앨리스터 맥그래스
앨리스터 맥그래스 Alister McGrath | |
---|---|
![]() | |
로마자 표기 | Alister McGrath |
출생 | 1953년 1월 23일 북아일랜드 |
성별 | 남성 |
직업 | 성공회 사제, 신학자 |
종교 | 성공회 |
앨리스터 맥그래스(Alister McGrath, 1953년 1월 23일~)는 북아일랜드의 성공회 사제이자 기독교의 신학자이다.[1] 알리스터 맥그래스라고도 한다. 영국에서 조직신학과 역사신학, 과학과 종교의 관계, 변증학 분야에서 많은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 대표적으로 종교개혁 사상과 하느님의 칭의가 잘 알려진 저서이다.
경력
[편집]학력
[편집]북아일랜드 밸파스트 태생으로 22세에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분자생물학 박사학위를 받았고 같은 학교에서 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역사신학을 가르쳤으며, 2005년부터 성공회 신학교인 옥스퍼드 대학교 위클리프 홀(Wycliffe Hall)에서 학장으로 일하다가 은퇴하였다.[2] 은퇴 후, 2008년 9월에는 런던대학교 킹스칼리지(King's College London)의 CTRC(Centre for Theology, Religion & Church) 학장으로 자리를 옮겨 사회, 종교, 과학 그리고 교회에 대한 문제를 집중적으로 연구하고 있다.
복음으로의 회심
[편집]앨리스터 맥그래스 신부는 자연과학을 공부하기 위해 옥스퍼드 대학교에 들어갔지만, 대학교에서 사귄 기독교인 친구들의 삶에 감화를 받았다. 그는 성공회 사제 마이클 그린 신부와 같은 복음주의 지도자들의 강연에 나가기 시작했는데, 이를 계기로 생각이 바뀌었다. 전도유망한 과학자의 삶을 버리고 신학을 공부하게 되었으며, 복음이 답이라는 깨달음으로 복음주의자가 되었다.
저서
[편집]저서로 "도킨스의 망상 - 만들어진 신이 외면한 진리"(앨리스터 맥그래스 신부와 사모가 같이 쓴 책, 살림), "내 평생에 가는 길"(복있는 사람,복음서의 주제인 하느님 나라에 대해 쓴 책.), "복음주의와 기독교의 미래"(한국 장로교 출판사), "회의에서 확신으로", "신학의 역사"(지와 사랑,교회사 입문서이다.고대교회부터 현대교회까지 다루고 있으며, 복음주의 신학, 해방신학등 다양한 기독교 전통들을 간략히 소개한다.), "십자가로 돌아가라", "예수님을 경험하는 영성훈련", "기독교 영성 베이직"(대한기독교서회,영성 입문서, 기독교 신앙을 시각적으로 설명하는 십자고상 등을 통한 영성수련을 말하고 있다.), "기독교, 그 위험한 사상의 역사"(국제제자훈련원) 등이 있다.
신학 방법의 특징
[편집]1. 개혁신학적 전통에 근거
- 성경 중심, 개혁신학의 신학적 원리와 교리 체계를 기반으로 연구
- 칼빈주의 전통에서 교리적 체계와 성경 해석의 일치를 강조
2. 역사적·비판적 접근
- 신학을 단순 교리 암기나 논리적 체계가 아닌 역사적 발전과 맥락 속에서 이해
- 신학사 연구를 통해 다양한 신학 사상과 전통을 비판적·통합적으로 분석
3. 과학과 신학의 대화
- 현대 과학과 신학 사이의 상호보완적 관계를 모색
- 『The Twilight of Atheism』, 『The Big Question』 등에서 신앙과 과학, 무신론 논쟁을 다룸
4. 비판적·실천적 방법론
- 신학적 문제를 지적 분석, 역사적 이해, 신앙적 적용이라는 삼중적 관점에서 접근
- 단순한 학문적 논의에 그치지 않고, 실천적 신앙과 교회적 삶과 연결
5. 학제적 통합
- 조직신학, 역사신학, 철학, 과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를 통합하여 연구
- 이를 통해 신학적 문제를 다층적으로 분석하고, 현대 사회와 문화에 적용
6. 신학방법관련 연구 저서들
- The Foundations of Christian Faith (1996) – 조직신학 체계와 방법론
- Christian Theology: An Introduction (1995, 5판) – 조직신학과 신학적 분석 방법
- The Big Question (2007) – 신학과 과학, 믿음과 이성의 대화
- The Twilight of Atheism (2004) – 무신론과 현대 복음주의적 대응
한국방문
[편집]2008년5월 19일 성공회대학교 피츠버그 홀에서 '리처드 도킨스의 과학적 무신론(만들어진 신)에 대한 신학적 응답'을 주제로 공개강좌를 한 바 있다.[3] 또한 같은 해인 2008년 5월 20일 서울신학대학교 성봉기념관에서 '만들어진 신'에 대한 신학적 응전-과학과 종교의 대화-를 주제로 강의하였다.[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