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의 부정부패
우크라이나의 부정부패는 1991년 소련의 붕괴로 거슬러 올라가는 사회에[1][2]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문제이다.[3] 소련으로부터의 독립을 선언한 후, 우크라이나는 경찰, 정당, 산업의 부패를 이용하여 권력을 얻은 다양한 정치 스펙트럼의 정치인들뿐만 아니라 범죄 조직 보스들과 올리가르히들과 마주했다.[4] 우크라이나는 여전히 유럽에서 부패한 국가 중 하나로 간주되지만, 2015년 이후 꾸준히 개선되고 있다.[5][6]
역사
[편집]현대 우크라이나 부패는 1980년대 소련 조직범죄와 연계된 개인들이 노멘클라투라(우크라이나를 포함한 소련의 지배 엘리트)에 통합된 것으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7]
총리였던 파블로 라자렌코는 1억 1,400만에서 2억 미국 달러 사이를 횡령한 혐의를 받는다.[8]
독립 후, 우크라이나는 1990년대와 2000년대 초반에 다소 폭력적인 부패 시기를 겪었다. 미국 외교관들은 케이블게이트에 따르면 대통령 레오니드 쿠치마 (1994년부터 2005년까지 재임)와 빅토르 유셴코 (2005년부터 2010년까지 재임) 치하의 우크라이나를 도둑정치라고 묘사했다.[9]
산업, 관광 및 항구로부터의 수입 때문에, 이것은 특히 도네츠크주에서 문제였다.[10] 2005년, 도네츠크에서 사업가, 판사, 변호사, 수사관들의 대규모 묘지가 발견되었다.[11] 도네츠크의 전 주지사 빅토르 야누코비치와 그의 지역당은 조직범죄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고 비난받는 사람들 중 하나였다.[12] 야누코비치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2010년 선거에서 우크라이나의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그러나 2014년, 그는 유럽 연합과의 무역 협정 체결을 거부한 후 발발한 유로마이단으로 전복되었다. 많은 시위자들은 부패를 불만의 가장 중요한 이유로 꼽았다.[13][14] 야누코비치는 전임자들보다 친러 성향이 강하다고 여겨져, 우크라이나 민족주의자들은 부패가 자국의 러시아와의 관계와 연관되어 있다고 주장했다.[15][16][17][18][19][20][21] 존엄의 혁명 이후 우크라이나에서는 경찰 개혁, 공공 조달, 국영 산업 해체를 통한 낭비 감소로 부패 개혁이 어느 정도 성공을 거두었지만, 비평가들은 이러한 진전이 제한적이라고 지적했다.[22]
우크라이나는 2022년 러시아 침공 기간 동안 전례 없는 재정 지원을 받으면서 부패 문제에 대해 더욱 면밀한 조사를 받게 되었다. 2023년 1월, 5명의 주지사를 포함한 여러 고위 공무원들이 부패 스캔들로 인해 해고되었다. 국방부 차관 비아체슬라우 샤포발로우는 국방부의 대규모 조달 스캔들 이후 사임했고, 대통령실 부실장 키릴로 티모셴코도 사임했다. 며칠 전, 인프라부 차관은 우크라이나 당국에 따르면 40만 달러의 뇌물을 받는 동안 부패 방지 기관에 의해 구금된 후 해고되었다.[23][24][25]
개선에도 불구하고, 유럽 연합에 가입하기 위해서는 부패가 여전히 해결해야 할 영역으로 남아있다.[26]
부패에 대한 비교 연구
[편집]일코 쿠체리우 민주 이니셔티브 재단의 1995년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42%가 부패는 "객관적인 근거가 없는 부끄러운 현상"이라고 답했고, 36%는 부패가 "사회적 전통의 구성 요소"라고 답했다.[27] 남우크라이나와 서우크라이나 응답자들은 부패가 "사회적 전통의 구성 요소"라고 답한 경우가 더 많았다(42%와 43%). "객관적인 근거가 없는 부끄러운 현상"이라는 응답은 중앙 우크라이나 (48%)와 동우크라이나 (53%) 응답자들이 더 많이 선택했다.[27]
2012년 언스트 엔 영은 우크라이나를 조사 대상 43개국 중 콜롬비아 및 브라질과 함께 가장 부패한 세 나라 중 하나로 꼽았다.[28][29] 2015년 가디언은 우크라이나를 "유럽에서 가장 부패한 국가"라고 불렀다.[6] 2017년 언스트 엔 영이 실시한 여론 조사에 따르면, 전문가들은 우크라이나를 조사 대상 53개국 중 9번째로 부패한 국가로 간주했다.[30]
국제 투명성 기구의 2024년 부패 인식 지수 (CPI)는 0점("매우 부패함")에서 100점("매우 깨끗함")까지의 척도로 180개국을 평가했으며, 우크라이나는 35점을 받았다. 점수별 순위에서 우크라이나는 180개국 중 105위를 차지했으며, 1위 국가의 공공 부문은 가장 정직하다고 인식된다.[31] 지역 점수와 비교하면, 동유럽 및 중앙아시아 국가[Note 1] 중 최고 점수는 53점, 평균 점수는 35점, 최저 점수는 17점이었다.[32] 전 세계 점수와 비교하면, 최고 점수는 90점(1위), 평균 점수는 43점, 최저 점수는 8점(180위)이었다.[33] 우크라이나의 2023년 CPI 점수에 대해 국제 투명성 기구는 우크라이나의 점수가 11년 동안 꾸준히 개선되어 2022년 점수에서 3점 상승했다고 언급했다.
사법 자치 기구 재편 및 사법 독립성 강화를 포함한 사법 시스템 개혁에 대한 집중이 핵심이었다. 반부패 기관(NABU)과 반부패 검찰 기관(SAPO)의 역량 및 독립성을 강화하기 위한 노력은 국가 반부패 전략 및 포괄적인 이행 프로그램과 함께 지속적인 반부패 노력의 견고한 기반을 제공했다.
그러나 국제 투명성 기구는 계속해서, 이러한 기관들이 탐지하고 기소하는 고위급 부패 사건의 우려스러운 숫자는 아직 많은 노력이 필요함을 보여준다고 말했다.[26]
2010년대에 저명한 우크라이나 경제학자 올레흐 하브릴리신은 국제 투명성 기구에서 제공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광범위한 국제적 맥락에서 우크라이나 부패를 비교 연구했다. 이 연구는 우크라이나의 부패 수준이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국가들과 비슷하며 우간다와 가장 유사하다고 추정했다.[34][35]
부패의 종류
[편집]우크라이나의 부패는 소련 해체 이후 조직범죄 및 정당과 유사한 경로를 따랐다.[36]
뇌물
[편집]2000년대에는 공공 서비스가 제때 또는 전혀 제공되지 않을 경우를 대비하여 뇌물이 제공되었다.[37] 우크라이나인들은 뇌물을 주는 것이 관례이며 예상되는 일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뇌물을 주었다고 진술했다.[37][38] 가장 큰 뇌물 중 일부는 100만 미국 달러 이상이었다.[39] 2008년 Management Systems International (MSI)의 사회학적 조사에 따르면, 가장 높은 부패 수준은 차량 검사(58%), 경찰(54%), 의료(54%), 법원(49%), 고등 교육(44%)에서 발견되었다.[40] 2011년 우크라이나 대통령 빅토르 야누코비치는 부패로 인해 국가 예산에서 매년 25억 미국 달러의 수입이 손실되고, 공공 조달의 부패한 거래를 통해 국가 예산의 10%에서 15%(74억 미국 달러)가 "공무원들의 주머니"로 들어간다고 밝혔다.[41]
2006년 미국 국제개발처 (USAID)에 따르면, 우크라이나 부패의 주요 원인은 훼손된 사법 제도와 과도하게 통제적이며 불투명한 정부, 그리고 러시아와의 비즈니스-정치적 유착 및 약화된 시민 사회였다.[42] 부패는 우크라이나의 언론에서 정기적으로 논의된다.[43][44]
2016년, IMF 우크라이나 파견 단장은 부패 감소가 국제 지원 지속의 핵심 시험대라고 밝혔다.[45] 일부 서방 분석가들은 대규모 해외 차관이 개혁을 장려하기보다는 부패한 자금 유출을 가능하게 한다고 보았다.[46] 미국 국무부 차관보 빅토리아 눌런드는 우크라이나에 부패 공무원 기소를 촉구하며 다음과 같이 말했다. "우크라이나 국민을 너무 오랫동안 속여온 사람들을 감금할 때가 되었고, 부패라는 암을 뿌리 뽑을 때가 되었다."[47]
2013년 국제 투명성 기구의 국제 부패 인식 지수에서 우크라이나인들은 지난 2년간 뇌물을 가장 흔히 지불했던 기관이 경찰(조사 대상 우크라이나인의 49%가 그렇게 했다), 의료 및 보건 서비스(41%), 그리고 교육 시스템(33%)이라고 보고했다.[48] 2000-2010년 반복된 조사에서 대다수의 우크라이나인들은 정부와의 부패한 거래를 스스로 보고했다.[37][49][50][51]
2008년에는 21%가 지난 12개월 동안 자신 또는 가족 구성원이 어떤 형태로든 뇌물을 지불했다고 응답했다.[52] 2001년 GfK 설문조사에서는 43%가 개인적으로 뇌물을 준 적이 없다고 밝혔다.[38]
정치적 부정부패
[편집]우크라이나 독립 후 수년 동안, 주로 "행정 자원"의 사용을 통해 부정 선거가 만연했다.[53] 반면, 타라스 쿠지오에 따르면, 우크라이나의 부정 선거는 전체 투표의 5%에 불과했다.[54] 2004년 대통령 선거의 초기 투표가 끝난 후, 우크라이나 대법원은 선거 사기의 규모로 인해 선거 결과를 확정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판결하고 재투표를 명령했다.[55] 그 후, 노골적인 투표 조작은 줄어들었지만,[56] 정치인들은 여전히 부정 선거를 주장했고, 특정 정당을 위해 더 많은 표를 얻기 위한 행정적 수법은 사라지지 않았다.[57] 우크라이나 유권자들은 선거 과정의 정직성에 대해 여전히 매우 회의적이었다.[58] 부정 선거에 가담하는 유권자는 최대 2년의 징역형에 처해지지만, 활동가들은 우크라이나 독립 이후 유권자 사기로 처벌받은 사람이 아무도 없다고 말한다.[59]
2000년대에 미국 외교관들은 여러 우크라이나 국영 기업의 민영화가 정치적 친구들에게 유리하게 조작되었다고 주장했다.[9] 지역 수준에서는 토지 할당과 관련하여 부패가 발견되었다.[60]
2010년경 우크라이나 정치인들은 서로를 부패로 비난하면서도 자신들은 부패와 싸우고 있다고 주장했다.[61] 2012년 초 미래를 위한 개혁 의회 정파에 위장 잠입한 로만 자브잘리욱은 이 정파가 "다른 의회 그룹에서 '탈당'하는 대가로 회원들에게 50만 미국 달러를 '구매'했으며, 매월 2만 달러에서 2만 5천 달러의 월급을 지급했다"고 주장했다. 반면 미래를 위한 개혁은 자브잘리욱이 "매우 심각한 질병을 앓고 있는 척"했으며, 그룹이 자브잘리욱이 이스라엘에서 수술을 받도록 10만 달러 가량을 모금했다고 반박했다.[62]
2011년부터 대통령, 최고 라다 의장, 총리, 검찰총장, 장관 및 기타 우크라이나 고위 공무원들은 부패로 기소될 수 있다.[63] 2010년 이후 우크라이나 언론은 당시 집권 중이던 지역당과 연계된 공무원, 정치인, 사업가들이 일반 용의자들에게는 전례 없는 관용을 보인 수천 건의 형사 사건을 보도했다.[64]
내무부 장관 비탈리 자하르첸코는 2012년에 2010년 이후 약 400명의 정치인이 부패와 관련하여 형사 고발을 당했다고 밝혔다. 이들 대부분은 지역당 출신이었고, 그 다음으로는 율리야 티모셴코 블록과 우리 우크라이나-인민 자위 블록 소속이었다.[65]
2010년대 초반 우크라이나 언론, 특히 우크라인스카 프라우다는 우크라이나 정치인과 공무원들의 백만장자 생활 방식을[66] 그들의 신고된 공식 소득과 전혀 일치하지 않는다고 정기적으로 폭로했다.[67]
역사학자 앤드류 윌슨에 따르면, 2016년 현재 부패 감소 진전은 미미했다.[68] 2015년 설문 조사에 따르면 성인의 72%가 개혁 진전 부족의 원인으로 "권력 부패"를 꼽았다.[68]
2016년 국회의원들의 재산 신고 의무화로 인해 413명의 국회의원이 총 4억 6천만 달러의 재산을 신고했다.[69] 대중의 비판에 반응하여 국회의원들은 월급을 두 배로 인상할 예정이었던 급여 인상을 취소했다.[70] 이 조치는 2014년에 통과된 반부패 패키지의 일부였으며, 이는 우크라이나에 대한 국제 재정 지원의 필수 요건이자 유럽 연합 내 무비자 여행 자격의 전제 조건이었다.[69][71]
지방 정치
[편집]21세기 초반, 여러 우크라이나 시장들은 자신의 직위를 이용하여 자신의 사업 이익을 도모했다는 의심을 받았다.[72]
2013년 체르카시의 전 시장 세르히 오다리치는 시 예산에 ₴600,000의 손실을 입힌 혐의를 받았다.[73]
사법 부패
[편집]2010년대 초반, 우크라이나 정치인과 분석가들은 우크라이나의 사법 시스템이 "근본적으로 썩었다"고 묘사했으며[74][75] 판사들에게 가해지는 정치적 압력과 부패에 대해 불평했다.[76] 독립 변호사들과 인권 운동가들은 우크라이나 판사들이 특정 판결을 내리도록 정기적으로 압력을 받았다고 불평했다.[77] 우크라이나의 사법 시스템은 널리 부패한 것으로 여겨졌다.[78] 2009년 우크라이나 법무부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10%만이 국가의 법원 시스템을 신뢰했다. 30% 미만이 여전히 공정한 재판을 받을 수 있다고 믿었다.[74] 사법권의 독립은 원칙적으로 존재하지만, 실제로는 사법 권력과 정치 권력의 분리가 거의 없었다. 판사들은 정치 및 사업 이익의 압력을 받았다.[79]
2017년 로이터 기사는 당시 볼로디미르 흐로이스만 총리의 말을 인용하여 "우리 부패와의 싸움에서 가장 약한 고리는 우크라이나 법원"이라고 언급하며, "연봉 1만~1만 3천 달러를 받는" 판사 30명이 포르쉐를 소유하고 있는 예를 들었다.[80] 또 다른 예로, 2012년 우크라이나 보안국 부국장 볼로디미르 로키츠키는 불법 마약 퇴치에 전념하는 우크라이나-미국 합동 행사에서 연간 공식 소득에 해당하는 가격인 32,000 미국 달러짜리 고급 손목 시계를 착용하고 있는 모습이 대중에게 포착되었다.[81] 2010년대에 우크라이나 판사들은 뇌물을 받다가 체포되었다.[82]
2010년대 초 비평가들은 또한 공무원들과 그들의 자녀들(후자는 "마조리"[83]로 알려져 있음)이 일반 시민들에 비해 유리한 판결을 받았다고 불평했다.[84][85]
2018년 키이우 포스트는 새로운 우크라이나 고등반부패법원의 후보 중 일부가 부패 혐의를 받거나 연루되었다고 보도했다.[86] 오토마이단, 데주르 및 반부패 활동 센터는 윤리 위원회의 2022년 6월 고등사법위원회 지명 및 제외 결정이 부패와 관련된 판사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반부패 내부고발자 판사 라리사 골니크를 부당하게 제외했다고 비판했다.[87]
2023년 5월, 우크라이나 국가반부패국과 우크라이나 반부패 특별검찰청의 명령에 따라, 우크라이나 대법원장 브세볼로드 크니아지에우는 뇌물을 받는 혐의로 구금되었다.[88] 우크라이나 국가반부패국(NABU)과 반부패 특별검찰청(SAPO)은 소셜 미디어 계정을 통해 우크라이나 대법원의 부정부패 혐의를 보고했다. 반부패 당국은 "NABU와 SAP은 대법원에서 대규모 부패를 밝혀냈으며, 특히 대법원 지도부와 판사들이 부당하게 이익을 취하려는 계획을 밝혀냈다"고 밝혔다.[89]
공공 부문의 부패
[편집]2015년에 우크라이나의 국영 원자력 발전소 운영사인 에네르고아톰에 대해 부패 의혹이 제기되었다.[90] 2016년에는 에네르고아톰의 자산과 은행 계좌가 미납된 부채 혐의로 우크라이나 법원에 의해 동결되었으며, 에네르고아톰은 이에 대해 항소했다.[91][92]
2016년, 우크라이나의 주요 지방 고속도로 중 다수가 매우 열악한 상태였으며, 우크랍토도르(Ukravtodor) 관계자는 도로의 97%가 수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도로 수리 예산은 약 200억 흐리우냐로 책정되었지만, 부패로 인해 예산이 제대로 사용되지 않았다.[93]
고등 교육의 부패
[편집]2000년대와 2010년대에 우크라이나의 고등 교육은 뇌물로 몸살을 앓았다.[94][95][96] 2011년에는 모든 학생의 33%가 학교에서 부패를 경험했다고 주장했으며, 29%는 다른 학생들로부터 부패 사례에 대해 들었고, 38%는 부패를 경험하지 않았다고 밝혔다.[97] 국제 투명성 기구의 2008년 연구에 따르면, 대학생의 47.3%가 뇌물을 요구받았다고 진술했으며, 이 중 29%는 자발적으로 뇌물을 지불했다.[40] 학생들은 대학 입학, 시험 결과, 박사 및 석사 논문 평가를 "살 수" 있었다.[40][96]
뇌물은 시험 합격을 위한 10달러에서 50달러, 대학 입학을 위한 수천 달러에 달했다.[40] 정부 소식통에 따르면, 뇌물은 80달러에서 21,500달러까지 다양했다.[40] 우크라이나에서 교사와 교수의 봉급은 다른 직업에 비해 낮았고, 이는 그들이 뇌물을 요구하도록 유혹했을 수 있다.[40][96] 아라라트 오시피안에 따르면, 우크라이나의 대학과 대학교에는 완전한 부패 계층이 형성되었다.[98] 이러한 계층은 1990년대 이후 통제되지 않고 만연한 부패의 결과로 진화했다.[99] 아라라트는 2010년에 부패한 지배 체제가 부패한 대학을 통제하고 선거 중에도 준수하도록 강요한다고 주장했다.[100] 이는 대학들이 여전히 스탈린주의적 관료 체제를 유지하고 변화할 수 없는 상태에 있었기 때문에 더욱 심화되었다.[101]
2015년까지 대학 자율성은 전무했다.[102] 2015년 우크라이나 의회는 대학에 재정 통제권을 포함한 더 많은 자율성을 부여하는 새로운 고등 교육법을 통과시켰다.[96] 목표는 민간 투자, 기금 모금 및 기부금 조성을 장려하는 것이었다.[96]
2000년대에 우크라이나 정부 관리들은 위조된 대학 졸업장을 소지한 채 적발되었다.[103]
사회 보장 시스템의 부패
[편집]2012년 대통령 빅토르 야누코비치는 사회 서비스 기금의 약 23%만이 실제로 필요한 사람들에게 돌아간다고 보고했다.[28] 우크라이나 언론은 국회의원조차 전쟁 및 체르노빌 참전 용사를 사칭하여 불법적으로 사회 혜택을 받았다는 수많은 이야기를 보도했다.[28]
의료 부패
[편집]국영 병원의 의료 서비스는 이론상 우크라이나인에게 무료였지만, 21세기 초에는 필요한 치료를 받기 위해 돈을 지불하는 환자가 만연했다.[104][105] 2012년 시민 단체들은 보건부 관리들이 AIDS 환자 치료에 사용되어야 할 돈을 부풀려진 가격으로 AIDS 약품을 구매하고 리베이트를 받아 횡령했다고 비난했다.[106]
부패와 사업
[편집]2011년 OECD는 부패가 우크라이나에서 사업을 하는 데 "중대한 장애물"이라고 밝혔다.[107]
2011년과 2012년에 언스트 엔 영이 실시한 연구에 따르면, 고위 경영진이 뇌물을 받는 행위는 2011년에 9%, 2012년에 15% 증가했다.[28] 또 다른 4%는 재정 실적의 세부 사항을 숨기기 위해 뇌물을 지불할 의사가 있었다.[28]
2016년, 정치인 나탈리아 코롤렙스카는 "부패로 인해 사업은 현재 우리 경제의 45%를 차지하는 그림자 경제로 진입했다"고 추정했다.[108]
2010년대 초반, 한 영국 기반 기업의 대표는 비우크라이나 기업들이 뇌물을 주지 않거나 경쟁사보다 "더 많은 뇌물을" 주지 못하면 종종 계약을 잃었다고 주장했다.[77] 우크라이나인들과 사업 대표들은 "일정 수준 이상의 사업 벤처는 어떤 수준의 공무원에게 뇌물을 줘야 한다"고 주장했다.[77]
부패의 대가
[편집]아라라트 오시피안에 따르면 만연한 부패로 인해 우크라이나는 2000년대에 경제 성장 추세를 유지하지 못했다.[109] 빅토르 야누코비치 대통령 재임 기간에 만연했던 무모한 부패는 2014년 그의 몰락에 기여했고, 국군은 러시아의 크림반도 침공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했다.[110]
2008년 국제 투명성 기구는 모든 우크라이나인의 30%에서 50%가 정부 부패를 경험했다고 추정했다.[40] 유하니 그로스만(Management Systems International 프로젝트 등에서 근무)은[111] 2009년에 "우크라이나인들은 매년 약 35억 흐리우냐, 즉 4억 달러 이상의 뇌물을 지불한다"고 주장했다.[44] 전년도에는 그 수치가 7억 달러였다고 주장했다.[112]
반부패 노력
[편집]2004년 말 당선된 대통령 빅토르 유셴코는 "부패와의 전쟁"을 약속했다.[113] 2005년 초 실제로 여러 공무원들이 체포되거나 심문을 받았다(그 중에는 보리스 콜레스니코우[114][115][116]와 유리 보이코[117][118]가 있었는데, 이들은 나중에 아자로프 정부의 장관이 되었다).
올렉산드르 투르치노우, 전 우크라이나 보안국 국장은 2005년 여름 유셴코가 투르크메니스탄산 천연가스의 우크라이나 운송 과정에서 발생한 사기 혐의에 대한 조사를 막고, 나프토가스를 이끌던 보이코를 직권남용죄로 체포하는 것을 막았다고 주장했다.[117][118] 2005년 자유유럽방송과의 인터뷰에서 투르치노우는 유셴코가 8월 중순에 자신에게 "내 사람들을 괴롭히는 것을 멈추라"고 말했으며, 로스우크르에네르고에 대한 조사가 "러시아 대통령 블라디미르 푸틴과 갈등을 일으키고 있다"고 말했다고 진술했다.[118] 2008년 조사에 따르면 우크라이나 국민의 73%가 두 번째 티모셴코 정부의 반부패 조치가 비효율적이라고 생각했다. 미국과 영국에서는 각각 73%와 39%가 유사한 수치를 보였다.[52] 2001년, 레오니드 쿠치마가 대통령이었을 때 실시된 설문조사에서 우크라이나인의 80%가 "현 정부는 부패를 처벌하는 데 진정한 관심이 없다"는 진술에 "전적으로/상당히 동의"했다.[38]
우크라이나는 2006년 유럽평의회 부패감시국에 가입했다.[119]
수년에 걸쳐 우크라이나 의회는 여러 반부패 법안을 통과시켰다.[63][120] 2011년 9월에는 국가 반부패 위원회가 도입되었다.[121]
전임자 유셴코처럼,[113] 빅토르 야누코비치 대통령(및 그의 아자로프 정부[122])은 반부패 투쟁을 국내 정책의 핵심으로 삼았다.[121][123][124] 야누코비치의 정치적 반대자들은 그가 정치적 동기를 가진 재판을 위해 반부패 캠페인을 이용한다고 비난했으며, 우크라이나의 일반 대중도 대체로 이 견해를 공유했다.[125][126][77][127] 야누코비치 대통령은 이를 부인했다.[124]
국제반부패기관협회는 2011년 4월 "2010년 부패와의 전쟁에서 놀라운 성공"을 거두었다고 밝혔다.[128] 유럽 연합 대사, 호세 마누엘 핀토 테이셰이라(Jose Manuel Pinto Teixeira)는 2012년 2월 28일 투자 회의에서 야누코비치의 개혁 약속이 "안타깝게도 그러한 결과를 낳지 못했다"고 밝혔다.[77]
2014년 5월, 반부패 이니셔티브가 설립되었다. 12월, 이 이니셔티브는 리투아니아 경제학자이자 전 유럽연합 세금 및 관세 동맹, 감사 및 사기 방지 집행위원이었던 알기르다스 셰메타를 기업 옴부즈맨으로 임명했다.[129]
부패 수사를 담당하는 우크라이나 국가반부패국 (NABU)은 이전의 국가 반부패 위원회가 실패한 것으로 간주된 후 2015년 3월에 설립되었다.[130] 부패를 예방하는 체계적인 변화를 설계하고 구현하기 위해 2015년에 국가부패방지청이 설립되었다.[131]
2015년 페트로 포로셴코 대통령은 핵심 산업 지역인 드니프로페트로우스크의 억만장자 주지사 이호르 콜로모이스키를 해고했다. 이는 키이우에 있는 국영 석유 회사 사무실을 콜로모이스키와 연관된 것으로 의심되는 무장 괴한들이 잠시 점거한 이후였다.[132]
2018년에는 부패 관련 사건을 직접 우크라이나 고등반부패법원으로 가져가야 한다는 법률이 발효되었다.[133][134] 2018년 6월 포로셴코 대통령은 2018년 말 이전에 법원이 설립될 것으로 예상했다.[133] 2019년에는 고등반부패법원이 업무를 시작했다.[135]
IMF는 올리가르히들이 법원을 이용해 구제금융 자금을 압수할 것을 우려했기 때문에, 의회는 2020년 은행 국유화를 되돌리는 것을 막는 법안을 통과시켰다. 이 법안은 올리가르히 이호르 콜로모이스키와 다른 사람들이 2016년 55억 달러의 구제금융을 받았고 콜로모이스키 밑에서 "돈세탁 기계"로 알려진 프리바트은행의 통제권을 되찾으려는 소송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었다.[136]
2020년 우크라이나 헌법재판소는 의무적인 소득 전자 신고를 포함한 반부패 법안이 위헌이라고 판결했다.[137] 젤렌스키 대통령은 의회가 이 반부패 법안을 복원하지 않으면 해외 원조, 대출, 유럽 연합 무비자 여행이 위험에 처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우크라이나 국립은행 총재는 이 문제로 인해 우크라이나가 2020년 말까지 예정된 IMF 대출 7억 달러를 받지 못할 것이라고 보고했다. IMF 평가 팀은 8개월 동안 키이우를 방문하지 않았다. 추가 IMF 대출 잔액이 풀리려면 방문이 필요했다.[138][139]
2020년 12월 4일, 우크라이나 의회는 법원 판결로 중단되었던 반부패 법안을 복원하여, 소득에 대해 허위 정보를 제공하는 공무원에 대한 형사 처벌을 재승인했다.[140] 2020년 12월 29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대통령은 올렉산드르 투피츠키 헌법재판소장을 2개월간 정직시켜 2020년 10월 법원의 결정을 번복했다.[141]
2022년 7월 19일, 공개 경쟁 절차를 통해 우크라이나 반부패 특별검찰청 (SAPO, NABU를 감독함)의 새 수장을 선발하기 위해 구성된 위원회는 37명의 후보 중 올렉산드르 클리멘코를 최종 합격자로 발표했다.[142][143][144]
대중의 인식
[편집]우크라이나인들에 따르면, 2010년대 초반에 가장 부패한 기관은 사법부, 경찰, 공무원, 의료 서비스 및 의회였다.[48]
부패 인식 지수 평가
[편집]
국제 투명성 기구는 각국의 부패 인식 지수 점수를 나열하는 연간 보고서를 발행한다. 이 "점수는 기업인과 국가 분석가들이 인식하는 부패 수준을 나타내며, 2011년까지 10점(매우 깨끗함)에서 0점(매우 부패함) 사이였다."[145] 2012년부터는 0-100점 척도로 점수가 제시되었다.[146]
다음 표는 1999년부터 국제 투명성 기구의 연간 보고서를 기반으로 한 우크라이나의 부패 인식 지수 순위를 나열한 것이다. 점수 계산 방식은 2012년에 변경되어 한 국가의 점수를 연도별로 비교할 수 있게 되었다. 2012년 이전에는 한 국가의 점수를 같은 해의 다른 국가 점수와만 의미 있게 비교할 수 있었다.[31]
연도 | 순위 | 부패 인식 지수 점수 | 신뢰 구간[147] | 표준 편차 | 표준 오차[148] | 사용된 조사[149] | 출처 | |
---|---|---|---|---|---|---|---|---|
0-10 | 0-100 | |||||||
1998 | 85개국 중 69위 | 2.8 | 1.6 | 6 | [150] | |||
1999 | 99개국 중 75위 | 2.6 | 1.4 | 10 | [151] | |||
2001 | 91개국 중 83위 | 2.1 | 1.1 | 6 | [152] | |||
2002 | 102개국 중 85위 | 2.4 | 0.7 | 6 | [153] | |||
2003 | 133개국 중 106위 | 2.3 | 0.6 | 10 | [154] | |||
2004 | 146개국 중 122위 | 2.2 | 2.0–2.4 | 10 | [155] | |||
2005 | 158개국 중 107위 | 2.6 | 2.4–2.8 | 8 | [156] | |||
2006 | 163개국 중 99위 | 2.8 | 2.5–3.0 | 6 | [145][157] | |||
2007 | 179개국 중 118위 | 2.7 | 2.4–3.0 | 7 | [158][159] | |||
2008 | 180개국 중 134위 | 2.5 | 2.0–2.8 | 8 | [160][161] | |||
2009 | 180개국 중 146위 | 2.2 | 2.0–2.6 | 8 | [162][163] | |||
2010 | 178개국 중 134위 | 2.4 | 2.1–2.6 | 8 | [164][165] | |||
2011 | 183개국 중 152위 | 2.3 | 2.1–2.5 | 10 | [166][167] | |||
2012 | 176개국 중 144위 | 26 | 24–29 | 8 | [168][146] | |||
2013 | 175개국 중 144위 | 25 | 22–28 | 8 | [169] | |||
2014 | 175개국 중 142위 | 26 | 23-29 | 1.6 | 8 | [170][171] | ||
2015 | 167개국 중 130위 | 27 | 24-30 | 5.46 | 1.93 | 8 | [172] | |
2016 | 176개국 중 131위 | 29 | 25-32 | 1.97 | 9 | [173] | ||
2017 | 180개국 중 130위 | 30 | [174] | |||||
2018 | 180개국 중 120위 | 32 | [175] | |||||
2019 | 180개국 중 126위 | 30 | [176] | |||||
2020 | 180개국 중 117위 | 33 | [177] | |||||
2021 | 180개국 중 122위 | 32 | [178] | |||||
2022 | 180개국 중 116위 | 33 | [179] | |||||
2023 | 180개국 중 104위 | 36 | [180] | |||||
2024 | 180개국 중 105위 | 35 | [181] |
참고: 1999년과 2000년의 데이터는 각각 1998년과 1999년으로 기재되었다. 2001년부터는 보고서 연도의 데이터로 기재되었다. 2005년까지는 연간 보고서에 지수 점수의 불확실성 측정값이 포함되었지만, 2006년부터는 연간 보고서에서 생략되고 CPI 보고서에 포함되었다.
같이 보기
[편집]- 우크라이나의 범죄
- 라리사 골니크 – 우크라이나의 반부패 내부고발자 판사
- 우크라이나 국가반부패국
내용주
[편집]- ↑ 알바니아,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벨라루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조지아, 카자흐스탄, 코소보, 키르기스스탄, 몰도바, 몬테네그로, 북마케도니아, 러시아, 세르비아, 타지키스탄, 튀르키예, 투르크메니스탄, 우크라이나, 우즈베키스탄
각주
[편집]- ↑ UAH 1.5 b in budget funds embezzled since year-start, interior minister says 보관됨 6월 6, 2012 - 웨이백 머신, 인테르팍스-우크라이나 (2009년 6월 18일)
- ↑ Ukrainians Pessimistic about Country's Future; Confidence in Political Leaders Falling 보관됨 10월 11, 2011 - 웨이백 머신, 국제선거제도재단 (2011년 9월 13일)
- ↑ Kaleniuk, D., & Halushka, O. (2021). Why Ukraine’s fight against corruption scares Russia. Foreign Policy, 17.
- ↑ FIGHTING A CULTURE OF CORRUPTION IN UKRAINE, 카네기 유럽 (2016년 10월).
- ↑ “Corruption Is an Existential Threat to Ukraine, and Ukrainians Know It”. 《nytimes.com》. 2023년 9월 10일.
- ↑ 가 나 Bullough, Oliver (2015년 2월 6일). “Welcome to Ukraine, the most corrupt nation in Europe”. 《The Guardian》. ISSN 0261-3077. 2017년 5월 11일에 확인함.
- ↑ Bazaluk, Oleg (2016). 〈Introduction〉. 《Corruption in Ukraine: Rulers' Mentality and the Destiny of the Nation》. Cambridge Scholars. XIV쪽. ISBN 9781443896894.
- ↑ “Global Corruption Report” (PDF). 국제 투명성 기구. 2007년 7월 4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5년 3월 2일에 확인함.
- ↑ 가 나 Onyshkiv, Yuriy (2011년 9월 2일). “Clearer Picture”. 《키이우 포스트》.
- ↑ Kuzio, T. (2014). Crime, politics and business in 1990s Ukraine. Communist and Post-Communist Studies, 47(2), 195-210<
- ↑ Leshchenko, S., 2013a. Yakshcho Akhmetov ne zupynyt Yanukovycha, to rozdilyt vidpovidalnist iz nym. Ukrayinska Pravda Blog. December 3. 보관됨 9월 1, 2015 - 웨이백 머신.
- ↑ Koshiw, J.V., 2013. Abuse of Power. Corruption in the Office of the President. Artemia Books.
- ↑ Kulyk, V. (2014). Ukrainian nationalism since the outbreak of Euromaidan. Ab Imperio, 2014(3), 94-122.
- ↑ Kulyk, V. (2016). National identity in Ukraine: Impact of Euromaidan and the war. Europe-Asia Studies, 68(4), 588-608.
- ↑ Shveda, Y., & Park, J. H. (2016). Ukraine's revolution of dignity: The dynamics of Euromaidan. Journal of Eurasian Studies, 7(1), 85-91.
- ↑ Åslund, A. (2014). The maidan and beyond: oligarchs, corruption, and European integration. Journal of Democracy, 25(3), 64-73.
- ↑ Kuzio, T. (2014). Crime, politics and business in 1990s Ukraine. Communist and Post-Communist Studies, 47(2), 195-210.
- ↑ Zhuk, S. I. (2014). Ukrainian Maidan as the last anti-Soviet revolution, or the methodological dangers of Soviet nostalgia (Notes of an American Ukrainian historian from inside the field of Russian Studies in the United States). Ab Imperio, 2014(3), 195-208.
- ↑ Marples, D. R., & Mills, F. V. (Eds.). (2014). Ukraine's Euromaidan: Analyses of a Civil Revolution (Vol. 138). Columbia University Press.
- ↑ Onuch, O. (2014). The Maidan and beyond: who were the protesters?. Journal of Democracy, 25(3), 44-51.
- ↑ Corruption Reveals Russian, Chinese and Internal Ukrainian Involvement, 키이우 포스트 (2022년 12월 13일)
- ↑ De Waal, T. (2016). Fighting a culture of corruption in Ukraine. Carnegie Europe, 18, 2016.
- ↑ “Poland asks Germany for tank OK; Ukraine targets corruption - The Was…”. 《archive.ph》. 2023년 1월 24일. 2023년 1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5년 3월 1일에 확인함.
- ↑ Meldrum, Andrew (2023년 1월 24일). “Ukraine corruption scandal ousts top officials amid war”. 《워싱턴 포스트》. AP (통신사). 2023년 1월 24일에 확인함.
- ↑ Sorgi, Gregorio; Melkozerova, Veronika (2023년 1월 24일). “Ukraine's deputy defense minister resigns amid corruption inquiry”. 《POLITICO》. 2023년 1월 25일에 확인함.
- ↑ 가 나 Myrzabekova, Altynai; Prokic, Lidija (2024년 1월 30일). “CPI 2023 for Eastern Europe & Central Asia: Autocracy & weak justice systems enabling widespread corruption”. 《Transparency International》 (영어). 2024년 2월 24일에 확인함.
- ↑ 가 나 (우크라이나어) What a crime, what a punishment. Or why the "people's answer" to the president's first question will not surprise anyone, 우크라인스카 프라우다 (2020년 10월 15일)
- ↑ 가 나 다 라 마 People First:The latest in the watch on Ukrainian democracy, 키이우 포스트 (2012년 9월 11일)
- ↑ “Ernst & Young's 2012 Global Fraud Survey Highlights Significant Challenges in Dealing with Corruption and Bribery Risks”. 《anti-corruption.com》. 2012년 7월 11일.
- ↑ “Detailed results”. 《EY Fraud Survey》. 2018년 11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1월 6일에 확인함.
- ↑ 가 나 “The ABCs of the CPI: How the Corruption Perceptions Index is calculated”. 《Transparency.org》 (영어). 2025년 2월 11일. 2025년 4월 6일에 확인함.
- ↑ “CPI 2024 for Eastern Europe & Central Asia: Vicious cycle of weak democracy and flourishing corruption”. 《Transparency.org》 (영어). 2025년 2월 11일. 2025년 4월 6일에 확인함.
- ↑ “Corruption Perceptions Index 2024: Ukraine”. 《Transparency.org》 (영어). 2025년 4월 6일에 확인함.
- ↑ Havrylyshyn, Oleh (2017). 〈International Comparisons of Corruption Levels〉. 《The Political Economy of Independent Ukraine: Slow Starts, False Starts, and a Last Chance?》. Springer. 255–256쪽. ISBN 978-1-137-57689-7.
- ↑ Kuzmin, R., 2012a. Interview. BBC Ukrainian Service. March 9. http://www.bbc.co.uk/ukrainian/multimedia/2012/03/120309_kuzmin_ie_part_1_ak.shtml.
- ↑ Shelley, L. (1998). Organized crime and corruption in Ukraine: impediments to the development of a free market economy. Demokratizatsiya, 6(4), 648-63.
- ↑ 가 나 다 Corruption, Democracy, and Investment in Ukraine 보관됨 9월 26, 2011 - 웨이백 머신, 대서양 위원회 (2007년 10월)
- ↑ 가 나 다 Press release 보관됨 3월 8, 2012 - 웨이백 머신, 10th 국제 반부패 회의 (2001)
- ↑ “Top- 100 biggest bribes in Ukraine”. 《www.unian.info》 (영어). 2024년 1월 31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Global Corruption Report 2008 보관됨 9월 3, 2010 - 웨이백 머신, 국제 투명성 기구, Chapter 7.4, p. 280.
- ↑ Rachkevych, Mark (2011년 12월 1일). “Under Yanukovych, Ukraine slides deeper in ranks of corrupt nations - Dec. 01, 2011”. 《Kyiv Post》. 2024년 1월 31일에 확인함.
- ↑ CORRUPTION ASSESSMENT: UKRAINE, USAID (2006년 2월 10일)
- ↑ “Ukraina TV”. 《Ukraina TV》 (미국 영어). 2024년 1월 31일에 확인함.
- ↑ 가 나 Rachkevych, Mark (2009년 6월 25일). “Corruption Plague - Jun. 25, 2009”. 《Kyiv Post》. 2024년 1월 31일에 확인함.
- ↑ Alessandra Prentice (2016년 5월 18일). “Ukraine, IMF agree terms to resume financial support - IMF”. 로이터. 2016년 5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5월 20일에 확인함.
- ↑ Neil A. Abrams, M. 스티븐 피시 (2016년 5월 5일). “How Western aid enables graft addiction in Ukraine”. 《워싱턴 포스트》. 2016년 5월 20일에 확인함.
- ↑ Isabela Cocoli (2016년 4월 27일). “US Urges Ukraine to Jail Corrupt Officials”. 보이스 오브 아메리카. 2016년 5월 20일에 확인함.
- ↑ 가 나 Transparency International Global Corruption Barometer: Ukraine has become more corrupt over the last two years, 우크라이나 주간 (2013년 7월 9일)
- ↑ Fighting Corruption In Ukraine: Ukrainian Style, Gorshenin Institute (2011년 7월 3일)
- ↑ National Integrity System Assessment, Ukraine 2011 보관됨 6월 3, 2011 - 웨이백 머신, TORO Creative Union – Transparency International Contact in Ukraine. pdf page 36.
- ↑ Corruption in the UK: Overview & Policy Recommendations, Transparency International UK, June 2011, ISBN 978-0-9566194-4-0 summary page 2.
- ↑ 가 나 Transparency International Global Corruption Barometer 2009 Report 보관됨 6월 7, 2009 - 웨이백 머신, 2009년 6월 2일, ISBN 978-3-935711-28-9 pdf Abs1:22, 32, 33.
우크라이나에서는 2008년 11월 4일부터 12일까지 전국적인 면대면 설문조사에서 1200명이 인터뷰되었다. 영국 설문조사는 2008년 11월 27일부터 12월 1일까지 온라인으로 인터뷰된 1018명을 대상으로 했다. 미국 설문조사는 2008년 10월 30일부터 11월 4일까지 온라인으로 인터뷰된 1017명을 대상으로 했다. (pdf ABs1:22). - ↑ 앤드류 윌슨, Virtual Politics – Faking Democracy in the Post-Soviet World, 예일 대학교 출판부 (2005), ISBN 0-300-09545-7
- ↑ Foundation, Jamestown (2012년 11월 29일). “Jamestown Foundation Blog: Ukrainian Political Technologists and Seven Election Myths”. 《Jamestown Foundation Blog》. 2024년 1월 31일에 확인함.
- ↑ Supreme Court of Ukraine decision regarding the annulment of November 21 vote. Full text in Ukrainian and Summary in English
- ↑ Understanding Ukrainian Politics:Power, Politics, And Institutional Design by 폴 디아니에리, M. E. 샤프, 2006, ISBN 978-0-7656-1811-5 (page 63)
Committee of Electors of Ukraine registers no major violations at elections to Ternopil regional council 보관됨 10월 1, 2011 - 웨이백 머신, 인테르팍스-우크라이나 (2009년 3월 16일)
EU endorses Ukraine election result, EU 옵서버 (2010년 2월 8일)
International observers say Ukrainian election was free and fair 워싱턴 포스트 (2010년 2월 9일)
European Parliament president greets Ukraine on conducting free and fair presidential election Kyiv Post (2010년 2월 9일) - ↑ Opposition pushes for immediate meeting with Yanukovych Kyiv Post (2011년 9월 22일)
BYT: International observers were physically unable to record mass irregularities in run-off vote Kyiv Post (2009년 2월 11일)
Yanukovych sure Tymoshenko will try to rig results of presidential election Kyiv Post (2009년 12월 17일)
Tymoshenko says she will prevent Yanukovych from rigging presidential election Kyiv Post (2009년 12월 17일)
President's office ex-official blows Yushchenko-Yanukovych secret deal Zik.com (2010년 1월 8일)
타라스 쿠지오, Yushchenko and Yanukovych Forge an Electoral Alliance Kyiv Post (2010년 1월 8일)
Yanukovych's Party Looks To Victory Amid Claims Of Election Fraud, 자유유럽방송 (2010년 11월 1일)
(우크라이나어) ПР отримала мерів майже в половині областей BBC 우크라이나 (2010년 11월 8일)
(우크라이나어) У Криму комуністи і партія «Союз» вимагають перерахунку голосів 보관됨 7월 18, 2012 - archive.today, Дзеркало тижня (2010년 11월 3일)
Westerners, local observers rip Oct. 31 elections as undemocratic Kyiv Post (2010년 11월 5일) - ↑ Poll: Less than 5% Ukrainians believe presidential election will be fair Kyiv Post (2010년 1월 12일)
Poll: Most Ukrainians not planning to sell their votes in presidential election Kyiv Post (2010년 1월 12일)
Survey Shows Every Fifth Ukrainian Ready To Sell Vote, 자유유럽방송 (2010년 10월 22일) - ↑ Sukhov, Oleg (2016년 9월 29일). “Justice Delayed & Denied - Sep. 30, 2016”. 《Kyiv Post》. 2024년 1월 31일에 확인함.
- ↑ Heads of two towns in Khmelnytsky, Ternopil regions charged with bribery 인테르팍스-우크라이나 (2009년 4월 13일)
- ↑ Regions Party declares current government corrupt Kyiv Post (2010년 1월 10일)
Tymoshenko Accuses Yanukovych Of Involvement In Land Machinations In Crimea 보관됨 9월 23, 2016 - 웨이백 머신, Finchannel.com (2010년 1월 4일)
“I'm the only politician without land ownership in Crimea,” says Yulia Tymoshenko ZIK.com (2010년 1월 3일)
Court dismisses Yanukovych's suit against Tymoshenko concerning unsanctioned election funds Kyiv Post (2009년 12월 31일)
Tymoshenko accuses Chernovetsky of corrupt use of funds of Kyiv residents Interfax-Ukraine (2008년 12월 12일)
Tymoshenko blames Firtash and Presidential Secretariat for hryvnia's collapse UNIAN (2008년 12월 18일)
Presidential secretariat says about misuse of funds from sale of government domestic loan bonds for Euro 2012 Interfax-Ukraine (2009년 11월 27일)
Lutsenko accuses Yanukovych of giving false data in his income declaration 보관됨 5월 15, 2012 - 웨이백 머신, 인테르팍스-우크라이나 (2009년 12월 8일)
Tymoshenko proposes creating independent anti-corruption bureaus in Ukraine, Kyiv Post (2009년 12월 8일)
Lutsenko removed Yushchenko's portrait from his office, Kyiv Post (2009년 12월 9일)
Yuschenko accuses Tymoshenko of corruption Kyiv Post (2009년 12월 9일)
Yushchenko calls nation's law-enforcement chiefs mediocre and corrupt Kyiv Post (2009년 12월 9일)
Yushchenko: Open list of candidates for parliamentary elections a condition for eradicating corruption Kyiv Post (2009년 12월 12일)
Yatseniuk submits draft law on state committee for fighting corruption Kyiv Post (2009년 12월 16일)
Parliamentary majority responsible for failures in fight against corruption, says president Interfax-Ukraine (2009년 12월 12일) - ↑ Turchynov: Batkivschyna knew why Zabzaliuk left faction, 키이우 포스트 (2012년 2월 8일)
- ↑ 가 나 Ukraine Advances on Anti-Corruption Practices 로이터 {로이터는 이 보도 자료의 내용에 대해 책임지지 않습니다} (2011년 6월 10일)
- ↑ Генпрокуратура не захотіла зайнятися підприємством сина Азарова. 《우크라인스카 프라우다》 (우크라이나어). 2013년 8월 26일. 2013년 8월 27일에 확인함.
- ↑ (우크라이나어) Голова МВС:Найбільше корупціонерів у Партії регіонів, 우크라인스카 프라우다 (2012년 3월 29일)
- ↑ Probe needed Kyiv Post (2011년 7월 22일)
Ukrainska Pravda exposes presidential estate scandal Kyiv Post (2010년 11월 26일) - ↑ Sodel, Vlad (photo credit) (2013년 8월 25일). Новий голова ЦВК носить годинник за 50-60 тисяч доларів. 《우크라인스카 프라우다》 (우크라이나어). 2013년 8월 25일에 확인함.
- ↑ 가 나 Andrew Wilson (2016년 2월 14일). “Corruption is Stalling Ukraine's Optimistic Revolution”. 《뉴스위크》. 2016년 2월 17일에 확인함.
- ↑ 가 나 Reid Standish, Ian Bateson (2016년 11월 4일). “Ukraine Has Opened Pandora's Database of Corruption”. 《포린 폴리시》. 2016년 11월 7일에 확인함.
- ↑ Roman Olearchyk (2016년 11월 1일). “Ukraine's MPs forgo pay rise as public balks at scale of wealth”. 《파이낸셜 타임즈》. 2016년 11월 2일에 확인함.
- ↑ “Ukraine: parliament passes important laws to tackle corruption”. 키이우 포스트. 2014년 10월 23일. 2016년 11월 7일에 확인함.
- ↑ “Навіщо йдуть в мери?”. 《Українська правда》 (우크라이나어). 2024년 1월 31일에 확인함.
- ↑ “Web Hosting, Reseller Hosting & Domain Names from Heart Internet”. 《interfax.co.uk》. 2024년 1월 31일에 확인함.
- ↑ 가 나 Byrne, Peter (2010년 3월 25일). “Jackpot - Mar. 26, 2010”. 《Kyiv Post》. 2024년 1월 31일에 확인함.
- ↑ Byrne, Peter (2010년 3월 25일). “Moskal: 'Rotten to the core' - Mar. 26, 2010”. 《Kyiv Post》. 2024년 1월 31일에 확인함.
- ↑ Yanukovych notes political pressure on Ukraine's judicial system Kyiv Post (2010년 3월 25일)
Tymoshenko: Yanukovych entourage aims at recognizing legitimacy of coalition before president's trip to U.S. Kyiv Post (2010년 3월 29일)
안데르스 오슬룬드, How Ukraine Became a Market Economy and Democracy 피터슨 국제경제연구소, 2009, ISBN 978-0-88132-427-3 (page 219)
Yanukovych allies: Tymoshenko trying to pressure court Kyiv Post (2010년 3월 30일)
Anders Åslund and Marek Dabrowski (Eds.), Europe after Enlargement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2007, ISBN 978-0-521-87286-7 (page 149)
Adrian Karatnycky, 알렉산더 모틸 and Amanda Schnetzer (Eds.), Nations in Transit 2000–2001 트랜잭션 퍼블리셔스, 2001, ISBN 978-0-7658-0897-4 (page 400) - ↑ 가 나 다 라 마 “In Ukraine, scales of justice often imbalanced”. 《Get the Latest Ukraine News Today - KyivPost》 (영어). 2012년 4월 9일. 2024년 1월 31일에 확인함.
- ↑ Battle looming over new law on judiciary and judge status Kyiv Post (2010년 7월 4일)
A top prosecutor, accused of corruption and incompetence, forced out in political struggle Kyiv Post (2009년 12월 18일) - ↑ 《The Ukraine Competitiveness Report 2008》 (영어). 세계 경제 포럼. ISBN 978-92-95044-05-0.
- ↑ “Fighting corruption, Ukraine starts to judge its judges”. 《로이터》 (영어). 2017년 5월 25일. 2019년 11월 7일에 확인함.
- ↑ “Головний борець із корупцією з СБУ носить годинник дорожчий за його річну зарплату”. 《Українська правда》 (우크라이나어). 2024년 1월 31일에 확인함.
- ↑ Kyiv district court judge arrested while taking bribe Kyiv Post (2011년 2월 8일)
Ex-judge Zvarych sentenced to ten years in prison Kyiv Post (2011년 9월 20일) - ↑ Gang-raped, strangled and set alight, brave Oksana loses her fight, 디 에이지 (2012년 3월 30일)
Ukrainian Woman's Rape Stirs Public 'Vendetta': Leonid Bershidsky, 블룸버그 (2012년 3월 22일) - ↑ Onyshkiv, Yuriy (2011년 7월 14일). “Unruly Untouchables - Jul. 14, 2011”. 《Kyiv Post》. 2024년 1월 31일에 확인함.
- ↑ Grytsenko, Oksana (2011년 12월 1일). “Charges dismissed against driver who killed pedestrian - Dec. 01, 2011”. 《Kyiv Post》. 2024년 1월 31일에 확인함.
- ↑ Tainted candidates shortlisted in selection of anti-corruption judges, 키이우 포스트 (2018년 11월 14일)
- ↑ Sukhov, Oleg (2022년 6월 24일). “Watchdogs say Ukraine's judicial reform on brink of catastrophe”. 《키이우 인디펜던트》. 2022년 6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7월 9일에 확인함.
- ↑ “Head of Ukraine's supreme court held in anti-corruption investigation”. 《가디언》. 2023년 5월 16일. 2023년 5월 16일에 확인함.
- ↑ “Ukraine: 'Large-scale corruption' in Supreme Court reported”. 《DW》. 2023년 5월 16일에 확인함.
- ↑ “Energoatom chief recalls highs and lows of first half-year”. World Nuclear News. 2015년 8월 12일. 2016년 6월 16일에 확인함.
- ↑ “Continued Ukraine-Russia tensions over fuel”. Nuclear Engineering International. 2016년 6월 7일. 2016년 6월 16일에 확인함.
- ↑ “Ex-head of Energoatom Derkach claims worst situation in sector in 25 years”. 《인테르팍스-우크라이나》. 2016년 5월 23일. 2016년 6월 16일에 확인함.
- ↑ Dan Peleschuk (2016년 6월 16일). “Ukraine's Broken Road to Europe”. 《포린 폴리시》. 2016년 6월 17일에 확인함.
- ↑ Osipian, Ararat. (2009). Corruption and Reform in Higher Education in Ukraine. Canadian and International Education Journal, 38(2), pp. 104-122.
- ↑ Osipian, Ararat. (2007). Higher Education Corruption in Ukraine: Opinions and Estimates. International Higher Education, 49, pp. 20-21.
- ↑ 가 나 다 라 마 “In Ukraine's universities, trading bribes for diplomas”. 《POLITICO》 (영어). 2016년 1월 30일. 2024년 1월 31일에 확인함.
- ↑ One third of students have encountered cases of corruption in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 국제 르네상스 재단 (2011년 4월 20일)
- ↑ Osipian, Ararat. (2009). Corruption Hierarchies in Higher Education in the Former Soviet Bloc.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Development, 29(3), pp. 321-330.
- ↑ Osipian, Ararat. (2010). Corrupt Organizational Hierarchies in the Former Soviet Bloc. Transition Studies Review, 17(4), pp. 822-836.
- ↑ Osipian, Ararat. (2008). Political Graft and Education Corruption in Ukraine: Compliance, Collusion, and Control. Demokratizatsiya: The Journal of Post-Soviet Democratization, 16(4), pp. 323-344.
- ↑ “ararat.osipian”. 《sites.google.com》 (미국 영어). 2024년 1월 31일에 확인함.
- ↑ Osipian, Ararat. (2008). Corruption and Coercion: University Autonomy versus State Control. European Education: Issues and Studies, 40(3), pp. 27-48.
- ↑ Prymachyk, Iryna (2009년 11월 19일). “Cheating Nation - Nov. 19, 2009”. 《Kyiv Post》. 2024년 1월 31일에 확인함.
- ↑ Corruption No. 1 problem as Ukraine heads for election, 로이터 (2012년 10월 24일)
- ↑ 'If I receive it, it is a gift; if I demand it, then it is a bribe':On the Local Meaning of Economic Transactions in Post-Soviet Ukraine by Abel Polese, 베르그한 북스 (2008년 겨울)
- ↑ Ukraine:Corruption blamed for AIDS non-treatment 보관됨 3월 10, 2014 - 웨이백 머신, AP (통신사) (2012년 6월 29일)
- ↑ Bribes and bureaucrats: Doing business in Ukraine, BBC 뉴스 (2011년 3월 7일)
- ↑ N. Korolevskaya: Ukraine Needs a Single Anti-Corruption Project 보관됨 3월 3, 2016 - 웨이백 머신, 효율적 거버넌스 재단
- ↑ Osipian, Ararat. (2009). The Impact of Human Capital on Economic Growth: A Case Study in Post-Soviet Ukraine, 1989-2009. New York: Palgrave Macmillan, 256 p.
- ↑ Zavis, Alexandra (2014년 12월 2일). “How do countries rank on corruption?”. 《로스앤젤레스 타임스》. 2015년 11월 2일에 확인함.
- ↑ INTERNATIONAL AGENCIES, DONORS, PROJECTS 보관됨 9월 10, 2016 - 웨이백 머신, ANTI-CORRUPTION PORTAL
- ↑ Ukrainians shrug off corruption despite damaging effects Kyiv Post (2008년 3월 6일).
See also blog post 보관됨 9월 11, 2016 - 웨이백 머신 Kiev Ukraine News Blog, (2008년 3월 5일). - ↑ 가 나 Viktor Yushchenko Attracts Investments with the War on Corruption 보관됨 2월 1, 2014 - 웨이백 머신 콤메르산트 (2005년 2월 16일)
- ↑ Yanukovych's inner circle, 키이우 포스트 (2009년 1월 24일)
- ↑ Countries at the crossroads: a survey of democratic governance by Sanja Tatic & Christopher Walker, 로우먼 & 리틀필드 출판사, 2006, ISBN 978-0-7425-5801-4 (page 580)
- ↑ Corruption Watch: October 3, 2005 보관됨 3월 3, 2016 - 웨이백 머신, 자유유럽방송 (2005년 10월 3일)
- ↑ 가 나 Gas Lobby Takes Control of Ukraine's Secret Service 보관됨 3월 14, 2017 - 웨이백 머신 by 타라스 쿠지오 (2010년 3월 18일)
- ↑ 가 나 다 Ukraine: Battle Against Corruption Grinds To A Halt, 자유유럽방송 (2005년 9월 26일)
- ↑ GRECO publishes report on fight against corruption in Ukraine, 키이우 포스트 (2011년 11월 18일)
- ↑ Rada passes bill to impose life imprisonment on judges and prosecutors who take large bribes Interfax-Ukraine (2009년 5월 21일)
Yanukovych approves postponement of introduction of two anti-corruption laws until January Kyiv Post (2010년 3월 30일)
Parliament adopts anti-corruption law, 인테르팍스-우크라이나 (2013년 4월 14일) - ↑ 가 나 Yanukovych vows to put an end to corruption Kyiv Post (2011년 9월 15일)
- ↑ Ukraine's prime minister says budget problem hardest, 키이우 포스트 (2010년 3월 11일)
- ↑ Yanukovych: Over 400 officials of current government stand trial Kyiv Post (2011년 8월 25일)
- ↑ 가 나 Yanukovych: 'Some misinform international community about Ukraine' Kyiv Post (2011년 2월 7일)
- ↑ Ukraine timeline BBC 뉴스
- ↑ Euronews, Putin calls Tymoshenko jail term unfair, 11 October 2011 보관됨 12월 15, 2011 - 웨이백 머신.
RFI English Tymoshenko supporters protest at jail sentence, by Jan van der Made, 12 October 2011.
Amnesty International: Jailed former Ukraine prime minister must be released, Kyiv Post (2011년 10월 11일)
Putin: Tymoshenko verdict unfair, Kyiv Post (2011년 10월 11일)
EU feels let down by Ukraine over Tymoshenko 보관됨 1월 4, 2012 - 웨이백 머신, 유로뉴스 (2011년 10월 11일)
Council of Europe concerned about Tymoshenko trial, 키이우 포스트 (2011년 10월 12일) - ↑ The Rating Group undertook a survey of Ukrainian voter's opinions on the 율리야 티모셴코 사건:
46%는 유죄라고 믿었고, 34%는 무죄라고 믿었으며, 20%는 미정이었다.
26%는 법 준수를 위한 사건이라고 믿었고, 54%는 정치적 박해라고 믿었으며, 20%는 미정이었다.
28%는 가스 계약을 체결할 때 티모셴코가 우크라이나의 이익을 위해 행동했다고 믿었고, 4%는 러시아의 이익을 위해 행동했다고 믿었으며, 44%는 자신의 이익을 위해 행동했다고 믿었고, 24%는 미정이었다.
The Rating Group, Tymoshenko case through eyes of voters, 29 September 2011.
The Rating Group, Справа Тчмощенко Очима Виборцїв (Voters' Opinions on the Tymoshenko case), September 2011 - ↑ Ukraine successfully fighting corruption, group says Kyiv Post (2011년 4월 13일)
- ↑ Former European Taxation Commissioner appointed Business Ombudsman for Ukraine's Anti-Corruption Initiative, 인테르팍스-우크라이나 (2014년 12월 11일)
- ↑ Popova, Maria; Shevel, Oxana (2024). 《Russia and Ukraine: Entangled Histories, Diverging States》. Cambridge: Polity Press. 193–196쪽. ISBN 978-1-5095-5737-0.
- ↑ “National Agency on Corruption Prevention - NACP - Network for Integrity”. 《청렴 네트워크》 (미국 영어). 2022. 2022년 6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5월 3일에 확인함.
- ↑ “Ukraine governor Kolomoisky sacked after oil firm row”. 《BBC》 (Europe). 2015년 3월 25일. 2015년 11월 2일에 확인함.
- ↑ 가 나 Law on High Anti-Corruption Court comes into force, 인테르팍스-우크라이나 (2018년 6월 14일)
- ↑ (우크라이나어) Anticorruption court launched. The CPC claims to be "substituting" the appeal, 우크라인스카 프라우다 (2018년 6월 13일)
Ukraine's parliament eventually passes law on anti-corruption court, UNIAN (2018년 6월 7일)
(우크라이나어) Closed vertical. What is the Higher Anti-Corruption Court and why its creation is afraid of politics?, 우크라인스카 프라우다 (2018년 6월 7일) - ↑ “EU welcomes launch of Ukraine's High Anti-Corruption Court”. 《우크린포름》. 2019년 9월 5일.
- ↑ Kramer, Andrew E. (2020년 5월 13일). “Ukraine Passes a Critical Anticorruption Bill”. 《뉴욕 타임스》. 2020년 5월 15일에 확인함.
- ↑ “Ambassador Maasikas: IMF, EU financial aid, visa-free travel depend on fighting corruption”. 《UNIAN》. 2020년 11월 13일. 2020년 11월 27일에 확인함.
- ↑ Zinets, Natalia; Polityuk, Pavel (2020년 11월 2일). “Back me or put IMF loans and EU visa-free deal at risk, Ukraine's president warns”. 로이터. 2020년 11월 27일에 확인함.
- ↑ “NBU says no IMF tranche for Ukraine this year”. 《bne IntelliNews》 (베를린). 2020년 11월 14일. 2020년 11월 27일에 확인함.
- ↑ Ukraine's parliament defies court ruling and restores anti-corruption legislation, 유로뉴스 (2020년 12월 4일)
- ↑ Zelensky suspends Constitutional Court chair for two months, UNIAN (2020년 12월 29일)
- ↑ “Election of SAPO Head at the Finish Line: What to Expect?”. 《국제 투명성 기구》. 2021년 7월 28일. 2022년 4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7월 19일에 확인함.
- ↑ Sorokin, Oleksiy (2022년 7월 19일). “Selection panel declares winner set to lead Special Anti-Corruption Prosecutor's Office”. 《키이우 인디펜던트》. 2022년 7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7월 20일에 확인함.
- ↑ “Detective Klymenko wins SAPO competition: the commission has approved the winner, but there are nuances”. 《국제 투명성 기구》. 2022년 7월 19일. 2022년 7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7월 20일에 확인함.
- ↑ 가 나 Transparency International Corruption Perceptions Index 2006 Table 보관됨 4월 16, 2011 - 웨이백 머신
- ↑ 가 나 Annual Report Transparency International 2012 Corruption Perceptions Index data 보관됨 11월 29, 2013 - 웨이백 머신
Annual Report Transparency International 2012 Corruption Perceptions Index data 보관됨 3월 19, 2013 - 웨이백 머신 - ↑ 신뢰 구간은 부패 인식 지수 점수에 대한 확신 정도를 측정한다. 명목상, 실제 점수는 상한선을 초과할 확률이 20분의 1이고 하한선 미만일 확률이 20분의 1이다. 사용 가능한 조사의 수가 적으면 이 20분의 1 확률이 실제로 10분의 1에 불과할 수 있다.
- ↑ "표준 오차는 재조정된 원본 데이터의 표준 편차를 소스 수의 제곱근으로 나눈 값으로 계산된다." (Corruption Perceptions Index 2015: Technical Methodology Note.) 보관됨 7월 20, 2019 - 웨이백 머신
- ↑ 이상적으로는 한 국가에 대해 12개의 조사가 사용되어야 한다. 3개 미만의 조사가 사용 가능한 경우 해당 국가는 부패 인식 지수에 포함되지 않았다.
- ↑ Annual Report Transparency International 1999 보관됨 9월 17, 2011 - 웨이백 머신, pdf p13
- ↑ Annual Report Transparency International 2000 보관됨 9월 21, 2011 - 웨이백 머신, pdf p14
- ↑ Annual Report Transparency International 2001 보관됨 9월 16, 2011 - 웨이백 머신, pdf p13
- ↑ Annual Report Transparency International 2002 보관됨 9월 3, 2011 - 웨이백 머신, Portuguese, Spanish, pdf p30
- ↑ Annual Report Transparency International 2003 보관됨 9월 16, 2011 - 웨이백 머신, pdf p21
- ↑ Annual Report Transparency International 2004 보관됨 9월 16, 2011 - 웨이백 머신, pdf p11
- ↑ Annual Report Transparency International 2005 보관됨 9월 21, 2011 - 웨이백 머신, pdf p21
- ↑ Annual Report Transparency International 2006 보관됨 9월 17, 2011 - 웨이백 머신, pdf p23
- ↑ Transparency International Corruption Perceptions Index 2007 Table 보관됨 4월 28, 2008 - 웨이백 머신.
- ↑ Annual Report Transparency International 2007 보관됨 9월 18, 2011 - 웨이백 머신, pdf Abs1:27
- ↑ Annual Report Transparency International 2008 보관됨 9월 28, 2010 - 웨이백 머신, pdf Sec1:21
- ↑ Transparency International Corruption Perceptions Index 2008 Table 보관됨 3월 15, 2010 - 웨이백 머신, and the same table in newsroom section 보관됨 3월 11, 2009 - 웨이백 머신.
- ↑ Annual Report Transparency International 2009 보관됨 9월 17, 2011 - 웨이백 머신, pdf p53
- ↑ Transparency International Corruption Perceptions Index 2009 Table 보관됨 1월 12, 2019 - 웨이백 머신.
- ↑ Annual Report Transparency International 2010 보관됨 9월 17, 2011 - 웨이백 머신, pdf p79-80.
- ↑ Transparency International Corruption Perceptions Index 2010 보관됨 9월 23, 2011 - 웨이백 머신 pdf p7.
- ↑ Corruption Perceptions Index 2011 보관됨 8월 10, 2012 - 웨이백 머신, 국제 투명성 기구
- ↑ “Annual Report Transparency International 2010 Corruption Perceptions Index data”. 2012년 12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12월 1일에 확인함.
- ↑ Ukraine inches up on international corruption index, 키이우 포스트 (2012년 12월)
- ↑ “Annual Report Transparency International 2013 Corruption Perceptions Index data”. 2013년 12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4월 13일에 확인함.
- ↑ Ukraine remains most corrupt country in Europe - Transparency International, 인테르팍스-우크라이나 (2014년 12월 3일)
- ↑ “2014 Corruption Perceptions Index -- Results”. 《Transparency International》. December 2014. 2015년 11월 3일에 확인함.
- ↑ “Table of results: corruption perceptions index 2015”. 《Transparency International》. 2016년 1월 27일. 2016년 8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8월 29일에 확인함.
“Data and methodology, access an Excel spreadsheet of the full results, notes on the methodology and a description of the index's sources.”. 《Transparency International》. 2016년 1월 27일. 2019년 7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8월 29일에 확인함. - ↑ “Corruption perceptions index 2016”. 《Transparency International》. 2017년 1월 25일. 2017년 4월 25일에 확인함.
“CPI2016_FullDataSetWithRegionalTables.xlsx (Excel file)”. 《Transparency International》. 2017년 1월 25일. 2017년 6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4월 25일에 확인함. - ↑ “Corruption Perceptions Index 2017: Global Scores”. 2019년 10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5년 4월 6일에 확인함.
- ↑ 2018 Corruption Perceptions Index
- ↑ Corruption Perceptions Index 2019
- ↑ “Corruption Perceptions Index 2020 for Ukraine”. 2021년 1월 28일.
- ↑ “Corruption Perceptions Index 2021 for Ukraine”. 2022년 1월 25일.
- ↑ “Corruption Perceptions Index 2022 for Ukraine”. 2023년 1월 31일.
- ↑ “Corruption Perceptions Index 2023 for Ukraine”. 2025년 3월 2일.
- ↑ “Corruption Perceptions Index 2024 for Ukraine”. 2025년 3월 2일.
외부 링크
[편집]- 우크라이나 부패 프로필 위험 및 규제 준수 포털(이전 비즈니스 반부패 포털)
- 우크라이나: 혼돈의 상태 보관됨 8월 8, 2020 - 웨이백 머신
- 우크라이나 부패법 '불충분', 투데이 (2011년 7월 6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