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유리 크노로조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유리 크노로조프
Юрий Кнорозов
파일:Yuri Knorozov.jpg
유리 크노로조프와 그의 샴 고양이 아샤
출생명Yuri Valentinovich Knorozov
출생1922년 11월 19일(1922-11-19)
하르키우,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사망1999년 3월 30일(1999-03-30)(76세)
상트페테르부르크, 러시아
성별남성
경력마야 문자해독
학문적 배경
교육모스크바 국립 대학교
학문적 활동
분야
소속 기관인류학 및 민족학 연구소
주요 제자갈리나 예르쇼바

유리 발렌티노비치 크노로조프(러시아어: Юрий Валентинович Кнорозов; 1922년 11월 19일 – 1999년 3월 30일)는 소비에트 및 러시아의 언어학자, 금석학자, 민족학자였다. 그는 콜럼버스 이전 시대의 메소아메리카 마야 문명의 문자 체계인 마야 문자해독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초기 생애

[편집]

크노로조프는 1922년 11월 19일 하르키우에서 태어났다.[1] 그의 부모님은 1911년에 일 때문에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하르키우로 이주한 러시아 지식인이었다.[2] 그의 아버지는 유즈니 마을(나중에 피우덴네, 하르키우주로 알려짐)에 가족을 위한 집을 지었지만, 그의 어머니는 의사와 병원이 있는 하르키우에서 출산하는 것이 더 낫다고 결정했다.[3] 그의 친할머니인 Zabel (actress)(아르메니아어판) (1858–1926)은 아르메니아에서 전국적으로 명성이 높은 연극배우였다.[4][5]

유즈니에서 성장하면서 크노로조프는 고양이와 평생 지속될 친밀감을 형성했다.[6] 학교에서는 여러 과목에서 부진한 성적을 보이고 형편없고 고의적인 행동으로 거의 퇴학당할 뻔했던 어렵고 다소 별난 학생이었다. 5살 때 머리에 심한 부상을 입어 거의 시력을 잃을 뻔했다.[7] 그러나 그는 학문적으로 총명하고 호기심 많은 성격임이 분명해졌다. 그는 뛰어난 바이올린 연주자였고, 낭만적인 시를 썼으며, 정확하고 세부적인 부분까지 신경 써서 그림을 그릴 수 있었다.[8] 그의 성적은 우크라이나어와 문학을 제외한 모든 과목에서 우수했다.[9][7]

1940년, 17세의 나이로 크노로조프는 하르키우를 떠나 모스크바로 향했고, 그곳에서 모스크바 국립 대학교 역사학과의 새로 설립된 민족학[10]에서 학부 과정을 시작했다. 그는 처음에는 이집트학을 전공했다.[11][12]

병역과 "베를린 사건"

[편집]
프로이센 국립 도서관의 안뜰 (2005년)

크노로조프의 학업 계획은 1941년 중반 동부 전선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면서 곧 중단되었다. 건강이 좋지 않아 크노로조프는 소련군에서 정규 군 복무에 부적합했다. 그러나 그와 그의 가족은 1941~1943년 대부분을 독일 점령지에서 보냈고, 그곳에서 그는 독일군 지원 부대에 강제로 합류될 수도 있었다. 크노로조프는 마을을 옮겨 다니며 학교 교사로 생계를 유지하며 이를 피할 수 있었다.[13] 1943년, 크노로조프는 발진티푸스 발생에서 살아남았고, 같은 해 9월 가족과 함께 모스크바로 탈출할 수 있었다.[14] 그곳에서 그는 모스크바 국립 대학교에서 이집트학 연구를 재개했다.[15] 1944년, 그는 예상치 못하게 군 복무에 소집되었지만, 소련군 대령이었던 그의 아버지는 모스크바 근처에 주둔한 포병 부대에서 전화 교환원 일자리를 마련해주었다.[16]

널리 알려진 전설에 따르면, 크노로조프와 그의 부대는 붉은 군대 선봉대의 베를린 진격을 지원했다. 그곳에서 크노로조프는 우연히 나중에 마야 문자 해독에 대한 그의 관심을 불러일으킬 책을 발견했다고 한다.[17] 이 전설은 특히 1992년 마이클 D. 코의 『마야 코드 깨기』(Breaking the Maya Code) 출판 이후 많이 재현되었다.[18] 알려진 바에 따르면, 베를린에 주둔하던 크노로조프는 불타고 있는 국립 도서관을 발견했다. 그는 어떻게든 불타는 건물에서 책 한 권을 꺼냈는데, 놀랍게도 그 책은 당시 드레스덴 코덱스, 마드리드 코덱스, 파리 코덱스로 알려진 세 권의 마야 코덱스 복제본이 들어 있는 희귀본이었다.[18][19] 이 남아있는 콜럼버스 이전 시대코덱스들(스크린 접이식 책들)은 천문학, 달력 및 의례 데이터의 혼합을 담고 있으며, 신, 동물 및 기타 장면들의 묘사로 삽화가 그려져 있다. 결정적으로, 많은 삽화에는 마야 문자로 된 캡션도 함께 있어, 크노로조프와 다른 사람들이 글리프가 나타내는 음성적 가치를 결정하기 시작하는 기반을 제공했다.</ref> 크노로조프는 이 책을 전쟁이 끝난 후 모스크바로 가져갔고, 그 책의 연구가 나중에 마야 문자에 대한 그의 선구적인 연구의 기초가 되었다고 한다.

크노로조프의 전쟁 중 삶에 대한 많은 세부 사항은 불분명했지만, 그의 학생인 갈리나 예르쇼바는 1943년에서 1945년 사이에 그가 모스크바주 밖으로 여행했다는 어떤 증거도 찾을 수 없었다.[7] 크노로조프 자신은 사망 1년 전에 진행된 인터뷰에서 베를린 전설을 부인했다.[19][17] 마야학 금석학자 하리 케투넨(Harri Kettunen)에게 그는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17]

"안타깝게도 오해였습니다. 제가 [베를린 도서관에서 책을 발견한] 이야기를 동료 마이클 코에게 했는데, 그가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습니다. 도서관에 화재는 없었습니다. 그리고 도서관에 있던 책들은 다른 곳으로 보낼 상자에 담겨 있었습니다. 독일인들이 그것들을 포장했는데, 옮길 시간이 없어서 그 상자들이 모스크바로 옮겨졌습니다."

학업 재개

[편집]

인간이 만든 가능한 모든 체계는 인간에 의해 풀리거나 해독될 수 있다.

—유리 크노로조프[19]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가을, 크노로조프는 모스크바 국립 대학교로 돌아와 민족지학과의 학부 과정을 마쳤다. 그는 이집트학 연구를 재개했고, 중국학과 같은 다른 분야에서도 비교문화 연구를 수행했다. 그는 고대 언어와 문자 체계, 특히 신성문자 연구에 대한 특별한 관심과 적성을 보였고, 중세 일본 문학과 아랍 문학도 읽었다.[8] 그의 룸메이트인 세뱐 바인슈타인(Sevyan Vainshtein)에 따르면, 크노로조프는 학업에 전념했다고 한다. 장학금을 받은 후에는 책을 사는 데 쓰고, 다음 장학금을 받을 때까지 소량의 음식으로 연명했다.[20]

모스크바 국립 대학교 학부생 시절, 크노로조프는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 소속의 권위 있는 인류학 및 민족학 연구소[21](IEA)에서 일자리를 구했다. 크노로조프의 후속 연구 결과는 IEA의 인쇄물로 출판되었다.

그의 민족지학 커리큘럼의 일환으로 크노로조프는 중앙아시아 소비에트 공화국인 우즈베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투르크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이전 호레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이었고, 나중에 1991년 소련 해체 후 독립 국가인 우즈베키스탄투르크메니스탄이 됨)에 대한 현장 탐험의 일원으로 몇 달을 보냈다. 이 탐험에서 그의 명백한 초점은 러시아의 팽창 활동과 현대적인 발전이 소련 국가의 광범위한 변경 세계였던 유목 민족 집단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것이었다.[22]

이 시점에서 그의 연구의 초점은 아직 마야 문자에 맞춰져 있지 않았다. 이것은 1947년에 바뀌게 되는데, 그의 교수의 권유로 크노로조프는 "란다 알파벳"에 대한 논문을 썼다. 이 기록은 16세기 스페인의 디에고 데 란다 주교가 스페인 알파벳을 해당하는 마야 상형문자로 음역했다고 주장한 것이다. 유카탄주에 주재하는 동안 그가 찾을 수 있는 모든 마야 문명의 코덱스를 파괴하는 것을 감독했던 데 란다는, 스페인으로 소환되어 재판을 받을 때 자신의 행동을 정당화하기 위한 저작물 (Relación de las Cosas de Yucatán)에 자신의 알파벳을 복제했다. 원본 문서는 사라졌고, 이 저작물은 1860년대에 프랑스 학자인 샤를 에티엔 브라쇠르 드 부르부르가 스페인 왕립 학회 기록 보관소에서 축약된 사본을 발견할 때까지 알려지지 않았다.[23]

데 란다의 "알파벳"은 모순되고 불분명해 보였기 때문에 (예를 들어, 일부 글자에 대해 여러 변형이 제시되었고, 일부 기호는 남아있는 비문에서 알려지지 않았다), 이를 마야 문자 체계를 해독하는 열쇠로 사용하려는 이전의 시도는 성공하지 못했다.[7]

주요 연구

[편집]
디에고 데 란다의 Relación de las Cosas de Yucatán (1853년 샤를 에티엔 브라쇠르 드 부르부르판) 페이지로, 크노로조프가 그의 획기적인 연구를 위해 의존했던 란다 알파벳에 대한 설명이 포함되어 있다.

1952년, 당시 30세의 크노로조프는 후에 해당 분야의 중요한 저작물이 될 논문(Древняя письменность Центральной Америки, 즉 "중앙아메리카의 고대 문자")을 발표했다. 이 논문의 일반적인 주장은 신성문자쐐기 문자와 같은 초기 문자는 일반적으로 또는 이전에 주로 표어 문자 또는 심지어 순수하게 표의 문자적 성격을 가진 것으로 여겨졌지만, 실제로는 상당한 음성적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는 관찰을 제시했다. 즉, 기호가 오직 또는 주로 전체 단어나 개념만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많은 기호는 실제로 쓰여진 언어의 음성 요소를 나타내며, 음소문자 또는 음절문자적 요소도 가지고 있어, 이를 이해하면 해독에 더욱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24] 이 시점에는 이들 중 일부, 예를 들어 신성문자에 대해서는 이러한 사실이 널리 알려지고 받아들여지고 있었다 (신성문자는 1822년 장프랑수아 샹폴리옹이 3개 언어 로제타석 유물을 사용하여 해독을 시작한 것으로 유명하다). 그러나 당시 지배적인 견해는 마야 문자가 그러한 특징을 가지고 있지 않다는 것이었다. 크노로조프의 비교 언어학 연구는 그를 마야 문자가 다른 문자들과 다르지 않으며, 순수하게 표어 문자 또는 표의 문자적 문자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결론으로 이끌었다.[7]

크노로조프의 핵심 통찰력은 데 란다의 알파벳에 나타난 마야 글리프를 알파벳이 아닌 음절 문자로 취급한 것이다. 그가 이 문자의 음절적 기반을 제안한 첫 번째 사람은 아니었을 수도 있지만, 그의 주장과 증거는 현재까지 가장 설득력 있는 것이었다. 그는 데 란다가 정보 제공자에게 스페인어 문자 "b"(예를 들어)에 해당하는 것을 쓰라고 명령했을 때, 마야 서기관은 실제로 데 란다가 말한 대로 음절 /be/에 해당하는 글리프를 만들었다고 주장했다. 크노로조프는 자신의 분석을 바탕으로 많은 새로운 표기법을 제시하지는 않았지만, 이 접근 방식이 문자를 이해하는 데 핵심이라고 주장했다. 사실상 데 란다의 "알파벳"은 마야 해독의 거의 "로제타석"이 되었다.[7]

크노로조프가 제시한 또 다른 중요한 원리는 공조 (음성학)였다. 이에 따르면 자음-모음-자음(CVC) 형태의 마야어 단어나 음절은 종종 두 개의 글리프, 즉 각각 CV-음절을 나타내는 두 개의 글리프(즉, CV-CV)로 표현되었다. 읽을 때는 두 번째 음절의 모음을 무시하고 의도된 읽기(CVC)를 남겨두는 것이었다. 이 원리는 또한 두 번째 CV 글리프를 선택할 때 첫 번째 글리프 음절의 모음과 일치하는 메아리 모음을 가진 것을 선택해야 한다고 명시했다. 후속 분석은 이것이 대체로 정확하다는 것을 증명했다.[7]

그의 연구에 대한 비판적 반응

[편집]
2022년 러시아 우표에 그려진 크노로조프

당시 거의 알려지지 않은 학자의 이 연구가 출판되자, 크노로조프와 그의 논문은 심각하고 때로는 경멸적인 비판을 받았다. 당대 최고의 마야학자로 여겨지던 영국의 저명한 학자 J. 에릭 S. 톰슨이 공격을 주도했다. 당시 톰슨의 견해는 확고히 반음성학적이었고, 그의 방대한 상세 연구는 이미 마야 비문이 실제 역사를 기록하지 않았으며, 글리프가 표의 문자적 원리에 기초하고 있다는 견해를 확립했다. 그의 견해는 해당 분야에서 지배적이었고, 다른 많은 학자들도 따랐다.[7]

마이클 D. 코에 따르면, "톰슨의 생애 동안에는 크노로조프의 공헌 가치나 다른 대부분의 문제에 대해 그에게 감히 반박하는 마야학자는 드물었다." 그 결과, 마야 문자의 해독은 이집트나 히타이트 문자에 비해 훨씬 더 오래 걸렸으며, 톰슨이 1975년에 사망한 후에야 진전될 수 있었다.[18]

상황은 크노로조프의 논문이 냉전이 한창일 때 발표되면서 더욱 복잡해졌고, 많은 사람들은 그의 논문이 잘못된 마르크스주의-레닌주의 이데올로기와 논쟁에 기반을 두고 있다고 일축할 수 있었다. 실제로 당시의 의무적 관행에 따라 크노로조프의 논문은 서구 학문이 실패한 곳에서 크노로조프가 성공한 국가 후원 접근 방식을 찬양하는 일탈과 선전적 논평을 포함하는 편집자의 서문으로 시작되었다. 그러나 크노로조프의 비판자들이 주장하는 것과는 달리, 크노로조프 자신은 자신의 저술에 그러한 논쟁을 결코 포함시키지 않았다.[7]

해독의 진전

[편집]

크노로조프는 1963년 그의 모노그래프 "마야 인디언의 문자"(The Writing of the Maya Indians)에서 해독 기법을 더욱 발전시켰고,[24][8] 1975년 저서 "마야 상형문자 원고"(Maya Hieroglyphic Manuscripts)에서 마야 문헌 번역을 출판했다.[25]

1960년대 동안 다른 마야학자들과 연구자들은 크노로조프의 사상을 확장하기 시작했다. 그들의 추가적인 현장 연구와 현존하는 비문에 대한 조사는 실제 마야 역사가 석비 비문에 기록되었고, 단순한 마야력천문학 정보만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기 시작했다. 러시아 태생이지만 미국에 거주했던 학자 타티아나 프로스쿠리아코프가 이 작업의 선두 주자였으며, 결국 톰슨과 다른 회의론자들에게 역사적 사건이 문자로 기록되었다는 것을 설득했다.[26]

크노로조프가 옹호한 음성학적 접근 방식의 다른 초기 지지자로는 마이클 D. 코데이비드 켈리가 있었고, 처음에는 분명히 소수였지만, 더 많은 증거와 연구가 진행됨에 따라 점점 더 많은 지지자들이 이 견해를 따르게 되었다.[18]

그 후 십 년과 다음 십 년 동안, 프로스쿠리아코프와 다른 사람들은 주제를 계속 발전시켰고, 크노로조프의 결과와 다른 접근 방식을 사용하여 문자의 일부 해독을 조립하기 시작했다. 주요 돌파구는 1973년 팔렝케의 마야 유적지에서 열린 첫 번째 원탁 회의 또는 메사 레돈다(Mesa Redonda) 회의에서 나왔는데, 이때 참석자들은 (대부분) 음절적 접근 방식을 사용하여 그 특정 마야 도시 국가의 이전 통치자 목록으로 밝혀진 것을 해독했다.[27]

이후 수십 년 동안 많은 진전이 있었고, 남아있는 비문의 상당 부분이 판독 가능하게 되었다. 마야 언어학에 대한 대부분의 설명은 마야 언어 해독에서 크노로조프의 돌파구를 인정한다. 회고적으로 코 교수는 이렇게 썼다. "유리 크노로조프는 서구 과학계와는 거리가 멀었고, 1980년대 후반 이전에는 마야 유적을 본 적도, 실제 마야 비문을 만져본 적도 없었지만, 모든 역경을 딛고 현대 마야 상형문자 해독을 가능하게 했다."[18]

말년

[편집]
메리다 (멕시코)에 있는 유리 크노로조프와 그의 고양이 아샤의 기념비

크노로조프는 1956년 코펜하겐에서 열린 미주학 국제 회의에서 자신의 연구를 발표했지만, 그 후 몇 년 동안은 전혀 해외로 여행할 수 없었다. 1990년 과테말라와 소련 간의 외교 관계가 복원된 후, 크노로조프는 비니시오 세레소 대통령의 초청으로 과테말라를 방문했다. 세레소 대통령은 크노로조프에게 케찰 훈장을 수여했고, 크노로조프는 티칼을 비롯한 주요 마야 고고학 유적지들을 방문했다. 멕시코 정부는 1994년 11월 30일 모스크바 멕시코 대사관에서 열린 시상식에서 크노로조프에게 멕시코 국가가 비시민권자에게 수여하는 최고 훈장인 아즈텍 독수리 훈장을 수여했다. 수상 당시 그는 스페인어로 Mi corazón siempre es mexicano (내 마음은 언제나 멕시코와 함께한다)[7] 또는 "내 마음은 영원히 멕시코 것이다."라고 말했다.

크노로조프는 고고학, 기호학, 아메리카 대륙으로의 인류 이동, 마음의 진화와 같은 다른 조사 분야에 광범위한 관심을 가졌고 기여했다. 그러나 그는 마야 연구 분야에 대한 공헌으로 가장 잘 기억되고 있다.[7]

그의 마지막 몇 년 동안, 크노로조프는 또한 미국 내의 한 장소를 치코모스톡의 유력한 위치로 지적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치코모스톡은 고대 문서와 상당수의 학자들이 신화로 간주하는 기록에 따르면, 현재 멕시코에 살고 있는 원주민들이 유래했다고 전해지는 조상들의 땅이다.[28]

크노로조프는 1999년 3월 30일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사망했다.[29] 그는 딸 예카테리나와 손녀 안나를 남겼다.[30]

2018년, 메리다 (멕시코)에 크노로조프를 기리는 기념비가 세워졌다.[31]

출판물 목록

[편집]

다음은 주제 영역과 유형별로 나눈 크노로조프의 논문, 학회 보고서 및 기타 출판물 중 일부이다. 나열된 것 중 일부는 이전 논문의 재편집 및 번역본이다.[32][12][18]

크노로조프는 그의 고양이 아샤를 그의 저작의 공동 저자로 등재했지만, 편집자들은 항상 그녀를 삭제했다. 그는 항상 아샤와 함께 찍은 사진(위)을 그의 저자 사진으로 사용했고, 편집자들이 그녀를 잘라낼 때마다 짜증을 냈다.[33] 아샤는 메리다에 있는 그의 기념비에 등장한다.

마야 관련

[편집]

학회 논문

[편집]
  • 〈A brief summary of the studies of the ancient Maya hieroglyphic writing in the Soviet Union〉. 《Reports of the Soviet Delegations at the 10th International Congress of Historical Science in Rome》. Moscow: 소련 과학 아카데미. 1955. 
  • 〈Краткие итоги изучения древней письменности майя в Советском Союзе〉 [Brief summary of the study of ancient Mayan writing in the Soviet Union].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Congress of Historical Sciences (Rome, 1955)》. Rome. 1956. 343–364쪽. 
  • 〈New data on the Maya written language〉. 《Proc. 32nd 미주학 국제회의, (Copenhagen, 1956)》. Copenhagen. 1958. 467–475쪽. 
  • 〈La lengua de los textos jeroglíficos mayas〉 [The language of Mayan hieroglyphic texts].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Congress of Americanists (33rd session, San José, 1958)》. San José, Costa Rica. 1959. 573–579쪽. 
  • 〈Le Panthéon des anciens Maya〉 [The Pantheon of the Ancient Maya].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Congress of Anthropological and Ethnological Sciences (7th session, Moscow, 1964)》. Moscow. 1970. 126–232쪽. 

학술지 논문

[편집]
  • 《Древняя письменность Центральной Америки》 [Ancient Writings of Central America]. 《소비에트 민족지학3. 1952. 100–118쪽. 
  • 《Письменность древних майя (опыт расшифровки)》 [Written Language of the Ancient Maya] (PDF). 《Sovetskaya Etnografiya》 1. 1955. 94–125쪽. 
  • 《New data on the Maya written language》. 《Journal de la Société des Américanistes de Paris》 45. 1956. 209–217쪽. doi:10.3406/jsa.1956.961. 
  • 《Estudio de los jeroglíficos mayas en la U.R.S.S.》 [The Study of Maya hieroglyphics in the USSR]. 《Khana, Revista municipal de artes y letras》 2. 1958. 183–189쪽. 
  • 《The problem of the study of the Maya hieroglyphic writing》. 번역 소피 코. 《아메리칸 앤티퀴티23. 1958. 284–291쪽. doi:10.2307/276310. JSTOR 276310. S2CID 163305055. 
  • 《Problem of deciphering Mayan writing》. 번역 Sidney Alexander. 《Diogènes》 10. 1962. 122–128쪽. doi:10.1177/039219216201004007. S2CID 143041913. 
  • 《Machine decipherment of Maya script》. 《Soviet Anthropology and Archeology》 1. 1963. 43–50쪽. doi:10.2753/aae1061-1959010343. 
  • 《Aplicación de las matematicas al estudio lingüistico》 [Application of mathematics to linguistic studies]. 《Estudios de Cultura Maya》 3. 1963. 169–185쪽. doi:10.19130/iifl.ecm.1963.3.686. 
  • 《Principios para descifrar los escritos mayas》 [Principles for deciphering Maya writing]. 《Estudios de Cultura Maya》 5. 1965. 153–188쪽. doi:10.19130/iifl.ecm.1965.5.667. 
  • 《Investigación formal de los textos jeroglíficos mayas》 [Formal investigations of Maya hieroglyphic texts]. 《Estudios de Cultura Maya》 7. 1968. 153–188쪽. doi:10.19130/iifl.ecm.1968.7.694. 
  • 《Заметки о календаре майя: 365-дневный год》 [Notes on the Mayan Calendar: 365-Day Year]. 《Sovetskaya Etnografiya》 1. 1973. 70–80쪽. 
  • 《Notas sobre el calendario maya; el monumento E de Tres Zapotes》 [Notes on the Mayan calendar; Monument E of Tres Zapotes]. 《América Latina; Estudios de Científicos Soviéticos》 3. 1974. 125–140쪽. 
  • 《Acerca de las relaciones precolombinas entre América y el Viejo Mundo》 [About pre-Columbian relations between America and the Old World]. 《América Latina; Estudios de Científicos Soviéticos》 1. 1986. 84–98쪽. 

서적

[편집]
  • 《La antigua escritura de los pueblos de America Central》 [The ancient writing of the peoples of Central America]. Mexico City: Fondo de Cultura Popular. 1954. 
  • 《Система письма древних майя》. Moscow: Ethnographic Institute, 소련 과학 아카데미. 1955. 
  • 《"Сообщение о делах в Юкатане" Диего де Ланда как историко-этнографический источник》 ["Report on the Affairs in Yucatan" by Diego de Landa as a Historical and Ethnographic Source]. Moscow: Academy of Sciences of the Soviet Union. 1956.  (크노로조프의 박사 논문)
  • 《Письменность индейцев майя》 [Mayan Writing]. Moscow-Leningrad: Ethnographic Institute, Academy of Sciences of the Soviet Union. 1963. 
  • Edited by 타티아나 프로스쿠리아코프; translated by Sophie Coe (1967). 《Selected Chapters from The Writing of the Maya Indians》. Russian Translation Series 4. 피바디 고고학 및 민족학 박물관. OCLC 572565556. 
  • 《Иероглифические рукописи майя》 [Mayan Hieroglyphic Manuscripts]. Leningrad: Ethnographic Institute, Academy of Sciences of the Soviet Union. 1975. 
  • 《Maya Hieroglyphic Codices》. 번역 Sophie Coe. Albany: Institute for Mesoamerican Studies. 1982. OCLC 10779290. 

기타

[편집]
  • 《Preliminary Report on the Study of the Written Language of Easter Island》. 《Journal of the Polynesian Society》 66. 1957. 5–17쪽.  (롱고롱고 문자에 관해, N. A. 부티노프와 함께)
  • 《Предварительное сообщение об исследовании протоиндейских текстов》 [Preliminary report on the study of Proto-Indian texts]. Moscow: Ethnographic Institute, Academy of Sciences of the Soviet Union. 1965.  (컴퓨터를 사용하여 하라파 문자를 조사하는 크노로조프 팀의 연구 결과 취합)
  • 《Протоиндейские надписи (к проблеме дешифровки)》 [Proto-Indian inscriptions (to the problem of decipherment)]. 《Sovetskaya Etnografiya》 5. 1981. 47–71쪽.  (인더스 문명하라파 문자에 관해)

각주

[편집]
  1. Yershova (2019), 58쪽.
  2. Yershova (2019), 51쪽.
  3. Yershova (2019), 53, 56–58쪽.
  4. Yershova (2019), 39쪽.
  5. “Զաբել” [Zabel] (아르메니아어). 《Zark Foundation》. 2024년 6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6. Yershova (2019), 66쪽.
  7. 역사가들의 초상화. 시간과 운명 (2004) (러시아어: Портреты историков. Время и судьбы). Moscow: Nauka. pp. 474–491.
  8. Yershova, Galina G. (2000). 《Юрий Валентинович Кнорозов》 (reproduced online at Древняя МезоАмерика). 《Алфавит [Alfavit]》 39 (Moscow: Izdatel'skiy dom "Pushkinskaya ploshchad'"). OCLC 234326799. 2006년 7월 27일에 확인함.  (러시아어)
  9. Yershova (2019), 82쪽.
  10. 모스크바 국립 대학교의 민족학과(Department of Ethnology)는 불과 1년 전인 1939년에 설립되었다. "Department of Ethnology", MSU History Faculty 참조.
  11. Yershova, Galina G. (2002년 11월 26일). Юрий Кнорозов: Протяните палец, может, дети за него подержатся (러시아어). 《로시스카야 가제타224 (Moscow: Redaktsiya Rossiyskoy gazety). ISSN 1606-5484. OCLC 42722022. 2008년 10월 23일에 확인함. 
  12. Hammond, Norman (September 1999). 《Yuri Valentinovich Knorosov [obituary]》. 《앤티쿼티 (저널)73 (Cambridge, England: Antiquity Publications). 491–492쪽. ISSN 0003-598X. OCLC 1481624. 
  13. Yershova (2019), 95–97쪽.
  14. Yershova (2019), 107쪽.
  15. Yershova (2019), 109–113쪽.
  16. Yershova (2019), 125–127쪽.
  17. Kettunen, Harri J. (1998). 《Relación de las cosas de San Petersburgo: An interview with Dr. Yuri Valentinovich Knorozov, Part II》. 《Revista Xaman》. 5/1998 (Helsinki: Ibero-American Center, 헬싱키 대학교). 2005년 3월 31일에 원본 문서 (online publication)에서 보존된 문서. 2006년 7월 27일에 확인함. 
  18. Coe, Michael D. (1992). 《Breaking the Maya Code》. London: 템스 앤 허드슨. 149쪽. ISBN 0-500-05061-9. OCLC 26605966. 
  19. Kettunen, Harri J. (1998). 《Relación de las cosas de San Petersburgo: An interview with Dr. Yuri Valentinovich Knorozov, Part I》. 《Revista Xaman》. 3/1998 (Helsinki: Ibero-American Center, 헬싱키 대학교). 2005년 3월 31일에 원본 문서 (online publication)에서 보존된 문서. 2006년 7월 27일에 확인함. 
  20. С С.И.Вайнштейном беседует В.А.Тишков. Interview with S.I. Vainshtein (in Russian)
  21. 19세기 저명한 민족학자 및 인류학자인 니콜라이 미클루호-마클라이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22. “Как Юрий Кнорозов разгадал тайну майя, не покидая Ленинграда”. Izbrannoe.com. 2019년 4월 5일. 2023년 3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12월 1일에 확인함. 
  23. McKillop, Heather Irene (2004). 《The ancient Maya : new perspectives》. Santa Barbara, Calif.: ABC-CLIO. 349쪽. ISBN 1-57607-697-0. OCLC 56558696. 
  24. Yury Valentinovich Knorozov. Encyclopaedia Britannica
  25. Knorozov, Yu. V. (1975) Иероглифические рукописи майя. Nauka: St. Petersburg and the University of Michigan.
  26. Solomon C. (2002). 《Tatiana Proskouriakoff: interpreting the ancient Maya》.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210–221쪽. ISBN 0-8061-3445-3. 
  27. Houston, Stephen D.; Chinchilla Mazariegos, Oswaldo Fernando; Stuart, David (2001). 《The decipherment of ancient Maya writing》. Norman, OK: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14쪽. ISBN 0-8061-3204-3. OCLC 44133070. 
  28. Ferreira, Leonardo (2006). 《Centuries of Silence: The Story of Latin American Journalism》. Westport, CT: 프래거 출판사. 6쪽. ISBN 978-0-275-98397-0. OCLC 68694080. 
  29. Yershova (2019), 577쪽.
  30. Tokovinine, Alexander (2008) Yuri Valentinovich Knorozov Papers, 1945–1998, MS.PC.001, Image Collections and Fieldwork Archives, Dumbarton Oaks, Trustees for Harvard University, Washington, D.C.
  31. Ferreiro, Miguel Ángel (2021년 5월 1일). “Yuri Knorozov, el científico ruso que descifró el alfabeto maya” (스페인어). 《El Reto Histórico》. 2024년 12월 6일에 확인함. 
  32. Bibliografía Mesoamericana (n.d.). “Knorozov, Yuri V. (index of works)”.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Mesoamerican Studies, Inc. 2006년 8월 1일에 확인함. 
  33. Man Credited Siamese Cat with Helping Him Decipher Maya Script. coleandmarmalade.com (16 August 2022)

인용된 출처

[편집]

더 읽어보기

[편집]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