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요루바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요루바어
Èdè Yorùbá
사용 국가 나이지리아, 베냉, 토고
사용 민족 요루바족
언어 인구 4000만 명 (2015년)[1]
문자 로마자
요루바 점자
아랍 문자(과거)
언어 계통 니제르콩고어족
 대서양콩고어파
  볼타콩고어군
   볼타니제르어군
    YEAI어군
     요루바어군
      에데키리어군
       요루바어
공용어 및 표준
공용어로 쓰는 나라 나이지리아의 기 나이지리아
베냉의 기 베냉
토고의 기 토고
언어 부호
ISO 639-1 yo
ISO 639-2 yor
ISO 639-3 yor 요루바어
글로톨로그 yoru1245[2]

요루바어(Èdè Yorùbá)는 서아프리카요루바족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요루바어 화자의 수는 약 3 ~ 4천만 명으로 추정된다.[3][4][5] 주로 나이지리아 서남부와 베냉 일대에서 쓰이고, 시에라리온, 라이베리아, 아프리카의 다른 여러 지역과 아메리카, 유럽에서도 쓰인다. 요루바어의 가장 가까운 친척은 나이저강 삼각주이체키리어와 나이지리아 중부의 이갈라어이다.[1]

음운

[편집]

닿소리

[편집]
입술소리 치경음 후치경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성문음
단일 조음 이중 조음
비음 m ŋ~ŋ̍
파열음 무성음 t k kp
유성음 b d ɟ ɡ ɡb
마찰음 f s ʃ h
유음 설측음 l
R음 ɾ
반모음 j w

n은 정서법상으로는 존재한다. 그러나 /n/은 엄밀하게 말하자면 l이 비모음 앞에 있을 때만 나타난다.

홀소리

[편집]
전설 후설
고모음 i, ĩ u, ũ
중고모음 e o
중저모음 ɛ, ɛ̃ ɔ, ɔ̃
저모음 a, ã

성조

[편집]

고조, 중조, 저조 3개가 있다.

문법

[편집]
  • 어순으로는 SVO형이다.
  • 명사의 성은 없다. 의문문에서 인간과 비인간 명사의 구분이 있다.
  • 전치사로는 ní(영어의 in, at, on에 상응)와 sí(영어의 onto, towards에 상응) 두 개가 있다.
  • 수사는 이십진법을 따른다.

각주

[편집]
  1. Yoruba, 에스놀로그 (22판, 2019년)
  2. Hammarström, Harald; Forkel, Robert; Haspelmath, Martin; Bank, Sebastian, 편집. (2023). 〈Yoruba〉.《Glottolog 4.8》. Jena, Germany: Max Planck Institute for the Science of Human History. 
  3. Mikael Parkvall, "Världens 100 största språk 2007" (2007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100개 언어)는 2700만 이상으로 추정.
  4. Metzler Lexikon Sprache (4판, 2010년)은 과거 추정치와 인구 증가 추세를 바탕으로 3천만 이상으로 추정.
  5. 에스놀로그》 (22판, 2019년)는 3980만 명으로 추정.

외부 링크

[편집]
  • 위키미디어 공용에 요루바어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