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오리온자리 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오리온자리 뮤
μ Orionis
오리온자리 뮤의 위치 (원 안)
관측 정보
역기점 J2000      분점 J2000
별자리 오리온자리
μ Ori A
적경 06h 02m 22.997s[1]
적위 +09° 38′ 50.24″[1]
겉보기등급 (V) 4.30[2]
μ Ori B
적경 06h 02m 23.009s[1]
적위 +09° 38′ 50.52″[1]
겉보기등급 (V) 6.27[2]
특성
μ Ori A
스펙트럼 종류 A1 Vm
U−B 색지수 +0.11[3]
B−V 색지수 +0.14[3]
μ Ori B
스펙트럼 종류 F2 V
U−B 색지수 +0.00[3]
B−V 색지수 +0.43[3]
위치천문학
시선속도 (Rv)0.00[4] km/s
고유운동 (μ) RA: 10.43[5] mas/yr
Dec.: −39.09[5] mas/yr
연주 시차 (π)21.69 ± 0.13 mas[6]
거리150.4 ± 0.9 ly
(46.1 ± 0.3 pc)
절대등급 (MV)Aa: 0.93
Ba: 3.53
Bb: 3.53[3]
궤도[6]
모천체μ Ori A
동반천체μ Ori B
공전 주기 (P)6,813.8±1.2 일
긴반지름 (a)0.2737±0.0021"
(12.620±0.057 AU)
궤도 이심률 (e)0.7410±0.0011
궤도 경사 (i)96.028±0.028°
근성점 역기점 (T){{{근성점}}}
근점 편각 (ω)
(2차)
{{{근점편각}}}°
궤도[6]
모천체μ Ori Aa
동반천체μ Ori Ab
공전 주기 (P)4.4475849 days
긴반지름 (a)0.001661±0.000013"
(0.07659±0.00058 AU)
궤도 이심률 (e)0.0037±0.0014
궤도 경사 (i)47.1±9.0°
근성점 역기점 (T){{{근성점}}}
근점 편각 (ω)
(2차)
{{{근점편각}}}°
반진폭 (K1)
(1차)
1.03±0.26 km/s
반진폭 (K2)
(2차)
> 4.58 km/s
궤도[6]
모천체μ Ori Ba
동반천체μ Ori Bb
공전 주기 (P)4.7835349 days
긴반지름 (a)0.001688±0.000013"
(0.07659±0.00036 AU)
궤도 이심률 (e)0.0016±0.0014
궤도 경사 (i)110.71±0.73°
근성점 역기점 (T){{{근성점}}}
근점 편각 (ω)
(2차)
{{{근점편각}}}°
반진폭 (K1)
(1차)
1.72±0.26 km/s
반진폭 (K2)
(2차)
2.02±0.26 km/s
상세[3][6]
μ Ori Aa
질량2.38 M
반지름2.85 R
광도32.2 L
유효온도8,300 K
투영 자전 속도 (v sin i)10[7] km/s
나이282[8] Myr
μ Ori Ab
질량0.652 M
μ Ori Ba
질량1.389 M
반지름1.33 R
광도3.0 L
유효온도6,600 K
μ Ori Bb
질량1.356 M
반지름1.33 R
광도3.0 L
유효온도6,600 K
천체 명칭
오리온자리 뮤, Mu Ori, μ 오리온자리, μ Ori, 오리온자리 61, 61 Ori, HR 2124, HD 40932, HIP 28614, BD+09°1064, ADS 4617, WDS J06024+0939, 2MASS J05351889-0516140
데이터베이스 자료
SIMBAD데이터
데이터2
데이터3

오리온자리 뮤(Mu Orionis)는 미자르거문고자리 엡실론과 유사한, 겉보기등급 합이 4.13인 오리온자리에 위치한 사중성계이다.[6] 네 개의 별은 뮤 오리온자리 Aa, 뮤 오리온자리 Ab, 뮤 오리온자리 Ba, 뮤 오리온자리 Bb로 알려져 있다. A와 B 항성계는 수십 각초 떨어져 있다. 오리온자리 뮤는 태양으로부터 약 150광년 떨어져 있다.

특징

[편집]

오리온자리 뮤 Aa는 A5V 왜성이자 Am 별이며, 유효온도는 8,350 켈빈이고, 겉보기등급은 +4.31이다. 오리온자리 뮤 Aa는 태양질량의 2.1배에 반지름은 태양의 2.9배이다. 광도는 태양의 32배이다.

오리온자리 뮤 Ab는 Aa 주위를 수성 궤도의 0.2배에 해당하는 0.077 AU 거리에서 공전하는 G5V 왜성이다.

오리온자리 뮤 Ba와 Bb는 태양의 1.4배 질량과 6.91의 겉보기등급을 가진 F5V 왜성이다. 이들은 서로 0.078 AU 떨어져 있다.

각주

[편집]
  1. Fabricius, C.; Høg, E.; Makarov, V. V.; Mason, B. D.; Wycoff, G. L.; Urban, S. E. (2002). 《The Tycho double star catalogue》. 《Astronomy and Astrophysics》 384. 180–189쪽. Bibcode:2002A&A...384..180F. doi:10.1051/0004-6361:20011822. 
  2. Mason, Brian D.; Wycoff, Gary L.; Hartkopf, William I.; Douglass, Geoffrey G.; Worley, Charles E. (2001). 《The 2001 US Naval Observatory Double Star CD-ROM. I. The Washington Double Star Catalog》. 《The Astronomical Journal》 122. 3466쪽. Bibcode:2001AJ....122.3466M. doi:10.1086/323920. 
  3. Fekel, Francis C.; Scarfe, C. D.; Barlow, D. J.; Hartkopf, William I.; Mason, Brian D.; McAlister, Harold A. (2002). 《The Quadruple System μ Orionis: Three-dimensional Orbit and Physical Parameters》. 《The Astronomical Journal》 123. 1723쪽. Bibcode:2002AJ....123.1723F. doi:10.1086/339184. 
  4. Pourbaix, D.; Tokovinin, A. A.; Batten, A. H.; Fekel, F. C.; Hartkopf, W. I.; Levato, H.; Morrell, N. I.; Torres, G.; Udry, S. (2004). 《SB9: The ninth catalogue of spectroscopic binary orbits》. 《Astronomy and Astrophysics》 424. 727–732쪽. arXiv:astro-ph/0406573. Bibcode:2004A&A...424..727P. doi:10.1051/0004-6361:20041213. S2CID 119387088. 
  5. Van Leeuwen, F. (2007). 《Validation of the new Hipparcos reduction》. 《Astronomy and Astrophysics》 474. 653–664쪽. arXiv:0708.1752. Bibcode:2007A&A...474..653V. doi:10.1051/0004-6361:20078357. S2CID 18759600. 
  6. Muterspaugh, Matthew W. 외 (2008). 《Masses, Luminosities, and Orbital Coplanarities of the μ Orionis Quadruple-Star System from Phases Differential Astrometry》. 《The Astronomical Journal》 135. 766–776쪽. arXiv:0710.2126. Bibcode:2008AJ....135..766M. doi:10.1088/0004-6256/135/3/766. S2CID 6531922. 
  7. Fekel, Francis C. (2003). 《Rotational Velocities of B, A, and Early-F Narrow-lined Stars》. 《The Publications of the Astronomical Society of the Pacific》 115. 807–810쪽. Bibcode:2003PASP..115..807F. doi:10.1086/376393. 
  8. Piccotti, Luca; Docobo, José Ángel; Carini, Roberta; Tamazian, Vakhtang S.; Brocato, Enzo; Andrade, Manuel; Campo, Pedro P. (2020). 《A study of the physical properties of SB2s with both the visual and spectroscopic orbits》.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492. 2709쪽. Bibcode:2020MNRAS.492.2709P. doi:10.1093/mnras/stz3616.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