쓸개주머니관
보이기
쓸개주머니관 | |
---|---|
![]() | |
정보 | |
동맥 | 쓸개동맥 |
식별자 | |
라틴어 | ductus cysticus |
영어 | cystic duct |
MeSH | D003549 |
TA98 | A05.8.02.011 |
TA2 | 3101 |
FMA | 14539 |

9. 쓸개, 10–11. 간오른엽과 간왼엽. 12. 지라.
13. 식도. 14. 위. 15. 이자: 16. 덧이자관, 17. 이자관.
18. 작은창자: 19. 샘창자, 20. 빈창자
21–22. 양쪽 콩팥.
간의 위쪽 모서리는 들어 올려졌다. (갈색 화살표)[1]
쓸개주머니관(cystic duct) 또는 담낭관(胆囊管)은 쓸개를 온쓸개관과 연결하는 짧은 관이다. 보통 간동맥에 이웃하여 있다. 길이는 사람마다 다양하다. 안에는 헤이스터 나선판막이 존재하며 쓸개즙의 흐름을 돕는다.
기능
[편집]쓸개즙은 쓸개 쪽과 온쓸개관 쪽, 양쪽으로 모두 흐를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쓸개즙은 식사 시간 동안 쓸개에 저장된다. 기름진 음식에 의해 분비가 자극되는 호르몬인 콜레시스토키닌은 간에서의 쓸개즙 생산 증가, 쓸개의 수축, 오디조임근의 이완으로 인해 쓸개즙 분비를 촉진한다.
임상적 중요성
[편집]담석이 들어와 쓸개관을 막고 그 결과 쓸개즙의 흐름이 막힐 수 있다. 쓸개 내압이 증가하면 쓸개가 붓고 통증이 생길 수 있다. 이렇게 생긴 통증은 쓸개급통증(담석산통)이라고 하며 갑작스럽게 발생한다.
쓸개절제술을 시행할 때 쓸개관을 두세 번 클립으로 고정한 후, 클립 사이를 잘라 쓸개를 들어낼 수 있도록 만든다.
추가 이미지
[편집]-
쓸개관이 그려져 있는 소화계의 모습
-
열려 있는 쓸개와 쓸개관
-
간문맥과 그 지류
-
쓸개관
각주
[편집]- ↑ Standring S, Borley NR, 편집. (2008). 《Gray's anatomy : the anatomical basis of clinical practice》. Brown JL, Moore LA 40판. London: Churchill Livingstone. 1163,1177,1185–6쪽. ISBN 978-0-8089-2371-8.
외부 링크
[편집]- liver Wesley Norman의 The Anatomy lesson (조지타운 대학교) (liverinferior, biliary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