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레크 가즈마노프
![]() | |
---|---|
![]() 2019년의 가즈마노프 | |
기본 정보 | |
출생 | 1951년 7월 22일 구세프, 소련 | (73세)
성별 | 남성 |
직업 | 가수, 작곡가, 배우 |
장르 | 팝, 팝 포크, 러시아 샹송, 소프트 록 |
활동 시기 | 1987-현재 |
웹사이트 | www.gazmanov.ru |
올레크 미하일로비치 가즈마노프(러시아어: Олег Михайлович Газманов; 1951년 7월 22일 출생)는 애국적이고 민족주의적인 노래뿐만 아니라 보다 전통적인 팝 테마를 다루는 노래를 전문으로 하는 러시아의 가수, 작곡가, 시인이다. 가즈마노프는 팝 그룹 "에스카드론"(Squadron)의 리드 보컬이다. 그의 노래는 미하일 슈푸틴스키와 같은 다른 사람들에 의해 러시아 샹송 스타일로 불리기도 했다. 그는 또한 체조 분야에서 소련 스포츠 마스터 후보이며, 특히 1990년대 초 음악 경력 초기에 라이브 쇼에서 선보인 아크로바틱으로 잘 알려져 있다.
2022년 3월 18일, 가즈마노프는 블라디미르 푸틴의 모스크바 집회에서 노래를 불렀는데, 이 집회는 우크라이나로부터의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을 축하하고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정당화하기 위한 것이었다.[1] 2022년 4월과 5월, 가즈마노프는 침공을 지지하기 위해 조직된 일련의 콘서트에 참여했다.[2]
Сделан в СССР
[편집]2005년에 처음 발매된 소련 향수 어린 노래 Сделан в СССР(Sdelan v SSSR) (영어로는 Made in the U.S.S.R.)에서 가즈마노프는 소비에트 연방의 과거를 찬양하며, 제정 러시아와 소련의 다양한 인물들을 국가의 일부로 제시한다. 뉴욕 타임즈는 그가 레닌과 스탈린을 국가 영웅으로 제시했다고 주장하지만,[3] 이는 그들을 "소련 국가"의 일부로만 나열한 가사에는 뒷받침되지 않는다. 반면에 가사는 "과두정치"와 "궁핍"과 같은 탈소련 시대의 어두운 면도 나열한다.[4] 더 나아가, 이 노래는 탈소련 국가(예: 우크라이나, 벨라루스, 몰도바, 발트해 국가들) 모두가 같은 나라(소련)의 일부라고 선언한다.[4] 또한 "비자 없이 (모든 것이) 금지된" "숨막히는 국경"에 대해 이야기하며, "심지어 유럽도 통일된" 공동체 의식("친구들")을 촉구한다.[4]
2013년 12월, 가즈마노프는 러시아 헌법 20주년 기념행사에서 자신의 인기곡 "Made in USSR" (Сделан в СССР)을 공연한 것에 대해 리투아니아 당국으로부터 비난을 받았고, 12월 29일 빌뉴스 콘서트에서 공연 금지 위협을 받았다. 그의 노래 "Made in USSR" 공연은 관객들의 환호를 받았다.[5]
2015년 8월, 우크라이나 보안국은 가즈마노프를 활동이 우크라이나 국가 안보에 위협이 되는 문화인 명단에 추가했다.[6]
가즈마노프의 참여로 이 노래는 그 후 민족주의적 집회의 구호로 남용되었고 2022년 모스크바 집회에서 공연되었다. 가즈마노프는 나중에 "Вперёд Россия!"[7] ("전진하라 러시아!")와 같은 다른 민족주의적 노래를 작곡했고, 이에 대해 노구 스벨로는 인기 있는 축구 곡에 맞춰 "Назад, Россия!"[8] ("돌아가라 러시아!")라는 노래로 응수했다.
개인 생활
[편집]그는 아버지가 벨라루스인이고 어머니가 유대인이라고 말했지만, 자신은 러시아인이라고 느낀다.[9] 그는 두 번 결혼하여 세 자녀를 두었는데, 아들 로디온, 의붓아들 필립, 딸 마리안나이다.
제재
[편집]2014년 7월, 가즈마노프는 라트비아 외무장관 에드가르스 린케비치에 의해 라트비아 입국이 금지되었는데, 이는 그가 "말과 행동으로 우크라이나의 주권과 영토 보전을 훼손하는 데 기여했기 때문"이라고 한다.[10]
라트비아 외무장관의 결정에 대해 가즈마노프는 "유르말라 뉴 웨이브 페스티벌 개막 직전의 이러한 행동은 양국 간의 문화적, 경제적 관계 전체를 위태롭게 합니다."라고 말했다.[11]
2015년 8월, 우크라이나 보안국은 가즈마노프를 활동이 우크라이나 국가 안보에 위협이 되는 예술가 명단에 올렸다.[12][13]
2016년 8월, 리투아니아 정부 또한 빌뉴스 공항에서 그의 리투아니아 입국을 거부했다.[14]
2023년 2월, 캐나다는 올레크 가즈마노프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관련된 러시아 선전 활동과 허위 정보 유포에 연루되었다는 이유로 제재를 가했다.[15]
인기곡
[편집]- "Ofitsery"
- "Moskva"
- "Nikto krome nas"
- "Moi yasnye dni"
- "Eskadron"
- "Esaul"
- "A Ya Devushek Lyublyu"
- "Dozhdis'"
- "Dolya"
- "Na Zare"
- "Svezhyi Veter"
- "Edinstvennaya" (by 필리프 키르코로프)
- "Tuman"
- "Zagulyal"
- "Greshnyi put" (by 발레리 레온티예프)
- "Belyi sneg" (by 발레리 레온티예프)
- "Moryachka"
- "Baltiyskiy Bereg"
- "Zabiray" (duet with 소피야 로타루)
- "Proshay"
- "Vpered Rossiya"
- "Sdelan v SSSR"
수상
[편집]- 소련 스포츠 마스터 후보
- 러시아 공로 예술가 (1995)[16]
- 러시아 인민예술가상 (2002)
- 명예 훈장 (2006)[17]
수상 | ||
---|---|---|
월드 뮤직 어워드 | ||
이전 1991 발레리 레온티예프 |
가장 많이 팔린 러시아 아티스트 1992 올레크 가즈마노프 |
이후 1993 라이마 바이쿨레 |
각주
[편집]- ↑ “По приколу пошли, не всерьез”. 《Meduza》 (러시아어). 2022년 3월 18일.
- ↑ “Гастроли патриотов. Как кремлевские эксперты и шоу-бизнес зарабатывают на концертах "Za Россию"”. 《BBC》 (러시아어). 2022년 5월 11일.
- ↑ Russian pop star in tune with the U.S.S.R., nytimes.com, May 9, 2005
- ↑ 가 나 다 “Oleg Gazmanov - Сделан в СССР (Sdelan v SSSR) (English translation)”. 《lyricstranslate.com》 (영어). 2024년 9월 4일에 확인함.
- ↑ “В полном зале Вильнюса Газманов исполнил "Сделан в СССР" (At Concert Hall in Vilnius, Gazmanov sang the song "Made in USSR") [Russian]”. 2014년 2월 20일에 확인함.
- ↑ NDR. “Einreiseverbot für bestimmte russische Künstler zum ESC”. 《www.eurovision.de》 (독일어). 2024년 11월 12일에 확인함.
- ↑ “Oleg Gazmanov - Вперёд, Россия! (Vperyod, Rossiya!) (Übersetzung auf Englisch)”. 《lyricstranslate.com》 (독일어). 2024년 9월 4일에 확인함.
- ↑ “Nogu Svelo! - Назад, Россия! (Nazad, Rossiya!) (Übersetzung auf Englisch)”.
- ↑ “Себя я ощущаю только русским.,, Фанаты были ошарашены узнав настоящую национальность Газманова”. 2023년 5월 8일.
- ↑ “Russian Pop Stars Banned from Entering Latvia over Ukraine crisis”. 《모스크바 타임스》. 2014년 7월 21일. 2014년 7월 23일에 확인함.
- ↑ “Олег Газманов - Новости”. 2018년 1월 30일. 2018년 1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9월 4일에 확인함.
- ↑ “Минкульт назвал фамилии россиян, угрожающих нацбезопасности Украины”. 《Украинская правда》 (러시아어). 2024년 9월 4일에 확인함.
- ↑ NDR. “Einreiseverbot für bestimmte russische Künstler zum ESC”. 《www.eurovision.de》 (독일어). 2024년 9월 4일에 확인함.
- ↑ “Į Lietuvą neįleistas Sovietų Sąjungą šlovinantis ir šalyje nepageidaujamas Olegas Gazmanovas”. 2016년 8월 17일.
- ↑ “Canada sanctions Russian propagandists, singers, actors, musicians, and Wagner Group media”. 2023년 2월 5일에 확인함.
- ↑ Указ Президента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Б.Н. Ельцина от 25 апреля 1995 года № 411 «О присвоении почётных званий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보관됨 1 11월 2014 - 웨이백 머신 // poisk-zakona.ru
- ↑ Указ Президента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В. Путина от 19 июля 2001 года № 892 «О награждении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ми наградами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보관됨 17 12월 2013 - 웨이백 머신 // document.kremlin.r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