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일랜드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보이기
| 아일랜드 | |||
|---|---|---|---|
| 별칭 | The Girls in Green | ||
| 협회 | 아일랜드 축구 협회 | ||
| 대륙 연맹 | 유럽 축구 연맹 | ||
| 감독 | |||
| 주장 | 케이티 맥케이브 | ||
| 최다 출전자 | 엠마 번 (134) | ||
| 최다 득점자 | 올리비아 오툴 (54) | ||
| FIFA 코드 | IRL | ||
|
| |||
| FIFA 랭킹 | |||
| 현재 | 32 | ||
| 최고 순위 | 27 (2008년 12월) | ||
| 최저 순위 | 38 (2003년 7월) | ||
| 첫 국제 경기 출전 | |||
(스코틀랜드 그리녹; 1973년 4월 22일) | |||
| 최다 점수차 승리 | |||
(몰타 아타르트; 2003년 10월 22일) (아일랜드 더블린; 2016년 6월 7일) | |||
| 최다 점수차 패배 | |||
(스웨덴 보로스; 1992년 9월 20일) | |||
| FIFA 월드컵 | |||
| 출전 횟수 | 1회 (2023년에 처음 출전) | ||
| 최고 성적 | 조별 리그(2023년) | ||
아일랜드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아일랜드를 대표하는 여자 축구 대표팀으로 1973년 4월 22일 스코틀랜드와의 국제 경기 데뷔전에서 1-10으로 대패했다.
국제 대회 경력
[편집]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A조에서 스웨덴에 이어 조 2위로 플레이오프 2라운드에 직행한 뒤 플레이오프 2라운드에서 스코틀랜드를 격파하며 사상 첫 여자 월드컵 본선행 티켓을 거머쥐었고 아울러 2002년 FIFA 남자 월드컵 본선에 오른 남자대표팀 이후 21년만에 월드컵 본선 진출의 쾌거를 이뤄냈다.
키프로스컵에는 4번 참가하여 이 가운데 콜린 벨 현 대한민국 여자 대표팀 감독이 이끌던 2017년 대회에서 4위에 입상하며 국제 대회 최고 성적을 거두었다.
성적
[편집]FIFA 여자 월드컵
[편집]| FIFA 여자 월드컵 기록 | 지역 예선 기록 | |||||||||||||||
|---|---|---|---|---|---|---|---|---|---|---|---|---|---|---|---|---|
| 년도 | 결과 | GP | W | D* | L | GF | GA | GD | GP | W | D* | L | GF | GA | GD | |
| 지역 예선 탈락 | UEFA 유로 1991 | |||||||||||||||
| 불참 | UEFA 유로 1995 | |||||||||||||||
| 지역 예선 탈락 | 6 | 3 | 1 | 2 | 8 | 4 | +4 | |||||||||
| 6 | 4 | 0 | 2 | 18 | 7 | +11 | ||||||||||
| 8 | 1 | 1 | 6 | 3 | 15 | −12 | ||||||||||
| 8 | 4 | 1 | 3 | 12 | 10 | +2 | ||||||||||
| 10 | 5 | 2 | 3 | 13 | 9 | +4 | ||||||||||
| 8 | 4 | 1 | 3 | 10 | 6 | +4 | ||||||||||
| 조별 리그 | 3 | 0 | 1 | 2 | 1 | 3 | –2 | 9 | 6 | 2 | 1 | 27 | 4 | +23 | ||
| Total | 3 | 0 | 1 | 2 | 1 | 3 | –2 | 55 | 27 | 8 | 20 | 91 | 55 | +36 | ||
- *Draws include knockout matches decided on penalty kicks.
올림픽 축구
[편집]UEFA 유럽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편집]- 1984년~1993년: 예선 탈락
- 1995년: 불참
- 1997년~2022년: 예선 탈락
역대 감독
[편집]| 감독 | 임기 |
|---|---|
| 2017 ~ 2019 |
같이 보기
[편집]| 이 글은 축구단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
| 이 글은 아일랜드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