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폴로 소행성군
보이기
아폴로 소행성군은 1930년대에 독일의 천문학자인 카를 라인무트에 의하여 발견된 1862 아폴로를 따라 근지구 소행성들을 일컫는 용어이다. 아폴로 소행성군 궤도의 장반축은 지구의 장반축보다 크지만 (> 1 AU) 근일점은 지구의 원일점 거리(q<1.017AU)보다 작은 지구 횡단 소행성이다.[1][2]
2018년 현재 10,485개의 아폴로 소행성군이 알려져 있어, 근지구 천체 유형 중에서 가장 큰 유형이고(cf. 아텐 소행성군, 아모르 소행성군 및 아티라 소행성군),[3] 이 중, 1,409개는 소행성 번호가 붙여져 있고(소행성 번호는 두번 이상의 충)에서 관측되어야 붙여진다), 1,648개는 지구 충돌 가능 소행성으로 확인되었다.[4][5]
장반축이 지구와 가까울수록, 더 적은 궤도 이심률에도 궤도 횡단이 발생할 수 있다. 2013년 2월 15일 러시아 남부 우랄지역의 첼랴빈스크 상공에서 폭발하여 파괴된 창유리의 비산으로 1,000여명의 부상자를 발생시킨 첼랴빈스크 유성은 아폴로 소행성군이다.[6][7]
목록
[편집]가장 유명한 아폴로 소행성군은 1866 시시푸스(1866 Sisyphus)로 직경이 약 8.5 km이다. 아폴로 소행성군에는 아래의 것들이 알려져 있다.
| 소행성 명칭 | 연도 | 발견자/최초 관측 위치 (A) | 참조 |
|---|---|---|---|
| 2016 WF9 | 2016 | NEOWISE | MPC |
| 2014 JO25 | 2014 | CSS | MPC |
| 2013 FW13 | 2013 | CSS | MPC |
| 2013 RH74 | 2013 | CSS | MPC |
| 2011 MD | 2011 | LINEAR | MPC(B) |
| 2011 EO40 | 2011 | CSS–Mount Lemmon Survey | MPC |
| 2010 AL30 | 2010 | LINEAR | MPC |
| 2009 WM1 | 2009 | CSS | MPC |
| 2009 DD45 | 2009 | Siding Spring Observatory, Australia | MPC |
| (386454) 2008 XM | 2008 | LINEAR | List |
| 2008 TC3 | 2008 | CSS | MPC |
| 2008 FF5 | 2008 | CSS–Mount Lemmon Survey | MPC |
| 2007 VK184 | 2007 | CSS | MPC |
| 2007 TU24 | 2007 | CSS | MPC |
| 2007 WD5 | 2007 | CSS | MPC |
| 2007 OX | 2007 | CSS–Mount Lemmon Survey | MPC |
| (277810) 2006 FV35 | 2006 | Spacewatch | List |
| (394130) 2006 HY51 | 2006 | LINEAR | List |
| (292220) 2006 SU49 | 2006 | Spacewatch | List |
| (308635) 2005 YU55 | 2005 | R. S. McMillan, Steward Observatory, Kitt Peak, USA | List |
| 2005 WY55 | 2005 | Mount Lemmon Survey | MPC |
| 2005 HC4 | 2005 | LONEOS | MPC |
| 2004 XP14 | 2004 | LINEAR | MPC |
| (374158) 2004 UL | 2004 | LINEAR | List |
| (357439) 2004 BL86 | 2004 | LINEAR | List |
| (444004) 2004 AS1 | 2004 | LINEAR | List |
| 2003 RW11 | 2003 | James Whitney Young | MPC |
| 2003 BV35 | 2003 | James Whitney Young | MPC |
| (89958) 2002 LY45 | 2002 | LINEAR | List |
| (179806) 2002 TD66 | 2002 | LINEAR | List |
| 54509 YORP | 2000 | LINEAR | List |
| 162173 Ryugu | 1999 | LINEAR | |
| (137108) 1999 AN10 | 1999 | LINEAR | List |
| 101955 Bennu | 1999 | LINEAR (Bennu는 OSIRIS-REx 탐사의 목표이다) | List |
| 1998 KY26 | 1998 | Spacewatch | MPC |
| (433953) 1997 XR2 | 1997 | LINEAR | List |
| 65803 Didymos | 1996 | Spacewatch | List |
| 69230 Hermes | 1937 | 카를 라인무트 | List |
| (53319) 1999 JM8 | 1999 | LINEAR | List |
| (52760) 1998 ML14 | 1998 | LINEAR | List |
| (35396) 1997 XF11 | 1997 | Spacewatch | List |
| 25143 Itokawa | 1998 | LINEAR | List |
| (136617) 1994 CC | 1994 | Spacewatch | List |
| (175706) 1996 FG3 | 1996 | R. H. McNaught, Siding Spring Observatory, Australia | List |
| 6489 Golevka | 1991 | 엘리너 F. 헬린 | List |
| 4769 Castalia | 1989 | 엘리너 F. 헬린 | List |
| 4660 Nereus | 1982 | 엘리너 F. 헬린 | List |
| 4581 Asclepius | 1989 | 헨리 E. 홀트, 노먼 G. 토머스 | List |
| 4486 Mithra | 1987 | 에릭 엘스트, 블라디미르 시코르도프 | List |
| 14827 Hypnos | 1986 | 캐럴린 S. 슈메이커, 유진 멀 슈메이커 | List |
| 4197 Morpheus | 1982 | 엘리너 F. 헬린, 유진 멀 슈메이커 | List |
| 4183 Cuno | 1959 | 쿠노 호프마이스터 | List |
| 4179 Toutatis | 1989 | Christian Pollas | List |
| 4015 Wilson–Harrington | 1979 | 엘리너 F. 헬린 | List |
| 3200 Phaethon | 1983 | 사이먼 F. 그린, 존 K. 데이비스 / IRAS | List |
| 2063 Bacchus | 1977 | 찰스 T. 코왈 | List |
| 1866 Sisyphus | 1972 | 파울 빌트 | List |
| 1620 Geographos | 1951 | 앨버트 조지 윌슨, 루돌프 민코프스키 | List |
| (29075) 1950 DA | 1950 | 칼 A. 비르타넨 | List |
| 1566 Icarus | 1949 | 발터 바데 | List |
| 1685 Toro | 1948 | 칼 A. 비르타넨 | List |
| 2101 Adonis | 1936 | 외젠 조제프 델포르트 | List |
| 1862 Apollo | 1932 | 카를 라인무트 | List |
(A) 발견자:
(B) 분류:
| |||
추가 참조
[편집]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Near-Earth Object Groups”. JPL – NASA. 2016년 11월 11일에 확인함.
- ↑ Weisstein, Eric. “Apollo Asteroid”. Wolfram Research. 2013년 2월 27일에 확인함.
- ↑ “NEO Discovery Statistics”. 2017년 4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1월 11일에 확인함.
- ↑ “JPL Small-Body Database Search Engine”. JPL/NASA. 2018년 12월 4일. 2018년 12월 4일에 확인함.
- ↑ “JPL Small-Body Database Search Engine: PHAs and orbital class (APO)”. JPL Solar System Dynamics. 2016년 11월 11일에 확인함.
- ↑ Cantor, Matt (2013년 2월 26일). “Scientists figure out Russia meteor's origin”. 《USA Today》. 2016년 11월 11일에 확인함.
- ↑ Jacob Aron (2013년 2월 26일). “Russian meteor traced to Apollo asteroid family”. 《New Scientist》. 2016년 11월 11일에 확인함.
- ↑ 《The Spacewatch Project》, Arizona Board of Regents,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