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퍼페더급
슈퍼페더급(super featherweight) 또는 주니어라이트급(junior lightweight)은 프로 복싱에서 126 파운드 (57 kg)과 130 파운드 (59 kg) 사이의 체급이다.
역사
[편집]슈퍼페더급은 1921년부터 1934년까지, 그리고 1949년부터 현재까지 두 개의 뚜렷한 역사적 시기에 등장했다. 이 체급은 1920년 뉴욕 워커 법에 의해 주니어라이트급으로 확립되었다. 1921년, 조니 던디는 조지 채니를 5라운드 DQ로 꺾고 뉴욕주 체육 위원회(NYSAC)가 인정한, 이 체급 최초의 보편적으로 인정받는 세계 챔피언이 되었다.[1] 1924년, 스티브 설리번은 10라운드 UD로 현 챔피언 던디를 꺾고 이 체급에서 더 링 매거진의 첫 타이틀을 획득했다.[2] 1927년, 세계 복싱 협회(WBA)의 직접적인 전신인 전미 복싱 협회(NBA)는 현 세계 챔피언 토드 모건에게 첫 타이틀을 수여했다.[3]
NYSAC는 1930년에 이 체급을 폐지했는데, 이는 전년도에 베니 배스가 토드 모건으로부터 타이틀을 획득한 경기 이후 승부 조작 의혹 때문이었다. 그 경기에서 모건은 1라운드를 지배했지만, 갑작스러운 2라운드 중단패를 당했고, 경기 시작 직전에 마권업자들이 모건의 승리에 비정상적으로 높은 배당률을 책정했다.[4][5] NBA와 더 링은 모두 배스의 승리를 인정했고, 이 체급은 적어도 뉴욕 외부에서는 계속 인정되었다. 그러나 키드 초콜릿의 재위 기간 동안 더 링은 1931년에 주니어라이트급 순위를 중단했으며, NBA는 처음에는 1932년에 이를 따랐다.[2][3] 키드 초콜릿은 1933년에 NBA에 의해 잠시 챔피언으로 복귀했고, NBA는 프랭키 클릭이 1934년에 타이틀을 반납할 때까지 이 체급을 계속 인정했다.[3] 그 후, 이 체급은 1949년 샌디 새들러가 올랜도 줄루에타를 10라운드 SD로 꺾고 공석인 NBA 주니어라이트급 타이틀을 획득하고 1957년까지 페더급에 머물기 위해 타이틀을 유지할 때까지 대부분 방치되었다.[3]
1962년, 현 WBA[a] 챔피언 플래시 엘로드는 더 링 매거진에 의해 주니어라이트급 세계 챔피언으로 지명되었다. 이는 그들이 이 체급에 대한 인정을 처음 철회한 지 31년 만이었다.[2] 그는 1963년 조니 비자로를 15라운드 UD로 꺾고 첫 세계 복싱 평의회(WBC) 슈퍼페더급 타이틀을 획득했다.[6] 국제 복싱 연맹(IBF)의 첫 챔피언은 1984년 여환길로, 로드 세퀘난을 15라운드 SD로 꺾고 타이틀을 획득했다.[7] 첫 세계 복싱 기구 챔피언은 1989년 존 존 몰리나로, 후안 라포르테를 12라운드 UD로 꺾고 타이틀을 획득했다.[8]
이 체급에서 챔피언 타이틀을 획득한 다른 주목할 만한 선수로는 브라이언 미첼, 아르투로 가티, 바실 로마첸코, 알렉시스 아르게요, 아즈마 넬슨, 훌리오 세사르 차베스, 디에고 코랄레스, 플로이드 메이웨더 주니어, 에리크 모랄레스, 마르코 안토니오 바레라, 아셀리노 프레이타스, 후안 마누엘 마르케스, 오스카 드 라 호야, 로키 록리지, 매니 파키아오가 있다.
현재 세계 챔피언
[편집]인정 단체 | 재위 시작 | 챔피언 | 전적 | 방어 횟수 |
---|---|---|---|---|
WBA | 2023년 11월 25일 | 라몬트 로치 주니어 | 25–1–2 (9 KO) | 1 |
WBC | 2024년 11월 2일 | 오샤키 포스터 | 23–3 (12 KO) | 0 |
IBF | 2025년 5월 28일 | 에두아르도 누녜스 | 28–1 (27 KO) | 0 |
WBO | 2023년 2월 3일 | 에마누엘 나바레테 | 39–2–1–1 (33 KO) | 4 |
현재 세계 랭킹
[편집]더 링
[편집]2025년 8월 16일 기준.[9]
표시:
- C 현재 더 링 세계 챔피언
순위 | 이름 | 전적 | 타이틀 |
---|---|---|---|
C | 공석 | ||
1 | 오샤키 포스터 | 23–3 (12 KO) | WBC |
2 | 에마누엘 나바레테 | 39–2–1–1 (32 KO) | WBO |
3 | 앤서니 카카체 | 24–1 (9 KO) | |
4 | 라몬트 로치 주니어 | 25–1–2 (10 KO) | WBA |
5 | 에두아르도 누녜스 | 28–1 (27 KO) | IBF |
6 | 호브송 콘세이상 | 19–3–1–1 (9 KO) | |
7 | 에두아르도 에르난데스 | 37–2 (32 KO) | |
8 | 찰리 수아레스 | 18–0–0–1 (10 KO) | |
9 | 레이몬드 포드 | 18–1–1 (8 KO) | |
10 | 재자 디킨스 | 36–5 (15 KO) |
BoxRec
[편집]2024년 1월 5일 기준.[10]
순위 | 이름 | 전적 | 타이틀 |
---|---|---|---|
1 | 에마누엘 나바레테 | 38–2–1 (31 KO) | WBO |
2 | 오샤키 포스터 | 22–3 (12 KO) | |
3 | 조 코디나 | 17–1 (9 KO) | |
4 | 샤브카트존 라히모프 | 17–2–1 (14 KO) | |
5 | 라몬트 로치 주니어 | 25–1–1 (9 KO) | WBA (Regular) |
6 | 마사노리 리키이시 | 15–1 (10 KO) | |
7 | 호브송 콘세이상 | 19–2–1–1 (8 KO) | |
8 | 마크 막사요 | 26–2 (17 KO) | |
9 | 엘누르 사메도프 | 17–1 (7 KO) | |
10 | 앤서니 카카체 | 22–1 (8 KO) |
내용주
[편집]- ↑ NBA는 1962년 8월 23일 WBA로 명칭을 변경했다.
각주
[편집]- ↑ “Johnny Dundee - Lineal Jr. Lightweight Champion”. The Cyber Boxing Zone Encyclopedia.
- ↑ 가 나 다 “The Ring Magazine's Annual Ratings”. 2025년 8월 10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World Boxing Association Super Featherweight Title History”. 2025년 8월 10일에 확인함.
- ↑ Hughes, Ed, "Morgan Had First Round Advantage Despite K.O. Defeat", The Brooklyn Daily Eagle, Brooklyn, New York, page 12, 21 December 1929
- ↑ “Boxing’s Chaotic Weight Divisions: A Short History of How We Got to Where We Are”. 2025년 8월 10일에 확인함.
- ↑ “Punches and Trophies: The 19th Elorde Awards Will Once Again Honor the Best of Philippine Boxing, Plus Migs will Defend his Title”. 2019년 2월 27일.
- ↑ “Blog Archives”.
- ↑ “Best I Faced: John John Molina”. 2019년 1월 10일.
- ↑ “The Ring ratings: super featherweight/junior lightweight”. 2025년 8월 16일에 확인함.
- ↑ “BoxRec ratings: super featherweight, active”. 2022년 6월 12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