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헝가리 관계
![]() | |
![]() 우크라이나 |
![]() 헝가리 |
---|
우크라이나-헝가리 관계(우크라이나어: Україно-угорські відносини, 헝가리어: Ukrajna-Magyarország kapcsolatok)는 우크라이나와 헝가리 간 양자 관계를 의미한다. 양국의 관계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 갈등과 부침을 겪고 있다. 두 국가 모두 러시아에게 침공을 받은 경험이 있는데, 헝가리는 1956년 헝가리 혁명에, 우크라이나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서다.
역사
[편집]고대
[편집]헝가리는 로마 제국의 속주 중 하나인 판노니아 속주에 해당했으나, 우크라이나 일대는 로마 제국 속령인 다키아 속주 북부에 위치한 개척되지 않은 땅이었다. 당시 이 일대는 사르마티아인과 스키타이족이 거주하고 있었다. 그나마 고대 크림반도에서 그리스 식민지였던 케르소네소스 정도가 로마인들과 접점이 있었다.[1]
중세
[편집]헝가리 왕국이 오스만 제국과 전투를 벌이던 시점에, 우크라이나는 전신 국가인 키예프 루스, 키예프 공국은 킵차크 칸국과 전투를 벌이고 있었다. 이후 폴란드-리투아니아가 세워지고, 키예프 공국은 이들을 지배를 받았다. 폴란드-오스만 전쟁에서 헝가리 왕국은 같은 기독교 국가로서 오스만 제국에 대항하였다.[2]
근대
[편집]우크라이나의 전신 국가인 헤트만국은 17세기부터 18세기까지 존속하였으나, 러시아 제국과 오스트리아-헝가리에 의해 분할되었다. 이후 헝가리는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오스트리아-헝가리의 해체를 겪으며 공화국으로 거듭나지만, 우크라이나는 러시아 혁명을 틈타 독립을 선언한다.[3] 제2차 세계 대전에는 헝가리는 나치 독일 아래에, 우크라이나는 소비에트 제국 아래에 놓였다. 2차대전 이후 두 국가는 소련의 위성국이 되어 바르샤바 조약 기구에서 활동하였다. 소련의 붕괴 후 두 국가 모두 사회주의 이념을 버리고 민주주의 이념을 바탕으로 한 공화국으로 새롭게 출발하였다. 우크라이나는 부다페스트 안전 보장 각서를 통해서 안전보장을 약속받고, 자국 내 소련 핵무기를 모두 포기하였다.[4]
현대
[편집]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전까지 두 국가는 협력과 갈등을 반복하는 미묘하면서 복잡한 관계를 맺고 있었다. 이는 우크라이나-헝가리 국경에서 기인하는데, 자카르파탸주에 거주하는 소수민족인 헝가리계 우크라이나인들 때문이었다. 헝가리 내부의 국수주의의 증가와 우크라이나 내 소수 민족에 대한 열악한 권리 보장은 두 국가 간 갈등을 키우는 요소였다.[5][6]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두 국가 간 갈등이 더욱 고조되고 있는데, 이는 헝가리의 친러시아적 행동 떄문이다. 유럽 연합 내 유럽회의주의적인 헝가리와 친러시아 성향의 오르반 빅토르 총리는 유럽 연합 차원에서 우크라이나에 대한 무기 대여 및 공여, 경제적 지원, 그리고 대러시아 경제 제재에 대해서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다.[7][8][9] 또한, 우크라이나의 유럽 연합 가입에 대해서도 비판적인 태도를 취하며 우크라이나와 갈등을 빚고 있으며, 우크라이나의 북대서양 조약 기구 가입에 있어서도 부정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10][11][12]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Jasiński, Jakub. “Traces of presence of ancient Romans in Ukraine « IMPERIUM ROMANUM” (미국 영어). 2025년 8월 8일에 확인함.
- ↑ Michels, Georg (2024년 3월 6일). “Replacing Tsar, King, and Emperor with the Sultan: Ukrainians, Hungarians, and the Ottomans (1660–1680)”. 《Central European History》 57 (2): 137–162. doi:10.1017/s000893892300047x. ISSN 0008-9389.
- ↑ 《The Activities of the Union for the Liberation of Ukraine in the Ottoman Empire during the First World War》. Routledge. 2012년 10월 12일. 187–210쪽. ISBN 978-0-203-04497-1.
- ↑ Lawless, Robert (2025년 1월 15일). “Ukraine Symposium – The Budapest Memorandum’s History and Role in the Conflict” (미국 영어). 2025년 8월 8일에 확인함.
- ↑ Kitsoft. “Embassy of Ukraine in Hungary - Political issues of Ukraine and Hungary” (영어). 2025년 8월 8일에 확인함.
- ↑ “Ukraine and Hungary each expel diplomats in tit-for-tat espionage row” (영어). 2025년 8월 8일에 확인함.
- ↑ “Hungary's Orban blasts Ukraine to bolster domestic support – DW – 05/11/2025” (영어). 2025년 8월 8일에 확인함.
- ↑ “Hungary Opposes EU’s $108 Billion Ukraine Fund, Calls It "War Financing" Over EU Priorities” (영어). 2025년 7월 9일. 2025년 8월 8일에 확인함.
- ↑ “EU countries push to Orbán-proof Russia sanctions” (영국 영어). 2025년 4월 14일. 2025년 8월 8일에 확인함.
- ↑ “Orbán's Hungary blocks Ukraine's EU bid with fake referendum” (영국 영어). 2025년 6월 27일. 2025년 8월 8일에 확인함.
- ↑ “It is unacceptable that a non-NATO Member State should conduct a smear campaign organised by secret services against Hungary - The official website of Prime Minister Viktor Orbán.” (영국 영어). 2025년 5월 17일. 2025년 8월 8일에 확인함.
- ↑ “Embassy of Hungary Washington” (영어). 2025년 8월 8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