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밀리오 베도바
|
Emilio Vedova | |
|---|---|
|
신상정보
| |
| 출생 | 1919년 8월 9일 이탈리아 왕국, 베네치아 |
| 사망 | 2006년 10월 25일(87세) 이탈리아, 베네치아 |
| 직업 | 화가 |
| 국적 | |
| 성별 | 남성 |
| 배우자 | 안나비앙카(Annabianca) |
|
주요 작품
| |
|
영향
| |
| 묘비 | |
| 묘소 | 베네치아, 산미켈레 묘지 |
에밀리오 베도바(Emilio Vedova, 1919년 8월 9일~2006년 10월 25일)는 이탈리아의 현대 화가로,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이탈리아 미술계에 등장한 가장 중요한 예술가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초기 생애
[편집]베도바는 이탈리아 베네치아에서 노동자 계층 가정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장인정신은 집을 도색하는 일을 했던 아버지로부터 이어졌다. 그는 일곱 남매 중 셋째였으며, 어린 시절부터 주로 공장에서 일했다. 이후 사진 및 복원 스튜디오에서 일하게 되었다.
경력
[편집]그는 몇 차례의 야간 강좌를 들은 것을 제외하면 거의 독학으로 그림을 배웠다.[1] 초기에는 표현주의의 영향을 받았으며, 제2차 세계대전 중에는 레나토 구투소, 레나토 비롤리 등과 함께 쿠랑트 그룹(1942~1943)에 참여했다. 그는 이 시기의 경험을 그림 속에 담았다. 또한 전쟁 중에는 이탈리아 레시스텐자 운동에도 참여했다. 전쟁 말기에 베도바는 베네치아로 돌아와, 유럽 아방가르드와 연결된 전후 이탈리아 미술 운동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의 작품은 점차 추상적인 형태로 발전했으며, 기하학적 형태와 색채를 통해 시대의 불안과 긴장을 표현했다. 1946년에는 여러 이탈리아 예술가들과 함께 ‘게르니카를 넘어서(Beyond Guernica)’ 선언문에 서명했고, 1947년에는 예술 단체 ‘프론테 누오보 델레 아르티(Fronte Nuovo delle Arti)’를 설립했다.
1951년 베도바는 뉴욕의 캐서린 비비아노 갤러리(Catherine Viviano Gallery)에서 미국 첫 개인전을 열었으며, 이 전시를 계기로 페기 구겐하임과 같은 유명 컬렉터들의 관심을 받게 되었다. 1952년에는 미술 비평가 리오넬로 벤투리(Lionello Venturi)가 조직한 아방가르드 그룹 ‘그루포 델리 오토(Gruppo degli Otto)’의 일원이 되었고(멤버: 아프로, 비롤리, 코르포라, 산토마소, 모를로티, 베도바, 모레니, 투르카토 등), 이 그룹은 베네치아 비엔날레에서 전시를 열었다. 이 전시는 훗날 ‘아르테 인포르말레(Arte Informale)’로 알려진 미술 운동의 시작으로 평가된다. 그의 작품은 이후 ‘아르테 포베라(Arte Povera)’ 그룹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2]
그는 작곡가 루이지 노노와도 긴밀히 협력하여, 오페라 《인톨레란차 1960》의 무대와 의상을 디자인했다. 1984년에는 라 페니체 극장에서 공연된 노노의 오페라 《프로메테오》를 위해 독창적인 조명 디자인을 선보였다. 당시 그의 친구 렌초 피아노가 무대 디자인을 맡았다. 노노는 자신의 첫 마그네틱 테이프 작품인 ‘에밀리오 베도바에게 바치는 헌정(Omaggio a Emilio Vedova, 1960)’을 베도바에게 헌정했다.
베도바는 로마의 국립현대미술관(Galleria Nazionale d'Arte Moderna)과 베네치아의 페기 구겐하임 컬렉션 등 여러 갤러리와 미술관에서 전시를 열었다.[3] 그의 작품은 경매에서도 높은 평가를 받았다.
그는 생애 대부분을 베네치아에서 보내며 베네치아 미술아카데미(Accademia di Belle Arti)에서 교수로 재직했다.
수상 경력
[편집]베도바는 여러 상과 개인전을 통해 예술적 업적을 인정받았다.
- 1951년 제1회 상파울루 비엔날레에서 젊은 화가상을 수상했다.
- 1956년 구겐하임 국제상을 받았다.
- 1960년 베네치아 비엔날레에서는 회화 부문 대상을 수상했다.
각주
[편집]- ↑ Masters, Christopher (2006년 11월 27일). “Emilio Vedova Obituary”. 《The Guardian》. 2013년 3월 23일에 확인함.
- ↑ [s.n.] (20 November 2006). Emilio Vedova (obituary). The Telegraph. Accessed July 2013.
- ↑ Alain Chivilò (2008). Vedova Emilio. eugeniodavenezia.eu. Accessed July 2013.
외부 링크
[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에밀리오 베도바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Fondazione Emilio e Annabianca Vedov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