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유해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유해수(有害數, Pernicious number)는 수론에서 이진법 표현의 해밍 무게소수인 양의 정수이다. 즉, 이진수로 표기했을 때 1의 개수가 소수인 수이다.[1]

예시

[편집]

첫 번째 유해수는 3인데, 3 = 112이고 1 + 1 = 2는 소수이기 때문이다. 다음 유해수는 5이며 5 = 1012이고, 그 다음은 6 (1102), 7 (1112), 9 (10012)이다.[2] 유해수의 수열은 다음과 같다.

3, 5, 6, 7, 9, 10, 11, 12, 13, 14, 17, 18, 19, 20, 21, 22, 24, ... (OEIS의 수열 A052294).

특징

[편집]

2의 거듭제곱은 유해수가 아니다. 이것은 자명하게 사실인데, 이진법으로 표현된 2의 거듭제곱은 1 뒤에 0이 붙는 형태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모든 2의 거듭제곱은 해밍 무게가 1이며, 1은 소수로 간주되지 않는다.[2] 반면에, 형태의 모든 수(모든 페르마 수 포함)는 유해수이다. 이는 이진법으로 표기했을 때 자릿수의 합이 2로 소수이기 때문이다.[2]

메르센 수 개의 1로 구성된 이진 표현을 가지며, 이 소수일 때 유해수이다. 모든 메르센 소수는 소수 에 대한 메르센 수이므로 유해수이다. 에우클레이데스-오일러 정리에 따라, 짝수 완전수는 메르센 소수 에 대해 의 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수의 이진 표현은 개의 1과 그 뒤에 개의 0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모든 짝수 완전수는 유해수이다.[3][4]

관련 수

[편집]
  • 기피수는 이진 전개에서 1이 홀수 개 있는 수이다 (OEISA000069).
  • 악수는 이진 전개에서 1이 짝수 개 있는 수이다 (OEISA001969).

각주

[편집]
  1. Deza, Elena (2021), 《Mersenne Numbers And Fermat Numbers》, World Scientific, 263쪽, ISBN 978-9811230332 
  2. Sloane, N. J. A. (편집), “Sequence A052294” (영어), 《The On-Line Encyclopedia of Integer Sequences》, OEIS Foundation 
  3. Colton, Simon; Dennis, Louise (2002), 〈The NumbersWithNames Program〉, 《Seven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athematics》 
  4. Cai, Tianxin (2022), 《Perfect Numbers And Fibonacci Sequences》, World Scientific, 50쪽, ISBN 978-98112440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