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에르메투 파스코아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에르메투 파스코아우
Hermeto Pascoal
에르메투 파스코아우 (2016년)
기본 정보
본명Hermeto Pascoal
출생1936년 6월 22일(1936-06-22)
브라질 알라고아스주 라고아다카노아
사망2025년 9월 13일(2025-09-13)(89세)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성별남성
국적브라질
직업음악가, 작곡가
장르브라질 음악, 재즈
활동 시기1950년~2025년
악기피아노, 기타, 색소폰, 플루트, 반도네온, 멜로디카

에르메투 파스코아우(브라질 포르투갈어: Hermeto Pascoal, 1936년 6월 22일~2025년 9월 13일)는 브라질의 작곡가이자 멀티 악기 연주자이다. 브라질 알라고아스주 라고아다카노아 출신인 파스코아우는 조율과 즉흥 연주 능력으로 잘 알려진 브라질 음악사에서 사랑 받는 인물이고, 많은 다른 브라질과 국제 앨범의 제작자이자 기고가이기도 하다.[1][2]

생애

[편집]

인생 및 직업

[편집]
1978년 부에노스아이레스의 파스코아우

브라질 북동부 출신으로, 그가 태어날 당시 그 지역에는 전기가 보급되지 않았다. 그는 아버지에게서 아코디언을 배웠으며, 선천적으로 알비노로 태어나 가족과 함께 농사일을 할 수 없었기에 실내에서 수 시간씩 연습에 몰두하였다.

어린 시절부터 그는 상포나(sanfona, 단추 아코디언)를 연주하였고, 여덟 살 무렵에는 플루트를 배우기 시작하였다. 파스콸은 독학으로 기량을 쌓은 영재였으며, 열한 살에 이르러서는 형 조제 네투 파스콸(José Neto Pascoal)과 아버지 파스콸 조제 다 코스타(Pascoal José da Costa)와 함께 음악 단체에서 연주하기 시작하였다. 1950년 그는 가족과 함께 헤시피로 이주하였고, 그곳에서 여러 음악 그룹에서 활동하며 라디오 방송에 출연하기 시작하였다. 1960년 무렵에는 색소폰을 익히고, 소음 콰트로(Som Quatro)라는 그룹을 결성하였다.

그의 본격적인 음악 경력은 1964년 여러 브라질 음반에 비교적 무명 그룹과 함께 출연하면서 시작되었다. 이 시기의 음반들과 에두 로보, 리스 헤지나, 세자르 카마르구 마리아누와 같은 음악가들과의 협업은 보사노바 이후의 브라질 재즈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며 큰 영향을 끼쳤다.

1966년에는 아이르토 모레이라, 움베르토 클라이베르와 함께 삼브라사 트리오(Sambrasa Trio)에서 활동하며 Em Som Maior라는 단 한 장의 앨범을 발매하였다. 이어 그는 아이르토 모레이라, 헤랄두 두 몬치, 테오 지 바호스를 멤버로 한 트리오 노보(Trio Novo)에 합류하였고, 이 그룹은 1967년 콰르테토 노보(Quarteto Novo)로 개명하며 앨범을 발표하였다. 이 작품은 파스콸과 모레이라의 음악 경력을 본격적으로 열어젖히는 계기가 되었다. 이후 파스콸은 다채로운 구성의 그룹 브라질리언 옥토퍼스(Brazilian Octopus)에 참여하였다.

국제적인 명성

[편집]

1971년 마일스 데이비스의 앨범 Live-Evil에 참여하여 국제적인 대중의 주목을 처음으로 받았다. 그는 이 앨범에서 세 곡에 출연했으며, 그 곡들을 직접 작곡하기도 하였다. 데이비스는 그를 두고 “세계에서 가장 인상적인 음악가”라고 칭했다고 전해진다. 이후 그는 브라질 출신 음악가인 아이르토 모레이라와 플로라 푸림 등과도 협업하였다. 1970년대 후반부터는 주로 자신의 그룹을 이끌며 활동하였고, 1979년 몽트뢰 재즈 페스티벌과 같은 권위 있는 무대에서 연주하였다. 그의 그룹에는 베이시스트 이치베레 즈와르그, 피아니스트 조비노 산토스-네토, 그리고 네네, 페르남부쿠, 자벨레 등의 퍼커셔니스트가 참여하였다.

브루수(o Bruxo, 마법사)라는 별명으로 불린 파스콸은 찻주전자, 어린이 장난감, 동물뿐 아니라 키보드, 단추 아코디언, 멜로디카, 색소폰, 기타, 플루트, 목소리, 다양한 관악기와 민속 악기 등 비전통적이고 다채로운 매체를 활용하여 음악을 창조하였다. 그는 또한 자연을 작곡의 기반으로 삼기도 했는데, 예컨대 〈Música da Lagoa〉에서는 연주자들이 연못 속에 들어가 물을 흘려보내거나 유리병과 플루트를 연주하며, 파스콸은 물속에 컵을 담근 채 노래하는 방식으로 솔로를 펼쳤다. 브라질 농촌의 민속 음악 역시 그의 작품에 중요한 영향을 끼쳤다.

1996년에서 1997년 사이 그는 Calendário do Som이라는 책을 집필했는데, 이 책에는 해마다 2월 29일을 포함하여 1년 365일, 즉 모든 날에 해당하는 곡이 수록되어 있어, 누구나 자신의 생일에 해당하는 곡을 갖게끔 하였다.

이후 그는 리우데자네이루의 방구 지역 자부르로 돌아와 시간을 보내며 작곡과 리허설에 몰두했고, 전 세계에서 온 음악가들을 맞이하며 교류하였다.

2019년에는 그의 앨범 Hermeto Pascoal e Sua Visão Original do Forró가 라틴 그래미상 포르투갈어 루츠 음악 부문 최우수 앨범상을 수상하였다.

개인사 및 죽음

[편집]

1954년부터 2000년 그녀가 세상을 떠날 때까지 일자 다 시우바(Ilza da Silva)와 결혼 생활을 이어갔으며, 아내에게 헌정한 작품도 다수 남겼다. 슬하에는 여섯 명의 자녀 ― 조르지, 파비우, 플라비아, 파치마, 파비울라, 플라비우가 있었고, 손자손녀들도 두었다. 이후 그는 브라질 파라나 주 쿠리치바에 거주하던 시기인 2003년부터 2016년까지 알리네 모레나(Aline Morena)와 재혼하였다.

2025년 9월 13일 리우데자네이루에서 다발성 장기부전으로 향년 89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음반 목록

[편집]

리더 또는 멤버로 활동

[편집]
  • 1961: Conjunto Som 4 (with Conjunto Som 4)
  • 1966: Em Som Maior (with Sambrasa Trio)
  • 1967: Quarteto Novo (with Quarteto Novo)
  • 1969: Brazilian Octopus (with Brazilian Octopus)
  • 1970: Hermeto Pascoal (solo debut, reissued on CD as Brazilian Adventure)(featuring Googie Coppola)
  • 1973: A música livre de Hermeto Pascoal
  • 1976: Slaves Mass
  • 1977: Trindade
  • 1979: Zabumbê-bum-á
  • 1979: Ao vivo Montreux Jazz Festival
  • 1979: Nova história da Música Popular Brasileira (compilation)
  • 1980: Cérebro magnético
  • 1982: Hermeto Pascoal & Grupo (reissued by Westwind Germany on CD as The Legendary Improviser. The reissue appears to be a copy from vinyl.)
  • 1984: Lagoa da Canoa, Município de Arapiraca
  • 1986: Brasil Universo
  • 1987: Só não toca quem não quer
  • 1988: Hermeto solo: por diferentes caminhos
  • 1992: Festa dos deuses
  • 1993: Instrumental no CCBB (with Renato Borghetti)
  • 1998: Música!: o melhor da música de Hermeto Pascoal (compilation)
  • 1999: Eu e eles
  • 2002: Mundo verde esperança
  • 2006: Chimarrão com rapadura (with Aline Morena)
  • 2010: Bodas de Latão (with Aline Morena)
  • 2013: Hermeto Pascoal: The Monash Sessions
  • 2017: No Mundo dos Sons
  • 2017: Viajando com o som (recorded in 1976)
  • 2017: Natureza Universal

기고가

[편집]

각주

[편집]
  1. “Hermeto Pascoal Discography - Slipcue.com Brazilian Music Guide”. 
  2. Neder, Alvaro. [(영어) https://www.allmusic.com/artist/p112663/biography “Hermeto Pascoal”] |url= 값 확인 필요 (도움말). AllMusic. 2011년 10월 22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