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망탕
보이기
유망탕(劉芒蕩, ? ~ 309년 음력 9월[1][2])은 서진 ~ 오호 십육국 시대의 반란 지도자로, 사주 평양군 사람이다.[1][3]
행적
[편집]영가 3년 7월 5일[신미일](309년 8월 26일),[4] 한나라 황실의 후예를 자칭하며 강족 같은 서북방 이민족들을 속이고 유혹하여, 마란산(馬蘭山)[주 1]에서 황제를 참칭하며 거병하였다. 지호(支胡)[주 2] 오두수(五斗叟)·학삭(郝索)은 이에 호응하여 수천 명의 군대를 모아 반란을 일으켜, 신풍(新豊)에 진을 치고 유망탕에게 합류하였다.[1][3]
두 달 후 유망탕과 오두수는 정서대장군(征西大將軍) 남양왕 사마모가 파견한 장군 순우정(淳于定)에게 격파되었고, 둘 다 참살되었다.[1][2]
각주
[편집]내용주
[편집]- ↑ 지금의 섬서성 동천시 북쪽과[5] 위남시 백수현 북서쪽에 걸쳐 있는 산.[6] 호삼성은 북지군에 있는 이 산이 당나라 때에는 동주 경계에 속해 있었다면서, 아마도 당시의 행정 구역 기준으로 북지과 빙익 두 군의 경계에 속하여 걸쳐 있었을 것이라고 《자치통감》에 주석을 달았다.[7]
- ↑ 월지(소월지) 계통의 이민족.[8] 전진 건원 3년(376년), 전진의 빙익호군 정능진(鄭能進)이 지은 《등태위사비(鄧太尉祠碑)》의 비명에 따르면, 당시 빙익군 내에 거주하던 부족 가운데 하나로 지호가 있었다.[9][8][10] 이를 근거로 하여, 오사감은 지호를 서북방 이민족들 가운데 한 종족이라고 주장하였고,[9] 현대 중국의 역사학자 마장수(馬長壽, 1907 ~ 1971, 자는 송령(松齡))와 북경대학 역사학과 중국고대사연구센터 교수 영신강(榮新江)은 지호가 바로 월지호(月氏胡, 月支胡) 및 그 약칭이라고 하였다.[8][11] 이 계통의 성씨로는 지(支)씨와[8]·장(張)씨가 있었으며, 동시기에 석륵 휘하에서 활동하던 무장 지웅·지굴륙 등이 이 월지호 출신이었다.[8]
참조주
[편집]- ↑ 가 나 다 라 방현령 외, 《진서》 권5 제기(帝紀)제5
- ↑ 가 나 엄연, 《자치통감보》 권87 진기7 효회황제 中 영가 3년(309, 기사), 상주 사보루(思補樓) 교정인쇄본 《자치통감보 (51)》, 10/61.
- ↑ 가 나 엄연, 《자치통감보》 권87 진기7 효회황제 中 영가 3년(309, 기사), 상주 사보루(思補樓) 교정인쇄본 《자치통감보 (51)》, 9/61.
- ↑ 중앙연구원 음양력 변환기
- ↑ 심청애(沈靑厓) 편집, 《섬서통지(陝西通志)》 권13 산천(山川)6 요주 동관현, 사고전서본 《섬서통지》 권13, 64-268.
- ↑ 심청애(沈靑厓) 편집, 《섬서통지(陝西通志)》 권13 산천(山川)6 요주 백수현, 사고전서본 《섬서통지》 권13, 72-73/268.
- ↑ 호삼성, 《자치통감음주》 권82 진기(晉紀)4
- ↑ 가 나 다 라 마 북경대학 중국고대사연구센터 (2018년 10월 24일). “영신강(榮新江), 〈소월지고(小月氏考)〉”. 《소후》. 2025년 2월 11일에 확인함.
- ↑ 가 나 오사감(吳士鑑) 주·유승간(劉承幹) 출판, 《진서각주(晉書斠注)》 권5 제기제5 효회제기, 민국 17년(1927년) 오흥 유(劉)씨 가업당(嘉業堂)본 《진서각주》(4), 74-124.
- ↑ 마장수, 《비명에 보이는 전진 ~ 수나라 초기의 관중 부족》 2006, 12–15쪽.
- ↑ 마장수, 《비명에 보이는 전진 ~ 수나라 초기의 관중 부족》 2006, 20쪽.
참고 문헌
[편집]- 방현령 외, 《진서》
- 마장수(馬長壽) (2006년 1월). 《碑銘所見前秦至隋初的關中部族》 [비명에 보이는 전진 ~ 수나라 초기의 관중 부족] (중국어) 1판. 계림: 광서사범대학출판사. ISBN 7-5633-604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