옵시디언 (소프트웨어)
![]() 보라색 광물 형태의 옵시디언 로고 | |
다른 이름 | Obsidian |
---|---|
원저자 | 리 시다(Shida Li), 에리카 쉬(Erica Xu) |
개발자 | 다이널리스트 주식회사 (Dynalist Inc.) |
발표일 | 2020년 3월 30일 |
안정화 버전 | 1.8.10
/ 2025년 4월 22일 |
미리보기 버전 | 1.9.2
/ 2025년 6월 5일 |
저장소 | https://github.com/obsidianmd |
프로그래밍 언어 | 자바스크립트, HTML, CSS |
엔진 | 일렉트론(Electron) |
운영 체제 | 윈도우, 맥OS, 리눅스, 안드로이드, iOS |
플랫폼 | 데스크톱 및 모바일 앱 |
서비스 이름 | 옵시디언 싱크(Obsidian Sync), 옵시디언 퍼블리시(Obsidian Publish) |
표준 | 마크다운(Markdown) |
언어 | 30개국어 이상개 언어번역 프로젝트 저장소 |
언어 목록 한국어 포함 다국어 지원 | |
종류 | 노트 필기 소프트웨어, 개인 지식 관리(PKM) |
라이선스 | 프리미엄 기반(개인 무료, 부가 기능 유료) |
허가 | 상업적 사용 가능 |
상태 | 현재도 활발히 개발 중 |
웹사이트 | obsidian.md |
옵시디언(Obsidian)은 마크다운 형식의 텍스트 파일을 기반으로 작동하는 개인 지식 관리 및 노트 필기 소프트웨어이다. 2020년 3월 30일 Dynalist Inc.가 개발하여 공개하였으며, 공동 창립자인 리쉬다(Shida Li)와 에리카 쉬(Erica Xu)에 의해 기획되었다. 사용자는 자신의 컴퓨터에 저장된 마크다운 파일을 연결하고 분류하여, 위키 형태의 지식 그래프를 구축할 수 있다. 일렉트론 프레임워크로 개발되었으며, 윈도우, 맥OS, 리눅스는 물론 안드로이드 및 iOS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1]
옵시디언은 기본적으로 개인 사용자에게 무료로 제공되며, 동기화 기능인 ‘옵시디언 싱크(Obsidian Sync)’와 웹 게시 기능인 ‘옵시디언 퍼블리시(Obsidian Publish)’ 등의 유료 부가 서비스를 통해 프리미엄 모델을 운영하고 있다. 수십 개의 언어를 지원하며, 한국어를 포함한 다국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1]
역사
[편집]- 2020년 3월 30일 : 데스크톱 초기 공개판(베타)이 배포되었다.[2]
- 2022년 10월 13일 : 데스크톱 1.0.0 정식 버전이 공개되었다.[3]
- 2023년 6월 1일 : 새로운 공식 아이콘·로고로 교체되었다.[4]
- 2024년 11월 11일 : 브라우저 확장 기능 Obsidian Web Clipper가 정식 출시되었다.[5][6]
- 2025년 2월 20일 : 업무용(상업적) 사용을 전면 무료화하였다. 기존 상업 라이선스는 후원 성격으로 전환되었다.[7]
- 2025년 10월 1일 기준 : 최신 안정 계열은 1.9.x이며, 모바일 1.9.14가 공개되었다(데스크톱 1.9.14 내용까지 포함).[8]
특징
[편집]로컬 우선과 파일 기반 설계가 핵심이다. 노트는 일반 텍스트의 마크다운 파일로 저장되며, 사용자는 자신의 폴더(볼트) 구조를 그대로 유지한 채 소프트웨어 없이도 파일을 열람할 수 있다.[9] 링크드 노트는 위키 링크(`...`) 방식과 백링크를 지원하며,[10] 전역 그래프와 로컬 그래프 보기를 통해 노트 간 연결 관계를 시각화할 수 있다.[11] 편집기는 ‘라이브 프리뷰’ 모드로 마크다운을 거의 실시간으로 렌더링하며,[12] 테이블·코드 블록·수식(LaTeX)·Mermaid 다이어그램 등 확장 구문을 제공하는 옵시디언 고유 마크다운(Obsidian Flavored Markdown)을 채택한다.[13][14] 노트 상단의 속성(Properties) 편집을 통해 구조화된 메타데이터(텍스트, 날짜, 체크박스, 숫자 등)를 관리할 수 있으며,[15] 주석을 강조하는 Callout 블록도 지원한다.[16] 웹 페이지를 저장하는 Web Clipper 확장,[5] 무한 캔버스 형태의 Canvas,[17] 개인 사이트로 노트를 발행하는 Publish,[18] 종단간 암호화(E2EE)를 제공하는 Sync 등 부가 기능도 탑재되어 있다.[19]
기능
[편집]- 코어 플러그인
- 역링크, 북마크, 캔버스, 명령 팔레트, 데일리 노트, 파일 복구, 그래프 뷰, 문서 아웃라인, 링크 미리보기, 전역 검색, 슬래시 커맨드, 템플릿, 워크스페이스, 오디오 녹음, 그리고 2025년 도입된 Bases(테이블·카드 등 다양한 뷰로 노트 속성을 다루는 기능) 등을 제공한다.[20][21]
- 커뮤니티 플러그인
- 공식 저장소를 통해 수천 개(예: 2,000개 이상)의 커뮤니티 플러그인이 배포된다.[22] 대표적인 예시는 다음과 같다.
- Dataview — 노트 메타데이터를 질의하여 표·목록으로 표시.[23][24]
- Tasks — 체크박스 기반 할 일 관리 및 질의 기능 제공.[25]
- Templater — 동적 템플릿·자바스크립트 자동화.[26]
- Obsidian Git — Git 연동·버전 관리 보조.[27]
- Kanban — 마크다운 기반 칸반 보드.[28]
- Excalidraw — 손그림 다이어그램 작성·임베드.[29]
플랫폼
[편집]옵시디언은 윈도우, macOS, 리눅스, 안드로이드, iOS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모두 제공하며, 모든 플랫폼에서 동일한 마크다운 파일 구조와 플러그인 시스템을 공유한다. 데스크톱 앱은 멀티 패널 인터페이스, 고급 단축키 지원, CSS 커스터마이즈, 플러그인 개발과 디버깅까지 지원해 주 작업 환경으로 사용되며, 수천 개 이상의 노트를 가진 대규모 볼트도 비교적 안정적으로 처리한다. 모바일 앱은 데스크톱 버전과 거의 동일한 기능을 구현하면서도 소형 화면에 맞춘 전용 하단 툴바와 스와이프 제스처, 태블릿의 분할 화면 지원 등 모바일 최적화를 제공한다. 아이패드에서는 블루투스 키보드와 스타일러스 펜을 사용하여 내용을 편집할 수 있다. 데이터 동기화는 사용자가 선택한 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지며, 공식 서비스인 ‘옵시디언 싱크(Obsidian Sync)’를 이용할 경우 종단간 암호화(E2EE)와 버전 히스토리를 지원하고, iCloud, Dropbox, Git, Syncthing 등 외부 클라우드 또는 오픈소스 도구를 활용해 동기화를 직접 구성할 수도 있다.[30][31][32]
라이선스와 가격
[편집]핵심 애플리케이션은 무료이며, 2025년 2월부터 상업적 사용도 무료로 전환되었다.[7] 유료 부가 서비스로는 종단간 암호화 동기화 서비스인 Sync(연간 결제 기준 월 4달러, 월별 결제 기준 월 5달러의 표준 플랜 도입),[33] 노트 웹 게시 서비스 Publish 등이 있다. 가격과 제공 범위는 공식 가격 페이지에서 공지된다.[34] Publish는 비밀번호 보호·커스텀 도메인·테마 커스터마이즈 등을 지원한다.[18]
다른 소프트웨어와의 비교
[편집]- Notion : 클라우드·데이터베이스 중심이며, 다수 사용자 실시간 협업을 지원한다. 반면 옵시디언은 로컬 파일 기반·플러그인 중심의 개인 지식 관리에 초점을 둔다.[35]
- Logseq : 오픈 소스(AGPL)로 블록 아웃라이너 기반을 채택한다. 옵시디언은 파일(문서) 단위와 위키 링크·그래프 뷰에 강점이 있다.[36][37]
- Typora : 완전한 WYSIWYG 마크다운 편집 경험에 중점을 둔 상용 데스크톱 편집기로, 지식 그래프·백링크·플러그인 생태계 등은 제공하지 않는다. 옵시디언은 지식 연결과 확장성에 초점이 있다. (일반적 비교)
사용 사례
[편집]제텔카스텐(Zettelkasten)
[편집]제텔카스텐은 짧고 자족적인 “원자적 노트”를 작성하고, 노트 간 상호 참조를 통해 개념망을 점진적으로 확장하는 방법론이다. 옵시디언은 내부 링크와 백링크, 로컬 그래프 보기를 제공하여 개념 간 연결과 맥락을 시각적으로 탐색할 수 있다.[10][11] 노트 제목이나 고유 식별자를 템플릿으로 자동 생성하고, 노트 상단 속성(Properties)으로 주제·출처·연관 키워드를 표준화하면, 장기 축적에 따른 검색성과 일관성이 향상된다.[38][15] 실무에서는 “읽기 메모(문헌 노트) → 통합 메모(영구 노트)”의 단계로 정리하며, 영구 노트는 한 가지 주장이나 개념만 다루도록 축약한다. 관련 노트를 상호 링크로 묶고, 로컬 그래프 뷰로 연결 밀도가 낮은 노트를 찾아 보강하는 식으로 지식망을 관리한다.[11]
PARA·세컨드 브레인
[편집]PARA(Projects/Areas/Resources/Archive)는 디지털 정보 조직을 위한 범용 체계로, 옵시디언에서는 폴더 구조와 속성(Properties)을 결합해 구현하는 방식이 일반적이다. 예를 들어 프로젝트 진행 상태, 담당 영역(Area), 참고 자료(Res), 보관 여부(Archive) 등을 속성으로 표준화하고, Dataview로 특정 프로젝트에 속한 노트만 표·목록으로 집계한다.[39][15][40] Tasks 플러그인을 함께 사용하면 체크박스로 작성한 할 일을 기한·우선순위 등 메타와 함께 전역 조회할 수 있어, Projects 폴더를 중심으로 개인 업무 대시보드를 구성할 수 있다.[41]
학술 연구(인용·문헌 관리)
[편집]Zotero 통합 플러그인을 통해 참고문헌·하이라이트·주석을 옵시디언 노트로 가져오고, 인용키나 DOI를 속성(Properties)으로 기록해 재현 가능성을 높인다.[42][15] 논문별 요약·비판·추가 실험 아이디어를 원자적 노트로 분리하고, 주제·방법론·데이터셋 등 공통 속성으로 교차 집계하면 연구 맥락을 체계적으로 추적할 수 있다.[40] 연구 진행 중에는 로컬 그래프를 통해 관련 개념 또는 선행연구 간 연결 공백을 식별하고, 결과 정리 단계에서는 인용된 노트 묶음을 임베드하여 초안을 구성한다.[11]
글쓰기·콘텐츠 제작
[편집]자료조사 노트를 분해·수집한 뒤, 임베드(트랜스클루전)로 초안을 빠르게 조립하고 캔버스에 구조를 시각화하는 워크플로우가 일반적이다. 초안이 완성되면 퍼블리시 기능을 사용해 선택한 노트만 웹으로 공개하여 포트폴리오나 지식 정원(Digital Garden) 형태로 배포할 수 있다.[18][43] 템플릿으로 기사·리뷰·스크립트 등 문서 유형별 머리말과 섹션을 자동 채우면, 반복 작업을 줄이고 일관된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38]
개인 생산성(저널·일지)
[편집]데일리 노트 코어 플러그인으로 날짜별 노트를 자동 생성하고, Periodic Notes·Calendar 플러그인을 결합해 일·주·월 단위 회고와 일정 개요를 한 화면에서 확인할 수 있다.[44][45][46] Tasks·Dataview를 이용하면 완료·미완료 작업, 주간 목표, 습관 체크 등의 정보를 자동 집계해 개인 대시보드를 구성할 수 있다.[41][40]
조직 지식관리(OKM)
[편집]조직 환경에서는 개인 볼트를 우선 축적한 뒤, 퍼블리시로 읽기 전용 지식베이스를 제공하거나, 클라우드 동기화·공유 폴더 등으로 선택 범위의 노트를 배포하는 방식이 사용된다.[18] 2025년 2월 이후 상업적 사용이 무료로 전환되면서, 팀·기업이 코어 기능을 비용 부담 없이 도입할 수 있는 여지가 확대되었다.[7] 실시간 동시 편집 대신 동기화와 충돌 해결 기능을 기반으로 한 비동기 협업을 전제로 설계되며, 보안 요구가 높은 환경에서는 로컬 저장과 필요 시 종단간 암호화 동기화(옵시디언 싱크)를 병행해 운영한다.[19]
커뮤니티와 생태계
[편집]옵시디언은 출시 초기부터 활발한 사용자 커뮤니티를 기반으로 성장해 왔으며, 공식 포럼·디스코드·커뮤니티 허브·레딧 등 다양한 플랫폼에서 사용자 경험, 플러그인 개발, 워크플로우 공유가 이루어지고 있다.[47][48][49]
공식 포럼
[편집]포럼은 기능 요청, 버그 리포트, 플러그인 개발 협업, 테마 디자인 공유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 개발자와 사용자가 직접 소통하는 공간으로, 핵심 기능의 개선이나 새로운 아이디어가 실제 제품에 반영되는 경우도 많다.[48]
디스코드
[편집]공식 디스코드 서버는 실시간 대화와 빠른 질의응답에 활용된다. 초보 사용자가 설정이나 플러그인 설치 문제를 문의하거나, 숙련자가 새로운 워크플로우를 실험해 공유하는 장소로 기능한다. 영어 채널을 중심으로 운영되며, 비공식 한국어·일본어 등 지역별 커뮤니티도 자생적으로 존재한다.[47]
레딧 및 외부 커뮤니티
[편집]레딧의 r/ObsidianMD 서브레딧은 사용자 경험담, 플러그인 추천, 노트 구조 설계 사례 등을 공유하는 대표적인 외부 커뮤니티다. 블로그·유튜브 채널 등도 활성화되어 있으며, 새로운 기능 업데이트 시 튜토리얼 영상과 활용법이 빠르게 확산된다.
Obsidian Hub
[편집]Obsidian Hub는 커뮤니티 주도로 운영되는 중앙 리소스 아카이브로, 플러그인 목록, 테마, 템플릿, 워크플로우 가이드, 주간 뉴스레터(Roundup) 등이 정리되어 있다. 허브는 학습용 자료뿐만 아니라 실무에 바로 활용할 수 있는 코드 스니펫과 설정 예시를 제공한다.[49]
플러그인 생태계
[편집]공식 코어 플러그인 외에도 커뮤니티가 제작한 수천 개의 플러그인이 등록되어 있다.[20] Dataview, Tasks, Templater, Kanban, Excalidraw, Obsidian Git 등은 가장 많이 사용되는 대표 플러그인으로 꼽힌다. 이들 플러그인을 통해 단순한 텍스트 편집기를 넘어 데이터베이스, 할 일 관리, 시각화, 버전 관리 도구 등으로 확장할 수 있다.
문화와 기여
[편집]옵시디언 커뮤니티는 “디지털 가든(Digital Garden)” 개념을 중시하며, 사용자가 자신만의 노트 체계를 실험하고 공유하는 문화를 발전시켰다. 사용자들은 플러그인과 테마를 오픈 소스로 배포하며, 번역 프로젝트에 참여해 다국어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50]
보안과 프라이버시
[편집]옵시디언은 사용자가 작성한 노트를 로컬 파일 시스템에 저장하는 구조를 채택하여, 데이터의 소유권과 접근 권한을 전적으로 사용자에게 부여한다.[51] 이 설계는 인터넷 연결이 없는 상황에서도 모든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서비스 중단이나 서버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사용자가 자신의 노트에 접근할 수 있게 한다.[52]
공식 동기화 서비스인 Obsidian Sync는 데이터 전송 과정에서 종단간 암호화(E2EE)를 적용하여 서버 운영사도 데이터 내용을 확인할 수 없도록 한다.[53] 또한 버전 히스토리 기능과 충돌 해결 도구를 제공하여, 사용자 데이터의 무결성과 변경 이력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54]
옵시디언은 마크다운 파일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특정 플랫폼에 종속되지 않으며, 다른 편집기로 문서를 열거나 다른 애플리케이션으로 이전할 수 있다.[55] 보안 수준은 사용자가 선택한 동기화 방법에도 영향을 받는다. 예를 들어 iCloud, Dropbox, Git, Syncthing 등 외부 클라우드 서비스로 데이터를 공유할 경우, 해당 서비스의 보안 정책과 제한이 그대로 적용된다.[56]
옵시디언은 커뮤니티 플러그인을 지원하지만, 공식적으로는 잠재적 보안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신뢰할 수 있는 개발자의 플러그인을 설치하거나, 소스 코드가 공개된 플러그인만 사용하는 것을 권장한다.[57]
국제화
[편집]사용자 인터페이스 번역은 GitHub 공개 저장소를 통해 커뮤니티가 참여하며, 공식 도움말에도 번역 참여 안내가 제공된다.[50][58]
파일 형식
[편집]기본 마크다운(`.md`) 외에 베이스(`.base`), 캔버스(`.canvas`), 이미지·오디오·비디오·PDF 등 다양한 형식을 지원한다.[59]
마크다운과 문법(OFM)
[편집]옵시디언은 CommonMark·GitHub Flavored Markdown·LaTeX를 조합한 옵시디언 고유 마크다운을 채택한다. 문서 간 내부 링크, 하이라이트, 표, 콜아웃 등 확장 구문을 제공하며, 다른 앱에서 가져온 문서는 포맷 변환기로 맞출 수 있다.[60][61][62][10][63]
베이스(Bases)
[편집]베이스는 노트의 속성을 기반으로 테이블·카드 등 데이터베이스형 뷰를 구성하는 코어 플러그인으로, 필터·정렬·수식(함수)·임베드 구문을 지원한다.[64][65][66][67]
웹 클리퍼
[편집]공식 웹 클리퍼 확장은 하이라이트와 메타데이터를 포함한 웹 페이지 저장을 지원하며, 저장물은 마크다운 파일로 보관된다.[5]
각주
[편집]- ↑ 가 나 Myrick, Andrew (2021년 9월 15일). “Obsidian is the best note-taking app that you've never heard of”. 《Android Central》. 2022년 12월 17일에 확인함.
- ↑ “Obsidian 0.0.1 Desktop (Public)” (영어). 《Obsidian Changelog》. 2020년 3월 30일. 2025년 10월 1일에 확인함.
- ↑ “Obsidian 1.0.0 Desktop (Public)” (영어). 《Obsidian Changelog》. 2022년 10월 13일. 2025년 10월 1일에 확인함.
- ↑ “The new Obsidian icon” (영어). 《Obsidian Blog》. 2023년 6월 1일. 2025년 10월 1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Save the web: Introducing Obsidian Web Clipper” (영어). 《Obsidian Blog》. 2024년 11월 11일. 2025년 10월 1일에 확인함.
- ↑ “Web Clipper” (영어). 《Obsidian》. 2025년 10월 1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Obsidian is now free for work” (영어). 《Obsidian Blog》. 2025년 2월 20일. 2025년 10월 1일에 확인함.
- ↑ “Changelog – includes updates up to Obsidian Desktop v1.9.14” (영어). 《Obsidian Changelog》. 2025년 10월 1일. 2025년 10월 1일에 확인함.
- ↑ “Obsidian Markdown Reference” (영어). 《Markdown Guide》. 2025년 10월 1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Internal links” (영어). 《Obsidian Help》. 2025년 10월 1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Graph view” (영어). 《Obsidian Help》. 2025년 10월 1일에 확인함.
- ↑ “Views and editing mode (Live Preview)” (영어). 《Obsidian Help》. 2025년 10월 1일에 확인함.
- ↑ “Obsidian Flavored Markdown” (영어). 《Obsidian Help》. 2025년 10월 1일에 확인함.
- ↑ “Advanced formatting syntax” (영어). 《Obsidian Help》. 2025년 10월 1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Properties” (영어). 《Obsidian Help》. 2025년 10월 1일에 확인함.
- ↑ “Callouts” (영어). 《Obsidian Help》. 2025년 10월 1일에 확인함.
- ↑ “Canvas” (영어). 《Obsidian Help》. 2025년 10월 1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Introduction to Obsidian Publish” (영어). 《Obsidian Help》. 2025년 10월 1일에 확인함.
- ↑ 가 나 “How Obsidian Sync encrypts your data” (영어). 《Obsidian Help》. 2025년 10월 1일에 확인함.
- ↑ 가 나 “Plugins (Core plugins list)” (영어). 《Obsidian Help》. 2025년 10월 1일에 확인함.
- ↑ “Introduction to Bases” (영어). 《Obsidian Help》. 2025년 10월 1일에 확인함.
- ↑ “Plugins – search results (example listing)” (영어). 《Obsidian》. 2025년 10월 1일에 확인함.
- ↑ “Obsidian Dataview” (영어). 《GitHub》. 2025년 10월 1일에 확인함.
- ↑ “Dataview – Documentation” (영어). 《GitHub Pages》. 2025년 10월 1일에 확인함.
- ↑ “Obsidian Tasks” (영어). 《GitHub》. 2025년 10월 1일에 확인함.
- ↑ “Templater – Introduction” (영어). 《SilentVoid Docs》. 2025년 10월 1일에 확인함.
- ↑ “Obsidian Git Plugin” (영어). 《GitHub》. 2025년 10월 1일에 확인함.
- ↑ “Obsidian Kanban” (영어). 《GitHub》. 2025년 10월 1일에 확인함.
- ↑ “Obsidian–Excalidraw plugin” (영어). 《GitHub》. 2025년 10월 1일에 확인함.
- ↑ “Obsidian for iOS and Android” (영어). 《Obsidian》. 2025년 10월 1일에 확인함.
- ↑ “Use the mobile app” (영어). 《Obsidian Help》. 2025년 10월 1일에 확인함.
- ↑ “How Obsidian Sync encrypts your data” (영어). 《Obsidian Help》. 2025년 10월 1일에 확인함.
- ↑ “Lower Sync prices earlier this year” (영어). 《Obsidian Blog》. 2024년 3월 20일. 2025년 10월 1일에 확인함.
- ↑ “Pricing” (영어). 《Obsidian》. 2025년 10월 1일에 확인함.
- ↑ “Collaborate in Notion” (영어). 《Notion Help Center》. 2025년 10월 1일에 확인함.
- ↑ “Logseq Documentation” (영어). 《Logseq Docs》. 2025년 10월 1일에 확인함.
- ↑ “Logseq” (영어). 《Logseq》. 2025년 10월 1일에 확인함.
- ↑ 가 나 “Templater – Introduction” (영어). 《SilentVoid Docs》. 2025년 10월 1일에 확인함.
- ↑ “The PARA Method: A Universal System for Organizing Digital Information” (영어). 《Forte Labs》. 2025년 10월 1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Obsidian Dataview” (영어). 《GitHub》. 2025년 10월 1일에 확인함.
- ↑ 가 나 “Obsidian Tasks” (영어). 《GitHub》. 2025년 10월 1일에 확인함.
- ↑ “Obsidian Zotero Integration” (영어). 《GitHub》. 2025년 10월 1일에 확인함.
- ↑ “Canvas” (영어). 《Obsidian Help》. 2025년 10월 1일에 확인함.
- ↑ “Daily notes” (영어). 《Obsidian Help》. 2025년 10월 1일에 확인함.
- ↑ “obsidian-periodic-notes” (영어). 《GitHub》. 2025년 10월 1일에 확인함.
- ↑ “obsidian-calendar-plugin” (영어). 《GitHub》. 2025년 10월 1일에 확인함.
- ↑ 가 나 “Community” (영어). 《Obsidian》. 2025년 10월 1일에 확인함.
- ↑ 가 나 “Obsidian Forum” (영어). 《Obsidian Forum》. 2025년 10월 1일에 확인함.
- ↑ 가 나 “Obsidian Hub” (영어). 《Obsidian Publish》. 2025년 10월 1일에 확인함.
- ↑ 가 나 “obsidian-translations” (영어). 《GitHub》. 2025년 10월 1일에 확인함.
- ↑ “What is Obsidian” (영어). 《Obsidian Help》. 2025년 10월 1일에 확인함.
- ↑ “Obsidian is the best note-taking app you've never heard of” (영어). 《Android Central》. 2021년 9월 15일. 2025년 10월 1일에 확인함.
- ↑ “How Obsidian Sync encrypts your data” (영어). 《Obsidian Help》. 2025년 10월 1일에 확인함.
- ↑ “Pricing” (영어). 《Obsidian》. 2025년 10월 1일에 확인함.
- ↑ “Obsidian Markdown Reference” (영어). 《Markdown Guide》. 2025년 10월 1일에 확인함.
- ↑ “Obsidian’s sync feature emphasizes privacy” (영어). 《The Verge》. 2022년 6월 8일. 2025년 10월 1일에 확인함.
- ↑ “Third-party plugins” (영어). 《Obsidian Help》. 2025년 10월 1일에 확인함.
- ↑ “Translations” (영어). 《Obsidian Help》. 2025년 10월 1일에 확인함.
- ↑ “Accepted file formats” (영어). 《Obsidian Help》. 2025년 10월 1일에 확인함.
- ↑ “Obsidian Flavored Markdown” (영어). 《Obsidian Help》. 2025년 10월 1일에 확인함.
- ↑ “Basic formatting syntax” (영어). 《Obsidian Help》. 2025년 10월 1일에 확인함.
- ↑ “Import Markdown files (Format converter)” (영어). 《Obsidian Help》. 2025년 10월 1일에 확인함.
- ↑ “Callouts” (영어). 《Obsidian Help》. 2025년 10월 1일에 확인함.
- ↑ “Introduction to Bases” (영어). 《Obsidian Help》. 2025년 10월 1일에 확인함.
- ↑ “Bases syntax” (영어). 《Obsidian Help》. 2025년 10월 1일에 확인함.
- ↑ “Bases functions” (영어). 《Obsidian Help》. 2025년 10월 1일에 확인함.
- ↑ “Bases views” (영어). 《Obsidian Help》. 2025년 10월 1일에 확인함.
참고 문헌
[편집]- 포르테, 티아고. 두 번째 뇌 만들기: 디지털 삶을 조직하고 창의력을 여는 방법(Building a Second Brain). 뉴욕: Atria Books, 2022.
- 아렌스, 젠케. 스마트 노트 테이킹: 글쓰기·학습·사고를 강화하는 단 하나의 기법(How to Take Smart Notes). 시애틀: CreateSpace Independent Publishing Platform,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