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이스트릴리가
| 메이스트릴리가 A. Le Coq Premium Liiga | |
|---|---|
| 대륙 | UEFA |
| 국가 | |
| 리그 등급 | 1 |
| 참가 구단 수 | 10 |
| 하위 리그 | 에실리가 |
| 대륙 대회 | UEFA 챔피언스리그 UEFA 컨퍼런스리그 |
| 국내 대회 | 에스토니아컵 에스토니아 슈퍼컵 |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 역사 | |
| 설립 | 1992년 |
| 최다 우승 | FC 플로라 (16회) |
| 최근 우승 | FC 플로라 (16회) (2025) |
| 최다 출전자 | 안드레 프롤로브 (521) |
| 최다 득점자 | 막심 그루즈노프 (304) |
메이스트릴리가(Meistriliiga)는 에스토니아 축구 협회에서 주관하는 에스토니아의 최고 축구 리그로 아마추어팀의 참가를 허용하는 세미 프로 리그이다. 메이스트릴리가는 1992년에 시작되어 2020년에 30번째 시즌을 치뤘다.
2013년 2월에 에스토니아 양조회사인 어 레 코크 (A. Le Coq)가 에스토니아 축구 협회와 메이스트릴리가의 명명권을 포함한 스폰서 계약을 맺으면서 현재까지 어 레 코크 프리미움 리가 (A. Le Coq (에스토니아어: ˈɑ.le ˈkokˑ) Primium Liiga)로 부르고 있다.
겨울의 추운 날씨를 가지고 있는 대부분의 국가와 같이 에스토니아 역시 시즌이 3월에 시작하여 11월에 끝나게 된다. 10개 팀은 각각 네번씩 경기를 하여 총 36라운드의 경기를 하게 된다. 리그 최하위 팀은 강등되고 2부 리그인 에실리가 1위팀은 승격하게 된다. 그리고 9위팀과 에실리가 2위팀간에 승강 플레이오프를 펼쳐 마지막 잔류 및 승격을 결정하게 된다. 만약 에실리가 1위팀이 메이스트릴리가 참가팀의 2군팀이라면 다음 순위의 팀이 승격하게 된다. 만약 1위부터 5위까지 2군팀이라면 승격의 기회는 6위팀에게 주어지고 플레이오프는 7위팀이 하게 된다.
리그 우승 팀은 UEFA 챔피언스리그 1차 예선에 진출하게 되고, 2위 및 3위팀과 에스토니아 컵 우승 팀은 UEFA 컨퍼런스리그 1차 예선 진출권을 얻는다.
참가팀
[편집]|
2025 시즌 탈린 연고팀의 위치
|
| 구단명 | 순위 (2024) |
첫 참가 시즌 | 참가 시즌 수 | 최근 승격 시즌 | 최근 연속 참가 시즌 수 |
우승 횟수 | 최근 우승 연도 |
|---|---|---|---|---|---|---|---|
| FCI 레바디아c | 1위 | 1999 | 27 | 1999 | 27 | 11 | 2024 |
| 플로라a, b, c | 4위 | 1992 | 35 | 1992 | 35 | 15 | 2023 |
| 쿠레사레 | 8위 | 2000 | 18 | 2018 | 8 | 0 | – |
| 나르바 트란스a, b, c | 6위 | 1992 | 35 | 1992 | 35 | 0 | – |
| 넘메 칼리우c | 2위 | 2008 | 18 | 2008 | 18 | 2 | 2018 |
| 파이데 린나메스콘드c | 3위 | 2009 | 17 | 2009 | 17 | 0 | – |
| 탈린나 칼레브 | 9위 | 2007 | 13 | 2022 | 4 | 0 | – |
| 탐메카c | 5위 | 2005 | 21 | 2005 | 21 | 0 | – |
| 바프루스 | 7위 | 2006 | 10 | 2021 | 5 | 0 | – |
| 하리우 | 1위 (2부) | 2023 | 2 | 2025 | 1 | 0 | – |
a = 메이스트릴리가 창단 멤버
b = 모든 시즌 참가 구단
c = 한번도 강등된 적 없는 구단
역대 우승 팀
[편집]연도별 우승팀
[편집]| 메이스트릴리가 | |
| 시즌 | 우승팀 |
|---|---|
| 1992 | 노르마 |
| 1992-93 | 노르마 |
| 1993-94 | 플로라 |
| 1994-95 | 플로라 |
| 1995-96 | 란타나 |
| 1996-97 | 란타나 |
| 1997-98 | 플로라 |
| 1998 | 플로라 |
| 1999 | 레바디아 |
| 2000 | 레바디아 |
| 2001 | 플로라 |
| 2002 | 플로라 |
| 2003 | 플로라 |
| 2004 | 레바디아 |
| 2005 | TVMK |
| 2006 | 레바디아 |
| 2007 | 레바디아 |
| 2008 | 레바디아 |
| 2009 | 레바디아 |
| 2010 | 플로라 |
| 2011 | 플로라 |
| 2012 | 칼리우 |
| 2013 | 레바디아 |
| 2014 | 레바디아 |
| 2015 | 플로라 |
| 2016 | FCI 탈린 |
| 2017 | 플로라 |
| 2018 | 칼리우 |
| 2019 | 플로라 |
| 2020 | 플로라 |
| 2021 | 레바디아 |
| 2022 | 플로라 |
| 2023 | 플로라 |
| 2024 | 레바디아 |
클럽별 우승 횟수
[편집]| 구단명 | 우승 | 준우승 | 우승 시즌 |
|---|---|---|---|
| 플로라 | 16 | 7 | 1993–94, 1994–95, 1997-98, 1998, 2001, 2002, 2003, 2010, 2011, 2015, 2017, 2019, 2020, 2022, 2023, 2025 |
| FCI 레바디아 | 11 | 12 | 1999, 2000, 2004, 2006, 2007, 2008, 2009, 2013, 2014, 2021, 2024 |
| 넘메 칼리우 | 2 | 3 | 2012, 2018 |
| 란타나 | 2 | 1 | 1995–96, 1996–97 |
| 노르마 | 2 | 1 | 1992, 1992–93 |
| TVMK | 1 | 3 | 2005 |
| FCI 탈린 | 1 | 0 | 2016 |
클럽별 우승 비율(%)
UEFA 랭킹
[편집]리그
[편집]2025년 10월 29일 기준[1]
| 2025년 | 2024년 | 변동 | 리그 | 계수 |
|---|---|---|---|---|
| 42 | 42 | 8.333 | ||
| 43 | 44 | 8.250 | ||
| 44 | 40 | 8.000 | ||
| 45 | 48 | 7.957 | ||
| 46 | 47 | 7.875 | ||
| 47 | 53 | 7.208 | ||
| 48 | 43 | 6.875 |
클럽
[편집]2025년 10월 29일 기준[2]
| 2025년 | 2024년 | 변동 | 리그 | 계수 |
|---|---|---|---|---|
| 140 | 138 | 플로라 | 11.500 | |
| 214 | 272 | 파이데 | 7.000 | |
| 239 | 243 | FCI 레바디아 | 6.500 | |
| 403 | - | 탈린나 칼레브 | 1.000 | |
| 404 | 387 | 나르바 트란스 | 1.000 | |
| 405 | 348 | 넘메 칼리우 | 1.000 |
각주
[편집]- ↑ “UEFA rankings - Association club coefficients”. Uefa.com. 2025년 10월 29일에 확인함.
- ↑ “UEFA rankings - Club coefficients”. Uefa.com. 2025년 10월 29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메이스트릴리가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