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송종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송종환
송종환
국적대한민국
시민권대한민국
학력서울대학교
터프츠 대학교 플레처 국제법·외교대학원
한양대학교
직업외교관
대학 교수
활동 기간1972년–현재
고용주대한민국 외교부
경남대학교
현직경남대학교 국제관계학과(현 경찰학부) 석좌교수
전직주파키스탄 대한민국 대사
칭호주파키스탄 대한민국 대사
칭호 기간2013년–2016년
전임자최충주
후임자서동구
상훈Sitara‑i‑Pakistan(2018)
송종환
한글 표기: 송종환
한자 표기: 宋鍾奐
개정 로마자 표기: Song Jong-hwan
매큔-라이샤워 표기: Song Chong-hwan

송종환은 대한민국의 외교관이자 학자이다.[1] 2013년부터 2016년까지 주파키스탄 대한민국 대사를 지냈으며,[2][3] 2018년에 파키스탄 대통령 훈장 ‘Sitara‑i‑Pakistan’을 수훈하였다.[4] 경남대학교 국제관계학과(현 경찰학부) 석좌교수로 활동한다.[5]

학력

[편집]
  • 서울대학교 외교학 학사·석사[6]
  • 터프츠 대학교 플레처 스쿨 석사[6]
  • 한양대학교 정치학 박사[6]

경력

[편집]
  • 1972년대 초–중반: 중앙정보부 재직, 남북적십자회담·남북조절위원회 회의 실무 수행(담당관)[7]
  • 1970년대 중후반: 대통령비서실 외교·통일담당 행정관[7]
  • (연도 미상) 주유엔 공사·주미 공사 등 대외직 역임[8]
  • 2013년 6월–2016년 5월: 주파키스탄 대한민국 대사(제13대)[2][3][9]
  • 2016년 7월: 서동구 대사가 후임으로 부임(신임장 제정)[10]
  • 2017년 3월– : 경남대학교 국제관계학과(현 경찰학부) 초빙 석좌교수[11]
  • 2022년 4월–5월: 제20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외교안보분과 자문위원[11]
  • 2023년 2월: 한국 비즈니스·관광 사절단을 이끌고 탁실라 고고 유적 방문[12]

주요 활동

[편집]
  • 공공외교: 국립현대어문대학교(NUML) 강연 등에서 양국 청년·교육 협력 강조.[13]
  • 개발협력·산업: 이슬라마바드 IT파크 추진, EDCF·KOICA 사업 연계.[14]
  • 언론 기고: 2014년 「Two wings of genuine success」 등 파키스탄 일간지 기고를 통해 협력의제 소개.[15]

학문 및 저술

[편집]
  • 연구 축적을 바탕으로 한반도 정세·남북협상 실패 원인, 한국‑파키스탄 교류 확대 방안 등을 단행본·칼럼으로 제시하였다.[1][11][5]

저서

[편집]
  • 송종환, 《북한과의 협상 실패: 진실과 해법》(개정증보), 서울: 동아인쇄, 2024. ISBN 9791198166722.[16]
남북·북미 협상의 구조적 실패 원인을 50년 외교 경험을 바탕으로 분석한 책이다. 그는 김일성 시대부터 김정은 체제에 이르기까지 북한의 협상 행태를 ‘체제 보장 우선, 실질 비핵화 후순위’라는 일관된 전략으로 규정한다. 저자는 1990년대 제네바 합의와 2018년 하노이 회담 모두 ‘상호 오해와 신뢰 부족’이 아니라 ‘전략 목표의 비대칭성’에서 비롯된 실패라고 본다. 또한 한국 외교가 ‘동맹 의존형’에서 ‘주도 협상형’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제언을 담고 있다. 마지막으로 그는 향후 비핵화·평화체제 협상에서 ‘단계적 상호보상과 현실적 억제력 병행’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논문

[편집]
  • 송종환(1999). 〈한국전쟁에 대한 소련의 전략적 목표에 관한 연구 (Korean War and the Soviet Union’s Strategic Aims)〉, 《국제정치논총》 제39집 제2호, 183–208. doi:10.14731/kjir.1999.12.39.2.183.[17]
이 논문은 한국전쟁을 둘러싼 국제 환경과 소련의 전략적 목표를 1차 자료 중심으로 체계화하였다. 연구는 전쟁 개시 전후 소련의 한반도 정책 변화를 시계열로 구분해 분석하였다. 또한 소련의 대중국 관계와의 연계를 통해 의사결정의 동인을 도출하였다. 방법론은 문헌분석과 사건사(史) 비교를 결합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결론에서 저자는 소련의 전략 목표가 지역 균형과 동맹 관리에 있었다는 해석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수상

[편집]
  • Sitara‑i‑Pakistan(파키스탄 대통령 훈장, 2018년 8월 12일 수훈)[4]

평가

[편집]

2016년 5월 카자흐스탄 대사가 주재한 환송행사에서 외교단 대표는 그의 임기 성과를 ‘대규모 개발기금 조성 등 긴 목록’으로 소개되었다.[3] 같은 달 국립대학 강연 기사에서 그는 ‘파키스탄은 신흥시장’이라고 발언하였다.[13] 2018년 8월 《The Korea Times》는 파키스탄 대사관 발표를 인용해 그가 ‘Sitara‑i‑Pakistan’을 받는 ‘첫 한국인’이라고 전했다.[4] 2023년 2월 《Dawn》은 그가 ‘무역·관광 협력 의지’를 표명했다고 기록했다.[5] 2014년 1월 주파키스탄 대한민국 대사관은 《The Express Tribune》에 실린 그의 기고문 ‘Two wings of genuine success’를 소개했다.[15]

연표

[편집]
연표 (펼치기)
연도 사건 출처
1972 중앙정보부 재직 중 남북대화 업무 시작 [1]
1999 논문 〈한국전쟁에 대한 소련의 전략적 목표〉 발표(국제정치논총) [2]
2013 이슬라마바드 부임(주파키스탄 대사) [3]
2013 아주대학교, 대사 활동에 대한 감사 글 게시 [4]
2014 The Express Tribune 기고 「Two wings of genuine success」 [5]
2016 이임 관련 정부·의회 면담(연방조정장관 등) [6]
2016 서동구 후임 대사, 신임장 제정 [7]
2018 파키스탄 대통령 훈장 ‘Sitara‑i‑Pakistan’ 수훈 [8]
2023 한국 비즈니스·관광 사절단 이끌고 탁실라 방문 [9]
2024 단행본 《북한과의 협상 실패: 진실과 해법》(개정증보) 출간 [10]
2025 경남대 석좌교수로서 한·파 민간협력 기고 [11]

외부 링크

[편집]

각주

[편집]
  1. “불교와 한·파키스탄 관계 강화 방안” [Buddhism and ways to strengthen S. Korea–Pakistan ties] (영어). The Korea Herald. 2022년 12월 6일. 2025년 11월 8일에 확인함. 
  2. “송종환 대사의 5.12자 주재국 연방조정장관 면담 관련”. 주파키스탄 대한민국 대사관. 2016년 5월 12일. 2025년 11월 8일에 확인함. 
  3. “Diplomatic Calendar – Farewell to the Korean ambassador” (영어). Dawn. 2016년 5월 15일. 2025년 11월 8일에 확인함. 
  4. “Ex-ambassador to Pakistan to receive award” (영어). The Korea Times. 2018년 8월 5일. 2025년 11월 8일에 확인함. 
  5. “Korea willing to enhance ties with Pakistan in tourism, trade” (영어). Dawn. 2023년 2월 20일. 2025년 11월 8일에 확인함. 
  6. “파키스탄 핵폭탄 만든 압둘 카디르 칸 박사의 육필 회고”. 월간조선. 2018년 5월. 2025년 11월 8일에 확인함. 
  7. “《북한과의 협상 실패: 진실과 해법》 쓴 송종환 전 대사”. 월간조선. 2024년 11월. 2025년 11월 8일에 확인함. 
  8. “核개발 지원했던 前 파키스탄 외교관의 회고록”. 월간조선. 2013년 12월. 2025년 11월 8일에 확인함. 
  9. “From Korea with love: Pakistan is a land of limitless potential” (영어). The Express Tribune. 2023년 2월 12일. 2025년 11월 8일에 확인함. 
  10. “서동구 주파키스탄 대사 신임장 제정”. 주파키스탄 대한민국 대사관. 2016년 7월 14일. 2025년 11월 8일에 확인함. 
  11. “북한과의 협상 실패 진실과 해법(도서 정보)”. 교보문고. 2023년 12월 22일. 2025년 11월 8일에 확인함. 
  12. “Korean business tourism delegation visits Taxila” (영어). Pakistan Today. 2023년 2월 19일. 2025년 11월 8일에 확인함. 
  13. “Education Watch – Korean Ambassador gives a lecture at Numl” (영어). Dawn. 2016년 3월 4일. 2025년 11월 8일에 확인함. 
  14. 'IT park to improve trade between Pakistan, S. Korea': Korean Ambassador” (영어). PhotoNews. 2016년 2월 18일. 2025년 11월 8일에 확인함. 
  15. “2014.1.29 Ambassadors Articles: Two wings of genuine success” (영어). Embassy of the ROK in Pakistan. 2014년 1월 29일. 2025년 11월 8일에 확인함. 
  16. “북한과의 협상 실패: 진실과 해법(개정증보 본문 정보)”. 교보문고. 2024년 7월 4일. 2025년 11월 8일에 확인함. 
  17. “국제정치논총 PDF”. KJIR. 1999년 12월. 2025년 11월 8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