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플루오린화 크립톤
보이기
![]() | |
이름 | |
---|---|
별칭
크립톤(VI) 플루오린화물
| |
식별자 | |
3D 모델 (JSmol)
|
|
| |
| |
성질 | |
F6Kr | |
몰 질량 | 197.788 g·mol−1 |
겉보기 | 백색 결정성 고체라고 주장됨[출처 필요] |
관련 화합물 | |
관련 화합물
|
육플루오린화 제논 |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면, 표준상태(25 °C [77 °F], 100 kPa)에서 물질의 정보가 제공됨.
|
육플루오린화 크립톤(영어: Krypton hexafluoride)은 크립톤과 플루오린의 무기 화학 화합물로, 화학식은 KrF
6이다. 여전히 가상의 화합물이다.[1] 계산에 따르면 불안정하다.[2]
역사
[편집]1933년, 라이너스 폴링은 더 무거운 비활성 기체가 플루오린 및 산소와 화합물을 형성할 수 있다고 예측했다. 그는 또한 육플루오린화 크립톤의 존재를 예측했다.[3][확인 필요][4] 계산에 따르면 팔면체형 분자기하를 가질 것으로 예상된다.[1]
지금까지 가능한 크립톤 플루오린화물 중에서는 이플루오린화 크립톤(KrF
2)만이 실제로 합성되었다.
각주
[편집]- ↑ 가 나 Dixon, David A.; Wang, Tsang-Hsiu; Grant, Daniel J.; Peterson, Kirk A.; Christe, Karl O.; Schrobilgen, Gary J. (2007년 11월 1일). 《Heats of Formation of Krypton Fluorides and Stability Predictions for KrF4 and KrF6 from High Level Electronic Structure Calculations》. 《Inorganic Chemistry》 (영어) 46. 10016–10021쪽. doi:10.1021/ic701313h. ISSN 0020-1669. PMID 17941630.
- ↑ Kurzydłowski, Dominik; Sołtysiak, Magdalena; Dżoleva, Aleksandra; Zaleski-Ejgierd, Patryk (2017년 10월 28일). 《High-Pressure Reactivity of Kr and F2—Stabilization of Krypton in the +4 Oxidation State》. 《Crystals》 7. 329쪽. doi:10.3390/cryst7110329. ISSN 2073-4352.
- ↑ Pauling, Linus (May 1933). 《The Formulas of Antimonic Acid and the Antimonates》. 《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영어) 55. 1895–1900쪽. doi:10.1021/ja01332a016. ISSN 0002-7863.
- ↑ Williams, Jeffrey H. (2017년 9월 28일). 《Crystal Engineering: How Molecules Build Solids》 (영어). Morgan & Claypool Publishers. 4–1쪽. ISBN 978-1-68174-625-8. 2023년 3월 28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