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연씨 (백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연씨
燕氏
나라한국
시조미상
주요 인물연신

연씨(燕氏)는 백제의 성씨이자 백제의 유력 가문인 대성팔족 중 하나이다. 연비씨(燕比氏)씨와 같을 성씨일 가능성이 높다.

이들은 주로 백제 내에서 고위직을 얻었으며 정치, 군사적으로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1][2]

백제 말기인 의자왕 때는 왕족 중심의로 국정을 운영하자 이들은 중앙귀족으로서의 지위를 상실하고 결국 지방세력으로 전락하게 되었다.[3]

상세

[편집]

금강유역권을 기반으로 하여 웅진 천도 이후 두각을 나타낸 사씨, 백씨 세력과 함께 마한계로 보는 견해가 있다.[4]

제지기반은 해구와 연신이 반란을 일으킨 대두성[5] 또는 대두성 근방의 탕정성[6][7]으로 추정하기도 한다. 또는 아산시 읍내동에 있는 읍내동산성으로 보는 견해[8][a], 사비 지역으로 추정하는 견해[9], 연기 지역으로 비정하는 견해[10]가 있다.

백제목지국 병탄 과정에서 목지국의 주체세력이 아니었던 연씨세력은 백제에 의한 재지기반의 해체를 피해 계속 성장할 수 있었다. 이후 백제웅진 천도 후 해씨와 연합하며 군사적 기반을 통해 고구려의 남하 저지 역할을 하는 등 신진세력으로 백제 중앙 정계로 진출하였고 이를 발판삼아 사비기에 이르러 백제 대성팔족으로 자리매김 하였다는 견해가 있다.[11] 연씨세력은 웅진, 사비기 내내 대고구려전을 이끌며, 군사 업무를 수행하였는데 백제 중앙 정계로부터 신임을 받아 백제의 북진정책 임무를 수행함과 동시에 자신들의 재지기반을 지키려는 목적도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내용부

[편집]
  1. 예로부터 지명이 종종 성씨로 사용된 예가 있었는데, 읍내동산성이 위치한 산 이름이 연산(燕山)으로 연(燕)씨와 한자가 동일하다.

참조부

[편집]
  1. Nihon Shoki
  2. Samguk Sagi
  3. Kim, Young kwan (2015). 《Changes of Central Nobles and Kingship in the Late Baekje Kingdom》. 
  4. 노중국, 《百濟의 姓氏와 貴族家門의 出自》, 대구사학 89, 2007.; 강종원, 《백제 국가권력의 확산과 지방》, 2012.
  5. 대두산성의 위치에 대해서는 ① 충남 공주나 서천설 및 연기설(천관우, 1976, 130쪽 및 132쪽; 노중국, 1978, 102쪽; 안병섭, 2017, 156쪽), ② 충남 아산시 음봉면 수한산성설(이기백, 1978, 12쪽), ③ 충남 아산시 영인산성설(유원재, 1992 ; 유원재, 2016, 7쪽) 등이 있는데 이곳을 천도 후 해씨세력의 근거지로 보고 있다(이기백, 1978, 12~13쪽).
  6. 이기백, 1978, 16~17쪽 , 1982, 36~41쪽; 유원재, 1993, 59~65쪽, 2016, 11~12쪽; 강유나, 2023, 186쪽.
  7. 《삼국사기》 권 제36, 잡지 제5 탕정군 : 湯井郡은 본래 백제의 군이었다. 文武王 11년·唐 咸亨 2년(671)에 州를 설치하고 摠管을 두었다. 咸亨 12년에 州를 폐하고 郡으로 삼았으며, 景德王은 그대로 따랐다. 지금(고려)은 溫水郡이다. 현 아산시 온양 일대로 비정된다.
  8. 이기백, 1982, 39~41쪽 ; 유원재, 1992, 72~80쪽.
  9. 이종욱, 《백제의 좌평》, 진단학회, 1978, 43쪽.
  10. 안병섭, 《신라 지명 ‘연기(燕岐)’의 명명 연원에 관한 고찰》,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한국학연구소, 2017. : 신라 경덕왕대 이루어진 지명 개칭 과정에서 백제인들을 회유하기위해 연기 지역에 근거지를 둔 연(燕)씨 세력의 성씨를 개칭 지명인 연기(燕岐)의 전부 요소에 반영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11. 李基白, 《百濟의 佐平, 眞檀學報》, 1978; 강유나, 《백제 연씨 세력의 재지기반과 그 활동》, 한국고대사학회, 2023.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