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이슬람 군단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슬람 군단
الفيلق الإسلامي
작전 날짜1972년–약 1987년
국가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의 기 리비아
차드 차드
수단 수단
말리 말리
니제르 니제르
동맹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의 기 리비아
이념아랍 민족주의
아랍 우월주의
상태해체
참여 전쟁차드-리비아 전쟁
제2차 수단 내전

이슬람 군단(아랍어: الفيلق الإسلامي[1] 이슬람 범아프리카 군단)은 1972년에 창설된 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가 지원했던 범아랍주의범이슬람주의 준군사조직이었다. 이슬람 군단은 무아마르 알 카다피사헬 대이슬람 국가 건설이라는 목표의 일부였다.[2]

창설

[편집]

1969년 9월에 집권한 카다피는 범아프리카주의자일 뿐만 아니라, 일부 학자들에 따르면 아랍 우월주의자이기도 했다.[3] 프랑수아 톰발바예 차드 대통령에 대한 그의 적대감은 부분적으로는 톰발바예의 아프리카인기독교 배경에서 비롯되었다. 이는 또한 카다피가 흑인으로 간주되던 리비아의 투부족페잔에서 차드 국경 너머로 몰아내는 계기가 되었다. 카다피는 가파르 니메이리가 이끄는 수단 정부를 '아랍 민족주의 혁명 운동'이라고 칭하며 지지했고, 심지어 1971년 말 회의에서 수단과 리비아의 병합을 제안하기도 했다. 카다피의 평화적 아랍 연맹 형성 계획은 니메이리가 그의 제안을 거절하고 흑인, 애니미스트, 남수단과 치루었던 제1차 수단 내전을 끝내는 1972년 아디스아바바 협정이 체결되면서 좌절되었다.[4] 카다피의 아랍인에 대한 정의는 광범위하여 말리니제르투아레그인뿐만 아니라 차드와 수단의 자가와족까지 포함했다.[5]

이슬람 군단은 1972년 5월에 창설되었다.[6]

이슬람 군단의 우선순위는 차드였고, 그 다음은 수단이었다. 수단의 서부 지방인 다르푸르에서 카다피는 타잠무 알 아라비(Tajammu al-Arabi)의 창설을 지원했는데, 역사학자 제라르 프루니에에 따르면 타잠무 알 아라비는 다르푸르의 아랍적 특성을 강조하는 전투적 인종차별주의 및 범아랍주의 조직이었다.[1] 타잠무 알 아라비와 이슬람 군단은 회원과 지원 출처를 공유했으며, 둘 사이의 구별은 종종 모호하다.

군단

[편집]

이슬람 군단은 주로 가난한 사헬 국가들에서 온 이민자들로 구성되었다.[7] 일반적으로 군단원들은 싸울 생각을 전혀 하지 않고 리비아로 갔던 이민자들이었으며, 부적절한 군사 훈련을 받았고 헌신도가 낮았다. 저널리스트 알랭 프라숑은 차드 주둔 이슬람 군단 병력에 대해 "이들은 외국인, 아랍인 또는 아프리카인으로, 본의 아니게 용병이 된, 민간 직업을 희망하며 리비아로 왔다가 알 수 없는 사막에서 싸우기 위해 강제로 징집된 불쌍한 자들"이라고 언급했다.[7]

국제전략문제연구소에서 발행한 밀리터리 밸런스에 따르면, 이슬람 군단은 1개 기갑 여단, 1개 보병 여단, 1개 공수/특공 여단으로 조직되었다. T-54T-55 전차, EE-9 장갑차를 보급받았다. 이슬람 군단은 1980년 차드 전투에 투입되었으며 그곳에서의 성공으로 카다피에게 호평받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그러나 1987년 3월 차드에서 탈영한 이슬람 군단원들이 다수 보고되었다.

카다피는 군단원들을 우간다, 팔레스타인, 레바논, 시리아로 파견했지만,[8] 군단원들은 주로 차드-리비아 전쟁과 연관되었는데, 이미 1980년에 7,000명의 군단원들이 제2차 은자메나 전투에 참전했고,[9] 그들의 전투 기록은 무능함으로 가장 두드러졌다.[10] 베냉마르크스주의 정권은 1983년 차드 공세 동안 이슬람 군단원들을 제공했다고 전해진다.[11] 1987년 이슬람 군단은 차드 공세 초기에 다르푸르에 2,000명의 병력을 유지했다. 그 결과 발생한 지속적인 국경 충돌은 1985년에서 1988년 사이에 약 9,000명의 사망자를 낸 다르푸르 내의 별도의 민족 분쟁에 크게 기여했다.[12]

이슬람 군단은 1987년 차드에서 패배하고 리비아가 차드에서 철수하자 카다피에 의해 해체되었다. 그러나 리비아가 주둔했던 지역에서 그 여파는 여전히 느껴질 수 있다. 일부 잔자위드 지도자들은 리비아에서 훈련받았다고 알려진 사람들 중 하나였는데,[13] 1970년대1980년대에 많은 다르푸르국민 움마당 당원들이 망명 생활을 강요받았기 때문이다.[14]

이슬람 군단은 또한 말리니제르에 사는 투아레그인에게 강한 영향을 남겼다. 일련의 심각한 가뭄으로 인해 많은 젊은 투아레그인들이 리비아로 이주했고, 그곳에서 많은 이들이 이슬람 군단에 징집되어 세습 족장들을 거부하고 투아레그인을 권력에서 배제하는 정부에 맞서 싸우라는 사상을 주입받았다. 군단 해체 후, 이들은 고국으로 돌아와 1989년~1990년에 두 국가에서 발발한 투아레그 반란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15]

카다피 정권 전복 직전, 언론 보도에 따르면 그의 강경 지지자들 중에는 리비아 시민권을 얻고 리비아에 남아있던 전 이슬람 군단원들이 포함되어 있었다.[16]

여파

[편집]

카다피의 통합 아랍 군대에 대한 희망을 실현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아랍 군단 창설 계획이 주기적으로 발표되었다. 리비아 언론에 따르면 목표는 100만 명의 남녀 군단원으로 구성된 군대를 조직하여 위대한 아랍 전투, 즉 팔레스타인을 해방하고 반동 정권을 전복하며, 아랍 고국의 국가 간 국경과 장벽을 없애고 하나의 아랍 자마히리야를 건설하는 전투에 대비하는 것이었다. 1985년 3월, 아랍 국가의 혁명군 사령부 국가 사령부가 카다피를 수장으로 하여 결성되었음이 발표되었다. 레바논, 튀니지, 수단, 이라크, 페르시아만에 인접한 국가들, 요르단 출신의 여러 소규모 급진 아랍 단체들이 창립 회의에 참석했다. 시리아 바트당과 급진 팔레스타인 파벌도 참석했다. 이들은 새로운 사령부 산하에서 복무하기 위해 병력의 10%를 할당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그러나 1987년 4월 기준 그러한 민병대의 존재를 확인하는 정보는 없다.

각주

[편집]
  • Azam, J.-P.; C. Morrisson; S. Chauvin; S. Rospabé (1999). 《Conflict and Growth in Africa》. OECD. ISBN 92-64-17101-0. 
  • Flint, Julie and de Waal, Alex, Darfur: A Short History of a Long War, Zed Books, London March 2006, ISBN 1-84277-697-5
  • Markakis, John; Waller, Michael (1986). 《Military Marxist Regimes in Africa》. 라우틀리지. ISBN 0-7146-3295-3. 
  • Nolutshungu, Sam C. (1995). 《Limits of Anarchy: Intervention and State Formation in Chad》. University of Virginia Press. ISBN 0-8139-1628-3. 
  • Prunier, Gérard, Darfur: The Ambiguous Genocide, Cornell University Press, 2005, ISBN 0-8014-4450-0
  • Simons, Geoff (2004). 《Libya and the West: From Independence to Lockerbie》. I.B. Tauris. ISBN 1-86064-988-2. 
  • Thomson, Janice E. (1996). 《Mercenaries, Pirates and Sovereigns: State Building and Extraterritorial Violence in Early Modern Europe》. 프린스턴 대학교 출판부. ISBN 0-691-02571-1. 
  • Wright, John (1989). 《Libya, Chad and the Central Sahara》. C. Hurst & Co. ISBN 1-85065-050-0. 

내용주

[편집]
  1. G. Prunier, Darfur: The Ambiguous Genocide, p. 45
  2. S. Nolutshungu, Limits of Anarchy, p. 127
  3. Prunier, Gérard, Darfur: The Ambiguous Genocide, Cornell University Press, 2005, ISBN 0-8014-4450-0
  4. Prunier, pp. 43-45
  5. Flint and de Waal, Darfur: A Short History of a Long War, p. 23
  6. St. John, Ronald Bruce (2008). 《Redefining the Libyan Revolution: The Changing Ideology of Muammar al-Qaddafi》. 《The Journal of North African Studies》 13. 95쪽. doi:10.1080/13629380701742819. S2CID 219626768. 
  7. S. Nolutshungu, p. 220
  8. J.-P. Azam et al., Conflict and Growth in Africa, p. 168
  9. G. Simons, Libya and the West, p. 57
  10. J. Wright, Libya, p. 140
  11. J. Markakis & M. Waller, Military Marxist Regimes, p. 73
  12. Prunier, pp. 61-65
  13. de Waal, Alex (2004년 8월 5일). 《Counter-Insurgency on the Cheap》. 《London Review of Books26. 
  14. McGregor, Andrew (2005년 6월 17일). 《Terrorism and Violence in the Sudan: The Islamist Manipulation of Darfur》. 《Terrorism Monitor》 3 (The Jamestown Foundation). 2006년 10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15. J.-P. Azam et al., p. 14
  16. Washington Post, March 11,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