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부민
혈청 알부민족 | |||||||||
---|---|---|---|---|---|---|---|---|---|
![]() | |||||||||
식별자 | |||||||||
상징 | Serum_albumin | ||||||||
Pfam | PF00273 | ||||||||
Pfam clan | CL0282 | ||||||||
InterPro | IPR014760 | ||||||||
SMART | SM00103 | ||||||||
PROSITE | PS51438 | ||||||||
SCOP | 1ao6 | ||||||||
SUPERFAMILY | 1ao6 | ||||||||
|
알부민(Albumin)은 구상 단백질의 단백질족이며, 그중 가장 흔한 것은 혈청 알부민이다. 알부민족의 모든 단백질은 물에 녹고, 농축된 염 용액에는 중간 정도 녹으며, 열 변성도 잘 일어난다. 알부민은 보통 혈장에서 발견되며, 글리코실화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다른 혈장 단백질과 다르다. 알부민을 함유하는 물질은 알부미노이드(albuminoids)라고 불린다.
혈청 알부민, 알파태아단백, 비타민 D 결합 단백질, 아파민을 포함한 여러 혈액 운반 단백질이 알부민족과 진화적으로 관련되어 있다.[3][4][5] 이 단백질족은 척추동물에서만 발견된다.[6]
좀 더 광의적인 의미에서 알부민은 특정 조건에서 응고하는 다른 단백질을 가리키기도 한다. 락트알부민, 오브알부민 및 식물 "2S 알부민"에 대해서는 #다른 알부민 유형 문단을 참조하라.
기능
[편집]알부민은 일반적으로 다양한 리간드에 결합하여 운반하는 수송 단백질이다.[6] 인간에게서 볼 수 있는 유형은 다음과 같다.
- 사람 혈청 알부민은 사람 혈장 단백질의 주요 단백질이다. 이는 사람 혈장 단백질의 약 50%를 차지한다. 물, 양이온(Ca2+, Na+, K+ 등), 지방산, 호르몬, 빌리루빈, 티록신(T4) 및 의약품(바르비튜레이트 포함)과 결합한다. 주요 기능으로 혈액의 콜로이드 삼투압을 조절한다.[7] 알부민의 등전점은 4.7이다.[8]
- 알파 태아단백은 다양한 양이온, 지방산 및 빌리루빈과 결합하는 태아 혈장 단백질이다.
- 비타민 D 결합 단백질은 비타민 D와 그 대사 산물, 그리고 지방산과 결합한다.
- 아파민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많지 않다. 지질화된 윈트 단백질과 비타민 E를 운반한다고 추정된다.[9]
- 세포외 기질 단백질 1은 덜 정규적인 알부민이다. 뼈 광물화를 조절한다.
정규적인 네 가지 사람 알부민은 4번 염색체 4q13.3 영역에 직렬로 배열되어 있다.[10]
분류
[편집]동물에서 발견되는 알부민은 계통발생에 따라 6개의 아과로 나눌 수 있다. 비타민 D 결합 단백질은 1~3족을 차지한다. 다른 알부민은 4~6족에 서로 혼합되어 있다. ECM1은 6족에 속한다.[6]
의학적 용도 외에도 혈청 알부민은 생명공학에서 가치가 있다. 일반적으로 소 혈청 알부민이 사용되지만, 동물 학대를 줄이기 위해 사람 및 유전자 변형 벼에서 볼 수 있는 알부민도 사용된다.
다른 알부민 유형
[편집]몇 가지 다른 단백질도 때때로 알부민으로 불린다. 이들은 척추동물 알부민과 같은 족에 속하지는 않는다.
- 오브알부민은 흰자의 저장 단백질이다. 이는 세르핀이다.
- 락트알부민 또는 유청 단백질은 우유의 단백질 분획이다. 이는 주로 베타 락토글로불린이지만, 혈청 알부민도 그 중 작은 부분을 차지한다.
- 삼을 포함한 일부 식물 씨는 "2S 알부민"이 암호화되어 있다. 이들은 달걀과 유사한 응고 특성 때문에 알부민 계열로 명명되었다.[11]
구조
[편집]사람 혈청 알부민의 3D 구조는 X선 결정학으로 2.5 옹스트롬 (250 pm)의 해상도로 결정되었다.[1] 알부민은 65–70 kDa 단백질이다.
알부민은 심장 모양의 단백질을 형성하는 세 개의 상동 도메인으로 구성된다.[2] 각 도메인은 공통 구조로 발현이 되는 두 개의 하위 도메인의 산물이다.[2] 사람 혈청 알부민에 리간드가 결합하는 주요 영역은 IIA 및 IIIA 하위 도메인의 소수성 공동에 있으며 이들은 유사한 화학적 특성을 보인다. 구조적으로 혈청 알부민은 유사하며, 각 도메인은 5개 또는 6개의 내부 이황화 결합을 가지고 있다.
법의학적 검출
[편집]전 세계적으로 특정 중의학 약재에는 야생 곰 담즙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는 CITES 법규에 따라 금지되어 있다. 전통 의약품에서 곰 알부민의 존재를 감지하기 위해 일반적인 임신 테스트기와 유사한 딥 스틱을 개발했으며, 이 테스터기에서 양성 반응이 나오면 곰 담즙이 약재 제조에 사용되었음을 나타낸다.[12]
어원
[편집]알부민은 /ˈælbjʊmɪn/으로 발음되며, 라틴어의 albumen[13]("흰자")에서 유래했고 이는 다시 라틴어의 albus(흰색)에서 파생되었다.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이 문서는 현재 퍼블릭 도메인에 속하는 Pfam 및 InterPro: IPR014760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 가 나 Sugio S, Kashima A, Mochizuki S, Noda M, Kobayashi K (June 1999). 《Crystal structure of human serum albumin at 2.5 A resolution》. 《Protein Engineering》 12. 439–46쪽. doi:10.1093/protein/12.6.439. PMID 10388840.
- ↑ 가 나 다 He XM, Carter DC (July 1992). 《Atomic structure and chemistry of human serum albumin》. 《Nature》 358. 209–15쪽. Bibcode:1992Natur.358..209H. doi:10.1038/358209a0. PMID 1630489. S2CID 4353741.
- ↑ Haefliger DN, Moskaitis JE, Schoenberg DR, Wahli W (October 1989). 《Amphibian albumins as members of the albumin, alpha-fetoprotein, vitamin D-binding protein multigene family》. 《Journal of Molecular Evolution》 29. 344–54쪽. Bibcode:1989JMolE..29..344H. doi:10.1007/BF02103621. PMID 2481749. S2CID 1456034.
- ↑ Schoentgen F, Metz-Boutigue MH, Jollès J, Constans J, Jollès P (June 1986). 《Complete amino acid sequence of human vitamin D-binding protein (group-specific component): evidence of a three-fold internal homology as in serum albumin and alpha-fetoprotein》. 《Biochimica et Biophysica Acta (BBA) - Protein Structure and Molecular Enzymology》 871. 189–98쪽. doi:10.1016/0167-4838(86)90173-1. PMID 2423133.
- ↑ Lichenstein HS, Lyons DE, Wurfel MM, Johnson DA, McGinley MD, Leidli JC, Trollinger DB, Mayer JP, Wright SD, Zukowski MM (July 1994). 《Afamin is a new member of the albumin, alpha-fetoprotein, and vitamin D-binding protein gene family》.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69. 18149–54쪽. doi:10.1016/S0021-9258(17)32429-8. PMID 7517938.
- ↑ 가 나 다 Li S, Cao Y, Geng F (2017). 《Genome-Wide Identification and Comparative Analysis of Albumin Family in Vertebrates》. 《Evolutionary Bioinformatics Online》 13. 1176934317716089쪽. doi:10.1177/1176934317716089. PMC 5480655. PMID 28680266.
- ↑ Farrugia A (January 2010). 《Albumin usage in clinical medicine: tradition or therapeutic?》. 《Transfusion Medicine Reviews》 24. 53–63쪽. doi:10.1016/j.tmrv.2009.09.005. PMID 19962575.
- ↑ “Product Information data sheet” (PDF). Sigma Aldrich.
- ↑ Mihara E, Hirai H, Yamamoto H, Tamura-Kawakami K, Matano M, Kikuchi A, Sato T, Takagi J (February 2016). 《Active and water-soluble form of lipidated Wnt protein is maintained by a serum glycoprotein afamin/α-albumin》. 《eLife》 5. doi:10.7554/eLife.11621. PMC 4775226. PMID 26902720.
- ↑ Nishio H, Heiskanen M, Palotie A, Bélanger L, Dugaiczyk A (May 1996). 《Tandem arrangement of the human serum albumin multigene family in the sub-centromeric region of 4q: evolution and chromosomal direction of transcription》. 《Journal of Molecular Biology》 259. 113–9쪽. doi:10.1006/jmbi.1996.0306. PMID 8648639.
- ↑ Shewry PR, Pandya MJ (1999). 〈The 2S Albumin Storage Proteins〉. 《Seed Proteins》. Springer Netherlands. 563–586쪽. doi:10.1007/978-94-011-4431-5_24. ISBN 978-94-011-4431-5.
- ↑ Peppin L, McEwing R, Webster S, Rogers A, Nicholls D, Ogden R (September 2008). 《Development of a field test for the detection of illegal bear products》 (PDF). 《Endangered Species Research》 9. 263–70쪽. doi:10.3354/esr00131.
- ↑ Bostock, John. 〈Pliny the Elder, The Natural History〉. 《Historia Naturalis 28, 6,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