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모카와정
보이기
| 시모카와정 下川町 しもかわちょう | |||||
|---|---|---|---|---|---|
| |||||
| 국가 | |||||
| 지방 | 홋카이도 지방 | ||||
| 도도부현 | 홋카이도 | ||||
| 지청/진흥국 | 가미카와 종합진흥국 | ||||
| 군 | 가미카와군 | ||||
| 면적 | 644.20 km2 | ||||
| 인구 | 2,790명 [편집] (주민기본대장인구, 2025년 9월 30일) | ||||
| 인구 밀도 | 4.33명/km2 | ||||
| 정목 | 사할린전나무 | ||||
| 정화 | 과남풀 | ||||
| 정장 | 다무라 야스시(田村 泰司) | ||||
| 정사무소 소재지 | 〒098-1206 홋카이도 가미카와군 시모카와정 사이와이마치 63 | ||||
| 웹사이트 | 시모카와정 | ||||
시모카와정(일본어: 下川町)은 일본 홋카이도 가미카와 지방 북부의 가미카와군에 있는 정이다.
지명은 아이누어로 정내를 흐르는 나요로강의 지류인 시모카와판케강의 기슭을 ‘판케·누카난’(パンケ・ヌカナン, 강 하류의 누카난강)으로 칭했던 것에서 유래한다. 이전에는 농림업 및 광업(미쓰비시계 동광, 미쓰이계 금광)으로 번창해 한창 때인 1960년에는 인구가 15,555명에 이르렀지만, 산업 구조의 변화와 함께 인구는 감소하고 있다. 스키 점프가 유명하고 교외에는 4개의 점프대가 있다.
지리
[편집]홋카이도 북부를 흐르는 데시오강의 지류인 나요로강 상류에 있고 나요로 분지의 동쪽 끝에 위치해 기타미 산지의 경사면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기후
[편집]| 시모카와정의 기후 | |||||||||||||
|---|---|---|---|---|---|---|---|---|---|---|---|---|---|
|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역대 최고 기온 °C (°F) | 6.4 (43.5) |
11.3 (52.3) |
15.1 (59.2) |
26.6 (79.9) |
31.9 (89.4) |
34.0 (93.2) |
37.3 (99.1) |
36.2 (97.2) |
31.5 (88.7) |
25.1 (77.2) |
19.8 (67.6) |
12.4 (54.3) |
37.3 (99.1) |
| 일평균 최고 기온 °C (°F) | −3.9 (25.0) |
−2.7 (27.1) |
1.7 (35.1) |
9.3 (48.7) |
17.1 (62.8) |
21.3 (70.3) |
24.7 (76.5) |
25.0 (77.0) |
21.0 (69.8) |
13.9 (57.0) |
5.2 (41.4) |
−1.7 (28.9) |
10.9 (51.6) |
| 일일 평균 기온 °C (°F) | −8.8 (16.2) |
−8.2 (17.2) |
−3.3 (26.1) |
3.6 (38.5) |
10.2 (50.4) |
14.8 (58.6) |
18.8 (65.8) |
19.4 (66.9) |
14.7 (58.5) |
7.9 (46.2) |
1.3 (34.3) |
−5.4 (22.3) |
5.4 (41.8) |
| 일평균 최저 기온 °C (°F) | −15.7 (3.7) |
−15.8 (3.6) |
−9.8 (14.4) |
−2.4 (27.7) |
3.3 (37.9) |
8.8 (47.8) |
13.8 (56.8) |
14.7 (58.5) |
9.1 (48.4) |
2.4 (36.3) |
−2.7 (27.1) |
−10.7 (12.7) |
−0.4 (31.2) |
| 역대 최저 기온 °C (°F) | −35.1 (−31.2) |
−36.1 (−33.0) |
−32.3 (−26.1) |
−15.8 (3.6) |
−6.0 (21.2) |
−2.1 (28.2) |
1.5 (34.7) |
2.7 (36.9) |
−1.0 (30.2) |
−7.5 (18.5) |
−20.9 (−5.6) |
−31.7 (−25.1) |
−36.1 (−33.0) |
| 평균 강수량 mm (인치) | 36.8 (1.45) |
28.2 (1.11) |
37.3 (1.47) |
42.8 (1.69) |
62.9 (2.48) |
64.1 (2.52) |
126.8 (4.99) |
143.6 (5.65) |
147.0 (5.79) |
118.8 (4.68) |
95.8 (3.77) |
60.7 (2.39) |
964.8 (37.98) |
| 평균 강설량 cm (인치) | 184 (72) |
150 (59) |
139 (55) |
40 (16) |
0 (0) |
0 (0) |
0 (0) |
0 (0) |
0 (0) |
3 (1.2) |
82 (32) |
204 (80) |
820 (323) |
| 평균 강수일수 (≥ 1.0 mm) | 14.3 | 11.8 | 12.9 | 10.8 | 10.9 | 9.8 | 12.3 | 12.1 | 14.8 | 16.4 | 18.7 | 18.8 | 163.6 |
| 평균 강설일수 (≥ 3 cm) | 20.3 | 17.9 | 16.9 | 5.9 | 0 | 0 | 0 | 0 | 0 | 0.3 | 8.2 | 20.7 | 90.2 |
| 평균 월간 일조시간 | 64.9 | 88.7 | 124.4 | 151.3 | 181.9 | 161.4 | 157.4 | 148.2 | 150.2 | 119.2 | 55.5 | 41.7 | 1,443.6 |
| 출처: 일본 기상청 (평년값: 1991년~2020년, 극값: 1978년~현재)[1][2] | |||||||||||||
인접한 자치체
[편집]역사
[편집]이름은 아이누어의 ‘판케·누카난’(パンケ・ヌカナン, 강 하류의 누카난강)에서 유래한다.
- 1909년 4월 1일 - 2급 정촌제 시행으로 가미나요로촌이 성립하였다.
- 1915년 11월 1일 - 1급 정촌제가 시행되어 가미나요로촌이 나요로촌이 되었다.
- 1924년 1월 1일 - 나요로촌에서 분리되면서 2급 정촌제가 시행되어 시모카와촌이 되었다.
- 1949년 12월 1일 - 정으로 승격해 시모카와정이 되었다.
경제
[편집]농업
[편집]낙농업이 활발하다. 벼농사의 북쪽 한계 지대에 가까워 한때 논은 감반 정책으로 대부분이 전작되었다. 주요 농산물은 현지에서 가공되는 토마토 주스용 토마토, 완두 등의 야채, 밀, 메밀소바, 찹쌀 등이다.
임업
[편집]면적의 약 90%를 삼림이 차지하고 그 80% 이상을 국유림이 차지한다. 개척 당시에는 수운에 의지했지만 철도의 개통으로 수송 효율이 개선되어 간토 대지진의 부흥재 수요 급증으로 번창했다.
광업
[편집]금·은을 생산하는 산루 광산과 동·아연을 생산하는 시모카와 광산은 모두 현재는 사실상 폐광이 된 상태다. 그 밖에 망간, 티탄, 질 낮은 석탄 등이 확인되고 있다.
교통
[편집]도로
[편집]각주
[편집]- ↑ 観測史上1~10位の値(年間を通じての値). 일본 기상청. 2022년 3월 1일에 확인함.
- ↑ 気象庁 / 平年値(年・月ごとの値). 일본 기상청. 2022년 3월 1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일본어) 시모카와정
- 공식 웹사이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