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오스트레일리아 U-20 축구 국가대표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오스트레일리아 U-20 축구 국가대표팀

오스트레일리아 U-20 축구 국가대표팀, 통칭 영 소커루스는 국제 U-20 축구 경기에서 오스트레일리아를 대표한다. 이 팀은 오스트레일리아 축구의 관리 기관인 오스트레일리아 축구 연맹(FA)에 의해 운영되며, 현재 2006년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OFC)을 탈퇴한 이후 아시아 축구 연맹(AFC)과 지역 동남아시아 축구 연맹(AFF)의 회원이다. 팀의 공식 별명은 영 소커루스이다.

이 팀은 12번의 OFC 타이틀, 1번의 AFC 타이틀, 5번의 AFF U-19 유스 챔피언십 타이틀을 획득했다. 이들은 FIFA U-20 월드컵 토너먼트에 15회 출전했으며, 최고 성적은 1991년과 1993년에 4위를 차지한 것이다.

역사

[편집]

2006년 AFC U-19 축구 선수권 대회

[편집]

2006년 아시아에 처음 진출했을 때, 팀은 강팀 중 하나로 여겨졌음에도 불구하고 AFC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8강전에서 대한민국에게 패했다.[1] 이는 영 소커루스가 1989년 이후 처음으로 FIFA U-20 월드컵 본선 진출에 실패한 것이었다. 그 후, 2007년 2월 5일 FFA안지 포스테코글루 감독과의 계약을 갱신하지 않기로 결정했고,[2] 그 자리는 전 소커루스 선수이자 AIS 감독이었던 스티브 오코너가 맡았다.[3]

2008년 AFC U-19 축구 선수권 대회

[편집]

2008년 6월 24일, 얀 베르슬라이엔이 2008년 대회에 앞서 새로운 U-20 감독으로 임명되었고, FFA는 2006년의 실패를 반복하지 않고 이집트에서 열리는 2009년 FIFA U-20 월드컵 진출을 열망했다.[4] 대회를 준비하며, 오스트레일리아는 중국, 대한민국 및 태국과 함께 태국에서 열린 2008년 AFF U-19 유스 챔피언십에 참가했다.[5] 이 대회에서 이들은 대한민국과의 승부차기 끝에 우승을 차지했다.[6] 2008년 AFC U-19 축구 선수권 대회사우디아라비아에서 개최되었다. 오스트레일리아는 태국과 요르단에 승리하고 우즈베키스탄과 1-1로 비기며 D조 1위를 차지했다. 그 후 오스트레일리아는 8강전에서 북한을 연장전에서 미치 니콜스의 결승골로 꺾고 준결승에 진출했으나 UAE에 3-0으로 패했다. 그러나 준결승 진출로 2009년 FIFA U-20 월드컵 진출권을 획득하는 데 성공했다.

2009년 FIFA U-20 월드컵

[편집]

오스트레일리아는 2008년 AFC U-19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 4위를 차지하며 이집트에서 열린 2009년 FIFA U-20 월드컵에 진출했다. 제임스 홀랜드의 늦은 페널티킥에도 불구하고, 오스트레일리아는 첫 경기에서 체코 공화국에 2-1로 패했고, 이어 코스타리카가 '영 소커루스'를 3-0으로 꺾었다. 브라질과의 최종 조별 리그 경기에서 에런 무이가 오스트레일리아에 일찍이 리드를 안겼지만, 최종 결과는 브라질의 3-1 승리였고 오스트레일리아는 승점 없이 탈락했다.

2010년 AFC U-19 축구 선수권 대회

[편집]

대회 진출을 위해, 오스트레일리아는 2009년 11월 인도네시아 반둥에서 열린 2010년 AFC U-19 축구 선수권 대회 예선에 참가했고, 6개국 조에서 2위를 차지하며 본선에 진출했다. 홍콩, 중화 타이베이, 싱가포르에 승리한 뒤 개최국 인도네시아와 0-0으로 비기고 일본에 패했다.

오스트레일리아는 중국 쯔보시에서 열린 2010년 AFC U-19 챔피언십 본선에 참가했다.[7]

대회는 2010년 10월 3일부터 17일까지 산둥 에서 열렸다. 경기는 쯔보 스포츠 단지 스타디움과 린지 스타디움에서 진행되었다.

예멘과 이란에 승리한 뒤 대한민국과 0-0으로 비겨 오스트레일리아는 골 득실차로 조 1위를 차지했다. 아랍에미리트와의 8강전에서 오스트레일리아는 두 번이나 리드를 잡았지만 UAE가 동점골을 넣어 연장전으로 돌입했다. 연장전에서 오스트레일리아가 두 골을 넣으며 케렘 불루트의 두 골 덕분에 2-0으로 승리한 사우디아라비아와의 준결승전을 치르게 되었다. 결승전은 2010년 10월 17일 북한과 치러졌다. 전반전에 리드를 잡았음에도 불구하고 오스트레일리아는 이를 지키지 못하고 3-2로 패했다. 케렘 불루트는 7골로 대회 득점왕을 차지했다. 오스트레일리아는 콜롬비아에서 열린 2011년 FIFA U-20 월드컵에 진출했다.

2011년 FIFA U-20 월드컵

[편집]

오스트레일리아는 2010년 AFC U-19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 4위를 차지하며 콜롬비아에서 열린 2011년 FIFA U-20 월드컵에 진출했다. 오스트레일리아는 스페인, 에콰도르, 코스타리카와 한 조에 편성되었다.

오스트레일리아는 1점으로 최하위를 기록하며 조별 리그를 통과하지 못했다. 첫 경기에서는 토미 오어가 막판 동점골을 터뜨리며 에콰도르와 1대1 무승부를 기록했다. 다음 경기에서는 코스타리카가 오스트레일리아를 3대2로 꺾었다. 스페인과의 마지막 경기에서는 오스트레일리아가 경기 시작 18분 만에 4골을 내줬다. 27분 케렘 불루트가 한 골을 만회했지만, 스페인이 31분 페널티킥으로 5대1을 만들며 최종 점수가 되었다.

2012년 AFC U-19 축구 선수권 대회

[편집]

2012년 AFC U-19 축구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기 위해 영 소커루스는 먼저 2012년 AFC U-19 축구 선수권 대회 예선을 통과해야 했다. 연맹은 지리적으로 나뉘어 있었고, 오스트레일리아는 중국,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마카오와 함께 동아시아 국가들과 한 조에 편성되었다. 이 다섯 국가는 2011년 11월 말레이시아에서 만났고, 오스트레일리아는 4경기를 모두 이기고 20골을 넣고 1골만 내주며 조를 통과했다.

2012년 AFC U-19 축구 선수권 대회는 11월 아랍에미리트에서 개최되었다. 오스트레일리아는 개최국과 대한민국, 북한과 함께 이 대회의 시드를 받았다. 오스트레일리아의 첫 경기는 카타르와의 경기였다. 경기 유일한 골은 11분에 코리 가메이로가 득점하며 오스트레일리아가 넣었다. 가메이로는 이어진 두 조별 경기에서도 골을 넣었는데, 시리아와의 경기에서 81분 동점골을, 사우디아라비아와의 경기에서 91분 동점골을 넣어 두 경기 모두 1-1로 끝났다. 사우디아라비아전의 결정적인 늦은 골은 오스트레일리아가 사우디아라비아를 제치고 다음 단계로 진출했을 뿐만 아니라 조 1위를 차지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다.

오스트레일리아는 8강전에서 요르단을 상대로 가메이로가 3골을 모두 넣으며 3-0으로 승리하여 준결승에 진출하고 튀르키예에서 열리는 2013년 FIFA U-20 월드컵 본선 진출권을 확보했다. 이라크의 후반전 2골로 오스트레일리아는 대회에서 탈락했다. 가메이로의 6골은 득점왕에게 한 골 부족한 기록이었다.

2013년 FIFA U-20 월드컵

[편집]

폴 오콘[8]튀르키예에서 열린 2013년 FIFA U-20 월드컵에서 오스트레일리아를 지휘했지만, 3경기 모두 선제골을 넣었음에도 불구하고 한 경기도 이기지 못했다. 대니얼 데 실바가 오스트레일리아에게 리드를 안겼지만 콜롬비아가 1-1로 동점을 만들었다. 조슈아 브릴란테가 일찍 득점했지만 엘살바도르가 전반전까지 두 골을 넣었고, 제이미 매클래런이 52분에 득점했지만 오스트레일리아는 다시 개최국인 튀르키예에게 두 골을 내주며 리드를 지키지 못했다. 이 결과로 오스트레일리아는 2003년 12월 4일 브라질을 상대로 마지막 승리를 거둔 이후 지난 13번의 FIFA U-20 월드컵 경기에서 승리하지 못했다.

2014년 AFC U-19 축구 선수권 대회

[편집]

오스트레일리아는 2013년 10월 2014년 AFC U-19 축구 선수권 대회 예선에 참가하며 2014년 AFC U-19 축구 선수권 대회 캠페인을 시작했다. 이들은 말레이시아로 가서 베트남, 홍콩, 중화 타이베이와 합류했다. 몽골은 기권했다. 첫 경기는 홍콩을 상대로 7-0의 쉬운 승리였다. 피터 스카페티스는 4골을 넣었다. 그 후 중화 타이베이를 3-0으로 꺾었지만 베트남에게 5-1의 굴욕적인 패배를 당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스트레일리아는 최고의 조 2위 팀 중 하나로 결승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2014년 AFC U-19 축구 선수권 대회는 2014년 10월 미얀마에서 개최되었다. 폴 오콘은 다시 이 토너먼트의 영 소커루스 감독을 맡았다. 첫 경기는 아랍에미리트와의 경기였다. 브랜던 보렐로가 오스트레일리아에게 늦은 리드를 안겼지만 UAE의 85분 페널티킥으로 무승부로 끝났다.[9] 두 번째 경기는 야우슈아 소티리오의 골로 인도네시아를 1-0으로 꺾었다. 마지막 조별 경기에서 오스트레일리아는 스테판 마우크 덕분에 66분 우즈베키스탄에 앞서고 있었다. 그러나 82분 동점골은 오스트레일리아에게 치명적이었다. 이 골과 동시 진행된 경기 결과로 UAE, 우즈베키스탄, 오스트레일리아 모두 5점이 되었지만, 오스트레일리아는 골 득실차가 낮아 토너먼트에서 탈락했다. 많은 관찰자들은 오스트레일리아가 인도네시아를 상대로 더 많은 골을 넣으려는 욕구가 부족했던 것이 탈락의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오스트레일리아는 뉴질랜드에서 열린 2015년 FIFA U-20 월드컵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이는 1989년 이후 오스트레일리아가 이 2년마다 열리는 대회에 참가하지 못한 두 번째 사례이다.

2016년 AFC U-19 축구 선수권 대회

[편집]

오스트레일리아는 2016년 10월 바레인에서 열린 2016년 AFC U-19 축구 선수권 대회에 진출했다. 라오스에서 개최된 2016년 AFC U-19 축구 선수권 대회 예선에서 조 2위를 차지했으며, 5개의 최고 성적 2위 팀 중 하나로 골 득실차로 본선에 진출했다. 필리핀과 라오스를 상대로 편안한 승리를 거둔 후 일본에 3-0으로 크게 패했다. 스티브 쿠즈마노프스키는 3골로 오스트레일리아의 최고 득점자로 마무리했다. 이 대회는 오스트레일리아가 6회 연속으로 진출한 U-19 챔피언십이었다.

오스트레일리아는 우푹 탈라이 감독의 지휘를 받았고, D조에 배정되었다. 첫 경기는 마리오 샤보의 골로 중국을 1-0으로 이겼다. 두 번째 경기는 우즈베키스탄과의 경기였다. 우즈베키스탄은 3골을 리드하다가 퇴장을 당했다. 오스트레일리아는 리엄 율리조지 블랙우드의 후반전 페널티킥 두 골로 응수했지만 최종 결과는 우즈베키스탄의 3-2 승리였다. 오스트레일리아는 다음 라운드 진출을 위해 타지키스탄과의 마지막 조별 경기에서 승리해야 했다. 앤서니 칼릭은 초반 페널티킥을 실축했고 나중에 두 장의 옐로카드를 받아 퇴장당했다. 경기는 0-0으로 끝났고 오스트레일리아는 대회에서 탈락했다. 결과적으로 이들은 2017년 FIFA U-20 월드컵에도 진출하지 못했다. 이는 오스트레일리아가 2회 연속으로 U-20 월드컵 본선 진출에 실패한 첫 사례이다.

2018년 AFC U-19 축구 선수권 대회

[편집]

2018년 AFC U-19 축구 선수권 대회는 10월과 11월에 인도네시아에서 개최되었다. 오스트레일리아는 베트남에서 이 대회의 2018년 AFC U-19 축구 선수권 대회 예선을 시작했다.[10] 원래 경기는 빅토리아주 셰퍼턴에서 열릴 예정이었으나 오스트레일리아 정부가 북한 선수단의 입국을 거부했다.[11] 그 결과 경기는 중립국인 베트남으로 옮겨졌고, 장소 변경에 따른 비용 때문에 북마리아나 제도가 기권했다. 이로 인해 조에는 북한과 홍콩 단 두 팀만 남게 되었다. 홍콩과의 첫 경기에서 라미 나자린이 일찍 골을 넣었고, 이어 무디 나자르가 막판에 두 골을 추가하여 오스트레일리아가 3-0으로 승리했다.[12] 그 후 북한을 4-1로 꺾었는데, 나자린과 나자르뿐만 아니라 파비안 몽게데니스 장루도 골을 넣었다.[13]

이제 안테 밀리치치가 지휘봉을 잡고, 오스트레일리아는 브카시에서 대한민국과의 대회 첫 경기를 시작했다. 한국은 55분에 선제골을 넣었지만, 나자린이 89분에 동점골을 터뜨려 승점을 나눠 가졌다.[14] 두 번째 경기는 베트남과의 경기였으며, 오스트레일리아는 앵거스 서게이트벤 폴라미의 골로 2-1로 승리했다.[15] 경기 후 오스트레일리아 선수단 중 많은 수가 질병으로 고통받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16] 요르단과의 마지막 조별 경기에서 오스트레일리아는 진출을 위해 최소한 무승부가 필요했고, 올리버 푸플렛이 10분 만에 골을 넣으며 1-1로 비겼다.[17] 8강전에서는 사우디아라비아에 3-1로 패했고, 너새니얼 앳킨슨이 유일한 골을 넣었다. 8강전에서 탈락하면서 오스트레일리아는 기록적인 세 번 연속으로 U-20 월드컵 진출에 실패했다.[18]

2023년 AFC U-20 아시안컵

[편집]

오스트레일리아는 B조베트남, 이란, 카타르와 함께 편성되었다. 실망스러운 출발을 보이며 베트남에 0-1로 패했지만, 이란에 3-2로 승리하고 카타르를 9-1로 대파하며 반등했고, 이는 조 2위로 8강 진출에 도움이 되었다.

8강전에서 오스트레일리아는 홈팀 우즈베키스탄을 만났다. 홈팀과 경기하며 오스트레일리아는 치열한 압박을 견뎌야 했지만, 77분에 가브리엘 포포비치의 골로 예상치 못한 선제골을 넣었다. 그러나 2분 후 자파르무로드 압두라흐마토프의 골로 우즈베키스탄이 동점을 만들었다. 두 팀은 정규 90분과 연장 30분 후 1-1로 비겼다. 승부차기에서 오스트레일리아는 4-5로 패하여, 홈팀이 준결승에 진출하고 2023년 FIFA U-20 월드컵 티켓을 따내는 것을 아쉽게 지켜봐야 했다.

2025년 AFC U-20 아시안컵

[편집]

오스트레일리아는 A조에서 개최국 중국, 카타르, 키르기스스탄과 함께 편성되었다. 이 팀은 조별 리그 3경기를 모두 이겨 9점을 획득하며 A조 1위를 차지했다. 8강전에서 오스트레일리아는 이라크를 3-2로 꺾었으며, 알렉스 바돌라토의 막판 결승골로 팀은 준결승에 진출하고 12년 만에 U-20 월드컵에 복귀하게 되었다. 일본과의 준결승전에서는 일본을 2-0으로 이겼다.

오스트레일리아는 사우디아라비아와의 결승전에 진출했다. 오스트레일리아는 24분 루이 아고스티의 선제골로 일찍 리드를 잡았지만 이를 유지하지 못했다. 사우디아라비아는 전반전 추가시간에 탈랄 하지의 골로 동점골을 넣었다. 두 팀은 정규 90분과 연장 30분 후 1-1로 비겼다. 승부차기에서 오스트레일리아는 5-4로 승리하며, 오스트레일리아가 AFC에 가입한 이후 처음으로 AFC U-20 아시안컵과 아시아 유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2025년 FIFA U-20 월드컵

[편집]

오스트레일리아는 D조이탈리아, 아르헨티나, 쿠바와 함께 편성되었다.

선수

[편집]

현재 명단

[편집]

다음 21명의 선수가 2025년 FIFA U-20 월드컵에 소집되었다.[19]

캡스와 골은 2025년 6월 6일 아르헨티나와의 경기 기준으로 정확하다.

번호 위치 선수 생년월일 (나이) 출전 득점 소속
1 GK 스티븐 홀 2005년 1월 16일(2005-01-16)(20세) 11 0 잉글랜드 브라이턴 & 호브 앨비언
12 GK 알렉산더 로빈슨 2005년 3월 9일(2005-03-09)(20세) 7 0 오스트레일리아 맥아서 FC
18 GK 다니엘 그라스코스키 2007년 1월 28일(2007-01-28)(18세) 0 0 오스트레일리아 멜버른 빅토리
3 DF 세바스찬 에스포시토 2005년 4월 21일(2005-04-21)(20세) 12 0 오스트레일리아 멜버른 빅토리
4 DF 파나기오티스 키키아니스 2005년 3월 8일(2005-03-08)(20세) 10 3 오스트레일리아 애들레이드 유나이티드
5 DF 파비안 탈라디라 2006년 2월 4일(2006-02-04)(19세) 14 0 오스트레일리아 애들레이드 유나이티드
13 DF 루카스 헤링턴 2007년 3월 6일(2007-03-06)(18세) 5 0 오스트레일리아 브리즈번 로어
16 DF 조슈아 인세라 2005년 1월 21일(2005-01-21)(20세) 12 0 오스트레일리아 멜버른 빅토리
17 DF 리엄 보네티그 2005년 8월 20일(2005-08-20)(20세) 8 0 오스트레일리아 멜버른 시티
21 DF 제임스 오버리 2007년 11월 9일(2007-11-09)(17세) 2 0 잉글랜드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2 MF 다니엘 베니 2006년 4월 13일(2006-04-13)(19세) 11 3 잉글랜드 퀸스 파크 레인저스
6 MF 폴 오콘-엥글슈틀러 2005년 1월 24일(2005-01-24)(20세) 14 0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 FC
7 MF 조니 율 2005년 3월 5일(2005-03-05)(20세) 15 2 오스트레일리아 애들레이드 유나이티드
8 MF 알렉산더 바돌라토 2005년 2월 23일(2005-02-23)(20세) 22 6 오스트레일리아 뉴캐슬 제츠
10 MF 리스 율리 2005년 2월 13일(2005-02-13)(20세) 11 2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 FC
15 MF 제일런 피어먼 2006년 4월 18일(2006-04-18)(19세) 9 2 잉글랜드 퀸스 파크 레인저스
20 MF 루이 아고스티 2005년 3월 2일(2005-03-02)(20세) 10 2 이탈리아 돌로미티 벨루네시
9 FW 루카 요바노비치 2005년 5월 20일(2005-05-20)(20세) 19 8 오스트레일리아 애들레이드 유나이티드
11 FW 무사 투레 2005년 11월 12일(2005-11-12)(19세) 8 4 덴마크 라네르스
14 FW 티아고 퀸탈 2006년 6월 16일(2006-06-16)(19세) 13 0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 FC
19 FW 맥스 카푸토 2005년 8월 17일(2005-08-17)(20세) 7 5 오스트레일리아 멜버른 시티

최근 소집 선수

[편집]

다음 선수들은 지난 12개월 이내에 소집되었으며 계속 선발 자격이 있다.

위치 선수 생년월일 (나이) 출전 득점 소속 최근 소집
{{{이름}}} {{{생년월일}}} {{{출장 수}}} {{{골}}} {{{클럽}}} {{{최근 소집}}}
{{{이름}}} {{{생년월일}}} {{{출장 수}}} {{{골}}} {{{클럽}}} {{{최근 소집}}}
{{{이름}}} {{{생년월일}}} {{{출장 수}}} {{{골}}} {{{클럽}}} {{{최근 소집}}}
{{{이름}}} {{{생년월일}}} {{{출장 수}}} {{{골}}} {{{클럽}}} {{{최근 소집}}}
{{{이름}}} {{{생년월일}}} {{{출장 수}}} {{{골}}} {{{클럽}}} {{{최근 소집}}}
{{{이름}}} {{{생년월일}}} {{{출장 수}}} {{{골}}} {{{클럽}}} {{{최근 소집}}}
{{{이름}}} {{{생년월일}}} {{{출장 수}}} {{{골}}} {{{클럽}}} {{{최근 소집}}}
{{{이름}}} {{{생년월일}}} {{{출장 수}}} {{{골}}} {{{클럽}}} {{{최근 소집}}}
{{{이름}}} {{{생년월일}}} {{{출장 수}}} {{{골}}} {{{클럽}}} {{{최근 소집}}}
{{{이름}}} {{{생년월일}}} {{{출장 수}}} {{{골}}} {{{클럽}}} {{{최근 소집}}}
{{{이름}}} {{{생년월일}}} {{{출장 수}}} {{{골}}} {{{클럽}}} {{{최근 소집}}}
{{{이름}}} {{{생년월일}}} {{{출장 수}}} {{{골}}} {{{클럽}}} {{{최근 소집}}}
{{{이름}}} {{{생년월일}}} {{{출장 수}}} {{{골}}} {{{클럽}}} {{{최근 소집}}}
{{{이름}}} {{{생년월일}}} {{{출장 수}}} {{{골}}} {{{클럽}}} {{{최근 소집}}}
{{{이름}}} {{{생년월일}}} {{{출장 수}}} {{{골}}} {{{클럽}}} {{{최근 소집}}}
{{{이름}}} {{{생년월일}}} {{{출장 수}}} {{{골}}} {{{클럽}}} {{{최근 소집}}}
{{{이름}}} {{{생년월일}}} {{{출장 수}}} {{{골}}} {{{클럽}}} {{{최근 소집}}}
{{{이름}}} {{{생년월일}}} {{{출장 수}}} {{{골}}} {{{클럽}}} {{{최근 소집}}}
{{{이름}}} {{{생년월일}}} {{{출장 수}}} {{{골}}} {{{클럽}}} {{{최근 소집}}}
{{{이름}}} {{{생년월일}}} {{{출장 수}}} {{{골}}} {{{클럽}}} {{{최근 소집}}}
{{{이름}}} {{{생년월일}}} {{{출장 수}}} {{{골}}} {{{클럽}}} {{{최근 소집}}}
{{{이름}}} {{{생년월일}}} {{{출장 수}}} {{{골}}} {{{클럽}}} {{{최근 소집}}}
{{{이름}}} {{{생년월일}}} {{{출장 수}}} {{{골}}} {{{클럽}}} {{{최근 소집}}}
{{{이름}}} {{{생년월일}}} {{{출장 수}}} {{{골}}} {{{클럽}}} {{{최근 소집}}}
{{{이름}}} {{{생년월일}}} {{{출장 수}}} {{{골}}} {{{클럽}}} {{{최근 소집}}}
{{{이름}}} {{{생년월일}}} {{{출장 수}}} {{{골}}} {{{클럽}}} {{{최근 소집}}}
{{{이름}}} {{{생년월일}}} {{{출장 수}}} {{{골}}} {{{클럽}}} {{{최근 소집}}}
{{{이름}}} {{{생년월일}}} {{{출장 수}}} {{{골}}} {{{클럽}}} {{{최근 소집}}}
  • INJ 부상으로 탈락했다.
  • PRE 예비 명단.
  • WD 탈락했다.

경기 결과 및 일정

[편집]
  • 다음은 지난 12개월간의 경기 결과와 향후 예정된 경기의 목록이다.
범례

  승리   무승부   패배   일정

2024년

[편집]

2025년

[편집]

어린 선수단

[편집]

기록

[편집]

최다 출전 선수

[편집]
2012년 6월 3일 기준
굵게 표시된 선수는 현재도 선발 가능하다.
# 이름 출전 득점
1 토미 오어 33 4
1 마크 비리히티 33 0
3 코피 대닝 30 3
4 매슈 저먼 26 0
5 벤 칸타로프스키 25 2
5 제임스 홀랜드 25 5
7 앤드루 레드메인 24 0
7 크레이그 무어 24 0
7 스콧 맥도널드 24 16
7 딜런 맥고완 24 4

최다 득점 선수

[편집]
2013년 6월 23일 기준
굵게 표시된 선수는 현재도 선발 가능하다.
# 이름 득점 출전
1 마크 비두카 32 20
2 스콧 맥도널드 16 24
3 코스타스 살라파시디스 13 14
4 케보르크 굴레세리안 12 12
5 케렘 불루트 10 14
5 데이비드 윌리엄스 10 12
7 닉 칼 9 16
7 제이미 매클래런 9 16
8 안테 밀리치치 8 12
8 마이클 페란테 8 10
8 그레그 오언스 8 15

국제 대회 기록

[편집]

FIFA U-20 월드컵

[편집]

OFC U-19 챔피언십

[편집]
연도 라운드 Pos Pld W D L GF GA
틀:나라자료 Tahiti 1974 불참
틀:나라자료 NZ 1978 우승 1위 3 3 0 0 16 2
틀:나라자료 Fiji 1980 준우승 2위 3 2 0 1 7 3
틀:국기그 그림 1982 우승 1위 4 4 0 0 15 4
오스트레일리아 1985 우승 1위 5 5 0 0 20 4
틀:나라자료 NZ 1986 우승 1위 4 3 1 0 16 1
틀:나라자료 Fiji 1988 우승 1위 4 4 0 0 16 3
틀:나라자료 Fiji 1990 우승 1위 4 4 0 0 22 0
틀:나라자료 Tahiti 1992 불참
틀:나라자료 Fiji 1994 우승 1위 5 5 0 0 29 0
틀:나라자료 Tahiti 1997 우승 1위 4 4 0 0 25 1
틀:나라자료 Samoa 1998 우승 1위 5 5 0 0 23 2
틀:나라자료 Cook Islands 틀:나라자료 New Caledonia 2001 우승 1위 7 6 0 1 50 3
틀:나라자료 Fiji 틀:나라자료 Vanuatu 2002 우승 1위 4 4 0 0 23 0
틀:나라자료 Solomon Islands 2005 우승 1위 5 5 0 0 46 5
합계 12회 우승 13/15 57 54 1 2 308 28

AFC U-20 아시안컵

[편집]
연도 결과 순위 Pld W D L GF GA
인도 2006 8강 8위 4 2 0 2 6 4
사우디아라비아 2008 준결승 3위 5 3 1 1 6 6
중국 2010 준우승 2위 6 4 1 1 15 6
아랍에미리트 2012 준결승 4위 5 2 2 1 6 4
미얀마 2014 조별 리그 9위 3 1 2 0 3 2
바레인 2016 조별 리그 11위 3 1 1 1 3 3
인도네시아 2018 8강 6위 4 1 2 1 5 6
우즈베키스탄 2020 대회 취소
우즈베키스탄 2023 8강 5위 4 2 1 1 13 5
중국 2025 우승 1위 6 5 1 0 16 6
합계 9/9 1회 우승 40 21 11 8 73 42

아세안 U-19 남자 챔피언십

[편집]
연도 결과 순위 Pld W D L GF GA
말레이시아 2006 우승 1위 3 3 0 0 8 0
베트남 2007 불참
태국 2008 우승 1위 3 2 1 0 5 2
베트남 2009 준우승 2위 5 2 2 1 11 4
베트남 2010 우승 1위 3 2 1 0 6 2
미얀마 2011 불참
베트남 2012 3위 3위 3 1 0 2 6 6
인도네시아 2013 기권
베트남 2014 조별 리그 5위 2 0 0 2 3 5
라오스 2015 기권
베트남 2016 우승 1위 7 6 0 1 21 10
미얀마 2017 불참
인도네시아 2018
베트남 2019 우승 1위 7 6 0 1 20 7
인도네시아 2022 불참
인도네시아 2024 3위 3위 5 3 1 1 14 4
합계 9/16 5회 우승 38 25 5 6 94 40

상대 전적

[편집]

다음 표는 FIFA U-20 월드컵AFC U-20 아시안컵에서 오스트레일리아의 상대 전적을 보여준다.

내용주

[편집]

각주

[편집]
  1. "Australia bows out to Koreans", FFA, 7 November 2006
  2. "Postecoglou Contract Not Renewed" 보관됨 13 5월 2007 - 웨이백 머신, FFA, 8 February 2007
  3. "New National Youth Coaches Appointed" 보관됨 13 5월 2007 - 웨이백 머신, FFA, 5 March 2007
  4. "AIS/U20 Head Coach named", FFA, 24 June 2008
  5. "Qantas Young Socceroos named for Asean tournament" 보관됨 27 5월 2011 - 웨이백 머신, FFA, 29 September 2008
  6. "Qantas Young Socceroos win AFF U19 Championship" 보관됨 27 5월 2011 - 웨이백 머신, FFA, 12 October 2008
  7. "China to host AFC U-19 Championship Finals", AFC, 18 February 2010
  8. “Paul Okon to coach national youth sides”. 오스트레일리아 축구 연맹. 2015년 1월 30일. 2013년 2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월 30일에 확인함. 
  9. “Young Socceroos Draw”. 《애들레이드 나우》. 2014년 10월 11일. 
  10. “AFC U-19 Championship 2018 Qualifiers: Group J to be played in Hanoi”. AFC. 2017년 10월 13일. 
  11. Willoughby, James (2017년 10월 9일). “Visa ban on North Korean football team forces major tournament offshore”. 《더 뉴 데일리》. 
  12. “Young Socceroos make winning start in Hanoi”. 오스트레일리아 축구 연맹. 2017년 11월 5일. 
  13. “Young Socceroos qualify for Asian championship”. 《더 월드 게임》. SBS. 2017년 11월 9일. 
  14. Tan, Gabriel (2018년 10월 19일). “AFC U-19 Championship: Australia deny Korea Republic at the death”. 《폭스 스포츠》. 2018년 11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15. “Young Socceroos sink valiant Vietnam”. 《더 월드 게임》. SBS. 2018년 10월 22일. 
  16. Greco, John (2018년 10월 23일). “Milicic hails Young Socceroos after crucial win over Vietnam”. 오스트레일리아 축구 연맹. 
  17. “Young Socceroos survive Jordan onslaught”. 《FTBL》. 2018년 10월 26일. 
  18. “Young Socceroos miss out on U20 World Cup after loss to Saudi Arabia”. 《더 월드 게임》. SBS. 2018년 10월 30일. 
  19. “CommBank Young Socceroos 21-man squad finalised for FIFA U-20 World Cup 2025™”. 《소커루스》. 오스트레일리아 축구 연맹. 2025년 9월 25일. 

외부 링크

[편집]

틀:Soccer in Australia 틀:AFC under-20 teams 틀:AFC U-20 아시안컵 우승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