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아프가니스탄-투르크메니스탄 관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아프가니스탄-투르크메니스탄 관계
아프가니스탄 및 투르크메니스탄의 위치
아프가니스탄의 국기
아프가니스탄
투르크메니스탄의 국기
투르크메니스탄

아프가니스탄투르크메니스탄의 현대적 국경은 중앙아시아에서 벌어진 대영 제국러시아 제국 간의 그레이트 게임의 산물이다.[1] 그 결과 두 나라는 일정한 문화적 유대 관계를 갖고 있으며, 아프가니스탄에는 약 120만 명의 투르크멘인이 거주하고 있는데[2], 이는 이란과 투르크메니스탄에 이어 세 번째로 큰 투르크멘 인구 규모이다.

아프가니스탄은 자국의 전력 수요의 상당 부분을 충당하기 위해 투르크메니스탄에 의존하고 있다. 현재 아프가니스탄은 매년 3억 2천만 킬로와트시 이상의 전력을 투르크메니스탄에서 수입하고 있다.

투르크메니스탄은 2016년에 아프가니스탄으로 이어지는 주요 철도 연결망을 개통하여 연료 수출을 촉진하였다.[3]

다른 나라들과 마찬가지로, 투르크메니스탄 역시 탈레반 정부인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을 합법적인 정부로 공식 인정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투르크메니스탄은 사실상 탈레반 정부와 외교 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아시가바트 주재 아프가니스탄 대사관에 탈레반이 외교관을 임명하는 것을 허용하였다. 현임 임시대리대사는 2022년 3월에 임명된 파잘 무함마드 사비르이다.[4][5][6]

역사

[편집]

투르크메니스탄과 아프가니스탄 간의 외교 관계 수립에 관한 의정서는 1992년 2월 21일에 체결되었다. 양국의 영토는 사만 왕조, 가즈나 왕조, 티무르 왕조 시기에 통일된 지배 아래에 있었다. 1750년에는 아프간의 통치자 아흐마드 샤 두라니부하라의 통치자 무함마드 무라드 베그 사이에 우호 조약이 체결되었으며, 아무다리야강이 아프가니스탄의 공식적인 경계로 정해졌다. 2007년 7월 11일, 양국 간 2km 길이의 국경 도로가 복원되었다. 복원 비용은 미화 55만 달러에 달했다. 투르크메니스탄 대통령 구르반굴리 베르디무하메도프는 자국이 수년간의 내전으로 피해를 입은 아프가니스탄 경제 재건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7]

2022년 이후, 아프가니스탄의 새 정부 (탈레반)는 아무다리야강에서 물을 끌어오는 대규모 코시 테파 운하 건설 프로젝트를 시행하고 있다. 이 운하는 투르크메니스탄에 공급되는 담수량을 크게 줄일 수 있다.[8]

외교 공관

[편집]

투르크메니스탄의 아프가니스탄 주재 대사관은 카불에 위치해 있으며, 헤라트마자르이샤리프에 영사관이 운영되고 있다.[9] 아시가바트에는 아프가니스탄 대사관이 있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How the British and the Russians Drew the Afghan-Turkmen Border”. 《The Diplomat》. 
  2. “The Ethnic Groups Of Afghanistan” (미국 영어). 《WorldAtlas》. 2019년 9월 10일. 2022년 4월 21일에 확인함. 
  3. “Turkmenistan launches railway to Afghanistan to boost exports”. Reuters. 
  4. “Turkmenistan: Berdymukhamedov passes the mantle (and phone)”. 《Eurasianet》. 2022년 3월 22일. 2022년 4월 6일에 확인함. 
  5.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the Islamic Emirate of Afghanistan (2022년 3월 19일). “Appointed by IEA MFA, Mr. Mohammad Fazel Saber was introduced in a ceremony as chargé d’affaires to his colleagues at the Afghan Embassy in Ashgabat, Turkmenistan, yesterday”. 2022년 4월 6일에 확인함. 
  6. “IEA introduces caretaker ambassador to Turkmenistan”. 《Ariana News》. 2022년 3월 17일. 2022년 4월 6일에 확인함. 
  7. “Afghan rebuild underway — Railway Gazette”. 2015년 7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8월 10일에 확인함. 
  8. “Талибы роют огромный канал для забора воды из Амударьи. Это может привести к дефициту воды в Туркменистане и Узбекистане”. 《Хроника Туркменистана》. 2023년 3월 15일. 2023년 3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3월 27일에 확인함. 
  9. Туркменистан за рубежом 보관됨 2016-03-05 - 웨이백 머신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