지 석탄 발전을 제한하고 점차적으로 단계적으로 폐지할 것이라고 선언했다.[39] 유엔 사무총장경제협력개발기구 국가들이 2030년까지, 나머지 세계는 2040년까지 석탄 발전에서 벗어나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파리 협정의 목표인 지구 온난화를 1.5 °C로 제한하는 것이 매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19] 디 이코노미스트의 2024년 분석에 따르면 단계적 폐지를 위한 자금 조달이 탄소 상쇄보다 저렴할 것이라고 결론 내렸다.[2] 그러나 아시아에서는 발전소들이 비교적 신축이 많아 단계적 폐지가 재정적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다.[3] 중국에서는 발전소 폐쇄의 공동 이익이 위치에 따라 크게 다르다.[40] 베트남은 2040년대까지 또는 그 이후 가능한 한 빨리 미완화 석탄 발전을 단계적으로 폐지하기로 완전히 약속한 몇 안 되는 석탄 의존적 급성장 국가 중 하나이다.[41]

암모니아는 수소 밀도가 높고 취급이 용이하다. 가스 터빈 발전에서 탄소 없는 연료를 저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연료로서 CO2 배출량을 크게 줄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42]

일본에서는 2021년 6월에 대규모 상업용 석탄 화력 발전소에서 상당량의 암모니아를 혼소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첫 번째 4년간의 주요 테스트 프로젝트가 시작되었다.[43][44] 그러나 저탄소 수소와 암모니아는 지속 가능한 해운에 대한 수요가 높으며, 이는 발전과는 달리 다른 청정 옵션이 거의 없다.[45]

전환

[편집]

일부 발전소는 가스, 바이오매스 또는 폐기물을 태우도록 전환되고 있으며,[46] 2023년에는 열 저장으로의 전환이 시험될 예정이다.[47]

탄소 포집

[편집]

2020년 중국에서는 일부 기존 석탄 화력 발전소에 탄소 포집 및 저장 시설을 개조하는 방안이 고려되고 있었지만,[48] 이는 매우 비싸고,[14] 에너지 출력을 감소시키며 일부 발전소에서는 기술적으로 불가능하다.[49]

오염

[편집]
석탄 발전소 폐기물 흐름

석탄 연소 발전소는 매년 수많은 사람들을 사망에 이르게 하는데, 이는 인간의 폐와 다른 장기에 침투하여 천식, 심장병, 저체중 출산, 등 다양한 건강 문제를 유발하는 미세 입자상 물질과 미세 공기 오염 물질 때문이다. 미국에서만 PM2.5 (지름 2.5 μm 이하의 입자)로 알려진 이러한 입자상 물질은 20년 동안 최소 460,000명의 초과 사망을 유발했다.[50]

일부 국가에서는 오염이 최적 이용 가능 기술에 의해 어느 정도 통제되고 있으며, 예를 들어 EU에서는[51] 산업 배출 지침을 통해 이를 수행한다. 미국에서는 석탄 화력 발전소가 수은 및 대기 유해 물질 기준(MATS) 규제를 비롯한 여러 대기 오염 규제,[52] 수질 오염에 대한 방류수 기준 규제,[53] 그리고 자원 보존 및 복구법(RCRA)에 따른 고형 폐기물 규제를 받는다.[54]

석탄 화력 발전소는 서부 발칸 반도,[55] 인도, 러시아, 남아프리카 등 규제가 느슨한 국가에서 계속 오염을 유발하며,[56] 매년 십만 명 이상의 조기 사망을 야기한다.[4][57][58]

지역 대기 오염

[편집]

입자상 물질, 이산화 황, 질소 산화물로 인한 건강 피해는 주로 아시아에서 발생하며, 종종 현대적인 연도가스 처리 시설이 부족한 발전소에서 갈탄과 같은 저품질 석탄을 연소하기 때문이다.[56] 대기 오염으로 인한 조기 사망은 GW-년당 200명으로 추정되지만, 스크러버가 사용되지 않는 발전소 주변에서는 더 높을 수 있고, 도시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서는 더 낮을 수 있다.[59] 증거에 따르면 석탄 배출로 인한 황, 황산염 또는 PM2.5 노출은 다른 PM2.5 구성 요소 또는 다른 출처의 PM2.5에 비해 단위 농도당 더 높은 상대적인 이환율 또는 사망률 위험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60]

수질 오염

[편집]

비처리 석탄재 저장 연못이나 매립지에서 지하수로 침출되는 중금속과 같은 오염 물질은 수십 년 또는 수세기 동안 물을 오염시킬 수 있다.[61] 애시 폰드에서 강 (또는 다른 지표수)으로 배출되는 오염 물질에는 일반적으로 비소, 납, 수은, 셀레늄, 크로뮴카드뮴이 포함된다.[53]

석탄 화력 발전소에서 배출되는 수은은 비에 섞여 육지와 물로 다시 떨어지고, 박테리아에 의해 메틸수은으로 전환될 수 있다.[62] 이러한 수은은 생물농축을 통해 물고기에서 위험할 정도로 높은 수준에 도달할 수 있다.[63] 대기 중 수은의 절반 이상이 석탄 화력 발전소에서 발생한다.[64]

석탄 화력 발전소는 또한 이산화 황질소를 배출한다.[65] 이러한 배출은 산성비를 유발하여 먹이 그물을 재구성하고 어류 및 무척추동물 개체군의 붕괴를 초래할 수 있다.[65][66]

지역 오염 완화

[편집]

2018년 기준에 따르면, 가장 많은 석탄 화력 발전소를 보유한 중국의 지역 오염은 2020년대와 2030년대에 더욱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며, 특히 작고 비효율적인 발전소들이 조기에 폐쇄될 경우 더욱 그러할 것이다.[67]

경제

[편집]

보조금

[편집]

석탄 발전소는 높은 가동률을 가지고 있고 증감속이 어렵고 비싸기 때문에 기저부하 기술로 사용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실시간 에너지 시장에서는 지역 한계 가격의 변화에 대응할 수 없어 실적이 좋지 않다. 미국에서는 그리드에서 기저부하 역할을 대체할 수 있는 조정 가능한 발전소에서 연료로 사용될 수 있는 저렴한 천연 가스의 등장으로 이러한 경향이 더욱 두드러졌다.[68]

2020년에 석탄 산업은 180억 달러의 보조금을 받았다.[3]

자금 조달

[편집]

석탄 금융은 석탄 채굴 및 석탄 화력 발전소를 포함한 석탄 관련 프로젝트에 제공되는 재정 지원이다.[69] 전 세계 에너지 환경을 형성하는 역할과 환경 및 기후 영향으로 인해 우려의 대상이 되었다. 석탄 금융이 국제 기후 목표, 특히 파리 협정과 불일치하는 점은 주목을 받고 있다.[70]

파리 협정은 지구 온난화를 2도 미만으로 제한하고 이상적으로는 1.5도 미만으로 제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려면 석탄 관련 활동을 대폭 줄여야 한다.[71]

석탄 배출량의 금융 기반 회계를 포함한 연구에 따르면 석탄 금융이 기후 목표와 불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70] 중국, 일본, 미국과 같은 주요 국가들은 해외 석탄 발전 인프라에 재정 지원을 확대했다.[69][72] 가장 큰 후원자는 일대일로 아래의 중국 은행들이다.[73][69] 이러한 지원은 심각한 장기적 기후 및 재정적 위험을 초래하며, 중국, 미국, 일본이 서명국인 파리 협정에서 정한 이산화 탄소 배출량 감축 목표를 저해한다. 관련 CO2 배출량의 상당 부분이 2019년 이후에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70]

석탄 금융은 전력 생산 부문의 전 세계적인 탈탄소화를 어렵게 한다.[72] 재생 가능 에너지 기술이 비용 경쟁력을 갖추게 됨에 따라 석탄 프로젝트의 경제성이 감소하고, 과거 화석연료 투자가 덜 매력적으로 변하고 있다.[74] 이러한 우려를 해결하고 기후 목표에 부합하기 위해 해외 석탄 금융에 대한 더 엄격한 정책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69][70] 일본과 미국을 포함한 국가들은 특정 석탄 프로젝트에 대한 자금 조달을 허용한 것에 대해 비판을 받아왔다. 석탄 프로젝트에 대한 공공 자금 지원을 전면 금지하는 등의 정책을 강화하면 기후 노력과 신뢰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자금 조달 세부 사항을 투명하게 공개하는 것은 환경 영향을 평가하는 데 중요하다.[70]

설비 이용률

[편집]

인도의 설비 이용률은 60% 미만이다.[75] 2020년 미국 석탄 화력 발전소의 전반적인 설비 이용률은 40%였다. 즉, 누적 명판 용량의 절반이 조금 못 미치게 가동되었다.[76]

좌초자산

[편집]

파리 협정에 명시된 바와 같이 지구 온난화를 2 °C 미만으로 제한하면, 2050년까지 5000억 달러 이상의 석탄 발전소 좌초자산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며, 대부분 중국에서 발생할 것이다.[77] 2020년 싱크탱크 카본 트래커는 석탄 화력 발전소의 39%가 이미 새로운 재생 에너지 및 에너지 저장보다 비용이 더 많이 들며, 2025년까지 73%가 그러할 것이라고 추정했다.[78] 2020년 기준 중국 석탄 발전 회사 중 약 절반이 손실을 보고 있으며, 오래되고 작은 발전소들은 "수익을 낼 희망이 없다".[79] 2021년 기준 인도는 잠재적 좌초자산을 보조금을 지급하여 계속 운영하고 있다.[80][81][82]

정치

[편집]
그린피스독일 연방수상실 앞에서 석탄에 반대하는 시위

2021년 5월, 주요 7개국은 올해 안에 석탄 화력 발전소에 대한 지원을 중단하기로 약속했다.[83] G7의 석탄 지원 중단 약속은 석탄 용량이 2015년 23%(443 GW)에서 2023년 15%(310 GW)로 감소하는 등 녹색 정책으로의 전환을 반영하는 중요한 진전이다. 이는 석탄이 에너지 정책의 중심인 중국 및 인도와 대조된다.[29](p. 11)

2023년 기준으로 주요 20개국은 전 세계 석탄 발전 용량의 92%(1,968 GW)와 건설 전 용량의 88%(336 GW)를 차지한다.[29](p. 11)

중국의 석탄 관련 에너지 정책중국의 석탄은 석탄 화력 발전소의 미래와 관련하여 가장 중요한 요소인데, 중국이 워낙 많은 발전소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다.[84] 한 분석에 따르면, 2010년대 중반에 지방 정부는 중앙 정부가 운영 시간을 보장하고 높은 도매 전기 가격을 설정했기 때문에 석탄 화력 발전에 과도하게 투자했다.[85]

민주주의 국가에서는 석탄 발전 투자가 환경 쿠즈네츠 곡선을 따른다.[86] 인도의 석탄 관련 에너지 정책인도의 정치에서 쟁점이다.[87][88]

시위

[편집]

21세기에는 사람들이 함바흐 숲, 악벨렌 숲, 포스-이-프란[89][90] 노천 채굴에 반대하는 시위를 벌였다. 또한 케냐[91]와 중국[92] 등지에서 제안된 신규 발전소 건설 현장에서도 시위가 있었다.

같이 보기

[편집]

내용주

[편집]
  1. 인용문의 7120이라는 숫자는 실제로 단위의 수이다. 글로벌 에너지 모니터에 따르면 발전소는 하나 이상의 단위를 가질 수 있다.

각주

[편집]
  1. “Coal burning capacity climbs worldwide despite pledges to reduce use” (미국 영어). 《PBS News》. 2023년 4월 6일. 2024년 11월 16일에 확인함. 
  2. “What would it cost to kill coal?”. 《디 이코노미스트》. ISSN 0013-0613. 2024년 11월 16일에 확인함. Cumulative emissions from coal since 1882 amount to 800bn tonnes, the single biggest factor driving the warming that makes today's world about 1.2°C warmer than that of 1882. Most of that coal has been burned to produce electricity. Today's plants are producing about 12bn tonnes a year. 
  3. Birol, Fatih; Malpass, David (2021년 10월 8일). “It's critical to tackle coal emissions – Analysis” (영국 영어). 국제 에너지 기구. 2021년 10월 9일에 확인함. 
  4. Cropper, Maureen; Cui, Ryna; Guttikunda, Sarath; Hultman, Nate; Jawahar, Puja; Park, Yongjoon; Yao, Xinlu; Song, Xiao-Peng (2021년 2월 2일). 《The mortality impacts of current and planned coal-fired power plants in India》 (영어).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18. Bibcode:2021PNAS..11817936C. doi:10.1073/pnas.2017936118. ISSN 0027-8424. PMC 7865184. PMID 33495332. 
  5. “Killed by coal: Air pollution deaths in Jakarta 'may double' by 2030” (영어). 《The Jakarta Post》. 2022년 4월 8일에 확인함. 
  6. “How safe is nuclear energy?”. 《디 이코노미스트》. ISSN 0013-0613. 2022년 12월 26일에 확인함. 
  7. Boom and Bust Coal 2024 (PDF) (영어) (보고서). 샌프란시스코: 글로벌 에너지 모니터. April 2024. 7, 21쪽. 2024년 4월 11일에 확인함. 2% annual increase in the global operating coal fleet, which currently stands at 2,130 GW […] Figure 16: Global coal power capacity continues steady growth despite Paris Agreement, with a 2% uptick in 2023 
  8. “It's critical to tackle coal emissions – Analysis”. 《국제 에너지 기구》. 2021년 10월 8일. 2021년 10월 9일에 확인함. Coal power plants produce a fifth of global greenhouse gas emissions – more than any other single source. 
  9. “Country Inventory” (영어). 《기후 추적. 2024년 11월 16일에 확인함. 
  10. “China generated over half world's coal-fired power in 2020: study”. 《로이터》. 2021년 3월 28일. 2021년 9월 14일에 확인함. China generated 53% of the world's total coal-fired power in 2020, nine percentage points more that five years earlier 
  11. Piven, Ben. “EU power sector emissions drop as coal collapses across Europe”. Al Jazeera. 2020년 3월 21일에 확인함. 
  12. Roberts, David (2020년 3월 14일). “4 astonishing signs of coal's declining economic viability”. 《Vox》. 2020년 3월 21일에 확인함. 
  13. Morton, Adam (2020년 8월 3일). “More coal power generation closed than opened around the world this year, research finds”. 《The Guardian》. ISSN 0261-3077. 2020년 8월 4일에 확인함. 
  14. “The dirtiest fossil fuel is on the back foot”. 《디 이코노미스트》. 2020년 12월 3일. ISSN 0013-0613. 2020년 12월 12일에 확인함. 
  15. “China pledges to stop building new coal energy plants abroad” (영국 영어). 《BBC News》. 2021년 9월 22일. 2021년 9월 22일에 확인함. 
  16. Borenstein, Severin; Bushnell, James B. (2022년 11월 1일). 《Do Two Electricity Pricing Wrongs Make a Right? Cost Recovery, Externalities, and Efficiency》 (PDF). 《American Economic Journal: Economic Policy》 14. 80–110쪽. doi:10.1257/pol.20190758. 2022년 11월 11일에 확인함. 
  17. Davis, Lucas (2020년 9월 21일). “Time to Vote Out Coal”. 《Energy Institute Blog》. 2020년 9월 27일에 확인함. 
  18. Harrabin, Roger (2020년 3월 12일). “Coal power developers 'risk wasting billions'. 《BBC News》. 
  19. “The dirtiest fossil fuel is on the back foot”. 《디 이코노미스트》. 2020년 12월 3일. ISSN 0013-0613. 
  20. Erickson, Camille (2019년 10월 7일). “Mixing water, Powder River Basin coal ash dangerous to human health, new research finds”. 《Casper Star-Tribune》 (Casper, WY). 
  21. Brooke, Nelson (2019년 6월 5일). “New Interactive Maps of Groundwater Pollution Reveal Threats Posed by Alabama Power Coal Ash Pits”. 《Black Warrior Riverkeeper》. Birmingham, AL. 
  22.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EPA), Washington, D.C. (21 June 2010)."Hazardous and Solid Waste Management System; Identification and Listing of Special Wastes; Disposal of Coal Combustion Residuals From Electric Utilities; Proposed rule." 연방 관보, 75 FR 35151
  23. Scott, Allan N.; Thomas, Michael D. A. (January–February 2007). 《Evaluation of Fly Ash From Co-Combustion of Coal and Petroleum Coke for Use in Concrete》. 《ACI Materials Journal》 104 (Farmington Hills, MI: American Concrete Institute). 62–70쪽. doi:10.14359/18496. 
  24. “Status of Power System Transformation 2018: Summary for Policy Makers”. 《IEA Webstore》. 2020년 5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7월 3일에 확인함. 
  25. “Flexibility Toolbox”. 《vgb.org》. 2019년 7월 3일에 확인함. 
  26. “Battery Power's Latest Plunge in Costs Threatens Coal, Gas”. 《BloombergNEF》. 2019년 3월 26일. 2019년 7월 3일에 확인함. 
  27. “Global Electricity Review 2021 - Global Trends” (영국 영어). 《Ember》. 2021년 3월 28일. 2021년 3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7월 7일에 확인함. 
  28. “Boom and Bust 2021: TRACKING THE GLOBAL COAL PLANT PIPELINE” (PDF). 《글로벌 에너지 모니터》. 2021년 4월 6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9. Monitor, Global Energy; CREA; E3G; Finance, Reclaim; Club, Sierra; SFOC; Network, Kiko; Europe, C. a. N.; Groups, Bangladesh; Asia, Trend; ACJCE; Sustentable, Chile; POLEN; ICM; Arayara (2024년 4월 10일). 《Boom and Bust Coal 2024》 (미국 영어). 《Global Energy Monitor》. 11쪽. 
  30. Do, Thang Nam; Burke, Paul J. (2024년 6월 1일). 《Phasing out coal power in two major Southeast Asian thermal coal economies: Indonesia and Vietnam》. 《Energy for Sustainable Development》 80. Bibcode:2024ESusD..8001451D. doi:10.1016/j.esd.2024.101451. hdl:1885/317223. ISSN 0973-0826. 
  31. “Coal”. 《iea.org》. 2019년 7월 5일에 확인함. 
  32. Patel, Sonal (2020년 8월 3일). “Xuzhou 3 Shows the Future of Subcritical Coal Power Is Sublime” (미국 영어). 《POWER Magazine》. 2020년 8월 4일에 확인함. 
  33. “Emissions”. 《iea.org》. 2019년 8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7월 4일에 확인함. 
  34. “BP Statistical Review of World Energy 2019” (PDF). 
  35. Environment, U. N. (2019년 11월 19일). “Emissions Gap Report 2019” (영어). 《UNEP - UN Environment Programme》. 2020년 1월 22일에 확인함. 
  36. “Retired Coal-fired Power Capacity by Country / Global Coal Plant Tracker”. Global Energy Monitor. 2023. 2023년 4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글로벌 에너지 모니터의 표 요약 (아카이브)
  37. Shared attribution: Global Energy Monitor, CREA, E3G, Reclaim Finance, Sierra Club, SFOC, Kiko Network, CAN Europe, Bangladesh Groups, ACJCE, Chile Sustentable (2023년 4월 5일). “Boom and Bust Coal / Tracking the Global Coal Plant Pipeline” (PDF). Global Energy Monitor. 3쪽. 2023년 4월 7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38. “New Coal-fired Power Capacity by Country / Global Coal Plant Tracker”. Global Energy Monitor. 2023. 2023년 3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글로벌 에너지 모니터의 표 요약 (아카이브)
  39. Overland, Indra; Loginova, Julia (2023년 8월 1일). 《The Russian coal industry in an uncertain world: Finally pivoting to Asia?》. 《Energy Research & Social Science》 102. Bibcode:2023ERSS..10203150O. doi:10.1016/j.erss.2023.103150. ISSN 2214-6296. 
  40. Wang, Pu; Lin, Cheng-Kuan; Wang, Yi; Liu, Dachuan; Song, Dunjiang; Wu, Tong (2021년 11월 29일). 《Location-specific co-benefits of carbon emissions reduction from coal-fired power plants in China》 (영어). 《Nature Communications》 12. 6948쪽. Bibcode:2021NatCo..12.6948W. doi:10.1038/s41467-021-27252-1. ISSN 2041-1723. PMC 8629986. PMID 34845194. 
  41. Do, Thang; Burke, Paul J (2023). 《Phasing out coal power in a developing country context: Insights from Vietnam》. 《Energy Policy》 176. Bibcode:2023EnPol.17613512D. doi:10.1016/j.enpol.2023.113512. hdl:1885/286612. S2CID 257356936. 
  42. NAGATANI Genichiro; ISHII Hiroki; ITO Takamasa; OHNO Emi; OKUMA Yoshitomo (January 2021). “Development of Co-Firing Method of Pulverized Coal and Ammonia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PDF). 《IHI (기업)》. 2021년 10월 21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1월 8일에 확인함. 
  43. Darrell Proctor (2020년 5월 24일). “Project Will Burn Ammonia with Coal to Cut Emissions”. 《Power Magazine》. 2021년 11월 8일에 확인함. 
  44. “JERA and IHI to Start a Demonstration Project Related to Ammonia Co-firing at a Large-Scale Commercial Coal-Fired Power Plant”. 《JERA》. 2020년 5월 24일. 2021년 11월 13일에 확인함. 
  45. “Japan Inc. ups its game in offshore wind power”. 《IHS Markit》. 2021년 9월 28일. 2021년 12월 7일에 확인함. 
  46. “Uskmouth Power Station Conversion Project Update and EPP Contract Award” (영국 영어). 《SIMEC Atlantis Energy》. 2018년 11월 5일. 2020년 5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7월 4일에 확인함. 
  47. “Thermal blocks could convert coal-fired power stations to run fossil-fuel free”. Australian Broadcasting Corporation. 2020년 9월 7일. 
  48. China's New Growth Pathway: From the 14th Five-Year Plan to Carbon Neutrality (PDF) (보고서). Energy Foundation China. December 2020. 2021년 4월 16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49. “Post-Combustion Capture Retrofit: Evolving Current Infrastructure for Cleaner Energy | UKCCS Research Centre”. 《ukccsrc.ac.uk》. 2019년 7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7월 4일에 확인함. 
  50. The Guardian, 23 Nov. 2023 US Coal Power Plants Killed at Least 460,000 People in Past 20 Years--Report
  51. 《Commission Implementing Decision (EU) 2017/1442 of 31 July 2017 establishing best available techniques (BAT) conclusions, under Directive 2010/75/EU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for large combustion plants (notified under document C(2017) 5225) (Text with EEA relevance. )》 (32017D1442), 2017년 8월 17일, 2019년 7월 5일에 확인함 
  52. “Mercury and Air Toxics Standards”. Washington, D.C.: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EPA). 2019년 6월 19일. 
  53. “Steam Electric Power Generating Effluent Guidelines—2015 Final Rule”. EPA. 2019년 11월 6일. 
  54. “Special Wastes”. 《Hazardous Waste》. EPA. 2018년 11월 29일. 
  55. “Chronic coal pollution” (미국 영어). 《Bankwatch》. Prague: CEE Bankwatch Network. 2019년 7월 5일에 확인함. 
  56. Schipper, Ori (2019년 2월 18일). “The global impact of coal power”. 《ETH Zurich》. 
  57. “Death rates from energy production per TWh”. 《Our World in Data》. 2021년 11월 26일에 확인함. 
  58. Vohra, Karn; Vodonos, Alina; Schwartz, Joel; Marais, Eloise A.; Sulprizio, Melissa P.; Mickley, Loretta J. (2021년 4월 1일). 《Global mortality from outdoor fine particle pollution generated by fossil fuel combustion: Results from GEOS-Chem》 (영어). 《Environmental Research》 195. Bibcode:2021ER....19510754V. doi:10.1016/j.envres.2021.110754. ISSN 0013-9351. PMID 33577774. S2CID 231909881. 
  59. Hausfather, Zeke (2016년 11월 18일). “Coal in China: Estimating Deaths per GW-year”. 《Berkeley Earth》. Berkeley, CA. 2020년 2월 1일에 확인함. 
  60. Henneman, Lucas; Choirat, Christine; Dedoussi, Irene; Dominici, Francesca; Roberts, Jessica; Zigler, Corwin (2023년 11월 24일). 《Mortality risk from United States coal electricity generation》 (영어). 《Science》 382. 941–946쪽. Bibcode:2023Sci...382..941H. doi:10.1126/science.adf4915. ISSN 0036-8075. PMC 10870829 |pmc= 값 확인 필요 (도움말). PMID 37995235. 
  61. Milman, Oliver (2019년 3월 4일). “Most US coal plants are contaminating groundwater with toxins, analysis finds”. 《The Guardian》. ISSN 0261-3077. 
  62. “Mercury Experiment to Assess Atmospheric Loading in Canada and the United States (METAALICUS)”. 《IISD Experimental Lakes Area》. 2015년 5월 15일. 2020년 7월 7일에 확인함. 
  63. “Researching Atmospheric Mercury and Freshwater Fish”. 《IISD Experimental Lakes Area》. 2016년 4월 2일. 2020년 7월 7일에 확인함. 
  64. “When a lake is better than a lab” (영어). 《Canadian Geographic》. 2018년 8월 8일. 2020년 7월 7일에 확인함. 
  65. “Acid Rain”. 《IISD Experimental Lakes Area》. 2016년 4월 4일. 2020년 7월 7일에 확인함. 
  66. “IISD Experimental Lakes Area: The world's living freshwater laboratory” (미국 영어). 《BioLab Business Magazine》. 2020년 2월 12일. 2020년 7월 7일에 확인함. 
  67. Tong, Dan; Zhang, Qiang; Liu, Fei; Geng, Guannan; Zheng, Yixuan; Xue, Tao; Hong, Chaopeng; Wu, Ruili; Qin, Yu (2018년 11월 6일). 《Current Emissions and Future Mitigation Pathways of Coal-Fired Power Plants in China from 2010 to 2030》. 《Environmental Science & Technology》 52. 12905–12914쪽. Bibcode:2018EnST...5212905T. doi:10.1021/acs.est.8b02919. ISSN 0013-936X. PMID 30249091. S2CID 206581545. 
  68. EIA. “More than 100 coal-fired plants have been replaced or converted to natural gas since 2011”. 《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 US Department of Energy. 2021년 5월 26일에 확인함. 
  69. Manych, Niccolò; Steckel, Jan Christoph; Jakob, Michael (2021). 《Finance-based accounting of coal emissions》. 《Environmental Research Letters》 16. 044028쪽. Bibcode:2021ERL....16d4028M. doi:10.1088/1748-9326/abd972. S2CID 233704266. 
  70. Chen, Xu; Li, Zhongshu; Gallagher, Kevin P.; Mauzerall, Denise L. (2021년 10월 15일). 《Financing carbon lock-in in developing countries: Bilateral financing for power generation technologies from China, Japan, and the United States》. 《Applied Energy》 300. Bibcode:2021ApEn..30017318C. doi:10.1016/j.apenergy.2021.117318. ISSN 0306-2619. 
  71. “UN Chief: Phase Out of Coal Is Key Climate Priority”. 《unfccc.int》. 2022년 1월 18일. 2023년 11월 3일에 확인함. 
  72. Trencher, Gregory; Healy, Noel; Hasegawa, Koichi; Asuka, Jusen (2019년 9월 1일). 《Discursive resistance to phasing out coal-fired electricity: Narratives in Japan's coal regime》. 《Energy Policy》 132. 782–796쪽. Bibcode:2019EnPol.132..782T. doi:10.1016/j.enpol.2019.06.020. ISSN 0301-4215. S2CID 198655858. 
  73. Crooks, Ed (2019년 6월 30일). “The week in energy: China's coal-fired outreach” (영국 영어). 《Financial Times》. 2019년 7월 6일에 확인함. 
  74. Creutzig, Felix; Agoston, Peter; Goldschmidt, Jan Christoph; Luderer, Gunnar; Nemet, Gregory; Pietzcker, Robert C. (2017년 8월 25일). 《The underestimated potential of solar energy to mitigate climate change》 (영어). 《Nature Energy》 2. 17140쪽. Bibcode:2017NatEn...217140C. doi:10.1038/nenergy.2017.140. ISSN 2058-7546. S2CID 133826185. 
  75. “Boom and Bust 2021” (PDF). 2021년 4월 6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76. Electric Power Monthly (보고서). 미국 에너지부. September 2021. 
  77. Saygin, Deger; Rigter, Jasper; Caldecott, Ben; Wagner, Nicholas; Gielen, Dolf (2019년 5월 31일). 《Power sector asset stranding effects of climate policies》. 《Energy Sources, Part B: Economics, Planning, and Policy》 14. 99–124쪽. Bibcode:2019EneSB..14...99S. doi:10.1080/15567249.2019.1618421. S2CID 191757913. 
  78. How to Retire Early: Making accelerated coal phaseout feasible and just (보고서). 카본 트래커. June 2020. 
  79. “The Path Ahead for China's Coal Power Industry”. 《hellenicshippingnews.com》. 2020년 1월 23일에 확인함. 
  80. “There's no way out for India's stranded thermal power assets” (미국 영어). 《에너지 경제 및 금융 분석 연구소》. 2021년 3월 29일. 2021년 12월 7일에 확인함. 
  81. “Mapping India's Energy Subsidies 2021: Time for renewed support to clean energy” (영어). 《국제 지속 가능한 개발 연구소. 2021년 12월 7일에 확인함. 
  82. “Power freebies show pitfalls of electoral politics”. 《The Times of India》. 2021년 12월 7일에 확인함. 
  83. “G7 commits to end support for coal-fired power stations this year” (영어). 《euronews》. 2021년 5월 21일. 2021년 7월 23일에 확인함. 
  84. David Culver, Lily Lee and Ben Westcott (2019년 9월 29일). “China struggling to kick its coal habit despite Beijing's big climate pledges”. CNN. 2019년 10월 20일에 확인함. 
  85. Ren, Mengjia; Branstetter, Lee; Kovak, Brian; Armanios, Daniel; Yuan, Jiahai (2019년 3월 16일). “China overinvested in coal power: Here's why”. 《VoxEU.org》. 2019년 7월 6일에 확인함. 
  86. Urpelainen, Johannes; Zucker, Noah; Clark, Richard (2019년 4월 11일). 《Political Institutions and Pollution: Evidence from Coal-Fired Power Generation》. 《Review of Policy Research》 (Rochester, NY). SSRN 3370276. 
  87. “Indigenous residents protest huge coal mine plan in India”. 《Eco-Business》. 2020년 10월 9일. 2020년 10월 11일에 확인함. 
  88. “Unleashing coal: inside India's plans to open up commercial coal mining”. 《mining-technology.com》. September 2020. 2020년 10월 11일에 확인함. 
  89. Ch, Aruna; rasekar (2017년 9월 26일). “Successful Protests Against India's Coal Industry” (미국 영어). 《Climate Tracker》. 2020년 5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7월 6일에 확인함. 
  90. Matthew Robinson (2019년 6월 23일). “Hundreds of climate protesters stage blockade in German coal mine”. CNN. 2019년 7월 6일에 확인함. 
  91. Leithead, Alastair (2019년 6월 5일). “Row over Kenya World Heritage site coal plant” (영국 영어). 2019년 7월 6일에 확인함. 
  92. “Chinese protesters clash with police over power plant” (영국 영어). 《The Guardian》. 2012년 10월 22일. ISSN 0261-3077. 2023년 9월 10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