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아랍계 기독교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아랍계 기독교인
ﺍﻟْﻤَﺴِﻴﺤِﻴُّﻮﻥ ﺍﻟْﻌَﺮَﺏ
시리아 수와이다의 그리스 정교회 부활절
시리아 수와이다그리스 정교회 부활절
언어
종교
민족계통

아랍계 기독교인(Arab Christians, 아랍어: ﺍﻟْﻤَﺴِﻴﺤِﻴُّﻮﻥ ﺍﻟْﻌَﺮَﺏ)은 기독교를 믿는 아랍인을 말한다. 2012년 기준 중동에 거주하는 아랍계 기독교인의 수는 1,000만에서 1,500만 명 사이로 추정되며,[1] 이들 대부분은 레바논에 집중되어 있다. 아랍계 기독교 공동체는 아랍 세계 전역에서 발견되지만, 특히 레반트이집트동지중해 지역에 집중되어 있으며, 아라비아반도북아프리카 전역에는 더 작은 공동체들이 존재한다.

아랍계 기독교인의 역사는 동방 기독교의 역사아랍어의 역사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아랍계 기독교 공동체는 기존의 기독교 공동체가 아랍어를 채택하거나, 기존의 아랍어 사용자 공동체가 기독교를 채택하면서 형성되었다. 초기 무슬림 정복 이후 펜타르키의 다섯 총대주교구 중 세 곳, 즉 알렉산드리아 교회, 안티오키아 교회, 예루살렘 그리스 정교회는 주로 아랍어 사용 지역이 되었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많은 신자들이 아랍어와 아랍 문화를 받아들였다.[2] 이와 별도로, 나바테아인, 라흠족, 살리히드족, 타누크족, 알히라이바디, 가산족 등 여러 초기 아랍 왕국과 부족들이 기독교를 받아들였다.

근대에 들어 아랍계 기독교인들은 알나흐다 운동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문학, 정치,[3] 사업,[3] 철학,[4] 음악, 연극 및 영화,[5] 의학,[6] 과학[7] 분야에 크게 기여했다. 오늘날 아랍계 기독교인들은 여전히 아랍 세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비교적 부유하고 교육 수준이 높으며 정치적으로 온건한 경향을 보인다.[8] 아랍계 기독교 공동체 출신 이민자들은 중동 디아스포라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며, 특히 브라질, 아르헨티나, 베네수엘라, 콜롬비아, 미국 등 아메리카 대륙 전역에 상당한 인구가 집중되어 있다. 그러나 특히 1차 이민 물결의 이민자들은 이주한 주류 기독교 공동체에 동화되어 자손들에게 아랍어를 물려주지 않은 경우가 많다.[9]

아랍계 기독교인 정체성의 개념은 여전히 논쟁의 여지가 있으며, 중동의 일부 아랍어 사용 기독교 공동체아시리아인, 아르메니아인, 그리스인 등과 같이 아랍 정체성을 거부한다. 이집트의 콥트 기독교 공동체와 레바논의 마론파 공동체 출신 개인들은 때때로 비아랍 정체성을 표방하기도 한다.[10][11]

역사

[편집]

아랍계 기독교인의 역사는 기독교의 역사아랍어의 역사와 일치한다. 아랍계 기독교 공동체는 기존 기독교 공동체가 아랍어를 채택하거나, 기존 아랍어 사용자 공동체가 기독교를 채택하면서 형성되었다. 아랍계 기독교인에는 비옥한 초승달 지대에서 7세기 이슬람 정복 이후 아랍어를 주로 사용하게 된 원주민 기독교 공동체가 포함된다.[12] 기독교 아랍인의 존재는 초기 무슬림 정복 이전부터 있었으며, 1세기부터 기독교로 개종한 아랍 부족들이 많이 있었다.[13]

9세기 서기 이전 아랍인들의 관심은 주로 이슬람 이전 아랍 시의 기록과 번역에 집중되었다. 초기 아랍계 기독교인들은 시리아 찬송가, 아랍 시, 교회 성가, 속담, ḥikam(통치 규칙)을 기록했다.[14] 그들은 그 외의 종교를 기록하지 않았으며, 이로 인해 몇 세기 동안 특정 관행에 대한 상충되는 설명과 희박한 증거가 발생했다.[15]

고전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아랍계 기독교인들은 마슈리크의 문화, 특히 레반트, 이집트, 이라크의 문화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

이슬람 이전 시대

[편집]
나바테아인 아랍 압가르 왕조 출신의 오스로에네압가르 5세는 역사상 최초의 기독교 군주 중 한 명이었다.

신약성경에는 사도행전에 기록된 아랍인의 기독교 개종에 대한 성경적 기록이 있다. 베드로가 예루살렘 사람들에게 설교할 때, 그들은 이렇게 묻는다.

우리가 각기 태어난 방언으로 듣게 되는 것이 어찌 된 일이냐?
[...] 아랍인들까지도 우리가 하나님의 큰일을 말함을 듣는도다. (사도행전 2:8, 11 흠정역)

아라비아에서 기독교가 처음 언급된 것은 사도 바울이 개종 후 아라비아로 여행한 것을 언급하는 신약성경에 나온다 (갈라디아서 1:15–17). 나중에 에우세비우스보스트라의 주교인 베릴루스에 대해 논하는데, 이곳은 서기 240년경의 시노드와 두 번의 아라비아 공의회가 열린 곳이다.[16] 신약성경은 아랍인들 사이에서 기독교가 일찍이 유입되었음을 시사한다. 무함마드 이븐 자리르 알타바리, 아부 알 피다, 알 마크리지, 이븐 할둔 그리고 알 마수디가 서술한 것 외에도 그리스도의 제자들(사도 마태오, 바르톨로메오, 유다 타대오 포함)[17]이 이 종교의 설교자로 아라비아로 갔다. 가자소조멘은 아랍 지역으로 퍼져나간 사제들과 수도사들의 노력으로 아랍인들이 기독교로 개종했으며, 주요 부족들의 개종으로 기독교의 힘이 커졌다고 말했다. 이 종교는 주교대주교가 관할하는 많은 교구로 조직되었다. 아랍 주교들은 도시 내에 거주하는 도시 주교와 텐트에서 거주하며 부족과 함께 이동하는 "텐트 주교"로 나뉘었다. 이븐 두라드에 따르면 나바테아인 중에서만 아랍 주교의 수는 40명에 달했다.[18][19] 최초의 아랍 주교인 성 모세는 4세기 시리아와 이집트 사이에서 은자로 여러 해를 보냈다.[20] 그의 경건함은 타누크족의 전사 여왕 마위야에게 깊은 인상을 주었고, 그녀는 로마와의 어떤 휴전 조건으로도 자신의 백성 위에 그를 주교로 서품할 것을 요구했다.[21]

가산족 왕국 (서기 220–638년)
성 세르기우스의 그림이 그려진 가산족의 군기

요르단계곡발카 (지역)는 서기 2세기부터 아랍계 기독교 통치 아래에 있었다. 레반트 남부의 원주민인 나바테아인들도 후기 로마 제국 시대에 기독교로 개종했다. 팔미라알카랴타인 근처에는 기독교 기념물과 교회의 유적, 그리고 이 지역에 기독교가 전파되었음을 나타내는 비문이 있다.[22][23] 로마 통치 하의 요르단 (지역) 행정은 쿠다아족에게 주어졌다. 야쿠비에 따르면 이 부족은 기독교를 받아들였고, 나중에 기독교 살리히드족과 가산족 왕국에게 계승되었다.[24][25] 이슬람 이전 시인 알나비가의 시구에는 가산족 왕들을 칭송하며 종려주일을 축하하는 내용이 있다. 시리아와 국경을 접한 시나이반도는 행정적으로 이집트 교회에 소속되어 알렉산드리아에 본부를 두었다. 3세기 후반의 알렉산드리아의 디오니시오 총대주교의 문서에는 시나이의 아랍계 기독교 신자들과 이교도 로마 황제 디오클레티아누스 시대에 그들이 겪었던 박해에 대한 언급이 있다.[26][27] 나중에 309년 시나이산에서 이교도 아랍인들의 은수처 급습 중에 40명의 순교자가 쓰러졌다. 수도사들은 새로운 수도원을 요새화했고, 가장 잘 요새화된 수도원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사용되고 있는 성 카테리나 수도원으로, 로마 황제 유스티니아누스 1세의 명령으로 565년에 건설되었다. 이곳은 여러 교회 주교와 신학자, 가산족라흠족 왕, 그리고 이슬람 이전 시인들을 맞이했다.[28]

바실리우스 2세의 메놀로기움에 그려진 나지란의 알하리스와 4천여 순교자들

남아라비아의 도시 나지란유대교로 열정적으로 개종한 예멘 왕 중 한 명인 두 누와스기독교 박해로 유명해졌다. 이 시기 나지란 아랍인의 지도자 알 하리스는 로마 가톨릭교회에 의해 아레타스로 시성되었다. 아레타스는 6세기 초 나지란 기독교인들의 지도자였으며 523년 왕에 의한 학살 중에 처형되었다.[29] 이븐 할둔, 이븐 히샴야쿠트 알하마위는 두 알 나와스가 유대교로 개종했을 때 나지란이 완전히 기독교도였으며, 나지란 주민들이 그의 신앙으로 개종하기를 거부하자 그가 그들을 학살했다고 언급했다. 희생자들은 이븐 이스하크에 의해 언급되었고 꾸란에서는 "도랑의 사람들"로 지칭되었다.[30] 동로마 황제 유스티누스 1세는 격분하여 악숨 왕국의 칼렙이 예멘을 점령하고 유대인 왕을 제거하도록 독려했다. 두 알 나와스는 나중에 폐위되고 살해되었고, 칼렙은 토착 기독교 히미야르족인 수먀파 아슈와를 자신의 총독으로 임명했다.[31] 따라서 악숨족은 히미야르 왕국을 정복했고 그들의 통치는 575년까지 지속되었다. 악숨족은 기독교를 전파했으며 그들의 통치자들은 나지란 순교자들을 기리기 위해 호화로운 건물을 지었다. 이 건물은 동시대에 그 아름다움, 장식품, 보석, 그리고 눈에 띄는 아치형 구조로 유명했다. 아랍인들은 이를 "나지란의 카바"라고 불렀다.[32] 예멘인들은 나중에 악숨족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키고 독립을 요구했다.[33][34] 역사는 이슬람 이전 시대에 에티오피아에서 아랍 지역으로 기독교의 영향이 전파되었음을 기록하며, 일부 에티오피아 기독교인메카에 거주했을 수도 있다.[35]

서기 3세기경 아라비아에서 태어난 성 코스마스와 다미안

예멘은 고대 기독교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했다. 2세기에 그리스 신학자 판타이누스는 개종 후 선교사로 알렉산드리아를 떠나 예멘으로 향했다.[36] 루피누스오로시우스와 같은 역사가들은 사도 마태오가 예멘과 에티오피아의 선교사였다고 언급했다.[37] 예멘 사람들과 시리아 교회 사이에는 특별한 관계가 발전했는데, 이는 시리아의 에프렘의 작품, 시메온 스틸리테스의 전기, 그리고 일부 마을과 정착촌이 시리아어를 사용했다고 말한 역사가 필로스토르기우스의 작품에서 추론할 수 있다. 사나의 유명한 알칼리스 교회는 신자들을 섬기고 메카의 카바감단 궁전으로 향하는 순례자들을 유치하기 위해 지어졌다.[38] 조직적 차원에서 예멘 대주교는 "가톨리코스"라는 칭호를 가졌는데, 이는 "총대주교" 다음 계급이다.[39] 아랍인들 사이에서 기독교의 확산은 상메소포타미아에 이르렀고, 그곳에는 바누 바크르바누 무다르가 살았는데, 이들은 굳건한 기독교 신앙과 군인 성인 세르기우스를 숭배하는 것으로 유명했다.[40] 이븐 할리칸은 이라크의 모든 예멘 아랍인들이 기독교로 개종했으며, 여기에는 타임 알라트, 바누 칼브, 라흠족타누크족이 포함되었고, 많은 이들이 4세기경 바레인으로 이주했다고 언급했다.[41]

메디나에는 공식 교회에서 이단으로 간주되어 거부당한 기독교 종파가 있었다. 이들은 성모 마리아를 신격화하고 봉헌물을 바쳤다. 이 종파는 에피파니오스이븐 타이미야를 비롯한 여러 역사가들에 의해 언급되었으며, 이븐 타이미야는 이들을 "마리아인"(알 마리야미윤)이라고 불렀다. 마찬가지로 알자마크샤리알바이더위는 꾸란의 해석에서 이 종파를 언급했다.[42] "다윗인"(알다우디윤)이라는 또 다른 종파는 다윗 왕을 과도하게 숭배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부 현대 역사가들은 이들을 유대 기독교 이단으로 분류했다.[43] 메카에서는 바누 주르훔이 여섯 번째 왕 압드 알 마시 이븐 바키아의 손에 기독교를 받아들였고, 일정 기간 하람의 봉사를 감독했다.[44] 아부 알파라즈 알이스파하니에 따르면 아즈드족바누 후자아도 그들과 함께 기독교인이 되었다.[45] 메카에서 기독교의 가장 초기의 흔적은 메디나 바깥의 움바사 우물 방향에 있는 기독교 묘지로, 알마크디시에 의해 확인되었으며, 쿠라이시족 일부 구성원의 기독교 개종도 있었다.[46]

이슬람 시대

[편집]
후나인 이븐 이샤크 (809–873 AD)는 이슬람의 황금기의 영향력 있는 네스토리우스파 번역가, 학자, 의사, 과학자였다.[47]
트빌리시의 아보 성인 (756–786 AD), 조지아에서 신앙 때문에 순교했다.

동로마 제국사산 제국의 상당 부분이 아랍 군대에 함락된 후, 다양한 민족의 많은 토착 기독교인들이 아랍 무슬림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역사적으로, 소수의 기독교 종파들은 동로마 제국의 지배 하에서 이단으로 박해를 받았다 (비칼케돈파 등). 이슬람 정복은 이러한 기독교 공동체에 두 가지 영향을 미쳤다. 하나는 아랍화 과정으로, 그들이 점차 아랍어를 구어, 문어, 전례 언어로 (종종 조상들의 언어와 함께) 채택하게 만들었으며, 다른 하나는 훨씬 느리지만 꾸준한 이슬람화 과정이었다.[48] 무슬림 군대 지휘관들이 제국을 확장하고 아시아, 북아프리카, 남유럽 국가들을 공격했을 때, 그들은 적들에게 세 가지 조건을 제시했다: 이슬람으로 개종하거나, 매년 지즈야 (세금)를 지불하거나, 죽을 때까지 전쟁을 치르는 것이었다. 전쟁을 거부하고 개종을 거부하는 자들은 지즈야를 지불하는 데 동의한 것으로 간주되었다.[49][50]

"책의 사람들"로서 이슬람법은 기독교인에게 종교를 자유롭게 실천할 권리를 부여했다(법정에서 판결, 합의, 선고를 위해 기독교법을 사용하는 것을 포함). 무슬림자카트를 납부하는 것과 달리, 그들은 인두세인 지즈야를 납부했다. 지즈야는 노예, 여성, 어린이, 수도사, 노인, 병자, 은자, 또는 극빈자에게는 부과되지 않았다.[51] 그 대가로 비무슬림 시민들은 자신의 신앙을 실천하고, 어느 정도의 공동체 자율성을 누리며, 외부 침략으로부터 무슬림 국가의 보호를 받을 권리가 있었고, 병역이 면제되었으며, 자카트가 면제되었다.[52][53] 아랍 무슬림과 마찬가지로 아랍계 기독교인들도 하느님을 "알라"라고 부른다.[54][55] 몰타의 기독교인들처럼, 이러한 관행은 이슬람에서 알라라는 단어가 그 신앙의 하느님의 개인적인 이름으로 사용되는 것과는 구별된다.[56] 아랍 교회에서 알라라는 용어의 사용은 이슬람 이전부터 있었다.[54]

이슬람의 황금기 동안 기독교인들은 다양한 분야에서 이슬람 문명에 기여했으며,[57][58] 지혜의 집으로 알려진 기관은 기독교 학자들을 고용하여 작품을 아랍어로 번역하고 새로운 지식을 개발했다.[59]

근현대

[편집]

아랍계 기독교인들은 공통된 종교적 유대감 때문에 항상 이슬람 세계와 기독교 서방 사이의 중개자 역할을 해왔다. 그리스 정교회는 러시아 및 그리스동방 정교회적 유대 관계를 공유하고, 멜키트 교인들과 마론파 교인들은 이탈리아, 바티칸 시국 및 프랑스와 로마 가톨릭교회적 유대 관계를 공유한다.[60] 학자들과 지식인들은 아랍 세계의 기독교인들이 이슬람이 도입된 이래로 아랍 문명에 상당한 기여를 했으며, 마슈리크 문화에 두드러진 영향을 미쳤다는 데 동의한다.[61][60] 오늘날 많은 아랍계 기독교인들은 의사, 연예인, 철학자, 정부 관리, 문학인으로 활동하고 있다.[3]

알나흐다에서의 역할

[편집]

알나흐다("각성" 또는 "르네상스"를 의미)는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초반에 걸쳐 아랍인들의 문화적 르네상스였다. 이는 1840년 이집트의 무함마드 알리레반트에서 철수한 것을 계기로 시작되었다.[62] 베이루트, 카이로, 다마스쿠스, 알레포는 이 르네상스의 주요 중심지였으며, 이는 학교, 대학교, 극장, 인쇄소의 설립으로 이어졌다. 이 각성은 "협회"로 알려진 정치적으로 활발한 운동의 출현을 가져왔고, 이는 아랍 민족주의의 탄생과 오스만 제국 개혁 요구를 동반했다. 이는 유럽에 기반을 둔 현대 국가 설립 요구로 이어졌다.[63] 이 시기에 아랍어의 첫 번째 합성어가 도입되었고 문자로 인쇄되었으며, 나중에 이 운동은 음악, 조각, 역사, 인문학, 경제학, 인권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오스만 통치 후기 동안의 이러한 문화적 르네상스는 산업 혁명 이후 아랍인들에게 양자 도약이었으며, 19세기의 개별 문화 르네상스 분야에만 국한되지 않고, 알나흐다는 사회 전반과 모든 분야를 포함하도록 확장되었다. 성 요셉 대학교, 베이루트 아메리칸 대학교(1920년까지 시리아 개신교 대학) 및 바그다드 알히크마 대학교와 같은 기독교 대학(모든 신앙을 수용)은 아랍 문화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64] 역사가들 사이에서는 이 르네상스에서 아랍계 기독교인들이 수행한 역할과 디아스포라 참여를 통한 번영에서의 역할에 대한 중요성이 일치한다.[65][3] 정치와 문화에서의 이러한 역할 덕분에 오스만 장관들은 그들을 정부에 포함시키기 시작했다. 경제 분야에서는 그리스 정교회 수르속 가문과 같은 여러 기독교 가문이 두각을 나타냈다. 따라서 알나흐다는 무슬림과 기독교인들을 문화적 르네상스와 국가적 일반 전제주의로 이끌었다. 이는 아랍계 기독교인들을 지역의 주요 기둥 중 하나로 확고히 했고, 변방의 소수 민족이 아니게 만들었다.[66]

레바논 작가이자 학자인 부트루스 알부스타니는 최초의 시리아 민족주의자로 여겨진다. 시리아 작가로는 학자 프랜시스 마라시가 있다. 아랍 세계의 여성 문학 살롱 및 협회의 전통은 알나흐다 시대에 마리아나 마라시에 의해 부활했다.

현대 시대의 저명한 학자로는 현대 아랍어 성경 번역의 초기 작업 중 하나였던 시리아 언어학자 이브라힘 알야지즈 (1847–1906)와 아랍어 어휘학, 사전 편찬학, 언어학에 기여한 것으로 가장 잘 알려진 이라크 가톨릭 신부이자 맨발의 카르멜회 수도사인 아나스타스 마리 알카르말리 (1866–1947)가 있다.

종교 박해

[편집]

1850년 알레포 학살, 흔히 사건이라고 불리는 이 폭동은 주로 도시 동부 지역 출신인 알레포무슬림 거주자들이 주로 기독교인들이 밀집한 주다이데 (제이데)와 살리베 지역의 북부 교외에 거주하는 기독교인 거주자들을 상대로 자행한 것이었다. 역사가들은 이 사건이 알레포 역사에서 특히 중요하다고 평가하는데, 이는 이 지역에서 무슬림과 기독교인 간의 갈등이 처음으로 발생했기 때문이다. 시리아 가톨릭교회의 총대주교 베드로 7세 자르웨는 이 공격으로 치명상을 입고 1년 후에 사망했다. 폭동으로 20~70명이 사망했으며, 포격으로 5,000명이 사망했다.[68]

대기근 기간 중의 레바논산의 굶주리는 남자와 어린이들, 1915–18

1860년 레바논산 및 다마스쿠스 내전오스만 제국 통치 시기에 발생한 내전이자 이후 학살로, 마론파레바논산드루즈 간의 충돌로 시작되었다. 기독교인들에 대한 결정적인 승리와 학살 이후, 갈등은 오스만령 시리아의 다른 지역, 특히 다마스쿠스 시로 확산되었으며, 그곳에서 다양한 교파의 기독교인 주민 만여 명이 드루즈 및 무슬림 민병대에 의해 살해되었다. 군 당국과 튀르키예 병사들의 묵인 하에 드루즈 및 동맹 민병대는 3일간(7월 9일-11일) 다마스쿠스에서 포그롬을 조직했다.[69] 전쟁이 끝날 무렵 약 2만 명의 기독교인이 살해되었고, 많은 마을과 교회가 파괴되었다. 옛 다마스쿠스의 기독교인 거주 지역은 파괴되고 가옥들이 약탈되었다. 역사가 미하일 미샤카의 학살 회고록은 폭동 공격 생존자가 쓴 유일한 기록이라는 점에서 역사가들에게 귀중하다.[70] 망명 중인 알제리 무슬림 군사 지도자 압둘카디르 에미르는 아들들과 병사들에게 도시 전체에 퍼지는 대인 폭력으로부터 다마스쿠스 기독교인들을 보호하고 숨겨주도록 명령하여 수천 명의 생명을 구하고 이 고대 공동체가 완전히 파괴되는 것을 막았다.[71][72]

멜키트 그리스 가톨릭교회마론파 기독교인들은 오스만 당국의 방치와 프랑스 및 영국의 해상 봉쇄로 인해 제1차 세계 대전제1차 세계 대전 레바논 대기근 (1915–1918)을 겪었으며, 이는 아르메니아인 집단학살, 아시리아인 집단학살, 그리스인 집단학살과 함께 일어났다. 레바논산 기근은 제1차 세계 대전 중 인구 대비 가장 높은 사망률을 기록했다.[73] 레바논산 인구가 40만 명으로 추정되었을 때 약 20만 명이 굶어 죽었다.[74] 이집트의 레바논인 디아스포라아르와드의 시리아 섬 마을을 통해 레바논산으로 식량 공급을 운송하는 자금을 지원했다.[75] 1916년 5월 26일, 레바논계 미국인 작가 칼릴 지브란메리 하스켈에게 다음과 같은 편지를 썼다.[73]

레바논산 기근은 튀르키예 정부에 의해 계획되고 조장되었다. 이미 8만 명이 굶주림으로 쓰러졌고 매일 수천 명이 죽어가고 있다. 똑같은 과정이 기독교 아르메니아인에게도 일어났고, 레바논산 기독교인에게도 적용되었다.

정치 (20세기 - 현재)

[편집]
미셸 아플라크, 시리아 철학자, 사회학자, 바트주의 공동 창시자
안툰 사데는 레바논 철학자, 정치인이자 시리아 사회민족당의 창시자이다. 시리아 사회민족당은 오늘날 시리아에서 두 번째로 큰 정당이다.[76]

아랍계 기독교인들은 최초의 아랍 민족주의자 중 하나였다. 일찍이 1877년 마론파 지도자 유세프 베이 카람압델카데르 태수에게 알진스 알아라비("아랍 민족")와 가바일 알아라비야("아랍 부족")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아랍어 사용 지역의 분리를 제안했다.[77][78] 20세기 초반에는 시리아인 지식인 콘스탄틴 주레이크와 같은 많은 저명한 아랍 민족주의자들이 기독교인이었다.[79] 바트주의 지지자 미셸 아플라크와,[80] 최초의 아랍 민족주의자로 평가받는 주르지 자이단도 그러했다.[81] 저명한 팔레스타인 예루살렘인 칼릴 알사카키니는 아랍 정교회 신자였으며, 아랍 각성의 저자 레바논인 조지 안토니우스도 마찬가지였다.[82][83] "베이루트의 붉은 주교"로 알려진 그레고르 하다드는 1960년 시아파 이맘 무사 알사드르와 함께 "레바논 사회 운동"을 창립하고 이후 몇 년 동안 이슬람-기독교 대화를 촉진했다.[84][85] 최초의 시리아 민족주의자들도 기독교인이었다. 레바논인이었지만 안툰 사데시리아 사회민족당의 창시자였다. 사데는 범아랍주의를 거부하고 대신 "통일 시리아 국가" 또는 "자연 시리아"의 창설을 주장했다. 팔레스타인 해방대중전선의 창시자인 주르지 하바시는 아랍 정교회 신자였고, PFLP의 무장 부대 지도자였던 와디 하다드도 마찬가지였다. 타우피크 투비, 다우드 투르키, 에밀 투마, 에밀 하비비와 같은 영향력 있는 팔레스타인 기독교인들은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공산당의 지도자가 되었다.[86] 나이프 하와트메팔레스타인 해방민주전선의 창시자이자 지도자이며, 카말 나세르하난 아슈라위팔레스타인 해방 기구 집행위원회의 일원이었다.[87]

지역 분쟁

[편집]

1948년 아랍-이스라엘 전쟁 동안, 알바사, 라믈라, 로드, 제파트, 카프르 비르임, 이크리트, 타르비카, 아일라분, 하이파를 포함한 팔레스타인 그리스 정교회 및 멜키트 공동체는 인종 청소되어 마을에서 쫓겨났다. 1948년부터 1953년 사이에 많은 기독교 마을이나 이웃이 인종 청소되고 파괴되었다. 제파트, 베트셰안, 티베리아스의 모든 기독교 주민들은 제거되었고, 하이파, 야파, 리다, 라믈라에서는 많은 비율이 실향민이 되었다.[88] 아랍계 기독교인 콘스탄틴 주레이크1948년 팔레스타인인 탈출을 언급하며 "나크바"라는 용어를 처음으로 만들었다.[89]

1975년, 레바논 내전은 크게 두 진영, 즉 마론파와 멜키트 교인으로 구성된 기독교 '우파' 레바논 전선과 드루즈, 그리스 정교회 신자, 팔레스타인 공동체의 지지를 받는 무슬림 및 아랍 민족주의 '좌파' 레바논 민족 운동 간에 발생했다. 전쟁은 각 진영이 '적군' 거점, 주로 기독교 또는 무슬림 저소득 지역을 제거하면서 잘못된 장소에 갇힌 사람들에 대한 납치, 강간, 학살로 특징지어졌다.[90] 레바논에서는 마론파와 멜키트 교인들이 프랑스와 지중해 세계를 바라본 반면, 대부분의 무슬림과 그리스 정교회 기독교인들은 아랍 내륙을 정치적 길잡이로 여겼다.[91][92] 1982년 이스라엘은 팔레스타인 해방 기구를 파괴할 목적으로 레바논을 침공하여 서베이루트를 포위했다. 이스라엘은 이후 레바논 민족 저항 전선의 여러 게릴라 공격과 레바논 내 모든 세력의 주둔에 대한 적대감 증가로 인해 철수할 수밖에 없었다.[90]

아랍의 봄의 사건들로 인해 시리아 아랍계 기독교 공동체는 시리아의 다른 기독교 공동체와 마찬가지로 전쟁의 큰 타격을 받았고, 지하드 세력에 의해 소수 민족으로 특별히 표적이 되었다. 시리아 내전 동안 많은 기독교인, 특히 아랍계 기독교인들이 시리아를 떠나거나 난민이 되었다. 시리아 내전이 시작되었을 때 기독교인들은 조심스럽게 어느 한쪽에 서는 것을 피했지만, 폭력 증가와 ISIL의 성장으로 인해 아랍계 기독교인들은 아사드가 전복될 경우 자신들이 표적이 될 것을 두려워하여 아사드에 대한 지지를 표명했다. 기독교인들은 현 정부의 종식이 불안정을 초래할 수 있다는 두려움 때문에 아사드 정권을 지지했다. 카네기 중동 센터는 대다수의 기독교인들이 혼란스러운 상황이나 이슬람주의 서방 및 튀르키예의 지원을 받는 무장 단체의 통치 아래 놓이는 것을 두려워했기 때문에 정권을 더 지지했다고 밝혔다.[93][94][95]

학술 분야

[편집]

아랍계 기독교인들은 역사적으로 학문과 문학 분야에서 큰 영향력을 미친 것으로 알려져 왔다.[3][96] 아랍어 사용 기독교 학자들은 아랍어로 방대한 신학철학 저술과 논문을 작성했는데, 여기서 그들은 무슬림 적대자들의 논쟁에 반박했을 뿐만 아니라,[97] 기독교 신앙과 실천에 대한 체계적인 변증적 논의도 제공했다.[98] 아랍어의 지역 구어체 형태로 번역된 신약성경이나 그 일부는 수십 개에 이른다.[99] 20세기에는 저명한 팔레스타인 의사이자 민족지학자 타우피크 카난의 학술 연구가 팔레스타인 역사 연구자들에게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100] 요르단 역사가 술레이만 무사아라비아의 로렌스에 대해 아랍 관점에서 쓴 유일한 저자였다. 무사는 로렌스를 칭송하는 많은 책들이 쓰여졌으며, 이들 모두가 아랍 반란에서 그의 역할을 과장하고 아랍인 자신들에게 공정하게 평가하지 못했다고 언급했다.[101] 시리아 작가 한나 미나악의 축 문학에서 시리아에서 가장 저명한 작가로 묘사되었다.[102]

미디어

[편집]

기독교인들은 텔레 뤼미에르, 아가피 TV, CTV, 그리고 1995년에 설립된 기독교 방송 네트워크인 SAT-7와 같은 다양한 신문, 라디오 방송국, 텔레비전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아랍어 사용 기독교 미디어를 개발했다. SAT-7은 주로 북아프리카와 중동의 아랍계 기독교인들을 대상으로 한다.[103] 이러한 미디어 네트워크는 수십 편의 아랍어 기독교 영화, 음악 작품, 라디오 및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제작한다.[103]

시리아-레바논계 멜키트 교인 살림 타클라와 그의 형제 베샤라는 1875년 알렉산드리아에서 알아흐람 신문을 창간했다. 이 신문은 현재 이집트에서 가장 많이 발행되는 일간지이다.[104] 마찬가지로 레바논 개신교인 파리스 님르는 1888년에 알 무카탐을 공동 창간했는데, 이는 1954년까지 발행된 카이로 기반의 주요 신문이었다. 팔레스타인에서는 나지브 나사르의 신문 알 카르밀이 최초의 반시온주의 주간 신문이었다. 이 신문은 1908년 하이파에서 발행되었고 1940년대에 영국 위임통치령 팔레스타인에 의해 폐간되었다.[105] 마찬가지로 야파 출신의 아랍 정교회 알 이사 가문은 1911년에 팔라스타인 (신문)을 창간했다. 이 신문은 초기 시온주의 운동에 대한 팔레스타인에서 가장 일관된 비평가였다. 레바논에서는 영향력 있는 그리스 정교회 투에니 가문이 1933년에 안 나하르 신문을 창간했으며, 이 신문은 오늘날에도 주요 신문 중 하나이다.[106][107] 셰린 아부 아클레아랍어 채널 알자지라의 기자로 25년간 활동했다.

인기 레바논 가수 파이루즈는 전 세계적으로 1억 5천만 장 이상의 음반을 판매하여 역대 중동 최고 판매 아티스트가 되었다.[108] 다른 레바논 가수로는 마지다 엘 루미, 전설적인 포크 베테랑 와디 엘 사피, 그리고 "아랍 팝의 여왕" 낸시 아즈람이 있다.[109][110] 시리아의 유명인으로는 조지 와수프나시프 제이툰이 있다.[111][112] 팔레스타인 출신으로는 리나 마흐쿨, 파디 안드라우스, 그리고 이스라엘 가수 미라 아와드가 있다.[113][114]

아랍 디아스포라

[편집]

수백만 명의 사람들이 아랍계 기독교인의 후손이며, 이들은 아랍 디아스포라로서 중동 외부에 살고 있다. 그들은 주로 아메리카에 거주하지만, 많은 아랍계 기독교인 후손들이 유럽, 아프리카, 오세아니아에도 거주한다. 그 중 100만 명의 팔레스타인 기독교인들이 팔레스타인 디아스포라에 살고 있으며, 600만-700만 명의 브라질인들이 레바논계 조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115] 대규모 아랍 이민은 1890년대에 오스만 제국 해체로 인한 정치적, 경제적 불안정으로 인해 레바논인과 시리아인들이 도피하면서 시작되었다. 이 초기 이민자들은 시리아-레바논인, 레바논인, 팔레스타인인, 또는 튀르키예인으로 알려졌다.[116] 2000년 미국 인구 조사에 따르면, 2000년 미국에는 최소 350만 명의 아랍인이 거주하고 있었으며, 이들 중 약 40%가 레바논 출신이었다.[117] 이들 중 대다수는 기독교 신앙을 가지고 있으며, 전체 아랍계 미국인 인구의 63%를 차지한다.[117][118]

아랍계 기독교인의 대량 이민을 초래한 역사적 사건에는 1860년 레바논산 및 다마스쿠스 내전, 1915–1918년 레바논산 대기근, 1948년 팔레스타인 탈출, 1956–57년 이집트 이주 및 추방, 레바논 내전, 이라크 전쟁 등이 있다.[119][120]

마흐자르에서의 역할

[편집]
1920년 펜 리그의 저명한 네 회원들의 사진 (왼쪽부터 오른쪽으로): 나시브 아리다, 칼릴 지브란, 압드 알 마시흐 하다드, 미하일 나이미

마흐자르 (더 문자적인 의미 중 하나는 "아랍 디아스포라")는 알나흐다 운동을 계승한 문학 운동이었다. 20세기 초 레바논, 시리아, 팔레스타인에서 미국으로 이민 온 기독교 아랍어 사용 작가들이 시작했다.[121] 마흐자르 운동의 작가들은 서구 세계와의 개인적인 만남에서 영감을 받아 아랍 문학의 갱신에 참여했으며, 따라서 그들의 주창자들은 "후기 알나흐다"의 작가들로 불렸다.[122]

펜 리그나시브 아리다압드 알 마시흐 하다드가 시리아인에 의해 처음 결성된 북미 최초의 아랍어 문학 사회였다. 펜 리그 회원으로는 칼릴 지브란, 엘리아 아부 마디, 미하일 나이미, 아민 리하니 등이 있었다.[123] 회원 10명 중 8명은 안티오키아 그리스 정교회 신자였고 2명은 마론파 기독교인이었다.[124] 리그는 1931년 지브란의 사망과 1932년 미하일 나이미레바논 귀환 이후 해체되었다.[125] 나이미는 그의 영적 저술, 특히 미르다드의 책으로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

저명한 아랍계 기독교인

[편집]

저명한 디아스포라 인물로는 스위스인 사업가이자 레바논 그리스 정교회 후손인 니콜라스 하이에크멕시코인 사업 거물이자 마론파 후손인 카를로스 슬림이 있다. 2010년부터 2013년까지 슬림은 포브스 지에서 세계에서 가장 부유한 인물로 선정되었다.[126] 연예인으로는 배우 오마르 샤리프 (멜키트 태생), 제이미 파르, 살마 아예크, 토니 샬호브, 빈스 본, 대니 토머스, 아카데미상 수상자 F. 머리 에이브러햄과 영화 감독 유세프 샤힌이 있다. 학계 인물로는 식물 생물학자 조안 코리, 학자 나심 니컬러스 탈레브,[127] 심장 및 혈관 외과 의사 마이클 더베이키,[128] 아이팟 발명가이자 아이폰 공동 발명가 토니 퍼델,[129] 수학자 마이클 아티야,[130] 교수 찰스 엘라치, 지식인 에드워드 사이드, 그리고 노벨 화학상 수상자 일라이어스 제임스 코리[131]노벨 생리학·의학상 수상자 피터 메더워가 있다.[132][133] 다른 저명인사로는 백악관 기자 헬렌 토머스, 운동가이자 대통령 후보 랠프 네이더, 판사 로즈마리 바르켓,[134] 그리고 미국 주지사이자 학술 행정가 미치 대니얼스가 있다.

정체성

[편집]

교파

[편집]

아랍계 기독교인들은 주로 예루살렘 그리스 정교회, 안티오키아 그리스 정교회, 멜키트 그리스 가톨릭교회, 마론파, 그리고 오리엔트 정교회에 속하지만, 일부는 가톨릭 라틴 교회와 루터교, 성공회, 개혁 교단 등 다른 개신교회에도 속한다.[135] 일부 교파는 아랍인과 다른 민족 등 두 개 이상의 민족 구성원을 포함하여 혼합되어 있다.

아랍 세계에 기반을 둔 교회 목록 (신자들의 자기 확인 포함)
교파 성사 회원 수 회원들이 주로 아랍 정체성을 표방하는가? 주장되는 다른 정체성 본부 전례 언어 지역
알렉산드리아 콥트 정교회 오리엔트 정교회 1,000만 명[a] 혼합[141] 콥트인, 파라오주의 포함[142] 고대: 알렉산드리아

현대: 이집트 카이로 성 마르코 콥트 정교회 대성당[143]

콥트어, 아랍어[142] 이집트[142]
마론파 로마 가톨릭교회 350만 명[144] 혼합[145] 마론파, 페니키아주의[146]아람인[147] 고대: 안티오키아

현대: 브케르케, 레바논[148]

아랍어, 시리아어[149] 레바논 (약 3분의 1), 시리아, 이스라엘, 키프로스, 요르단[150]
안티오키아 그리스 정교회 동방 정교회 250만 명[151] [152] 그리스인동로마인[153] 고대: 안티오키아

현대: 시리아 다마스쿠스 마리암 대성당[154]

아랍어, 그리스어[155] 시리아, 레바논, 튀르키예, 요르단, 팔레스타인, 이스라엘, 이라크[156]
시리아 정교회 오리엔트 정교회 170만 명[157][158] 아니요[159][160][161] 아시리아인아람인[162] 고대: 안티오키아

현대: 시리아 다마스쿠스 성 조지 대성당[163]; (역사적으로 투르 아브딘의 모르 하나뇨 수도원)

시리아어[164] 시리아, 레바논, 요르단, 이라크, 튀르키예[164]
멜키트 그리스 가톨릭교회 로마 가톨릭교회 160만 명[144] 혼합[165][166] 그리스인동로마인[153] 고대: 안티오키아

현대: 시리아 다마스쿠스 성모 승천 대성당[167]

아랍어, 그리스어[168] 이집트, 팔레스타인, 이스라엘, 요르단, 레바논, 수단, 시리아, 이라크[169]
칼데아 가톨릭교회 로마 가톨릭교회 60만 명[144] 혼합[170][171] 칼데아인, 아시리아인, 아랍인[170] 고대: 셀레우키아-크테시폰

현대: 이라크 바그다드 성모 마리아 애통 대성당[172]

시리아어,[173] 아랍어 이라크, 이란, 튀르키예, 시리아[174]
알렉산드리아 그리스 정교회 동방 정교회 50만 – 290만 명[175][176] 혼합[177] 그리스인동로마인[177] 고대: 알렉산드리아

현대: 이집트 알렉산드리아 복음주의 대성당[178]

아랍어, 그리스어[178] 아프리카[179]
아시리아 동방교회 동방교회 50만 명[180] 아니요[181] 네스토리우스파, 아시리아인아람인[181] 고대: 셀레우키아-크테시폰

현대: 이라크 아르빌 안카와[182]

시리아어[182] 이라크, 이란, 시리아[182]
시리아 가톨릭교회 로마 가톨릭교회 20만 명[144] 혼합[183] 아시리아인[183] 또는 아람인 고대: 안티오키아

현대: 시리아 다마스쿠스 성 바울 시리아 가톨릭 대성당[184]

시리아어 레바논, 시리아, 이라크, 튀르키예[185]
콥트 가톨릭교회 로마 가톨릭교회 20만 명[144] 혼합[141] 콥트인, 파라오주의 포함[142] 고대: 알렉산드리아

현대: 이집트 카이로 이집트 성모 대성당[186]

콥트어, 아랍어 이집트[186]
예루살렘 그리스 정교회 동방 정교회 20만 명[187] [188] 아랍인[188] 고대: 예루살렘

현대: 예루살렘 성묘교회[189]

아랍어, 그리스어[190] 팔레스타인, 이스라엘, 요르단[191]
동방 고대교회 동방교회 10만 명[192] 아니요[193] 네스토리우스파, 아시리아인[193] 고대: 셀레우키아-크테시폰

현대: 이라크 바그다드

시리아어 이라크

자기 확인

[편집]
중동 기독교 교파의 주요 분열

아랍 세계의 특정 기독교 공동체와 관련하여 자기 정체성 문제가 발생한다. 마론파의 상당수는 페니키아인의 후손이라고 주장하며, 콥트인의 상당수는 고대 이집트인의 후손이라고 주장한다.[10][194]

아랍

[편집]

그리스 정교회와 멜키트 그리스 가톨릭교회에서 "그리스"라는 명칭은 코이네 그리스어전례에서 사용되는 것을 의미하며, 오늘날에는 아랍어와 함께 사용된다. 결과적으로 그리스인이 지배하는 성직자들은 아랍어를 사용하는 기독교인들, 즉 그리스어를 할 수 없는 대다수의 사람들에게 흔히 봉사했다. 일부는 그리스인의 통치를 문화적 제국주의로 보았고, 그리스의 통제로부터 해방을 요구했으며, 의사 결정 과정에 아랍인들을 포함시켜 기관의 중앙집중화된 구조를 폐지할 것을 요구했다.[195]

제말 파샤는 시리아와 레바논(오스만령 시리아)에서 반오스만 견해를 옹호한 아랍 민족주의자들(대부분 기독교인)을 공개 처형했다.

그리스 성직자 헤게모니에 대한 동방 정교회의 아랍화 투쟁은 정교회 기독교 지식인들이 교회의 그리스인 중심 계층에 반란을 일으키도록 이끌었다. 이 반란은 유럽의 침입에 대항하는 공동 오스만 대의를 추구하는 자들과 범튀르키예주의(오스만) 민족주의에 대항하는 아랍 민족주의를 지지하는 자들로 나뉘었다.[196] 주요 옹호자들은 야쿠브 파라즈, 칼릴 알사카키니, 유수프 알반다크 (사우트 알샤브 발행인), 그리고 사촌인 유세프 엘 이사이사 엘 이사 (팔라스타인 창립자)와 같은 팔레스타인의 잘 알려진 공동체 지도자들과 작가들이었다. 이 사촌들은 예루살렘 그리스 정교회의 그리스 성직자 헤게모니에 대한 아랍의 투쟁을 처음으로 명확히 설명한 사람들 중 한 명이었다. 사카키니와 엘 이사 모두 팔레스타인 및 시리아 (안티오키아 그리스 정교회) 공동체가 소수 그리스 성직자들에 의해 통제되고 조작되는 억압받는 다수를 구성한다고 주장했다.[197]

위임통치령 이후 예루살렘 교회 내 아랍인과 그리스인 지도부 사이에는 수많은 분쟁이 있었다.[198][199] 요르단은 1948년부터 1967년까지 서안 지구가 요르단 통치 하에 있을 때 그리스인들이 형제회를 아랍인 공동체 구성원들에게 개방하도록 장려했다.[198] 1967년 이후 토지 및 정치적 분쟁이 흔했는데, 그리스인 사제들은 이스라엘의 협력자로 묘사되었다. 토지 분쟁에는 기독교인 거주지 내 성 요한 재산 매각, 마르 엘리아스 수도원 근처 50 두남의 이전, 그리고 성묘교회 근처 오마르 빈 알카타브 광장의 호텔 두 채와 상점 27개 매각이 포함된다.[198]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와 그리스 총대주교 이레나이오스 사이의 분쟁은 이 총대주교가 이스라엘과의 부동산 거래 혐의로 해임 및 강등되는 결과를 낳았다. 이는 나중에 바르톨로메오 총대주교에 의해 비정경적이라고 판결되었다.[200]

[편집]
기독교인의 고향인 동방 교구의 서기 400년 지도; 현대 레바논, 시리아, 튀르키예,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요르단을 보여준다.

안티오키아 그리스 기독교인의 고향인 동방 교구는 로마 제국의 주요 상업, 농업, 종교, 지적 지역 중 하나였으며, 페르시아 사산 제국을 마주보는 전략적 위치는 특별한 군사적 중요성을 부여했다.[201] 이들은 안티오키아 그리스 정교회 또는 멜키트 그리스 가톨릭교회의 일원이며, 레반트에 고대 뿌리를 두고 있다. 특히 시리아, 레바논, 요르단, 하타이주 (고대 안티오키아 시 포함) 지역에 집중되어 있다. 안티오키아 그리스인들은 다국적 인구 집단을 구성하며 특정 역사적 순간과 관련하여 자신들의 정체성을 구축한다. 문화적 정체성을 의식적인 구성으로 분석하는 것이 단순히 민족성을 분류하는 것보다 더 유용하며, 따라서 이 정체성은 레반트의 기독교 (문자적으로 "동로마인")에게 고유한 별개의 기원을 강조하는 것으로 가정된다.[202] 공동체의 일부 구성원은 자신들을 "군주주의자" 또는 "황제 지지자"를 의미하는 멜키트라고도 부르는데 (과거 마케도니아 및 로마 제국 제국주의 통치에 대한 충성을 언급), 현대에는 이 용어가 멜키트 그리스 가톨릭교회 신자들에게 더 흔히 사용되는 경향이 있다.[203]

정교회 기독교 공동체는 오스만 제국 시대에 민족-종교 공동체인 룸 밀레트("로마 민족")에 포함되었다. 그 이름은 오스만 제국의 이전 동로마 (비잔틴) 신민에서 유래했지만, 모든 정교회 그리스인, 불가리아인, 알바니아인, 아로마니아인, 메글레노-로마니아인세르브인, 그리고 조지아인중동의 기독교인은 민족적 및 언어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밀레트의 일부로 간주되었다. 이 정교회 공동체에 속하는 것은 일반 사람들에게 민족적 기원보다 더 중요해졌다.[204]

칼데아

[편집]
모셀의 지도, 제1차 세계 대전 이전의 영국 중동 민족지학 지도에서 "네스토리우스파"(6), "칼데아인"(7), "야고보파"(8)를 보여준다.

칼데아 교회 전 총대주교 임마누엘 3세 델리는 2006년 인터뷰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자신을 아시리아인이라고 부르는 칼데아인은 배신자이며, 자신을 칼데아인이라고 부르는 아시리아인은 배신자이다."[205]

1552-3년까지 네스토리우스 교회 또는 동방교회의 일부였던 칼데아 교회는 이제 '야만적인 아시리아인'으로 여겨지는 네스토리우스파로부터 진정으로 멀어지기 시작했다. 이 기간 동안 많은 칼데아인들은 자신들을 아시리아 공동체 전체와 함께하기보다는 종교 공동체, 그리고 나중에는 이라크인, 이라크 기독교인 또는 아랍계 기독교인으로만 식별하기 시작했다. 두 집단의 첫 분열은 431년에 신학적 분쟁으로 로마 가톨릭교회가 될 것으로부터 분리되면서 발생했다.[206] 이러한 공동체들 사이의 종교적 적대감의 반향은 오늘날에도 계속되고 있으며, 이는 중동의 국가 건설에서 권력 정치의 책략을 증명한다.[207] 이라크 칼데아인들은 자신들을 아랍 이라크 국가 내의 종교 집단으로 의도적으로 자리매김했다. 국가의 아랍 정체성은 그들에게 받아들여졌을 뿐만 아니라, 강력하게 지지되기도 했다. 그들이 지지한 아랍 민족주의는 종교에 따라 차별하지 않았으므로 그들에게도 받아들여졌다.[193] 오늘날 강제적 아랍화와 수용된 아랍화로 인해 많은 칼데아인들은 자신들을 상황에 따라 아랍인으로 식별한다.[207]

아시리아인들은 이라크, 시리아 북동부, 튀르키예 남동부, 이란 북서부의 기독교인 대다수를 형성한다. 이들은 이라크, 레바논, 이란, 시리아, 이스라엘, 튀르키예 정부를 포함하여 비아랍 원주민 민족 집단으로 특별히 정의된다.[208]

문화

[편집]
베들레헴의 그리스 정교회 크리스마스 행진

중동의 기독교는 이 지역의 다양한 문화적 모자이크의 큰 부분을 차지한다.[209] 이 지역에는 2세기부터 이 지역 전역으로 퍼진 전례와 찬가 외에도 가장 오래된 기독교 기념물이 있다.[210] 아랍어로 된 성경 번역본은 레반트, 이집트, 메소포타미아, 몰타, 마그레브, 알안달루스의 초기 기독교 교회에서 알려져 있다. 기독교인들은 아랍어로 된 성경의 일부를 포함하는 수백 권의 필사본을 제작했다.[211] 아랍계 기독교인들은 십자가의 축일, 바르바라 축일, 크리스마스, 성 조지 축일, 예언자 엘리야 축일 등 다양한 성스러운 날을 기념한다. 기독교 전통에서 성 세르기우스와 바쿠스는 아랍인들의 수호성인으로 여겨진다.[212]

아랍계 기독교인과 일반적인 아랍 환경 사이에 주요 문화적 차이는 없다.[213] 일부 차이는 종교적 차이에서 비롯되는데, 예를 들어 결혼이나 장례와 관련된 관습과 전통이 그렇다. 또한, 참가자들이 기독교인인 사교 행사에서는 주류가 종종 제공되는데 (금주를 장려하는 교파는 제외), 이는 이슬람 법이 독주를 금지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아랍 사회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과 다르다.[214] 기독교 요리는 다른 중동 요리와 유사하다. 이 지역의 유대 요리이슬람 요리와 달리 아랍계 기독교인 사이에서는 돼지고기가 허용되지만, 널리 소비되지는 않는다. 남자 할례는 아랍계 기독교인 사이에서 거의 보편적이며,[215][216] 통과 의례의 일환으로 출생 직후에 행해지지만,[217] 신약성경에서는 할례 관행이 사라졌으므로 주류 교회는 신자들에게 이를 강요하지 않는다.[218] 콥트 기독교와 같은 일부 동방 기독교 교파에서는[219] 남자 할례가 확립된 관행이며, 남성 신자들에게 통과 의례의 일환으로 출생 직후 할례를 받도록 요구한다.[220][221]

인구 통계

[편집]
아랍계 기독교인이 다수를 이루는 지역

아랍계 기독교 공동체는 아랍 세계 전역에서 발견된다.

알제리

[편집]
카빌인 알제리 기독교인

기독교는 로마 제국 시대에 알제리에 전파되었으며, 7세기에 이슬람이 도래한 후 쇠퇴했다. 알제리의 주목할 만한 베르베르 기독교인으로는 아우구스티누스 성인과 그의 어머니 성녀 모니카가 있으며, 이들은 기독교에서 중요한 성인들이다. 1962년 알제리 독립 이전, 알제리는 140만 명의 피에누아르 (대부분 가톨릭 신자인 유럽계 민족)의 고향이었다.[222] 1960년대 피에누아르의 대량 탈출로 인해 북아프리카보다 프랑스에 더 많은 마그레브 기독교인들이 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2009년 알제리의 기독교인 비율은 2% 미만이었다. 같은 조사에서 유엔은 국내에 10만 명의 가톨릭 신자와 4만 5천 명의 개신교 신자가 있다고 집계했다.[223] 2015년 연구에서는 38만 명의 무슬림이 기독교로 개종한 것으로 추정한다.[224] 개종은 카빌리 지역에서 가장 흔했다.[225] 샤를 드 푸코는 아랍인들을 포함한 무슬림들 사이에서 알제리에서의 선교 활동으로 유명했다.

바레인

[편집]

바레인 시민권을 가진 토착 기독교인은 약 1,000명이다.[226] 대부분의 기독교인은 원래 이라크, 팔레스타인, 요르단 출신이며, 소수의 기독교인은 수세기 동안 바레인에 살았고, 대다수는 100년 미만 동안 바레인 시민으로 살았다. 또한 레바논, 시리아, 인도 출신의 토착 기독교인도 소수 있다. 대부분의 기독교 바레인 시민은 정교회 기독교인인 경향이 있으며, 회원이 가장 많은 교회는 그리스 정교회이다. 그들은 많은 동등한 종교적, 사회적 자유를 누린다. 바레인 정부에는 기독교인 구성원도 있다.

이집트

[편집]
타흐리르 광장에서 기도하는 콥트인

이집트콥트인들은 중동에서 가장 큰 기독교 공동체를 구성하며, 이 지역에서 가장 큰 종교적 소수민족으로, 이집트 인구의 약 10%를 차지한다.[227]

고대부터 이집트에는 항상 레반트인의 존재가 있었지만, 18세기 초부터 이집트에서 독특한 소수 민족이 되기 시작했다. 이집트의 시리아-레바논 기독교인들유럽 문화에 크게 영향을 받아 이집트 전역에 교회, 인쇄소, 사업체를 설립했다. 그들의 총 재산은 20세기 말 이집트 GDP의 10%인 15억 프랑으로 추산되었다. 그들은 나세르 개혁 이전에 모든 시민의 법적 평등을 확립하고 시리아-레바논 기독교인들에게 완전한 시민권을 부여한 이집트 헌법을 활용했다.[228][229]

이라크

[편집]
바그다드아시리아인 기독교인들

이라크의 아랍계 기독교 공동체는 상대적으로 작으며, 이라크 전쟁으로 인해 수십만 명으로 더욱 감소했다. 이라크의 대부분 아랍계 기독교인들은 전통적으로 그리스 정교회와 가톨릭 교회에 속하며, 바그다드, 바스라, 모술과 같은 주요 도시에 집중되어 있다. 남아있는 45만~90만 명의 이라크 기독교인 대다수는 아시리아인이다.[230]

2014년부터 IS가 점령한 모술 및 기타 지역에서 이라크 기독교인에 대한 상당한 박해가 발생했으며, 기독교인 가옥은 ""으로, 즉 "나스라니"(기독교인)를 의미하는 표시가 붙었다.[231]

이스라엘

[편집]

2009년 12월, 이스라엘의 아랍계 시민으로서 아랍계 기독교인 12만 2천 명이 이스라엘에 거주하고 있었으며, 이는 총 15만 1천 7백 명의 기독교인 시민 중 일부이다.[232] 이스라엘 이스라엘 중앙통계국에 따르면, 2013년 크리스마스 전야에 이스라엘에는 약 16만 1천 명의 기독교인이 있었으며, 이는 이스라엘 전체 인구의 약 2%에 해당한다. 기독교인의 80%는 아랍인이며[233] 소규모 러시아인, 우크라이나인, 그리스인, 아르메니아인, 아시리아인 기독교 공동체도 있다.[234] 2014년 현재 멜키트 그리스 가톨릭교회는 이스라엘에서 가장 큰 기독교 공동체로, 이스라엘의 기독교인의 약 60%가 멜키트 그리스 가톨릭교회에 속해 있으며,[235] 약 30%의 이스라엘 기독교인들은 예루살렘 그리스 정교회에 속해 있다.[235] 이스라엘의 기독교 공동체는 수많은 학교, 대학, 병원, 진료소, 고아원, 양로원, 기숙사, 가족 및 청소년 센터, 호텔, 게스트하우스를 운영한다.[236]

로드 (도시) 시의 성 조지 교회에서 성찬예배를 드리는 기독교인들

나사렛 시는 이스라엘에서 가장 큰 아랍계 기독교 공동체를 가지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 하이파, 예루살렘, 셰파암르 시가 뒤를 잇는다.[237][238] 나사렛과 하이파의 기독교 아랍 공동체는 이스라엘 다른 지역의 아랍인들보다 부유하고 교육 수준이 높은 경향이 있다.[239][240] 기독교인들은 갈릴래아의 여러 다른 마을에 단독으로 또는 무슬림드루즈와 섞여 살고 있으며, 예를 들어 아부 스난, 아라바, 비나, 달리얏 알 카르멜, 데이르 한나, 아일라분, 후르페이시, 이빌린, 지시, 카프르 칸나, 카프르 야시프, 키스라 수메이, 마그하르, 마즈라아, 무케이블레, 페키인, 라메, 라스 알 아인, 레네, 사크닌, 셰파암르, 투르안, 야파 안 나세리예 등 다른 지역에도 아랍계 기독교 공동체가 존재하며, 특히 예루살렘텔아비브-야파, 라믈라, 로드 (도시), 아크레 (이스라엘), 노프하갈릴, 마알롯 타르시하와 같은 혼합 도시에서도 볼 수 있다.[241] 파수타미일리아 주민 모두가 멜키트 그리스 가톨릭교회 팔레스타인 기독교인이라고 보고된다.[242]

갈릴래아의 아랍계 기독교 결혼식

아랍계 기독교인들은 이스라엘에서 가장 교육 수준이 높은 집단 중 하나이다. 마리브는 기독교 아랍 부문을 "교육 시스템에서 가장 성공적인" 집단으로 묘사했다.[243] 통계적으로 이스라엘의 아랍계 기독교인들은 모든 종교 공동체 중에서 가장 높은 학력 수준을 가지고 있다. 2010년 이스라엘 중앙통계국 데이터에 따르면, 이스라엘 아랍계 기독교인의 63%가 대학 또는 대학원 교육을 받았는데, 이는 모든 종교 및 민족 종교 집단 중 가장 높은 수치이다.[244] 기독교 아랍인들은 또한 2016년 졸업 시험에서 1인당 합격률이 가장 높은 집단 중 하나였으며 (73.9%), 무슬림, 드루즈, 유대인 및 이스라엘 교육 시스템의 모든 학생 집단과 비교해도 그러했다. 아랍계 기독교인들은 고등 교육 자격 면에서도 선두에 있었다.[245][246][247] 그들은 유대인, 무슬림, 드루즈보다 1인당 학사학위를 더 많이 취득했다.[245] 의학 분야에서 공부하는 학생들의 비율도 다른 분야의 모든 학생들과 비교했을 때 기독교 아랍 학생들 사이에서 더 높았다. 아랍계 기독교인들이 이스라엘 전체 인구의 2.1%만을 차지함에도 불구하고,[248] 2014년에는 국가 대학생의 17.0%, 전문대 학생의 14.4%를 차지했다.[249] 사회경제적으로 아랍계 기독교인들은 무슬림 인구보다 유대인 인구에 더 가깝다.[250] 그들은 빈곤 발생률이 가장 낮고 실업률도 유대인 남녀의 6.5%에 비해 4.9%로 가장 낮다.[251] 그들은 또한 이스라엘의 아랍계 시민 중에서 가장 높은 가구 소득 중간값을 가지며, 이스라엘의 민족 종교 집단 중 두 번째로 높은 가구 소득 중간값을 가진다.[252] 연구에 따르면 이스라엘 기독교인의 대다수(68.2%)는 은행, 보험 회사, 학교, 관광, 병원 등 서비스 부문에 고용되어 있다.[236] 이스라엘의 아랍계 기독교인들 중 일부는 범아랍주의를 강조하는 반면, 소수는 이스라엘 방위군에 입대한다.[253][254]

요르단

[편집]
요르단 기독교인의 소수는 민족적으로 베두인족이다. 이 사진은 마다바 시의 아랍계 기독교 부족원들을 보여준다.

요르단에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기독교 공동체가 있으며, 그 존재는 서기 1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오늘날 기독교인은 인구의 약 4%를 차지하며, 1930년에는 20%였다.[255] 이는 요르단으로의 무슬림 이민율 증가, 서구로의 기독교인 이민율 증가, 무슬림의 더 높은 출생률 때문이다.[256] 요르단의 기독교인들은 요르단 사회에 예외적으로 잘 통합되어 있으며 높은 수준의 자유를 누린다.[257] 기독교인들은 요르단 의회의 총 130석 중 9석을 할당받고 있으며, 중요한 장관직, 대사 임명, 고위 군사직도 맡고 있다. 모든 기독교 종교 의식은 요르단에서 공개적으로 기념된다.[258]

2014년 정교회 추정에 따르면 요르단 아랍계 기독교인(일부는 1948년부터 팔레스타인 혈통을 가짐)은 약 22만 1천 명이다. 이 연구는 소수 기독교 집단과 요르단에 거주하는 수천 명의 서양, 이라크 및 시리아 기독교인들을 제외했다.[259] 다른 추정치에 따르면 정교회 신자는 12만 5천~30만 명, 가톨릭 신자는 11만 4천 명, 개신교 신자는 3만 명으로 총 27만~45만 명이다. 요르단의 대부분의 토착 기독교인들은 자신들을 아랍인으로 식별하지만, 이 나라에는 상당한 수의 아시리아인과 아르메니아인 인구도 있다. IS를 피해 이라크 모술 출신 난민 약 7천 명[260]과 시리아 출신 난민 2만 명이 유입되기도 했다.[261] 요르단의 압둘라 2세 국왕은 아랍계 기독교인에 대해 다음과 같은 단호한 성명을 발표했다.[262]

"다시 한번 말씀드립니다: 아랍계 기독교인들은 제 지역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의 필수적인 부분입니다."

쿠웨이트

[편집]

쿠웨이트의 토착 기독교 인구는 존재하지만 본질적으로 소수이다. 기독교인 쿠웨이트 시민은 259명에서 400명 사이이다.[263] 기독교인 쿠웨이트인들은 두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 그룹은 이라크튀르키예에서 유래한 초기 쿠웨이트 기독교인들을 포함한다.[264] 이들은 무슬림 동포들과 마찬가지로 쿠웨이트 사회에 동화되어 있으며, 쿠웨이트 아랍어 방언으로 아랍어를 구사하는 경향이 있다. 그들의 음식문화도 주로 쿠웨이트적이다. 이들은 쿠웨이트 기독교인 인구의 약 4분의 1을 차지한다. 나머지 (약 4분의 3) 기독교 쿠웨이트인들은 두 번째 그룹을 이룬다. 이들은 1950년대와 1960년대에 더 최근에 도착한 이민자들로, 대부분 1948년 이후 팔레스타인에서 추방된 팔레스타인계 쿠웨이트인들이다.[264] 또한 시리아레바논 출신인 소수도 있다.[264] 이 두 번째 그룹은 첫 번째 그룹만큼 동화되지 않았으며, 그들의 음식, 문화, 그리고 레반트 아랍어 방언은 여전히 레반트의 느낌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은 첫 번째 그룹만큼 애국심이 강하며, 채택한 조국에 대해 자부심을 가지고 있으며, 많은 이들이 군대, 경찰, 공공 및 외교 서비스에 복무하고 있다. 쿠웨이트 시민 기독교인 대부분은 12개의 대가족에 속하며, 샴마스 (튀르키예 출신)와 슈하이바르 (팔레스타인 출신) 가족이 가장 저명한 일부이다.[264]

레바논

[편집]
왼쪽부터: 자흘레 출신의 기독교 산악 주민, 즈가르타 지역 출신의 기독교 산악 주민, 그리고 드루즈인 (1873)

레바논은 아랍 세계에서 비례적으로 가장 많은 기독교인을 보유하고 있으며, 절대적인 수로는 이집트에 이어 두 번째이다. 레바논의 기독교인 중 약 35만~45만 명은 정교회 및 멜키트 교인이며, 가장 지배적인 집단은 약 100만 명의 인구를 가진 마론파인데, 이들의 아랍 정체성은 논쟁의 여지가 있다.[265] 레바논 기독교인들은 중동에서 국가 정치에 상당한 역할을 하는 유일한 기독교인들이다. 국민 협약에 따라 레바논의 대통령은 마론파 기독교인이어야 하고, 의회 부의장부총리는 그리스 정교회 기독교인이어야 하며, 멜키트 교인과 개신교인들은 레바논 의회에서 9석을 할당받는다.[266] 마론파드루즈는 18세기 초 레바논산 무타사리파트에서 "마론파-드루즈 이원론"으로 알려진 통치 및 사회 시스템을 통해 현대 레바논을 건국했다.[267]

1932년에는 기독교인들이 레바논 인구의 60%를 차지했다.[268] 현대 레바논의 기독교인 정확한 수는 1932년 이후 공식적인 인구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아 불확실하다. 레바논 기독교인들은 주로 마론파그리스 정교회에 속하며, 멜키트 그리스 가톨릭교회와 아르메니아 사도교회에 속하는 상당수의 소수 민족도 있다. 레바논의 아르메니아인 공동체는 정치적으로나 인구학적으로 중요하다.

리비아

[편집]

기독교는 로마 시대리비아트리폴리타니아키레나이카에 존재했다. 리비아의 콥트 인구는 6만 명으로 추정된다.[269] 2015년 추정치에 따르면 이 나라에는 무슬림 배경을 가진 기독교 신자가 약 1,500명 거주하고 있다.[270]

모로코

[편집]

모로코기독교로마 제국 시대에 로마 마우레타니아 팅기타나의 기독교 베르베르인들에 의해 실천되었지만, 이슬람 정복 이후 사라졌다.[271] 모로코 독립 이전에 모로코는 50만 명의 기독교 유럽계 모로코인 (대부분 스페인 및 프랑스 혈통)의 고향이었다.[272][273] 미국 국무부는 모로코의 아랍 및 베르베르 기독교인 수를 4만 명 이상으로 추정한다.[274] 퓨 템플턴은 모로코 기독교인 수를 2만 명으로 추정한다.[275] 기독교로 개종한 모로코인 (대부분 비밀 신자들)의 수는[276] 8천 명에서 5만 명 사이로 추정된다.[277]

오만

[편집]

팔레스타인

[편집]
혼인한 동방 정교회 사제와 그의 가족(3대), 예루살렘, 1893년경

대부분의 팔레스타인 기독교인들은 최초의 기독교 개종자들, 즉 이 지역에 정착한 아람인, 가산족 아랍인, 그리스인들의 후손이라고 주장한다. 팔레스타인에는 3만 6천 명에서 5만 명의 기독교인들이 살고 있으며, 대부분 정교회 (그리스, 시리아, 아르메니아 정교회 포함), 가톨릭 (로마 가톨릭 및 멜키트 가톨릭) 교회, 그리고 복음주의 공동체에 속한다. 팔레스타인 기독교인의 대다수는 베들레헴라말라 지역에 거주하며, 다른 지역에는 더 적은 수의 기독교인이 있다.[278] 2007년, 하마스가 가자를 장악하기 직전에는 가자 지구에 3,200명의 기독교인이 살고 있었다.[279] 2007년 하마스 장악 이후 가자 지구 기독교 공동체의 절반이 서안 지구와 해외로 도피했다.[280] 그러나 가자 지구의 팔레스타인 기독교인들은 이스라엘 봉쇄로 인해 이동의 자유에 제한을 받고 있으며, 이는 그들의 수가 줄어드는 이유 중 하나로 언급되었다.[281]

가자 지구의 기독교인들

많은 팔레스타인 기독교인들이 팔레스타인 사회에서 고위직을 맡고 있으며, 특히 정치 및 사회 수준에서 그러하다. 그들은 고등 학교, 대학교, 문화 센터 및 병원을 운영하지만,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와 가자 지구의 기독교 공동체는 지난 20년 동안 크게 감소했다. 팔레스타인 기독교인 이탈의 원인은 널리 논의되고 있으며, 이는 오스만 시대부터 시작되었다.[282] 로이터에 따르면 많은 팔레스타인 기독교인이 더 나은 생활 수준을 찾아 이주한다.[278] 바티칸 시국은 이스라엘의 점령과 거룩한 땅의 전반적인 분쟁이 해당 지역에서 기독교인들이 이탈하는 주요 원인이라고 보았다.[283] 팔레스타인 기독교 공동체의 감소는 무슬림이 지배하는 중동에서 기독교인들이 이주하는 추세와 일치한다. 일부 교회는 젊은 기독교인을 위한 보조 주택을 건설하고 직업 훈련 노력을 확대하여 젊은 기독교인의 이주율을 개선하려고 시도했다.[284]

사우디아라비아

[편집]

주바일 교회주바일 근처에 있는 4세기 교회 건물이다.[285] 현대 사우디아라비아의 일부 지역, 예를 들어 나지란은 7세기에서 10세기까지 기독교가 지배적이었다. 이 시기에 대부분의 기독교인들은 추방되거나, 이슬람으로 개종하거나, 이미 상업 교역이 이루어지고 있던 아시아로 향하는 해상 경로를 통해 지역을 떠났고, 다른 이들은 북쪽으로 요르단과 시리아로 이주했다.[286] 일부 아랍계 기독교인들은 비밀 기독교인으로 남아 살았다. 바누 타글립바누 타밈과 같은 일부 아라비아 부족들은 기독교를 따랐다.[287]

오늘날 사우디아라비아의 아랍계 기독교 인구는 주로 레바논인시리아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디아스포라로 살고 있다.

수단

[편집]

수단에는 약 110만 명의 가톨릭 신자가 있었는데, 이는 전체 인구의 약 3.2%에 해당한다. 수단은 하나의 교회 주교관구로 구성되어 있으며, 하나의 대교구(하르툼 대교구)와 하나의 관할 교구(엘오베이드 교구)를 포함한다. 수단 가톨릭 신자의 대부분은 분할 이후 남수단에 정착했다.[288]

시리아

[편집]

시리아의 아랍계 기독교인들은 주로 룸 정교회멜키트 가톨릭이며, 일부 로마 가톨릭 신자도 있다. 아랍인이 아닌 시리아 기독교인으로는 아시리아인(칼데아인 또는 시리아인으로도 알려져 있음), 그리스인, 아르메니아인이 있다. 아시리아 난민들은 제1차 세계 대전 중 터키와 이라크에서 발생한 학살(시리아어-아람어로는 사이포) 이후 시리아로 피난했으며, 2003년 이라크 전쟁 이후 이라크에서 발생한 사건들 때문에 다시 피난했다. 시리아 내전으로 인해 수많은 기독교인들이 레바논, 요르단, 유럽으로 피난했다. 그러나 상당수의 인구는 여전히 시리아에 거주하며, 일부는 국내 실향민이다. 많은 아랍계 기독교 민병대가 시리아 내전에 참전했으며, 여기에는 하부르 방위대와 아사드 정권 지지 단체인 새벽의 수호자가 포함된다.[289] 서부 신아람어마루라, 주바딘, 바카를 포함한 칼라문 산맥의 외딴 마을에서 기독교인과 무슬림 아람인들이 함께 사용한다.[290][291][292][293][294][295][296][297][298][299][300]

시리아에서 아기의 세례

시리아의 가장 큰 기독교 교파는 그리스 정교회이며, 주로 아랍계 기독교인들로 구성되어 있다. 그 다음으로는 시리아 정교회이며, 그 신자들은 종종 아시리아인 또는 시리아인으로 자신을 인식한다.[301] 1910년 시리아와 레바논의 총인구는 350만 명 중 30%로 추정되었다. 450만 명이 넘는 주민을 기록한 1960년 시리아 인구 조사에 따르면, 기독교인은 인구의 15% 미만(67만 5천 명)을 차지했다.[302] 1960년 이후 시리아의 인구는 5배 증가했지만, 기독교인 인구는 3.5배만 증가했다. 정치적인 이유로 그 이후로는 새로운 인구 조사가 실시되지 않았다. 시리아 내전 이전의 가장 최근 추정치에 따르면, 전체 2,300만 시리아 시민 중 기독교인은 약 10%를 차지했는데, 이는 무슬림 동포들보다 출산율이 낮고 이민율이 높기 때문이었다.[303]

시리아 아랍 공화국에서는 종교의 자유가 허용되지만, 기독교인을 포함한 모든 시리아 시민은 자녀 양육권, 상속, 입양을 규제하는 샤리아 기반의 개인 신분법의 적용을 받는다.[301] 예를 들어, 이혼의 경우 여성은 종교에 관계없이 아들은 13세, 딸은 15세가 되면 양육권을 잃는다.[301] 아사드 정권의 몰락 이후 상황은 더욱 악화되어 기독교인들은 무장 이슬람 단체의 박해가 증가하고 있으며, 그들의 권리에 영향을 미치는 헌법 개정에 직면해 있다.[304]

튀니지

[편집]
라굴레트트라파니 성모 행렬

기독교는 로마 통치 기간에 튀니지로 들어왔다. 그러나 이슬람이 도착한 후, 이 나라의 기독교인 인구는 감소했다.[305] 튀니지의 독립 이전에 튀니지는 25만 5천 명의 기독교 유럽인(대부분 이탈리아 및 몰타 혈통)의 고향이었다.[306] 2007년 국제 종교 자유 보고서는 기독교 공동체가 5만 명이며, 그 중 2만 명이 가톨릭 신자라고 보고했다.[307] 2018년 교황청 연감에서는 가톨릭 신자 수가 30,700명으로 증가한 것으로 추정되었다.[308] 그러나 튀니지 기독교인의 수는 약 23,500명으로 추정된다.[309]

튀니지의 로마 가톨릭교회는 전국에 12개의 교회, 9개의 학교, 여러 도서관을 운영하고 있다. 가톨릭교회는 종교 예배 외에도 수도원을 개설하고 문화 활동을 자유롭게 조직하며 튀니지 전역에서 자선 사업을 수행했다. 교회 지도자들에 따르면, 개신교 신자 2,000명이 있으며,[307] 그들 대부분은 기독교로 개종한 튀니지인이다.[310] 약 50명으로 구성된 작은 여호와의 증인 공동체도 있으며, 그 중 절반만이 아랍인으로 자신을 밝힌다.[307]

튀르키예

[편집]
안타키아의 안티오키아 그리스 기독교인

오늘날 튀르키예에는 다양한 기독교 교파에 속하는 약 12만에서 32만 명의 사람들이 거주한다.[311] 주로 하타이주에 거주하는 안티오키아 그리스 기독교인 (또는 멜키트)은 튀르키예의 아랍어 사용자 공동체 중 하나이며 약 1만 8천 명에 이른다.[312] 이들은 주로 룸 정교회 소속이지만, 그들의 문화와 유산 때문에 "아랍계 기독교인"으로 불리기도 한다. 하타이주의 주도인 안티오키아그리스 정교회시리아 정교회의 역사적 중심지이기도 하다. 튀르키예에는 아르메니아인(약 7만 명),[313] 그리스인(또는 헬렌인)(약 5천 명), 남동부의 아시리아인(약 2만 5천 명)과 같은 비아랍 원주민 소수 민족도 거주한다.[314] 알틴외쥐 지구의 토카츨르 마을은 전적으로 아랍계 기독교인 인구로 구성되어 있으며, 튀르키예의 몇 안 되는 기독교 마을 중 하나이다.[315]

예멘

[편집]

이슬람이 도래하기 전인 6세기 초에 기독교는 현대 예멘 지역에 널리 퍼진 종교였다.[316] 오늘날 예멘에서는 소수 종교이며, 예멘 내전 중에 그 신자 수가 크게 줄어 현재는 몇천 명에 불과하다.[317]

내용주

[편집]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Chapman, Colin (2012). “Christians in the Middle East – Past, Present and Future”. 《Transformation: An International Journal of Holistic Mission Studies》 29 (2): 91–110. doi:10.1177/0265378812439955. S2CID 145722860. 
  2. Ellis, K.C. (2018). 《Secular Nationalism and Citizenship in Muslim Countries: Arab Christians in the Levant》. Minorities in West Asia and North Africa.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34쪽. ISBN 978-3-319-71204-8. 2022년 11월 18일에 확인함. 
  3. Pacini, Andrea (1998). 《Christian Communities in the Arab Middle East: The Challenge of the Future》. Clarendon Press. 38, 55쪽. ISBN 978-0-19-829388-0. 2021년 3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0월 21일에 확인함. 
  4. C. Ellis, Kail (2004). 《Nostra Aetate, Non-Christian Religions, and Interfaith Relations》. Springer Nature. 172쪽. ISBN 978-3-030-54008-1. 
  5. Hourani, Albert (1983) [First published 1962]. 《Arabic Thought in the Liberal Age, 1798–1939》 2판.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27423-4. 
  6. Prioreschi, Plinio (2001년 1월 1일). 《A History of Medicine: Byzantine and Islamic medicine》. Horatius Press. 223쪽. ISBN 978-1-888456-04-2. 2020년 1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12월 29일에 확인함. 
  7. Ira M. Lapidus, Islamic Societies to the Nineteenth Century: A Global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 200.
  8. Curtis, Michael (2017). 《Jews, Antisemitism, and the Middle East》. Routledge. 173쪽. ISBN 9781351510721. 
  9. “Demographics”. 《Arab American Institute》. 2016년 10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9월 4일에 확인함. 
  10. Khalil, Magdy. “Reactions in the Egyptian Press To a Lecture Delivered by a Coptic Bishop in Hudson Institute”. 《Coptic Assembly of America》. 2011년 7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4월 20일에 확인함. 
  11. “Phoenician or Arab? A never-ending debate in Lebanon”. 《independent.co.uk》. Independent. 2010년 6월 12일. 2021년 4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12. Cambridge history of Christianity, pp.197
  13. Khoury, George (1997년 1월 22일). “The Origins of Middle Eastern Arab Christianity”. melkite.com. 2001년 2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14. النصرانية وآدابها، مرجع سابق، ص.161
  15. النصرانية وآدابها بين عرب الجاهلية، الأب لويس شيخو، المطبعة الكاثوليكية، بيروت 1922، ص.332
  16. Parry, Ken (1999). Melling, David (편집). 《The Blackwell Dictionary of Eastern Christianity》. Malden, MA: Blackwell Publishing. 37쪽. ISBN 978-0-631-23203-2. 
  17. النصرانية وآدابها، مرجع سابق، ص.24
  18. النصرانية وآدابها، مرجع سابق، ص.41
  19. النصرانية وآدابها، مرجع سابق، ص.26
  20. Ball, 2001, pp. 100-101.
  21. Jensen, 1996, pp. 73-75.
  22. النصرانية وآدابها، مرجع سابق، ص.104
  23. النصرانية وآدابها، مرجع سابق، ص.105
  24. Al-Masudi “황금의 초원
  25. النصرانية وآدابها، مرجع سابق، ص.30
  26. Shahîd, Irfan (1989). 《Byzantium and the Arabs in the Fifth Century》 (영어). Dumbarton Oaks. ISBN 978-0-88402-152-0. 
  27. النصرانية وآدابها، مرجع سابق، ص.40
  28. النصرانية وآدابها، مرجع سابق، ص.49
  29. 《The Catholic Encyclopedia: An International Work of Reference on the Constitution, Doctrine, Discipline, and History of the Catholic Church》 (영어). Catholic Encyclopedia Incorporated. 1913. 2021년 5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0월 29일에 확인함. 
  30. النصرانية وآدابها، مرجع سابق، ص.60
  31. Al-ʻAsalī, Khālid Sālih (July 1968). 《South Arabia in the 5th and 6th centuries C.E. with reference to relations with Central Arabia》 (영어) (학위논문). University of St Andrews. hdl:10023/15321. 
  32. النصرانية وآدابها، مرجع سابق، ص.64
  33. النصرانية وآدابها، مرجع سابق، ص.65
  34. Stated in the book “The Genealogy of the Arabs” by Salama bin Muslim
  35. Philip K. Hitti, History of the Arabs, 6th ed. (Macmillan and St. Martin's Press, 1967), pp. 78–84 (on the Ghassanids and Lakhmids) and pp. 87–108 (on Yemen and the Hijaz).
  36. Such as 알 마수디의 역사이븐 히샴의 사도 전기
  37. النصرانية وآدابها، مرجع سابق، ص.53
  38. النصرانية وآدابها، مرجع سابق، ص.56
  39. النصرانية وآدابها، مرجع سابق، ص.59
  40. النصرانية وآدابها، مرجع سابق، ص.78
  41. النصرانية وآدابها، مرجع سابق، ص.98
  42. سيّما ما ورد في 수라 마이다: ﴿وَاتخِذُونِي وَأمِي إلَهَيْنْ﴾ ، النصرانية وآدابها، مرجع سابق، ص.113
  43. المسيحية العربية وتطوراتها، مرجع سابق، ص.85
  44. النصرانية وآدابها، مرجع سابق، ص.116
  45. النصرانية وآدابها، مرجع سابق، ص.117
  46. النصرانية وآدابها، مرجع سابق، ص.120
  47. Grmek, Mirko D.; Fantini, Bernardino (1998). Western Medical Thought from Antiquity to the Middle Ages. Harvard University Press. p. 145.:"Hunayn ibn Ishaq was able to satisfy their needs. Of Christian Arab descent, he had spent many years of his life in Byzantine territory, in pursuit of his studies, most probably in Constantinople."
  48. Noble, Samuel; Treiger, Alexander (2014년 3월 15일). 《The Orthodox Church in the Arab World, 700–1700: An Anthology of Sources》 (영어). Cornell University Press. ISBN 978-1-5017-5130-1. 2021년 10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0월 29일에 확인함. 
  49. Sabet, Amr (2006), The American Journal of Islamic Social Sciences 24:4, Oxford; page 99–100
  50. Khadduri, Majid (2010). War and Peace in the Law of Islam,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pages 162–224; ISBN 978-1-58477-695-6
  51. Ali, Abdullah Yusuf (1991). The Holy Quran. Medina: King Fahd Holy Qur-an Printing Complex.
  52. 존 에스포시토, Islam the Straight Path, Oxford University Press, 15 January 1998, p. 34.
  53. Lewis (1984), pp. 10, 20
  54. George, Timothy (2002). 《Is the Father of Jesus the God of Muhammad?: understanding the differences between Christianity and Islam》. Zondervan. ISBN 978-0-310-24748-7. 2021년 10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10월 15일에 확인함. 
  55. Lewis, Bernard; Holt, P. M.; Holt, Peter R.; Lambton, Ann Katherine Swynford (1977). 《The Cambridge history of Islam》. Cambridge, Eng: University Press. 32쪽. ISBN 978-0-521-29135-4. 
  56. Willis Barnstone, Marvin Meyer The Gnostic Bible: Revised and Expanded Edition Shambhala Publications 2009 ISBN 978-0-8348-2414-0 page 531
  57. Hill, Donald. Islamic Science and Engineering. 1993. Edinburgh Univ. Press. ISBN 0-7486-0455-3, p.4
  58. Rémi Brague, Assyrians contributions to the Islamic civilization 보관됨 2013-09-27 - 웨이백 머신
  59. Brague, Rémi (2009). 《The Legend of the Middle Ages: Philosophical Explorations of Medieval Christianity, Judaism, and Islam》.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64쪽. ISBN 9780226070803. Neither were there any Muslims among the Ninth-Century translators. Almost all of them were Christians of various Eastern denominations: Jacobites, Melchites, and, above all, Nestorians. 
  60. Belt, Don (2009년 6월 15일). “Pope to Arab Christians: Keep the Faith” (영어). 《HuffPost》. 2017년 10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월 21일에 확인함. 
  61. Radai, Itamar (2008). 《The collapse of the Palestinian-Arab middle class in 1948: The case of Qatamon》 (PDF). 《Middle Eastern Studies》 43. 961–982쪽. doi:10.1080/00263200701568352. ISSN 0026-3206. S2CID 143649224. 2017년 10월 18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8월 15일에 확인함. 
  62. Gran, Peter (January 2002). 《Tahtawi in Paris》. 《Al-Ahram Weekly Online》. 2003년 6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63. Boueiz Kanaan, Claude. 《Lebanon 1860–1960: A Century of Myth and Politics》. la University of Michigan. 127쪽. 
  64. Lattouf, 2004, p. 70
  65. Teague, Michael (2010). 《The New Christian Question》. 《Al Jadid Magazine》 16. 2021년 2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4월 20일에 확인함. 
  66. محطات مارونية من تاريخ لبنان، مرجع سابق، ص.185
  67. Moubayed, Sami M. (2006). 《Steel & Silk: Men and Women who Shaped Syria 1900–2000》 (영어). Cune Press. ISBN 978-1-885942-41-8. 2021년 9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7월 6일에 확인함. 
  68. 《The Reformed Presbyterian and Covenanter》 (영어). 1851. 2021년 5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0월 29일에 확인함. 
  69. Lutsky, Vladimir Borisovich (1969). “Modern History of the Arab Countries”. Progress Publishers. 2020년 1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11월 12일에 확인함. 
  70. 《Maalouf (2003)》. 
  71. Priestley, Herbert Ingram (1938). 《France Overseas: A Study Of Modern Imperialism, 1938》 (영어). Octagon Books. ISBN 978-0-7146-1024-5. 
  72. “Commander of the Faithful: The Life and Times of Emir Abd el-Kader, A Story of True Jihad | Middle East Policy Council” (영어). 《www.mepc.org》. 2017년 12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12월 8일에 확인함. 
  73. Ghazal, Rym (2015년 4월 14일). “Lebanon's dark days of hunger: The Great Famine of 1915–18”. 《The National》. 2017년 6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월 24일에 확인함. 
  74. “Six unexpected WW1 battlegrounds”. 《BBC News》 (BBC). BBC News Services. 2014년 11월 26일. 2017년 8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월 24일에 확인함. 
  75. “Le centenaire de la Grande famine au Liban : pour ne jamais oublier”. 《L'Orient-Le Jour》. 2015년 4월 18일. 2021년 2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월 21일에 확인함. 
  76. “The Syrian Social Nationalist Party's (SSNP) Expansion in Syria – By Jesse McDonald”. 2018년 4월 22일. 2021년 10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0월 29일에 확인함. 
  77. Buzpinar, Ş. Tufan (1996). 《Opposition to the Ottoman Caliphate in the Early Years of Abdülhamid II: 1877-1882》. 《Die Welt des Islams》 36 (Brill). 59–89쪽. doi:10.1163/1570060962597553. ISSN 0043-2539. JSTOR 3693438. 2022년 12월 6일에 확인함. The first signs of Arab dissent from the Ottoman caliphate came in the winter of 1877 - 1878 and coincided with the Ottoman Empire's decisive military defeat at the hands of Russia. Frightened by the prospect of a total Ottoman collapse, a group of Syrian notables headed by Ahmad al-Sulh of Beirut held secret meetings towards the end of 1877 to discuss the future of Syria and the possible threat of foreign annexation. The notables agreed that if the Russo-Ottoman war were to lead to the end of the Ottoman presence in Syria, they would work for the full independence of the vilayet and proclaim Amir 'Abdulqädir, a distinguished Algerian exile in Damascus, its ruler... From 1877 to 1878 Amir Abdulgadir was also in communication with Yüsuf Bek Karam, a Maronite notable from Lebanon, concerning a similar but not identical plan for the independence of the Arab provinces of the Ottoman Empire. According to Fritz Steppat, who has examined the Karam-'Abdulqädir correspondence, Karam proposed the separation of the Arab provinces from the Ottoman Empire and the appointment of Abdulgädir as their ruler. Steppat is convinced that "Abdulgädir accepted Karam's proposals in principle and that the conversation on the matter with him lasted a long time". 
  78. Steppat, Fritz (1969). 《Eine Bewegung unter den Notabeln Syriens 1877-1878: Neues Licht auf die Entstehung des Arabischen Nationalismus》 (독일어). 《Zeitschrift: Supplementa》 (Deutsche Morgenländische Gesellschaft; F. Steiner Verlag). 2022년 12월 6일에 확인함. Aus den Dokumenten geht klar hervor, daß Karam sich bemühte, den Emir für eine Aktion zu gewinnen, die den Arabern - Karam spricht gewöhnlich von al-gins al-'arabi, der „arabischen Rasse", oder von al-gaba'il al-arabiya, den „arabischen Stämmen" - wenigstens die „Wahrung ihrer Rechte" im Osmanischen Reich verschaffen sollte, worunter er offenbar eine Art Autonomie verstand. Da aber die Türken sich als ungerecht erwiesen hätten und die islamische Saria vernachlässigten, stellt er als das erstrebenswertere Ziel eine Lösung der arabischen Länder vom Osmanischen Reich hin. Weil die Araber nur durch Einigkeit zu ihren Rechten kommen können, und weil die „islamischen Stämme" unter ihnen zahlenmäßig überwiegen, akzeptiert Karam ausdrücklich eine islamische Regierung 
  79. Khalid (2003). 《War and Peace in Sudan: A Tale of Two Countries》 (영어). Routledge. ISBN 978-0-7103-0663-0. 2021년 10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0월 29일에 확인함. 
  80. Aflaq, Michel (1977). 《Choice of Texts from the Baʻth Party Founder's Thought》 (영어). Unity Freedom Socialism. 2021년 5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0월 29일에 확인함. 
  81. 《Asian and African Studies》 (영어). Jerusalem Academic Press. 1973. 2021년 5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0월 29일에 확인함. 
  82. Segev, Tom (2000). 《One Palestine, complete : Jews and Arabs under the Mandate》. Internet Archive. New York : Metropolitan Books. ISBN 978-0-8050-4848-3. 
  83. Antonius, George (1939). 《The Arab awakening : the story of the Arab national movement》 (영어). McGill University Library. Philadelphia: J.B. Lippincott. 
  84. “Lebanon: Hizbullah, a progressive Islamic party? – Interview with Joseph Alagha”. 《english.religion.info》. 2023년 12월 8일에 확인함. 
  85. Burns, Robin J.; Aspeslagh, Robert (2014년 1월 14일). 《Three Decades of Peace Education around the World: An Anthology》 (영어). Routledge. 245쪽. ISBN 978-1-135-78302-0. 
  86. “About”. 2006년 5월 17일. 2006년 5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3월 18일에 확인함. 
  87. “Ludington Daily News – Google News Archive Search”. 《news.google.com》. 2021년 6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6월 30일에 확인함. 
  88. Bardi, Ariel Sophia (2016). 《The "Architectural Cleansing" of Palestine》 (영어). 《American Anthropologist》 118. 165–171쪽. doi:10.1111/aman.12520. ISSN 1548-1433. 2021년 4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0월 29일에 확인함. 
  89. Khalid (2003). 《War and Peace in Sudan: A Tale of Two Countries》 (영어). Routledge. ISBN 978-0-7103-0663-0. 2021년 5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0월 29일에 확인함. 
  90. “World Directory of Minorities and Indigenous Peoples – Lebanon” (영어). 《Refworld》. 2021년 1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월 22일에 확인함. 
  91. “A Church at War: Clergy & Politics in Wartime Lebanon (1975–82)” (미국 영어). 《Providence》. 2019년 9월 25일. 2021년 1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월 22일에 확인함. 
  92. “World Directory of Minorities and Indigenous Peoples – Lebanon” (영어). 《Refworld》. 2021년 1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3월 17일에 확인함. 
  93. “Syria: The situation of Christians, including whether Christians are perceived to be loyal to President Assad; treatment of Christians by the regime and the opposition forces, including incidents of violence against them; state protection (2013 – July 2015)” (영어). 《Refworld》. 2021년 1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월 22일에 확인함. 
  94. Sherlock, Ruth. “How The Free Syrian Army Became A Largely Criminal Enterprise”. 《Business Insider》. 2021년 1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월 22일에 확인함. 
  95. “British intelligence suggests al-Nusra start cooperating with West – diplomatic source”. 《TASS》. 2021년 5월 3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6월 1일에 확인함. 
  96. Angold, Michael (2006). 《The Cambridge History of Christianity: Volume 5, Eastern Christian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389쪽. ISBN 9780521811132. 
  97. McHugo, John (2013). 《A Concise History of the Arabs》. New Press. 69쪽. ISBN 9781595589460. there had been a rich tradition of Arabic Christian literature aimed at defending Christianity against Muslim preaching and polemic 
  98. C. Ellis, Kail (2004). 《Nostra Aetate, Non-Christian Religions, and Interfaith Relations》. Springer Nature. 172쪽. ISBN 9783030540081. 
  99. al-Jallad & Martin F. J. Baasten (2017). 《Arabic in Context: Celebrating 400 Years of Arabic in Leiden University》. Studies in Semitic Languages and Linguistics, Volume: 89. 396쪽. ISBN 978-90-04-34304-7. 
  100. Nashef, 2002, p. 13.
  101. Suleiman Mousa: Simplified Biography in English, by Yazan Suheil Mousa
  102. “Renowned Syrian Novelist Hanna Mina Dies at 94” (영어). 《Asharq AL-awsat》. 2021년 8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8월 13일에 확인함. 
  103. Braude, Joseph (2017). 《Broadcasting Change: Arabic Media as a Catalyst for Liberalism》. Rowman & Littlefield. 192쪽. ISBN 9781538101292. 
  104. Merrill, A. Fisher, John Calhoun, Harold. 《The world's great dailies: profiles of fifty newspapers》. la University of Michigan. 52쪽. 
  105. Regan, Bernard (2018년 10월 30일). 《The Balfour Declaration: Empire, the Mandate and Resistance in Palestine》 (영어). Verso Books. ISBN 978-1-78663-248-7. 2021년 4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0월 29일에 확인함. 
  106. “Veteran Lebanese journalist Ghassan Tueni dies” (영국 영어). 《BBC News》. 2012년 6월 8일. 2021년 4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4월 11일에 확인함. 
  107. “Mapping Digital Media: Lebanon” (PDF). 2017년 10월 10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7월 12일에 확인함. 
  108. “Eight reasons why Fairouz is the greatest Arab diva of all time”. 《The National》. 2016년 11월 21일. 2021년 9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9월 6일에 확인함. 
  109. “Arab Christian celebrities attacked for celebrating Easter by extremist trolls!”. 《www.albawaba.com》. 2021년 4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4월 20일에 확인함. 
  110. “Canaanite Lydia”. 2020년 12월 14일. 2021년 4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4월 20일에 확인함. 
  111. Starr, Stephen (2012). 《Revolt in Syria: Eye-witness to the Uprising》 (영어). Hurst. ISBN 978-1-84904-197-3. 2021년 10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7월 6일에 확인함. 
  112. الجهنى, على بن مناور بن ردة (2020). 《الخطاب الدينى الواجب اليوم》. 《مجلة البحث العلمي الاسلامي》. 47쪽. doi:10.55625/0535-015-033-003. S2CID 247490388. 
  113. “Fadi Andraos biography” (영어). 《Last.fm》. 2021년 10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4월 20일에 확인함. 
  114. eliefares (2013년 3월 24일). “Lebanese Lina Makhoul Wins The Voice Israel” (영어). 《A Separate State of Mind | A Blog by Elie Fares》. 2021년 4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4월 20일에 확인함. 
  115. “Lebanese Republic”. 2015년 9월 23일. 2015년 9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3월 9일에 확인함. 
  116. Oualalou, Lamia (2017년 7월 1일). “Being Arab in Latin America”. 《Le Monde diplomatique》. 2021년 4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3월 29일에 확인함. 
  117. Altaf, Sabeen. “Arab Americans - Demographics”. 아랍계 미국인 협회. 2006년 6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5월 31일에 확인함. 
  118. “Arab Americans: Demographics”. Arab American Institute. 2006. 2006년 6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3월 18일에 확인함. 
  119. “Syro-Lebanese Migration (1880–Present): "Push" and "Pull" Factors”. 《Middle East Institute》. 2021년 10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0월 29일에 확인함. 
  120. “Emigration and Power A Study of Sects in Lebanon, 1860–2010”. 2021년 10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4월 19일에 확인함. 
  121. Fahrenthold, Stacy (2014). 《Making Nations, in the Mahjar: Syrian and Lebanese Long-distance Nationalisms in New York City, São Paulo, and Buenos Aires, 1913–1929》 (영어). Northeastern University. 2021년 5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0월 29일에 확인함. 
  122. Hanssen, Jens; Weiss, Max (2016년 12월 22일). 《Arabic Thought beyond the Liberal Age: Towards an Intellectual History of the Nahda》 (영어).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1-107-13633-5. 2021년 5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0월 29일에 확인함. 
  123. Benson, Kathleen; Kayal, Philip M. (2002). 《A community of many worlds : Arab Americans in New York City》. Internet Archive. New York : Museum of the City of New York; Syracuse : Syracuse University Press. ISBN 978-0-8156-0739-7. 
  124. Moreh, Shmuel (1976년 1월 1일). 《Modern Arabic Poetry: 1800–1970; the Development of Its Forms and Themes Under the Influence of Western Literature》 (영어). Brill Archive. ISBN 978-90-04-04795-2. 2021년 10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7월 6일에 확인함. 
  125. Starkey, Paul (2006). 《Modern Arabic literature》. 에든버러 대학교 출판부. 62쪽. ISBN 978-0-7486-1290-1. 
  126. Estevez, Dolia (2013년 11월 19일). “Mexican Billionaire Carlos Slim Is Quietly Transferring Assets To His Children”. 《Forbes》. 2020년 10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2월 8일에 확인함. 
  127. Cadwalladr, Carole (2012년 11월 24일). “Nassim Taleb: my rules for life”. 《가디언》. 2021년 3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5월 7일에 확인함. 
  128. “Michael E. DeBakey, M.D.” (미국 영어). 《Academy of Achievement》. 2020년 10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3월 5일에 확인함. 
  129. Dilger, Daniel Eran (2017년 5월 11일). “iPod-Father Tony Fadell speaks at Computer History Museum's iPhone 360” (영어). 《AppleInsider》. 2019년 6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6월 3일에 확인함. 
  130. 〈,〉 online via 옥스퍼드 대학교 출부판. 《Who's Who》. 《ukwhoswho.com》 2014 (A & C Black, an imprint of Bloomsbury Publishing plc).  (구독 또는 영국 공립 도서관 회원 가입 필요)
  131. Elias James Corey – Autobiography 보관됨 6 7월 2008 - 웨이백 머신. nobelprize.org
  132. “Sir Peter Medawar”. 《뉴 사이언티스트》. 1984년 4월 12일. 2021년 4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2월 27일에 확인함. 
  133. Manuel, Diana E. (2002). 〈Medawar, Peter Brian (1915–1987)〉. 《Van Nostrand's Scientific Encyclopedia》. 존 와일리 앤 선즈. doi:10.1002/9780471743989.vse10031. ISBN 978-0-471-74398-9. 
  134. “Florida Supreme Court Historical Society – 2014 – Judge Rosemary Barkett”. 《flcourthistory.org》. 2018년 7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3월 26일에 확인함. 
  135. Haiduc-Dale, Noah (2013년 3월 18일). 《Arab Christians in British Mandate Palestine: Communalism and Nationalism, 1917-1948》 (영어). Edinburgh University Press. 8쪽. ISBN 978-0-7486-7604-0. 
  136. “Orthodox Christianity in the 21st Century”. 《Pew Research Center's Religion & Public Life Project》. 2017년 11월 8일. 2021년 1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0월 29일에 확인함. Egypt has the Middle East's largest Orthodox population (an estimated 4 million Egyptians, or 5% of the population), mainly members of the Coptic Orthodox Church. 
  137. “Coptic Christianity in Egypt” (영어). 《rlp.hds.harvard.edu》. 2020년 7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0월 29일에 확인함. The Coptic Church experienced a religious revival beginning in the 1950s, and currently claims some seven million members inside of Egypt. 
  138. “BBC – Religions – Christianity: Coptic Orthodox Church”. 《bbc.co.uk》. 2021년 5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0월 29일에 확인함. The Coptic Orthodox Church is the main Christian Church in Egypt, where it has between 6 and 11 million members. 
  139. Matt Rehbein (2017년 4월 10일). “Who are Egypt's Coptic Christians?”. 《CNN》. 2018년 8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0월 29일에 확인함. 
  140. Gabra, Gawdat (2009). 《The A to Z of the Coptic Church》 (영어). Scarecrow Press. 1, 10, 11쪽. ISBN 978-0-8108-7057-4. 2021년 10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0월 29일에 확인함. 
  141. “Who are Egypt's Coptic Christians and why are they persecuted?” (오스트레일리아 영어). 《abc.net.au》. 2017년 4월 9일. 2021년 7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3월 27일에 확인함. 
  142. “BBC – Religions – Christianity: Coptic Orthodox Church” (영국 영어). 《www.bbc.co.uk》. 2021년 2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3월 28일에 확인함. 
  143. Gabra, Gawdat; Takla, Hany N. (2017). 《Christianity and Monasticism in Northern Egypt: Beni Suef, Giza, Cairo, and the Nile Delta》 (영어).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977-416-777-5. 2021년 10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7월 6일에 확인함. 
  144. Roberson, Ronald G. “The Eastern Catholic Churches 2017” (PDF). 《Eastern Catholic Churches Statistics》. Catholic Near East Welfare Association. 2018년 10월 24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9월 28일에 확인함. 
  145. “Aspects of Christian-Muslim Relations in Contemporary Lebanon” (PDF). 2021년 7월 28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3월 27일에 확인함. 
  146. “Living Descendants of Biblical Canaanites Identified Via DNA” (영어). 《History》. 2017년 7월 27일. 2021년 2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5월 5일에 확인함. 
  147. Svetlova, Ksenia (2012년 10월 12일). “Maronite Christians Seek To Revive Aramaic Language”. 《forward.com》. The Forward. 
  148. “البطريركية المارونية – بكركي”. 《www.bkerke.org.lb》. 2021년 4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3월 28일에 확인함. 
  149. “Maronite liturgy draws from Eastern and Western traditions” (영어). 《Catholics & Cultures》. 2016년 5월 12일. 2021년 3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3월 28일에 확인함. 
  150. “Maronite Church” (영어). 《Catholics & Cultures》. 2010년 3월 15일. 2021년 3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3월 28일에 확인함. 
  151. “X. János lett az új, ortodox antiókiai pátriárka” (헝가리어). 《Magyar Kurír》. 2018년 6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3월 19일에 확인함. 
  152. Stiffler, Matthew W. (2010). 《AUTHENTIC ARABS, AUTHENTIC CHRISTIANS: ANTIOCHIAN ORTHODOX AND THE MOBILIZATION OF CULTURAL IDENTITY》 (PDF). The University of Michigan. 2021년 4월 28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3월 27일에 확인함. 
  153. Oueis, Hadeel (2022년 4월 3일). “The Levantine Greeks: The Hellenic Republic should Recognize its Forgotten Greeks in Syria and other countries”. 《HellasJournal》. Hellas Journal. 
  154. Demeter, Daniel (2014년 7월 16일). “Damascus – al-Mariyamiyeh Church دمشق – كنيسة المريمية” (미국 영어). 《Syria Photo Guide》. 2021년 4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3월 28일에 확인함. 
  155. “Greek Orthodox Patriarchate of Antioch and All the East”. 《www.antiochpatriarchate.org》. 2021년 3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3월 28일에 확인함. 
  156. Abou Ackl, Rand. "The Construction of the Architectural Background in Melkite Annunciation Icons." Chronos 38 (2018): 147-170
  157. 《CNEWA – The Syrian Orthodox Church》. 《cnewa.org》. 2016년 3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3월 12일에 확인함. 
  158. 《Syrian Orthodox Patriarchate of Antioch and All the East – World Council of Churches》 (영어). 《oikoumene.org》. January 1961. 2018년 3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3월 12일에 확인함. 
  159. “The SYRIAN ORTHODOX CHURCH OF ANTIOCH”. 《www.syriacchristianity.info》. 2020년 8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4월 1일에 확인함. 
  160. “Syriac Orthodox Church of Antioch | Encyclopedia.com”. 《www.encyclopedia.com》. 2018년 6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4월 1일에 확인함. 
  161. Baarda 2020, Section 5쪽"The Syriac Orthodox and Paul Bihnām's al-Mashriq: Holders of a Middle Position... The Arab nationalism they supported did not discriminate according to religion and was therefore also acceptable to them, even if it recognized the special relationship between the Arabic language and Islam."
  162. Donabed & Mako 2009, p. 90.
  163. “Holy Qurobo – St. George Patriarchal Cathedral – Damascus” (미국 영어). 《Syrian Orthodox Patriarchate of Antioch》. 2017년 8월 27일. 2021년 4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3월 28일에 확인함. 
  164. “Syrian Orthodox Patriarchate of Antioch” (미국 영어). 《Syrian Orthodox Patriarchate of Antioch》. 2021년 4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3월 28일에 확인함. 
  165. Al-Tamimi, Aymenn Jawad (2012년 1월 5일). “Identity Among Middle East Christians” (영어). 《Middle East Forum》. 2021년 2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3월 27일에 확인함. 
  166. “Aspects of Christian-Muslim Relations in Contemporary Lebanon” (PDF). 4쪽. 2021년 7월 28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3월 27일에 확인함. In recent years, the Melkites, like the Maronites, have denied affiliation with Arab ethnicity, race and culture. 
  167. “Cathédrale patriarchale Notre-Dame de la Dormition”. 《GCatholic》. 2020년 10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3월 27일에 확인함. 
  168. “Melkite Parish – Melkite UK”. 《www.melkite.uk》. 2021년 4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3월 27일에 확인함. 
  169. “Melkite :: Splash”. 《www.melkitepat.org》. 2021년 4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3월 27일에 확인함. 
  170. “Chaldeans” (영국 영어). 《Minority Rights Group》. 2015년 6월 19일. 2021년 5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4월 1일에 확인함. 
  171. Baarda 2020, Section 4쪽"The Chaldean Patriarchate and Sulaymān Ṣāʾigh's al-Najm: Strong Commitment to the State and its Arab Identity... The Arab nationalism they supported did not discriminate according to religion and was therefore also acceptable to them, even if it recognized the special relationship between the Arabic language and Islam."
  172. “Chaldean Church of Mary Mother of Sorrows”. 《GCatholic》. 2021년 6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3월 27일에 확인함. 
  173. “Chaldean Catholic Church” (영어). 《Catholics & Cultures》. 2010년 3월 15일. 2021년 4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3월 27일에 확인함. 
  174. “البطريركية الكلدانية” (아랍어). 《البطريركية الكلدانية》. 2021년 3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3월 27일에 확인함. 
  175. “Greek Orthodox Patriarchate of Alexandria and All Africa — World Council of Churches”. 《oikoumene.org》. January 1948. 2019년 10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10월 6일에 확인함. 
  176. “President Lauds Orthodox faith on 100 Years | Uganda Media Centre”. 《mediacentre.go.ug》. 2021년 4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3월 19일에 확인함. 
  177. Kårtveit, Bård (2018). 《Social relations between the Christian communities of Alexandria: Re-examining social boundaries in times of decline》. 《Égypte/Monde arabe》 17. 97–117쪽. doi:10.4000/ema.3810. hdl:10852/72712. S2CID 158605674. 2021년 4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3월 27일에 확인함. 
  178. “-- [ Greek Orthodox ] --”. 《www.patriarchateofalexandria.com》. 2019년 8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3월 27일에 확인함. 
  179. “Greek Orthodox Patriarchate of Alexandria and All Africa”. 《World Council of Churches》. January 1948. 2021년 4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3월 27일에 확인함. 
  180. The Eastern Catholic Churches 2017보관됨 24 10월 2018 - 웨이백 머신 Retrieved December 2010. Information sourced from 'Annuario Pontificio' 2017 edition.
  181. Baarda 2020, Section 3쪽"The Assyrians around Joseph de Kelaita: Arabic for Practical Purposes... I will start my discussion with the Syriac Christian group that shows the least enthusiasm in using the Arabic language and assimilating to an Arab identity."
  182. “Holy Apostolic Catholic Assyrian Church of the East” (미국 영어). 《Holy Apostolic Catholic Assyrian Church of the East》. 2021년 4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3월 28일에 확인함. 
  183. “Syriac Catholic Church identity – Chwiliwch Google”. 《www.google.com》. 2021년 4월 1일에 확인함. 
  184. 《Diana Darke, Syria. Bradt Travel Guides, 2006. S. 91. The Christian quarter: Syrian Catholic Cathedral of Mar Paulus》. 
  185. “Syriac Catholic Patriarchate Official Website”. 《syr-cath.org》. 2021년 3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3월 28일에 확인함. 
  186. “Cathédrale Notre-Dame d'Egypte”. 《GCatholic》. 2021년 4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3월 28일에 확인함. 
  187. “Palestinian Christians in the Holy Land” (영어). 《imeu.org》. 2020년 6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3월 19일에 확인함. 
  188. Vatikiotis, P. J. (1994). 《The Greek Orthodox Patriarchate of Jerusalem between Hellenism and Arabism》. 《Middle Eastern Studies》 30. 916–929쪽. doi:10.1080/00263209408701029. ISSN 0026-3206. JSTOR 4283681. 2021년 4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3월 27일에 확인함. 
  189. “Church of the Holy Sepulchre”. 《madainproject.com》. 2022년 1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3월 28일에 확인함. 
  190. “CATHOLIC ENCYCLOPEDIA: Holy Sepulchre”. 《www.newadvent.org》. 2021년 4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3월 28일에 확인함. 
  191. “Αρχική” (미국 영어). 《Πατριαρχείοv Ιεροσολύμων – Επίσημη Πύλη Ειδησεογραφίας》. 2014년 1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3월 28일에 확인함. 
  192. Baumer, Christoph (2006년 4월 28일). 《The Church of the East: An Illustrated History of Assyrian Christianity》 (영어). Bloomsbury Academic. ISBN 978-1-84511-115-1. 2021년 8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7월 6일에 확인함. 
  193. Baarda 2020, 143–170쪽.
  194. “Phoenician or Arab? A never-ending debate in Lebanon” (영어). 《The Independent》. 2011년 9월 18일. 2021년 4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3월 27일에 확인함. 
  195. Papastathis, Konstantinos (2020년 2월 26일). 《Arabic vs. Greek: the Linguistic Aspect of the Jerusalem Orthodox Church Controversy in Late Ottoman Times and the British Mandate》 (영어). Brill. ISBN 978-90-04-423220-0 |isbn= 값 확인 필요: length (도움말). 2021년 10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0월 29일에 확인함. 
  196. “Issa al Issa's Unorthodox Orthodoxy:Banned in Jerusalem, Permitted in Jaffa” (PDF). 2021년 10월 20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0월 29일에 확인함. 
  197. “Issa al Issa's Unorthodox Orthodoxy: Banned in Jerusalem, Permitted in Jaffa” (PDF). 2021년 10월 20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0월 29일에 확인함. 
  198. Katz, Itamar; Kark, Ruth (2005). 《The Greek Orthodox Patriarchate of Jerusalem and Its Congregation: Dissent over Real Estate》. 《International Journal of Middle East Studies》 37. 509–534쪽. doi:10.1017/S0020743805052189. ISSN 0020-7438. JSTOR 3879643. S2CID 159569868. 2021년 10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0월 29일에 확인함. 
  199. “Greek Patriarch rift: no end in sight yet”. 《www.churchtimes.co.uk》. 2021년 4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3월 16일에 확인함. 
  200. “Orthodox leader demoted to monk” (영국 영어). 2005년 6월 16일. 2019년 11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3월 16일에 확인함. 
  201. Kazhdan, Alexander 편집 (1991). 《옥스퍼드 비잔티움 사전》. Oxford University Press. 1533–1534쪽. ISBN 978-0-19-504652-6. 
  202. 《(Appadurai 1996, 13)》. 《(Appadurai 1996, 13)》. 
  203. Meyendorff, John (1989). 《Imperial Unity and Christian Divisions: The Church, 450–680 AD》 (영어). St. Vladimir's Seminary Press. ISBN 978-0-88141-056-3. 2019년 5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0월 29일에 확인함. 
  204. 《Segaert 2008, p. 36.》. 
  205. Hanoosh, Yasmeen (2016). 《Minority Identities Before and After Iraq: The Making of the Modern Assyrian and Chaldean Appellations》. 《The Arab Studies Journal》 24. 8–40쪽. ISSN 1083-4753. JSTOR 44742878. 2021년 4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4월 24일에 확인함. 
  206. Kulish, Nicholas (2001년 3월 13일). “Ancient Split of Assyrians and Chaldeans Leads to Modern-Day Battle Over Census” (미국 영어). 《Wall Street Journal》. ISSN 0099-9660. 2021년 4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3월 10일에 확인함. 
  207. Donabed, Sargon (2012년 12월 1일). 《Rethinking Nationalism and an Appellative Conundrum: Historiography and Politics in Iraq》. 《National Identities》 14. 407–431쪽. Bibcode:2012NatId..14..407D. doi:10.1080/14608944.2012.733208. ISSN 1460-8944. S2CID 145265726. 
  208. "Assyrians are an ethnically, linguistically and religiously distinct minority in the Middle Eastern region." 보관됨 13 8월 2011 - 웨이백 머신 (PDF)
  209. Jenkins, Philip (2020). 《Handbook of Christianity in the Middle East》. Rowman & Littlefield. XLVIII쪽. ISBN 9781538124185. 
  210. Jacobsen, Douglas (2011). 《The World's Christians: Who they are, Where they are, and How they got there》. John Wiley & Sons. 423쪽. ISBN 9781444397291. 
  211. Griffith, Sidney H. (2015). 《The Bible in Arabic: The Scriptures of the "People of the Book" in the Language of Islam》. Princeton University Press. 1–4쪽. ISBN 9780691168081. 
  212. Shahîd, Irfan (1995). 《Byzantium and the Arabs in the Sixth Century》. Dumbarton Oaks. 2002쪽. ISBN 9780884022848. 
  213. Al Khatib, Jamal M. (2016). 《Arab American Children with Disabilities: Considerations for Teachers and Service Providers》. Routledge. 14쪽. ISBN 9781315463285. nonetheless, similar cultural traditions and practices are shared by Christian and Muslim Arabs 
  214. Fenkl, Eric A; D. Purnell, Larry (2012). 《Textbook for Transcultural Health Care: A Population Approach: Cultural Competence Concepts in Nursing Care》. Springer Nature. 263쪽. ISBN 9783030513993. Arab Christians may eat pork, but few of them do. 
  215. Bakos, Gergely Tibor (2011). 《On Faith, Rationality, and the Other in the Late Middle Ages:: A Study of Nicholas of Cusa's Manuductive Approach to Islam》 (영어). Wipf and Stock Publishers. 228쪽. ISBN 9781606083420. 
  216. J. Sharkey, Heather (2017). 《A History of Muslims, Christians, and Jews in the Middle East》 (영어). Cambridge University Press. 63쪽. ISBN 9780521769372. 
  217. Pitts-Taylor, Victoria (2008). 《Cultural Encyclopedia of the Body [2 volumes]》. ABC-CLIO. 394쪽. ISBN 9781567206913. 
  218. Gruenbaum, Ellen (2015). 《The Female Circumcision Controversy: An Anthropological Perspectiv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61쪽. ISBN 9780812292510. Christian theology generally interprets male circumcision to be an Old Testament rule that is no longer an obligation ... though in many countries (especially the United States and Sub-Saharan Africa, but not so much in Europe) it is widely practiced among Christians 
  219. N. Stearns, Peter (2008). 《The Oxford Encyclopedia of the Modern World》.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 179쪽. ISBN 9780195176322. Uniformly practiced by Jews, Muslims, and the members of Coptic, Ethiopian, and Eritrean Orthodox Churches, male circumcision remains prevalent in many regions of the world, particularly Africa, South and East Asia, Oceania, and Anglosphere countries. 
  220. Pitts-Taylor, Victoria (2008). 《Cultural Encyclopedia of the Body [2 volumes]》. ABC-CLIO. 394쪽. ISBN 9781567206913. For most part, Christianity does not require circumcision of its followers. Yet, some Orthodox and African Christian groups do require circumcision. These circumcisions take place at any point between birth and puberty. 
  221. S. Ellwood, Robert (2008). 《The Encyclopedia of World Religions》. 인포베이스 퍼블리싱. 95쪽. ISBN 9781438110387. It is obligatory among Jews, Muslims, and Coptic Christians. Catholic, Orthodox, and Protestant Christians do not require circumcision. Starting in the last half of the 19th century, however, circumcision also became common among Christians in Europe and especially in North America. 
  222. Cook, Bernard A. (2001). 《Europe since 1945: an encyclopedia》. New York: Garland. 398쪽. ISBN 978-0-8153-4057-7. 
  223. Miller, Duane A. “Believers in Christ from a Muslim Background: A Global Census | Duane A Miller Botero - Academia.edu”. academia.edu. 2016년 3월 27일에 확인함. 
  224. Miller, Duane Alexander; Johnstone, Patrick (2015). 《Believers in Christ from a Muslim Background: A Global Census》 (PDF).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Research on Religion》 11. 10쪽. 2020년 11월 16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4월 16일에 확인함. 
  225. *(프랑스어) Sadek Lekdja, Christianity in Kabylie, Radio France Internationale, 7 mai 2001 보관됨 18 10월 2017 - 웨이백 머신
  226. “2010 Census Results”. 2012년 3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6월 15일에 확인함. 
  227. Cole, Ethan (2008년 7월 8일). “Egypt's Christian-Muslim Gap Growing Bigger”. 《더 크리스천 포스트》. 2008년 7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10월 2일에 확인함. 
  228. “Migratory flows (16th–19th century) – Syro-Lebanese migration towards Egypt (18th to early 20th century) – Marwan Abi Fadel”. 《hemed.univ-lemans.fr》. 2016년 3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월 21일에 확인함. 
  229. Ahmed, Hussam Eldin. “From Nahda to exile: a story of the Shawam in Egypt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Laila Parsons (Internal/Supervisor). 《escholarship.mcgill.ca》. 2021년 4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4월 17일에 확인함. 
  230. “The World Factbook”. 2021년 1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4월 20일에 확인함. 
  231. “Symbol of ISIS hate becomes rallying cry for Christians” (미국 영어). 《www.cbsnews.com》. 2014년 10월 20일. 2021년 4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3월 13일에 확인함. 
  232. “Statistical Abstract of Israel 2010”. 2016년 5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4월 20일에 확인함. 
  233. “CBS report: Christian population in Israel growing”. 《The Jerusalem Post》. 2012년 12월 25일. 2016년 8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8월 15일에 확인함. 
  234. Adelman, Jonathan (2015년 8월 28일). “The Christians of Israel: A Remarkable Group”. 《The Huffington Post》. 2017년 10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9월 1일에 확인함. 
  235. “The Christian communities in Israel”. 《Israel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14년 5월 1일. 2015년 10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12월 3일에 확인함. 
  236. McGahern, Una (2011). 《Palestinian Christians in Israel: State Attitudes Towards Non-Muslims in a Jewish State》. Routledge. 51쪽. ISBN 9780415605717. 
  237. “Christmas 2019 - Christians in Israel” (PDF). Central Bureau of Statistics (Israel). 2019년 12월 29일. 
  238. “Christmas 2020 - Christians in Israel” (PDF). Central Bureau of Statistics (Israel). 2019년 12월 29일. 
  239. Bligh, Alexander (2004). 《The Israeli Palestinians: An Arab Minority in the Jewish State》. Routledge. 132쪽. ISBN 9781135760779. 
  240. Mansour, Atallah (2004). 《Narrow Gate Churches: The Christian Presence in the Holy Land Under Muslim and Jewish Rule》. Hope Publishing House. 280쪽. ISBN 9781932717020. 
  241. Zeedan, Rami (2019). 《Arab-Palestinian Society in the Israeli Political System: Integration versus Segregation in the Twenty-First Century》. Rowman & Littlefield. 52쪽. ISBN 9781498553155. 
  242. “Celebrating Christmas in Israel's ancient Greek Catholic villages”. 《Ynetnews》 (Ynet). 2018년 12월 23일. 
  243. “חדשות – בארץ nrg – ...המגזר הערבי נוצרי הכי מצליח במערכת”. Nrg.co.il. 2011년 12월 25일. 2018년 12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2월 24일에 확인함. 
  244. “المسيحيون العرب يتفوقون على يهود إسرائيل في التعليم”. 《Bokra》. 2016년 3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12월 28일에 확인함. 
  245. Druckman, Yaron (1995년 6월 20일). “Christians in Israel: Strong in education – Israel News, Ynetnews”. 《Ynetnews》 (Ynetnews.com). 2018년 10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2월 24일에 확인함. 
  246. “An inside look at Israel's Christian minority”. Arutz Sheva. 2017년 12월 24일. 2019년 4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2월 24일에 확인함. 
  247. “Christian Arabs top country's matriculation charts”. 《The Times of Israel》. 2019년 1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2월 24일에 확인함. 
  248. http://www.nrg.co.il/online/1/ART2/663/447.html 보관됨 18 10월 2017 - 웨이백 머신 2% מהישראלים יחגגו מחר עם סנטה קלאוס
  249. “הלמ"ס: עלייה בשיעור הערבים הנרשמים למוסדות האקדמיים”. 2023년 4월 23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250. “Israeli Christians Flourishing in Education but Falling in Number”. 《Terrasanta.net》. 2016년 1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9월 5일에 확인함. 
  251. “Christians in Israel Well-Off, Statistics Show: Christians in Israel are prosperous and well-educated – but some fear that Muslim intimidation will cause a mass escape to the West”. 《Arutz Sheva》. 2012년 12월 24일. 2020년 7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9월 5일에 확인함. 
  252. “פרק 4 פערים חברתיים-כלכליים בין ערבים לבין יהודים” (PDF). 《Abrahamfund.org》. 2015년 10월 19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9월 18일에 확인함. 
  253. “In Heartwarming Christmas Story, IDF Welcomes More Pro-Israel Christian Arabs”. 2015년 12월 23일. 2019년 6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3월 25일에 확인함. 
  254. TLV1 (2016년 1월 21일). “Israeli-Arab Christians take to the streets of Haifa for an unusual protest”. TLV1 Radio. 2014년 10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월 21일에 확인함. 
  255. Vela, Justin (2015년 2월 14일). “Jordan: The safe haven for Christians fleeing ISIL”. The National. 2015년 9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0월 12일에 확인함. 
  256. Fleishman, Jeffrey (2009년 5월 10일). “For Christian enclave in Jordan, tribal lands are sacred”. 《Los Angeles Times》. 2016년 3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5월 10일에 확인함. 
  257. Miller, Duane Alexander (2010년 7월 30일). 《The Episcopal Church in Jordan: Identity, Liturgy, and Mission》. 《성공회 연구 저널9. 134–153쪽. doi:10.1017/s1740355309990271. S2CID 144069423. 
  258. “Home – Minority Rights Group”. 《minorityrights.org》. 2015년 6월 19일. 2020년 12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8월 15일에 확인함. 
  259. Kildani, Hanna (2015년 7월 8일). “The percentage of Jordanian Christians residing is 3.68%” الأب د. حنا كلداني: نسبة الأردنيين المسيحيين المقيمين 3.68% (아랍어). Abouna.org. 2016년 10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7월 17일에 확인함. 
  260. Freij, Muath (2015년 8월 12일). “Iraqi Christians return to school in Jordan after a year in limbo”. jordantimes.com. 2015년 8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61. http://www.jordantimes.com/news/region/hundreds-syrian-christians-flee-daesh-%E2%80%94-activists[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262. “Remarks by His Majesty King Abdullah II At the Plenary Session of the 69th United Nations General Assembly New York, US, 24 September 2014”. 《kingabdullah.jo》. 2015년 1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월 21일에 확인함. 
  263. “Nationality By Religion and Nationality” (아랍어). Government of Kuwait. 2018년 8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2월 6일에 확인함. 
  264. Sharaf, Nihal (2012). 'Christians Enjoy Religious Freedom': Church-State ties excellent”. 《Arabia Times》. 2015년 4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65. Kraidy, Marwan (2005). 《Hybridity, OR the Cultural Logic of Globalization》. Temple University. 119쪽. ISBN 978-1-59213-144-0. 
  266. Bahout, Joseph. “The Unraveling of Lebanon's Taif Agreement: Limits of Sect-Based Power Sharing” (영어). 《Carnegie Endowment for International Peace》. 2020년 8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3월 18일에 확인함. 
  267. Deeb, Marius (2013). 《Syria, Iran, and Hezbollah: The Unholy Alliance and Its War on Lebanon》. Hoover Press. ISBN 9780817916664. the Maronites and the Druze, who founded Lebanon in the early eighteenth century. 
  268. “The Lebanese census of 1932 revisited. Who are the Lebanese?”. 《yes》. Source: British Journal of Middle Eastern Studies, Nov99, Vol. 26 Issue 2, p219, 23p. 2013년 6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9월 22일에 확인함. 
  269. Morgan, Jason; Falola, Toyin; Oyeniyi, Bukola Adeyemi (2012). 《Culture and Customs of Libya》. ABC-CLIO. 40쪽. ISBN 978-0-313-37860-7. 
  270. Johnstone, Patrick; Miller, Duane Alexander (2015). 《Believers in Christ from a Muslim Background: A Global Census》. 《IJRR》 11. 1–19쪽. 2015년 10월 30일에 확인함. 
  271. Asiwaju, A.I. (1985). 《Partitioned Africans: Ethnic Relations Across Africa's International Boundaries.》. C. Hurst & Co. 273쪽. ISBN 0-905838-91-2. 
  272. De Azevedo, Raimondo Cagiano (1994) Migration and development co-operation.. Council of Europe. p. 25. ISBN 92-871-2611-9.
  273. F. Nyrop, Richard (1972). 《Area Handbook for Morocco》. University of Illinois Urbana-Champaign. 97쪽. ISBN 9780810884939. 
  274. “International Religious Freedom Report for 2015”. 《2009-2017.state.gov》. 2022년 3월 29일에 확인함. 
  275. “Religions in Morocco | PEW-GRF”. 《www.globalreligiousfutures.org》. 2022년 10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3월 29일에 확인함. 
  276. 'House-Churches' and Silent Masses —The Converted Christians of Morocco Are Praying in Secret” (영어). 《Vice.com》. 2015년 3월 23일. 2022년 3월 29일에 확인함. 
  277. “Christian Converts in Morocco Fear Fatwa Calling for Their Execution” (영어). 《News & Reporting》. 2013년 5월 9일. 2022년 3월 29일에 확인함. 
  278. Nasr, Joseph (2009년 5월 10일). “Fatbox – Christians in Israel, West Bank and Gaza”. Reuters. 2009년 5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6월 28일에 확인함. 
  279. “Palestinian Christian Activist Stabbed to Death in Gaza”. 《Haaretz》. 2007년 10월 7일. 2010년 6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4월 20일에 확인함. 
  280. Oren, Michael. “Israel and the plight of Mideast Christians”. 《Wall Street Journal》. 2017년 10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8월 3일에 확인함. 
  281. “No season of goodwill for Christians in the blockaded Gaza Strip”. 《The National》. 2019년 12월 15일. 2021년 6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6월 5일에 확인함. 
  282. Derfner, Larry (2009년 5월 7일). “Persecuted Christians?”. 《예루살렘 포스트》. 
  283. “Israeli-Palestinian conflict blamed for Christian exodus”. 《The Jerusalem Post》. 2011년 1월 21일. 2012년 10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4월 20일에 확인함. 
  284. Miller, Duane Alexander; Sumpter, Philip (2016). 〈Between the Hammer and the Anvil: Indigenous Palestinian Christianity in the West Bank〉. 《Christianity and Freedom》. 372–396쪽. doi:10.1017/CBO9781316408643.014. ISBN 978-1-316-40864-3. 
  285. Casella, Eleanor; Fowler, Chris (2005년 9월 8일). 《The Archaeology of Plural and Changing Identities: Beyond Identification》 (영어).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ISBN 978-0-306-48694-4. 
  286. Simon's letter is part of Part III of The Chronicle of Zuqnin, translated by Amir Harrack (Toronto: Pontifical Institute of Medieval Studies, 1999), pp. 78-84.
  287. “Search Results — Brill” (영어). 《referenceworks.brillonline.com》. 2022년 3월 29일에 확인함. 
  288. “Religions in Sudan | PEW-GRF”. 《www.globalreligiousfutures.org》. 2022년 5월 18일에 확인함. 
  289. Oehring 2017.
  290. Abū al-Faraj ʻIshsh. 《اثرنا في الايقليم السوري》 (아랍어). Al-Maṭbaʻah al-Jadīdah. 56쪽. السريان في معلولا وجبعدين ولا يزال الأهلون فيها يتكلمون 
  291. iنصر الله، إلياس أنطون. 《إلياس أنطون نصر الله في معلولا》 (아랍어). لينين. 45쪽. ... معلولا السريان منذ القديم ، والذين ثبتت سريانيتهم بأدلة كثيرة هم وعين التينة وبخعا وجبعدين فحافظوا على لغتهم وكتبهم أكثر من غيرهم . وكان للقوم في تلك الأيام لهجتان ، لهجة عاميّة وهي الباقية الآن في معلولا وجوارها ( جبعدين وبخعا ) ... 
  292. Rafik Schami (2011년 7월 25일). 《Märchen aus Malula》 (독일어). Carl Hanser Verlag GmbH & Company KG. 151쪽. ISBN 9783446239005. Ich kenne das Dorf nicht, doch gehört habe ich davon. Was ist mit Malula?‹ fragte der festgehaltene Derwisch. >Das letzte Dorf der Aramäer< lachte einer der… 
  293. Yaron Matras; Jeanette Sakel (2007). 《Grammatical Borrowing in Cross-Linguistic Perspective》 (영어). De Gruyter. 185쪽. doi:10.1515/9783110199192. ISBN 9783110199192. The fact that nearly all Arabic loans in Ma'lula originate from the period before the change from the rural dialect to the city dialect of Damascus shows that the contact between the Aramaeans and the Arabs was intimate… 
  294. Dr. Emna Labidi (2022). 《Untersuchungen zum Spracherwerb zweisprachiger Kinder im Aramäerdorf Dschubbadin (Syrien)》 (독일어). LIT. 133쪽. ISBN 9783643152619. Aramäer von Ǧubbˁadīn 
  295. Prof. Dr. Werner Arnold; P. Behnstedt (1993). 《Arabisch-aramäische Sprachbeziehungen im Qalamūn (Syrien)》 (독일어). Harassowitz. 42쪽. ISBN 9783447033268. Die arabischen Dialekte der Aramäer 
  296. Prof. Dr. Werner Arnold; P. Behnstedt (1993). 《Arabisch-aramäische Sprachbeziehungen im Qalamūn (Syrien)》 (독일어). Harassowitz. 5쪽. ISBN 9783447033268. Die Kontakte zwischen den drei Aramäer-dörfern sind nicht besonders stark. 
  297. Prof. Dr. Werner Arnold (2006). 《Lehrbuch des Neuwestaramäischen》 (독일어). Harrassowitz. 133쪽. ISBN 9783447053136. Aramäern in Ma'lūla 
  298. Prof. Dr. Werner Arnold (2006). 《Lehrbuch des Neuwestaramäischen》 (독일어). Harrassowitz. 15쪽. ISBN 9783447053136. Viele Aramäer arbeiten heute in Damaskus, Beirut oder in den Golfstaaten und verbringen nur die Sommermonate im Dorf. 
  299. “Hilfe für das Aramäerdorf Maaloula e.V. | an aid project in Syria”. 
  300. “In the Syrian desert, the language of Jesus lives on” (미국 영어). 《Archdiocese of Baltimore》. 2012년 1월 19일. 2021년 3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3월 16일에 확인함. 
  301. “Syria”. 《U.S. Department of State》. 2019년 12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4월 20일에 확인함. 
  302. “Syria”. 《U.S. Department of State》. 2019년 12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3월 19일에 확인함. 
  303. “Middle East :: Syria — The World Factbook – Central Intelligence Agency”. 《www.cia.gov》. 2021년 1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0월 29일에 확인함. 
  304. Battaglia, Laura Silvia (2025년 6월 4일). “The threat minorities face in Syria” (영국 영어). 《Index on Censorship》. 2025년 6월 17일에 확인함. 
  305. “Carthage, Tunisia: In the footsteps of St Augustine” (영어). 《The Tablet》. 2022년 3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3월 29일에 확인함. 
  306. Angus Maddison (2007년 9월 20일). 《Contours of the World Economy 1–2030 AD:Essays in Macro-Economic History: Essays in Macro-Economic History》. OUP Oxford. 214쪽. ISBN 978-0-19-922721-1. 2013년 1월 26일에 확인함. 
  307. Department Of State. The Office of Electronic Information, Bureau of Public Affairs (2007년 9월 14일). “Tunisia” (영어). 《2001-2009.state.gov》. 2022년 3월 29일에 확인함. 
  308. “Christians in Tunisia: Cause for Concern - Qantara.de” (영어). 《Qantara.de - Dialogue with the Islamic World》. 2013년 10월 9일. 2022년 3월 29일에 확인함. 
  309. “Christian Persecution in Tunisia | Open Doors USA” (미국 영어). 《Open Doors USA》. 2021년 4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6월 30일에 확인함. 
  310. M. Shaw Ph.D, Jeffrey (2019). 《Religion and Contemporary Politics: A Global Encyclopedia [2 volumes]》. ABC-CLIO. 200쪽. ISBN 9781440839337. 
  311. “Religious Composition by Country, 2010–2050”. Pew Research Center. 2015년 4월 2일. 2020년 6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5월 13일에 확인함. 
  312. Martin, Tamcke (2008년 6월 12일). “Christen in der islamischen Welt | APuZ”. 《bpb.de》. 2017년 10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8월 31일에 확인함. 
  313. Khojoyan, Sara (2009년 10월 16일). “Armenian in Istanbul: Diaspora in Turkey welcomes the setting of relations and waits more steps from both countries”. ArmeniaNow.com. 2017년 1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월 5일에 확인함. 
  314. DHA, Daily Sabah with (2019년 1월 10일). “Assyrians community thrives again in southeastern Turkey” (영어). 《Daily Sabah》. 2020년 5월 20일에 확인함. 
  315. The World In one of Turkey's most religiously diverse provinces, close ties with Syria fuel support for Assad regime 보관됨 23 2월 2021 - 웨이백 머신 Retrieved 6 April 2012
  316. “Arabian Christians Massacred” (영어). 《Christianity.com》. 2022년 3월 22일에 확인함. 
  317. “Yemen is number 8 on the World Watch List 2020” (영어). 《www.opendoorsuk.org》. 2022년 3월 22일에 확인함. 

참고 자료

[편집]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