액세스 리눅스 플랫폼
액세스 리눅스 플랫폼(Access Linux Platform, ALP)은 한때 "차세대 팜 OS 버전"으로 불리던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기반의 운영체제로, 일본 도쿄의 액세스에서 모바일 장치용으로 개발하고 판매했던 제품이다. 이 플랫폼에는 자바, 클래식 팜 OS, GTK+ 기반의 네이티브 리눅스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실행 환경이 포함되어 있었다. ALP는 3GSM[1], 리눅스월드[2], GUADEC, Open Source in Mobile을 비롯한 다양한 컨퍼런스에서 장치에 시연되었다[3].
ALP는 2006년 2월에 처음 발표되었다.[4] 플랫폼과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의 초기 버전은 2007년 2월에 공식적으로 출시되었다.[5] 액세스, Esteemo, NEC, NTT 도코모, 파나소닉은 LiMo 재단의 사양을 준수하는 i.mode Mobile Oriented Applications Platform (MOAP) (L) 응용 프로그램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API)의 수정된 버전을 구현하는 공유 플랫폼의 기반으로 이 플랫폼을 사용하기 위한 공동 노력을 기울였다. ALP를 사용하는 최초의 스마트폰은 2009년 중반에 출시될 예정이었던 Emblaze Mobile의 Edelweiss였다.[6][7] 그러나 출시 전에 보류되었다.[8] Emblaze Mobile과 7개의 다른 파트너와 협력하여 샤프에서 개발 중이던 First Else (Monolith에서 이름이 변경됨[9]) 스마트폰은 2009년으로 예정되었지만, 출시되지 않았고 2010년 6월에 공식적으로 취소되었다.[10][11] 이 플랫폼은 더 이상 Access 웹사이트에서 참조되지 않지만[12], 파나소닉과 NEC는 2010년에서 2013년 사이에 일본 시장에 여러 ALP 폰을 출시했다.
외관 및 느낌
[편집]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초기 팜 OS 릴리스와 유사한 일반적인 목표를 가지고 설계되었으며, 가능한 한 애플리케이션을 단순하게 만드는 데 중점을 둔 디자인 철학인 팜의 선(Zen of Palm)을 보존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13] 인터페이스의 다른 측면에는 데스크톱 시스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파일/문서 지향 대신 작업 기반 지향이 포함되었다.
플랫폼의 외관[14]은 특정 장치 및 상황에 따라 차별화를 제공하기 위해 고도로 사용자 정의할 수 있도록 의도되었다.
마지막 릴리스에서는 제스처 지원과 함께 훨씬 더 현대적인 모양을 지향했으며, 더 이상 팜 OS와 가깝지 않았다.
기본 프레임워크
[편집]노키아의 인터넷 태블릿 프레임워크인 마에모와 유사하게, ALP는 GTK+ 및 GStreamer 프레임워크를 포함하여 그놈 프로젝트에서 가져온 구성 요소를 기반으로 했다. 다른 다양한 핵심 구성 요소는 BlueZ, 매치박스, cramfs 등을 포함한 주류 오픈 소스 프로젝트에서 가져왔다. 이러한 구성 요소는 GNU 일반 공중 사용 허가서 (GPL), GNU 약소 일반 공중 사용 허가서 (LGPL) 및 기타 오픈 소스 라이선스에 따라 라이선스가 부여되었으며, 이는 ALP가 소프트웨어 수준에서 자유롭거나 개방적인 환경이었음을 의미한다.
ALP의 여러 구성 요소는 The Hiker Project로 모질라 공용 허가서에 따라 출시되었다.[15][16] 이 구성 요소들은 애플리케이션 수명 주기, 태스크 간 통신, 구조화된 데이터 교환 및 사용, 보안, 시간 및 이벤트 기반 알림, 그리고 모바일 장치용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공통적인 기타 영역의 문제를 해결했다.
애플리케이션 개발
[편집]ALP는 POSIX 및 리눅스 기본 규격 (LSB) 표준에서 정의한 대로 대부분의 일반적인 작업에 대한 표준 API를 제공했다. 그러나 두 표준 모두 전화 통신, 장치 사용자 정의, 메시징 또는 기타 여러 주제를 다루지 않으므로 액세스에서 해당 기능에 대한 여러 다른 프레임워크 및 API를 정의했다.
ALP용 애플리케이션은 C 또는 C++로 리눅스 네이티브 코드, 레거시 팜 OS 애플리케이션 (Garnet VM 에뮬레이션 환경에서 실행됨), 또는 자바로 개발할 수 있었다. 애플리케이션 관리자 (Hiker 프레임워크의 일부)가 사용하는 런치패드 개발을 통해 추가 실행 환경이 지원되었다.
ALP SDK는 이전 Palm OS 개발 환경과 마찬가지로 추가 플러그인이 있는 이클립스 기반의 통합 개발 환경 (IDE)을 사용했다. 사용된 컴파일러는 내장형 응용 프로그램 이진 인터페이스 (EABI)를 지원하는 ARM 버전의 표준 GNU 컴파일러 모음 (GCC) 도구 체인이었다.
보안
[편집]ALP는 사용자 공간 정책 기반 보안 프레임워크와 커널 공간 리눅스 보안 모듈을 조합하여 세밀한 액세스 제어를 구현했다. ALP 보안 구현을 위한 구성 요소는 Hiker 프레임워크의 일부로 출시되었다. 제어는 서명 및 인증서를 기반으로 하며, 서명되지 않은 애플리케이션은 미리 정의된 안전한 API 집합에 대한 액세스를 허용할 수 있었다.
장치
[편집]ALP를 탑재한 파나소닉 휴대폰:
ALP를 탑재한 NEC 휴대폰:
- N-01B,
- N-01C,
- N-01E,
- N-01F,
- N-01G,
- N-02C,
- N-02D,
- N-03D,
- N-04B,
- N-05B,
- N-05C,
- N-06B,
- N-07B,
- N-07E,
- N-08B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Access Linux Platform on Display at 3GSM”. 《Engadget》. February 12, 2007. December 6, 2012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Access Linux Platform at LinuxWorld SF”. 《Palminfocenter.com》. August 20, 2006. February 9, 2014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Reference design targets Linux mobile phones”. 《Linuxdevices.com\date= August 7, 2007》. 2009년 3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Access and PalmSource Announce the Access Linux Platform”. 《Access/PalmSource press release》. February 14, 2006. September 1, 2013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Access Releases Access Linux Platform PDK and SDK to Licensees and Developers”. 《Access press release》. February 12, 2007. September 1, 2013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Edelweiss”. 《Edelweiss-mobile.com》. 2009년 10월 20일에 확인함.
- ↑ Kairer, Ryan (2008년 10월 13일). “Review of the Edelweiss mobile phone at Palm Infocenter”. 《Palminfocenter.com》. 2013년 10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10월 20일에 확인함.
- ↑ Keilhack, Kris (2009년 9월 19일). “ALP-powered Emblaze Edelweiss shelved in favor of Monolith?”. 《PalmInfocenter》.
- ↑ “The First Else (aka The Monolith)”. 2013년 12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The Monolith Project”. Emblaze Mobile. 2011년 3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10월 20일에 확인함.
- ↑ Ricker, Thomas (2010년 6월 30일). “RIP: Emblaze kills First Else”. Engadget. 2013년 12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Access”. 2014년 7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8월 10일에 확인함.
- ↑ “Zen of Palm”. Accessdevnet.com. 2003년 6월 13일. 2013년 3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10월 20일에 확인함.
- ↑ New Access Linux Platform Screenshots, Mobilelinuxinfo.com, August 9, 2007. 보관됨 1월 4, 2011 - 웨이백 머신
- ↑ “Framework aims to commercialize mobile Linux apps”. 2009년 6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Linuxdevices.com, December 22, 2006.
- ↑ Access Releases Hiker Application Framework to Open Source Community, 액세스 보도자료, December 12, 2006. 보관됨 2월 5, 2012 - 웨이백 머신
외부 링크
[편집]- “Archive of Official website”. November 2, 2011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11월 2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