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시오크라시
소시오크라시(sociocracy)는 심리적 안전 환경과 생산적인 조직을 만들기 위한 지배 이론이다. 이는 공유된 목적이나 워크플로를 가진 사람들이 토론과 의사결정에서 다수결 투표 대신 승낙을 사용하는 것에 의존한다.[1][2][3]
소시오크라시 순환 조직 방법은 네덜란드의 전기 기술자이자 기업가인 게라르트 엔덴뷔르흐가 개발했으며, 활동가이자 교육자인 베티 캐드버리(Betty Cadbury)와 케스 부케의 작업에서 영감을 받았다. 엔덴뷔르흐는 어린 시절 부케가 이끄는 학교에서 공부하면서 이들에게 영향을 받았다.[2]
소시오크라시는 홀라크라시와 뷔르트조르흐가 개발한 자기조직화 팀 접근 방식을 포함한 유사한 조직 형태와 방법에 정보를 제공하고 영감을 주었다.[4][5][6]
19세기
[편집]
'소시오크라시'라는 단어는 동반자, 동료 또는 동업자를 의미하는 라틴어 'socius'와 귀족 정치, 금권 정치, 민주주의, 능력주의와 같이 지배 계층을 지칭하는 그리스어 'cratia'에서 유래되었다.[7]
이 용어는 1851년 프랑스 철학자 오귀스트 콩트가 사람들이 사회 시스템으로 조직되는 방식을 연구하는 과학인 사회학에 대한 유사어로 만들었다.[8] 콩트는 사회학자들이 이끄는 정부가 과학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지배 계층뿐만 아니라 모든 사람들의 필요를 충족시킬 것이라고 믿었다.[9] 미국 사회학자 레스터 프랭크 워드는 1881년 펜 먼슬리(Penn Monthly)에 기고한 논문에서 다수결 투표로 인한 정치적 경쟁을 대체할 소시오크라시를 적극적으로 옹호했다.[10]
워드는 '다이내믹 사회학'(Dynamic Sociology, 1883)과 '문명의 심리적 요인'(The Psychic Factors of Civilization, 1892)에서 소시오크라시에 대한 자신의 개념을 확장했다. 워드는 잘 교육받은 대중이 효과적인 정부에 필수적이라고 믿었으며, 현대 정치의 감정적이고 당파적인 본성이 문제에 대한 보다 효과적이고 객관적이며 과학적인 논의로 대체될 시기를 예견했다. 그리하여 민주주의는 궁극적으로 소시오크라시라는 더 발전된 형태의 정부로 진화할 것이라고 보았다.[11]
20세기 초
[편집]네덜란드 평화주의자, 교육자, 평화 운동가인 케스 부케와 그의 아내인 영국 평화 운동가 베아트리스 부케-캐드버리는 워드의 사상을 수정하고 확장하여 1926년 빌토번, 네덜란드에서 공동 설립한 학교에서 최초의 소시오크라시 조직 구조를 구현했다. 이 학교는 여전히 존재하며, 아동 공동체 워크숍(Werkplaats Kindergemeenschap)이라고 불린다. 부케는 소시오크라시(네덜란드어: Sociocratie)를 개인의 평등을 전제하고 합의에 기반한 통치 또는 경영 형태로 보았다. 이러한 평등은 민주주의의 '1인 1표' 법칙으로 표현되는 것이 아니라, 각 개인에게 만족스러운 결정에 도달할 때까지 그룹의 개인들이 함께 추론함으로써 표현된다.
소시오크라시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부케는 퀘이커 비즈니스 방법에 기반한 합의 의사결정을 사용했으며, 이를 최초의 소시오크라시 조직 중 하나로 설명했다. 또 다른 예는 약 400명의 학생과 교사로 구성된 그의 학교인데, 이곳에서는 주간 "토론"을 통해 모두가 함께 일하여 상호 수용 가능한 해결책을 찾음으로써 결정이 이루어졌다. 각 그룹의 개인들은 그 결정에 따르기로 동의했다. "공동의 합의가 이루어져야만 어떤 조치를 취할 수 있으며, 이는 다수결 규칙에서 발생하는 분위기와는 완전히 다른 분위기를 만들어낸다." 부케는 세 가지 "기본 규칙"을 정의했다: (1) 모든 구성원의 이익이 고려되어야 하며, 개인은 전체의 이익을 존중해야 한다. (2) 모든 사람이 받아들일 수 있는 해결책 없이는 어떤 조치도 취할 수 없다. (3) 모든 구성원은 만장일치로 내려진 이 결정들을 받아들여야 한다. 만약 그룹이 결정을 내릴 수 없다면, 각 그룹이 선출한 "상위 수준"의 대표자들이 결정을 내릴 것이다. 의사결정 그룹의 크기는 40명으로 제한되어야 하며, 5~6명으로 구성된 소규모 위원회가 "세부적인 결정"을 내린다. 더 큰 그룹의 경우, 이 그룹들이 결정을 내릴 대표 구조를 선택한다.[12]
이 모델은 신뢰의 역할에 큰 중요성을 두었다. 과정이 효과적이려면 각 그룹의 구성원들이 서로를 신뢰해야 하며, 이러한 의사결정 방법이 사용되는 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신뢰가 구축될 것이라고 주장된다. 시민 거버넌스에 적용될 때, 사람들은 "가까이 사는 사람들에게 관심을 갖도록 강요당할 것"이다. 사람들이 자신의 이웃에서 이 방법을 적용하는 것을 배운 후에야 다음 상위 수준의 소시오크라시 거버넌스가 확립될 수 있었다. 궁극적으로 대표자들은 최고 지역 수준에서 선출되어 "세계를 통치하고 질서를 잡기 위한 세계 회의"를 설립할 것이다.[12]
"모든 것은 사람들 사이에 새로운 정신이 피어나는 것에 달려 있다. 수세기 동안의 두려움, 의심, 증오 끝에 화해와 상호 신뢰의 정신이 점점 더 확산되기를 바란다. 소시오크라시의 기술과 이에 필요한 교육을 끊임없이 실천하는 것이 모든 세계 문제의 진정한 해결책이 달려 있는 이 정신을 발전시키는 최선의 방법인 것 같다." —케스 부케, "소시오크라시: 민주주의가 될 수 있는 것". (1945년 5월)[12]
20세기 후반 이후
[편집]1960년대 후반과 1970년대 초반, 게라르트 엔덴뷔르흐는 부케의 전 학생이자 전기 기술자로, 부모님을 위해 처음 관리하다가 소유하게 된 전기 공학 회사에서 부케의 원칙을 더욱 발전시키고 적용했다.[2] 그는 또한 다양하고 변화하는 인력을 가진 회사에서 직원들이 집단적인 결정을 내리기 전에 서로를 신뢰할 때까지 기다릴 수 없다는 것을 깨달았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엔덴뷔르흐는 물리학, 사이버네틱스, 시스템 사고에 대한 자신의 이해를 통합하여 콩트, 워드, 부케의 사회, 정치, 교육 이론을 더욱 발전시켰다.[13]
수년간의 실험과 적용 끝에 엔덴뷔르흐는 '소시오크라시 순환 조직 방법'(Sociocratische Kringorganisatie Methode)이라는 공식적인 조직 방법을 개발했다. 이 방법은 "순환 인과 피드백 과정"에 기반을 두었으며, 현재는 일반적으로 순환 과정 및 피드백 루프라고 불린다.[2] 이 방법은 조직의 단위나 부서에 해당하는 순환 고리의 계층을 사용하지만, 이는 순환적 계층이다. 각 순환 고리 간의 연결은 조직 전체에 걸쳐 상하 피드백 루프를 형성한다.[13]
자원 배분 및 운영 결정을 제한하는 모든 정책 결정은 해당 순환 고리의 모든 구성원의 동의를 필요로 한다. 일상적인 운영 결정은 순환 회의에서 설정된 정책 내에서 운영 리더가 내린다. 두 개 이상의 순환 고리 영역에 영향을 미치는 정책 결정은 각 순환 고리의 대표자들로 구성된 상위 순환 고리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연결된 순환 고리 구조는 동의에 의해 결정을 내리면서도, 계층 구조의 효율성을 유지하고 순환 고리 및 구성원의 동등성을 보존한다.[13]
1980년대, 엔덴뷔르흐와 그의 동료 안네비크 레이머(Annewiek Reijmer)는 로테르담에 소시오크라시 센터(Sociocratisch Centrum)를 설립했다.[14]
필수 원칙
[편집]엔덴뷔르흐의 정책 의사결정 방법은 원래 네 가지 필수 원칙에 기반한다고 발표되었는데, 이는 역할과 책임에 대한 인력 선발 과정 또한 동의 과정의 대상임을 강조하기 위함이었다. 그러나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엔덴뷔르흐가 원래 개발했던 세 가지 원칙의 방법으로 현재 가르치고 있다.[15]
동의는 정책 의사결정을 지배한다 (원칙 1)
[편집]결정은 더 이상 "최고의 이의"가 없을 때, 즉 모든 참여자의 정보에 입각한 동의가 있을 때 이루어진다. 이의는 이성적이고 논리적이어야 하며, 이의를 제기하는 사람이 조직의 목표를 향해 생산적으로 일할 수 있는 능력에 기반해야 한다. 모든 정책 결정은 동의에 의해 이루어지지만, 그룹은 다른 의사결정 방법을 사용하기로 동의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정책 내에서 일상적인 운영 결정은 일반적으로 전통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모든 이해관계자의 우려를 듣기 위해 이의는 매우 중요하게 여겨진다. 이 과정은 때때로 "이의 수확(objection harvesting)"이라고 불린다.[16] 이의에 먼저 집중하는 것이 더 효율적인 의사결정으로 이어진다는 점이 강조된다.[17]
순환 고리 조직 (원칙 2)
[편집]소시오크라시 조직은 반-자주권적인 순환 고리의 계층 구조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 계층 구조는 전제 정치적 계층 구조처럼 권력 구조를 구성하는 것이 아니라, 각 순환 고리의 영역이 그룹 결정에 의해 엄격하게 제한되기 때문에 수평 조직과 유사하다. 각 순환 고리는 목표 달성을 위해 자체 프로세스를 실행, 측정 및 통제할 책임이 있다. 이는 더 큰 조직의 정책 내에서 특정 책임 영역을 관리한다. 순환 고리는 또한 자체 발전과 각 구성원의 발전에 책임이 있다. 종종 "통합 교육"이라고 불리는데, 순환 고리와 그 구성원들은 해당 분야에서 경쟁력을 유지하고 순환 고리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무엇을 알아야 하는지 스스로 결정해야 한다.
이중 연결 (원칙 3)
[편집]연결 역할을 하는 개인은 자신의 순환 고리와 다음 상위 순환 고리 모두의 의사결정에 완전한 구성원으로 참여한다. 순환 고리의 운영 리더는 정의상 다음 상위 순환 고리의 구성원이며, 자신이 이끄는 순환 고리의 의사결정에서 더 큰 조직을 대표한다. 각 순환 고리는 또한 다음 상위 순환 고리에서 순환 고리의 이익을 대표할 대표자를 선출한다. 이러한 연결은 순환 고리들 사이에 피드백 루프를 형성한다.
조직의 최상위에는 이사회와 유사한 "최고 순환 고리"가 있지만, 이는 순환 고리 구조를 지배하는 것이 아니라 그 정책 내에서 작동한다. 최고 순환 고리 구성원에는 조직을 환경과 연결하는 외부 전문가가 포함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구성원은 법률, 정부, 재정, 공동체 및 조직의 사명에 대한 전문 지식을 가지고 있다. 기업의 경우 주주가 선출한 대표자도 포함될 수 있다. 최고 순환 고리에는 최고경영자와 일반 경영 순환 고리 대표자가 적어도 한 명 포함된다. 이들 각 순환 고리 구성원은 최고 순환 고리의 의사결정에 전적으로 참여한다.
동의에 의한 선출 (원칙 4)
[편집]이 네 번째 원칙은 원칙 1을 확장한다. 개인은 다른 정책 결정에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동의 기준을 사용하여 공개 토론을 통해 역할과 책임에 선출된다. 순환 고리 구성원들은 자신이나 다른 순환 고리 구성원을 지명하고 그 선택에 대한 이유를 제시한다. 토론 후 사람들은 지명을 변경할 수 있으며(실제로 자주 변경한다), 토론 리더는 가장 강력한 주장을 가진 사람의 선출을 제안한다. 순환 고리 구성원들은 이의를 제기할 수 있으며, 추가 토론이 이루어진다. 많은 사람이 채울 수 있는 역할의 경우, 이 토론은 여러 차례 계속될 수 있다. 작업에 자격이 있는 사람이 적을수록 이 과정은 빠르게 수렴될 것이다. 순환 고리는 또한 현재 순환 고리 구성원이 아닌 사람을 선택하기로 결정할 수도 있다.
"세 가지 원칙"
[편집]소시오크라시 순환 조직 방법의 초기 공식화에서 엔덴뷔르흐는 세 가지 원칙을 가지고 있었고, 네 번째 원칙인 동의에 의한 선출은 별개의 원칙이 아니라 여러 선택지가 있을 때 동의에 의해 결정을 내리는 방법으로 간주했다. 그는 이를 첫 번째 원칙, 즉 동의가 정책 결정을 지배한다는 원칙의 일부로 여겼지만, 많은 사람들이 역할과 책임에 대한 인력 선출이 자원 배분이며 따라서 정책 결정이라는 것을 오해했다. 순환 회의에서 이러한 결정을 동의에 의해 내리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해 엔덴뷔르흐는 이를 네 번째 원칙으로 분리했다.
동의 대 합의
[편집]소시오크라시는 순환 고리 결정이 완전한 동의라는 의미에서 "합의"를 도출할 것으로 기대되지 않는다는 점을 강조하기 위해 승낙과 합의 의사결정을 구분한다. 소시오크라시에서 승낙은 "이의 없음"으로 정의되며, 반론은 조직의 목표를 향해 일할 수 있는 능력에 기반한다. 동의 기반 거버넌스에서 아이디어를 논의하는 구성원들은 일반적으로 그것이 "지금으로서는 충분히 좋고, 시도하기에 충분히 안전한지" 스스로 묻는다.[16] 그렇지 않다면 이의가 제기되고, 이는 동의를 얻기 위해 원래 제안을 수용 가능한 형태로 조정하는 과정을 유도한다.
소시오크라시 센터 공동 창립자 레이머는 그 차이를 다음과 같이 요약했다.[2] "합의에 따르면, 나는 내가 옳다는 것을 당신에게 납득시켜야 한다; 동의에 따르면, 당신은 그 결정을 받아들일 수 있는지 묻는다."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Šavareikienė, Danguolė (2019). 《Sociocracy as a New Paradigm of Organizational Management》. 《Socialiniai Tyrimai》 42. 32–40쪽. doi:10.21277/st.v42i1.262.
- ↑ 가 나 다 라 마 Jack Quarter (2000). 《Beyond the Bottom Line: Socially Innovative Business Owners》. Greenwood Publishing Group. 56–57쪽. ISBN 978-1-56720-414-8.
- ↑ Ted J. Rau & Jerry Koch-Gonzalez (2018). Many Voices One Song: Shared Power With Sociocracy. Amherst: Sociocracy for All. ISBN 978-1-949183-00-9.
- ↑ Brian Robertson (2015). Holacracy: The New Management System for a Rapidly Changing World. New York: Henry Holt & Company. ISBN 978-1-62779-428-2.
- ↑ Frédéric Laloux (2014). Reinventing Organizations. Brussels: Nelson Parker. ISBN 978-2-35456-105-5
- ↑ Georges Romme (2016), The Quest for Professionalism: The Case of Management and Entrepreneurship.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873773-5.
- ↑ “Home : Oxford English Dictionary” (영어). 《www.oed.com》. 2017년 5월 19일에 확인함.
- ↑ Beelen, Hans (2004년 1월 19일). “Van leenwoord tot inheemse nieuwvorming: De herkomst van neoklassieke composita op -cratie” [From loanword to indigenous new formation: The origin of neoclassical composites on -cratie] (네덜란드어). 《neerlandistiek.nl》. 2008년 8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3월 26일에 확인함.
- ↑ Comte, Auguste; Martineau, Harriet (1893). “The positive philosophy of Auguste Comte”. London: Kegan Paul, Trench, Trübner & Co. OCLC 681195615. 2019년 4월 9일에 확인함.틀:Volume needed
- ↑ Ward, Lester F. (May 1881). 《Politico-social Functions》. 《Penn Monthly》 12 (University Press Co.). 321–336쪽. hdl:2027/mdp.39015006967114. OCLC 795870748.
- ↑ Ward 1893.
- ↑ 가 나 다 De Zelfsoevereine Samenleving – Europa Ontwaakt!.
- ↑ 가 나 다 Buck & Villines 2017, 31–50쪽.
- ↑ “Website of The Sociocracy Group”. Sociocratisch Centrum. 2014년 12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1월 2일에 확인함.
- ↑ Endenburg, Lindenhovius & Bowden 1998.
- ↑ 가 나 “A Practical Guide”. 《sociocracy30.org》. 2017년 1월 28일. 2018년 2월 25일에 확인함.
- ↑ “Moving Objections to the Beginning”. 《sociocracy.info》. 2014년 12월 24일. 2018년 2월 25일에 확인함.
출처
[편집]- Boeke, Kees (May 1945). “Sociocracy: Democracy as It Might Be”. 《De Zelfsoevereine Samenleving - Europa Ontwaakt!》. 2019년 3월 22일에 확인함.
- Buck, John A.; Villines, Sharo (2017) [2007]. 《We the people : consenting to a deeper democracy》. Washington, DC: Sociocracy.info. ISBN 9780979282737. OCLC 1017570726.
- Buck, John A.; Endenburg, Gerard (2010년 2월 22일) [2004]. “The Creative Forces of Self-Organization” (PDF). 《governancealive.com》. Rotterdam, Netherlands: Sociocratic Center. 2011년 8월 17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 Charest, Gilles (1996). 《La gestion par consentement : une nouvelle façon de partager le pouvoir》 [Management by Consent: A New Way of Sharing Power] (프랑스어). Montréal: Éditions Transcontinental. ISBN 9782894720165. OCLC 35933035.
- Charest, Gilles (2007). 《La démocratie se meurt, vive la sociocratie! : le mode de gouvernance qui réconcilie pouvoir & coopération》 [Democracy Is Dead, Long Live Sociocracy] (프랑스어). Reggio Emilia: Esserci. ISBN 9788887178722. OCLC 502322744.
- Endenburg, Gerard; Lindenhovius, Jasper; Bowden, Clive (1998). 《Sociocracy : the organization of decision-making : 'no objection' as the principle of sociocracy》. Delft: Eburon. ISBN 9789051666052. OCLC 905581086.
- Endenburg, Gerard (1998). 《Sociocracy as social design : its characteristics and course of development as theoretical design and practical project》. 번역 Pearson, Murray. Delft: Eburon. ISBN 9789051666045. OCLC 67947732.
- Fewell, Jesse; Maqbool, Rashid; Gadeken, Owen C.; Fournet, Bill; Aidane, Samad. “Sociocracy will govern tomorrow's projects”. Newtown Square, PA: Project Management Institute. 2019년 4월 10일에 확인함.
Paper presented at PMI® Global Congress 2012—EMEA, Marsailles, France
- Rau, Ted J; Koch-Gonzalez, Jerry (2018). 《Many voices one song : Shared Power with Sociocracy》. Amherst, MA, US: Sociocracy for All. ISBN 9781949183009. OCLC 1055161414.
- Romme, A. Georges L.; Endenburg, Gerard (2006). 《Construction Principles and Design Rules in the Case of Circular Design》. 《Organization Science》 17 (Institute for Operations Research and the Management Sciences (INFORMS)). 287–297쪽. doi:10.1287/orsc.1050.0169. ISSN 1047-7039.
- Romme, A. Georges L. (1999). 《Domination, Self-Determination and Circular Organizing》. 《Organization Studies》 20 (SAGE Publications). 801–832쪽. doi:10.1177/0170840699205005. ISSN 0170-8406. S2CID 145300452.
- Romme, A. Georges L. (1997). 《Work, authority and participation: the scenario of circular organizing》. 《Journal of Organizational Change Management》 10 (Emerald). 156–166쪽. doi:10.1108/09534819710160817. ISSN 0953-4814.
- Romme, A. Georges L.; van Witteloostuijn, Arjen (1999). 《Circular organizing and triple loop learning》. 《Journal of Organizational Change Management》 12 (Emerald). 439–454쪽. doi:10.1108/09534819910289110. ISSN 0953-4814.
- Ward, Lester F (1893). 〈Chapter XXXVIII: Sociocracy〉. 《The psychic factors of civilization》. Boston, MA, US: Ginn & Company. 311–331쪽. ISBN 9781314616583. OCLC 657616811 및 644765241. 2019년 3월 22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Sociocratic Democracy • Guaranteeing Freedom and Equality”. 《sociocracy.info》. 2023년 4월 2일에 확인함.
- “Sociocracy 3.0 | Effective Collaboration At Any Scale”. 《sociocracy30.org》. 2023년 4월 2일에 확인함.
- “Learn and Share Sociocracy with the World – Sociocracy For All”. 《sociocracyforall.org》. 2023년 4월 2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