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스테고돈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스테고돈
화석 범위:
마이오세 후기에서 플라이스토세 후기까지
스테고돈 화석 표본
스테고돈 화석 표본
생물 분류ℹ️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포유강
목: 장비목
과: 스테고돈과
속: 스테고돈속
종: 스테고돈
학명
Stegodon
(Falconer, 1847)

스테고돈(Stegodon)은 코끼리와 관련된 멸종장비목 속이다. 원래 현대 코끼리와 함께 코끼리과에 속했지만 현재는 멸종된 스테고돈과에 속한다. 코끼리와 마찬가지로 스테고돈도 곰포테리움과마스토돈과와 같은 원시 장비목과는 다른 판 모양의 엽을 가진 이빨을 가지고 있었다.[1] 이 속의 화석은 아프리카동남아시아, 티모르섬까지 동남아시아 전역에서 알려져 있다(동유럽에서는 단일 기록이 있다). 이 속의 가장 오래된 화석은 아시아마이오세 후기 지층에서 발견되며, 아마도 더 오래된 스테고로포돈에서 기원한 후 아프리카로 이주했을 가능성이 크다.[2] 이 속은 플라이오세 동안 아프리카에서 멸종되었지만, 스테고돈은 남아시아, 동남아시아, 동아시아에서 플라이스토세 후기까지 지속되었다.[3]

형태학

[편집]

스테고돈의 두개골은 비교적 키가 크지만 짧으며[1], 여러 면에서 살아있는 코끼리의 두개골과 비슷하다.[4] 초기 코끼리 이형성과 그 조상인 스테고로포돈에 비해 아래턱은 짧아지고, 아래턱/앞니가 부족하다. 어금니는 표면적으로 코끼리의 이빨과 비슷하며, 능선을 형성하지만 일반적으로 상대적으로 짧은 치아를 가진 평행한 라멜라로 구성되어 있으며[1][5], 후기 종에서는 능선의 수가 더 많다.[6] 속의 구성원들은 영구적인 앞턱이 없다.[7] 엄니는 비례적으로 크며, 가장 큰 종의 엄니는 장비목에서 가장 큰 것으로 알려진 엄니 중 하나이며, 특히 인도 초기 플라이스토세의 스테고돈 가네사(Stegodon ganesa)의 엄니는 길이가 3.89m로 측정되었으며, 추정 질량은 약 140kg으로 기록된 가장 큰 현대 코끼리 엄니보다 훨씬 크다.[8] 이 엄니는 약간의 위쪽 곡률을 가지고 있으며, 턱이 거의 닿을 정도로 서로 평행하게 돌출되어 있어 몸통이 살아있는 코끼리처럼 자유롭게 매달려 있기보다는 엄니 위에 얹혀 있어야 했을 것이다.[4]

생태학

[편집]
복원도

현대 코끼리와 마찬가지로, 그러나 더 원시적인 장비목과는 달리 스테고돈은 아래턱의 앞으로 나아가는 움직임 (뒤에서 앞으로 걷는 움직임)을 사용하여 씹은 것으로 생각된다. 이 턱 움직임은 코끼리와 스테고돈과에서 독립적으로 진화한 것으로 생각된다.[1] 인도 플라이오세 후기 (스테고돈 인시그니스(Stegodon insignis) 포함)의 스테고돈 개체군은 다양한 혼합 먹이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같은 지역의 초기 플라이스토세 (스테고돈 가네사(Stegodon ganesa) 포함)의 개체군은 동위원소 분석에 따르면 거의 순수한 방목자로 추정된다.[9]

일본 플라이오세 후기 시대의 스테고돈 무리의 흔적에 따르면 스테고돈도 현대 코끼리와 마찬가지로 사회적 무리에서 살았다고 한다.[10]

난쟁이 스테고돈 종이 유일한 대형 초식 동물이었던 플로레스섬에서는 코모도왕도마뱀의 주요 먹이였을 가능성이 높다.[11]

각주

[편집]
  1. Saegusa, Haruo (March 2020). “Stegodontidae and Anancus: Keys to understanding dental evolution in Elephantidae” (영어). 《Quaternary Science Reviews》 231: 106176. Bibcode:2020QSRv..23106176S. doi:10.1016/j.quascirev.2020.106176. S2CID 214094348. 
  2. Ao, Hong; Zhang, Peng; Dekkers, Mark J.; Roberts, Andrew P.; An, Zhisheng; Li, Yongxiang; Lu, Fengyan; Lin, Shan; Li, Xingwen (January 2016). “New magnetochronology of Late Miocene mammal fauna, NE Tibetan Plateau, China: Mammal migration and paleoenvironments” (영어). 《Earth and Planetary Science Letters》 434: 220–230. Bibcode:2016E&PSL.434..220A. doi:10.1016/j.epsl.2015.11.019. hdl:1874/330309. 
  3. O’Regan, H. J.; Bishop, L. C.; Lamb, A.; Elton, S.; Turner, A. (2005년 1월 1일). “Large mammal turnover in Africa and the Levant between 1.0 and 0.5 Ma” (영어). 《Geological Society, London, Special Publications》 247 (1): 231–249. Bibcode:2005GSLSP.247..231O. doi:10.1144/GSL.SP.2005.247.01.13. ISSN 0305-8719. S2CID 129900545. 
  4. Nabavizadeh, Ali (2024년 10월 8일). “Of tusks and trunks: A review of craniofacial evolutionary anatomy in elephants and extinct Proboscidea” (영어). 《The Anatomical Record》. doi:10.1002/ar.25578. ISSN 1932-8486. PMID 39380178. 
  5. Cantalapiedra, Juan L.; Sanisidro, Óscar; Zhang, Hanwen; Alberdi, María T.; Prado, José L.; Blanco, Fernando; Saarinen, Juha (2021년 7월 1일). “The rise and fall of proboscidean ecological diversity” (영어). 《Nature Ecology & Evolution》 5 (9): 1266–1272. Bibcode:2021NatEE...5.1266C. doi:10.1038/s41559-021-01498-w. ISSN 2397-334X. PMID 34211141. S2CID 235712060. 
  6. van der Made, J. The Evolution of the Elephants and Their Relatives in the Context of Changing Climate and Geography. In Elefantentreich—Eine Fossilwelt in Europa; Verlag Beier & Beran: Langenweißbach, Germany, 2010; pp. 340–360. ISBN 978-3-939414-48-3.
  7. Sanders, William J. (2018년 2월 17일). “Horizontal tooth displacement and premolar occurrence in elephants and other elephantiform proboscideans” (영어). 《Historical Biology》 30 (1–2): 137–156. Bibcode:2018HBio...30..137S. doi:10.1080/08912963.2017.1297436. ISSN 0891-2963. S2CID 89904463. 
  8. Larramendi, Asier (2023년 12월 10일). “Estimating tusk masses in proboscideans: a comprehensive analysis and predictive model” (영어). 《Historical Biology》: 1–14. doi:10.1080/08912963.2023.2286272. ISSN 0891-2963. S2CID 266182491. 
  9. Patnaik, Rajeev; Singh, Ningthoujam Premjit; Paul, Debajyoti; Sukumar, Raman (November 2019). “Dietary and habitat shifts in relation to climate of Neogene-Quaternary proboscideans and associated mammals of the Indian subcontinent” (영어). 《Quaternary Science Reviews》 224: 105968. Bibcode:2019QSRv..22405968P. doi:10.1016/j.quascirev.2019.105968. S2CID 210307849. 
  10. Matsukawa, Masaki; Shibata, Kenichiro (2015년 10월 2일). “Review of Japanese Cenozoic (Miocene–Modern) Vertebrate Tracks” (영어). 《Ichnos》 22 (3–4): 261–290. Bibcode:2015Ichno..22..261M. doi:10.1080/10420940.2015.1064407. ISSN 1042-0940. S2CID 129206332. 
  11. Diamond, Jared M. (1987). "Did Komodo dragons evolve to eat pygmy elephants?". Nature. 326 (6116): 832.

외부 링크

[편집]
  • 위키미디어 공용에 스테고돈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