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팥배나무
보이기
	
	
| 
 | |
|---|---|
| 생물 분류ℹ️ | |
| 계: | 식물계 | 
| (미분류): | 관다발식물 | 
| (미분류): | 속씨식물 | 
| (미분류): | 쌍떡잎식물 | 
| (미분류): | 장미군 | 
| 목: | 장미목 | 
| 과: | 장미과 | 
| 속: | 유럽팥배나무속 | 
| 종: | 유럽팥배나무 | 
| 학명 | |
| Aria edulis | |
| (Willd.) M.Roem. | |
학명이명  | |
| 
 목록 
  | |
| 향명 | |
| 유럽팥배나무의 분포 | |
| 보전상태 | |
| 
 
  | |
유럽팥배나무(학명: Aria edulis)는 장미과에 속하는 활엽교목이다.
생김새
[편집]종종 줄기 주변에 새로운 눈을 만들어낸다. 보통 크기가 작고 수관이 돔 모양이며, 몇 개의 위로 구부러진 가지들이 있고 잎의 뒷면은 거의 흰색이다. 자웅동체인 흰크림색 꽃은 5월에 피어나 곤충의 꽃가루받이(受粉)를 거쳐 새들이 자주 먹는 주홍색 열매를 맺는다.[3]
- 
			
			나무
 
분포
[편집]유럽과 알제리·모로코·튀니지 등의 북아프리카 및 튀르키예 동부·조지아·아르메니아 등의 아시아 온대 지역에 분포한다.[4] 보통 건조한 석회암 지대와 석회질 토양을 선호한다.
아종
[편집]- A. edulis 'Lutescens'[5]: 처음에 난 잎은 백록색을 띤다.
 - A. edulis 'Majestica'[6]: 잎이 크다. 왕립원예협회로부터 가든 메리트 상을 받았다.[7]
 
식용
[편집]각주
[편집]- ↑ 《BSBI List 2007》 (xls). Botanical Society of Britain and Ireland. 2015년 6월 26일에 원본 문서 (xls)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10월 17일에 확인함.
 - ↑ Rivers, M.C.; Beech, E. (2017). “Sorbus aria”. 《IUCN 적색 목록》 (IUCN) 2017: e.T62861A112294405. doi:10.2305/IUCN.UK.2017-3.RLTS.T62861A112294405.en. 2021년 11월 19일에 확인함.
 - ↑ The Reader's Digest Field Guide to the Trees and Shrubs of Britain p.86.
 - ↑ “Aria edulis”. 《Germplasm Resources Information Network (GRIN)》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ARS),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USDA)).
 - ↑ “RHS Plant Selector - Sorbus aria 'Lutescens'”. 2021년 3월 5일에 확인함.
 - ↑ “RHS Plant Selector - Sorbus aria 'Majestica'”. 2021년 3월 5일에 확인함.
 - ↑ “AGM Plants - Ornamental” (PDF). Royal Horticultural Society. July 2017. 98쪽. 2018년 11월 13일에 확인함.
 - ↑ Mabey, Richard (2012). 《Food for Free》. London: Collins. 72쪽. ISBN 978-000-74384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