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삼털토끼
보이기
|
| |
|---|---|
아삼털토끼 삽화(1845년) | |
| 생물 분류ℹ️ | |
| 계: | 동물계 |
| 문: | 척삭동물문 |
| 강: | 포유강 |
| 목: | 토끼목 |
| 과: | 토끼과 |
| 속: | 아삼털토끼속 (Caprolagus) Blyth, 1845 |
| 종: | 아삼털토끼 (C. hispidus) |
| 학명 | |
| Caprolagus hispidus | |
| (Pearson), 1839 | |
| 아삼털토끼[1]의 분포 | |
![]() 아삼털토끼의 분포 | |
| 보전상태 | |
아삼털토끼 또는 아삼토끼(Caprolagus hispidus)는 토끼목 토끼과에 속하는 포유류의 일종이다. 히말라야 남쪽 구릉 지대를 따라 이어지는 역사적 분포 지대인 남아시아의 토착종이다. 현재, 아삼털토끼의 서식지는 500km2 이하의 면적에서부터 약 5000~20000km2 이상을 차지하는 지역까지 크게 파편화되어 있다. 개간과 홍수 조절을 위한 치수 사업, 그리고 각종 개발 사업때문에 서식지가 감소함에 따라 개체수가 줄어드는 추세이다.[2]

각주
[편집]- ↑ Hoffman, R.S.; Smith, A.T. (2005). 〈Order Lagomorpha〉 [토끼목] 3판 (영어). Wilson, D.E.; Reeder, D.M (편집).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194–195쪽. ISBN 978-0-8018-8221-0. OCLC 62265494.
- ↑ Maheswaran, G. Smith, A.T. (2011). “Caprolagus hispidus” (영어).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11.1판》. 국제자연보전연맹(IUCN).
- ↑ Blyth, E. (1845). “Description of Caprolagus, a new genus of leporine Mammalia.”. 《Journal of Asiatic Society of Bengal》 14: 247–24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