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임실현읍총병풍

임실현읍총병풍
대한민국 임실군향토문화유산(유형)
종목향토문화유산(유형) (구)제1호
(2016년 10월 17일 지정)
소유손주항
위치
임실 원천리은(는) 대한민국 안에 위치해 있다
임실 원천리
임실 원천리
주소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신평면 원천리 279
좌표북위 35° 39′ 19″ 동경 127° 13′ 20″ / 북위 35.65528° 동경 127.22222°  / 35.65528; 127.22222

임실현읍총병풍대한민국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신평면에 있다. 2016년 10월 17일 임실군의 향토문화유산(유형) 제1호로 지정되었다.

개요

[편집]

1872년에 작성된 것으로 임실현감이 교대할 때 임실현의 사정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적고 있는 읍총을 병풍으로 제작한 것이다. 크기는 6m×1.8m이며, 전체 12폭 병풍으로 이루어져 있다.

당초 <임실현읍총병풍>은 고 손주항씨 댁에서 발견되었다. 손주항씨는 아버지 손태중씨가 묵서한 것을 60여 년 전에 병풍으로 만들었다고 하였다. 병풍의 표지에는 ‘융희 원년(1908) 음력 9월 임실읍총’이라는 문구가 표구되어 있고, 내용적으로는 동치 10년, 1872년 읍총으로 당시 임철수(1870~1872, 재임) 현감으로부터 정준화(1872~1875, 재임) 현감으로 교체되면서 작성한 것이다. 손주항씨의 집은 조선말 사숙으로 마을 청소년들이 학문을 수학하던 곳으로 지금도 서당골로 불린다고 한다.

보통 ‘읍총(邑摠)’은 조선 시대, 신임 수령을 맞이할 때 수석 아전이 제출했던 작은 책자를 말하는 것으로, 그 지방 관아의 운용, 지방관의 봉록인 쌀과 돈의 수량 등을 기록해 둔 것이다. 읍총은 해당 읍지를 참조하여 대개 건치연혁(建置沿革)․진관(鎭管)․관원(官員)․군명(郡名)․면(面)․창(倉)․호(戶)․군(軍)․결(結)․수(需)․풍속(風俗)․형승(形勝)․읍성(邑城)․산천(山川)․토산(土産)․관방(關防)․누정(樓亭)․역원(驛院)․교량(橋梁)․불우(佛宇)․능침(陵寢)․고적(古蹟)․궁실(宮室)․신사(神祠)․인물(人物)․열녀(烈女)․제영(題詠) 등의 내역을 담기도 하는데, <임실현읍총>은 건치연혁(建置沿革)․지경리수(地境里數)․방리(坊里)․향교(鄕校)․서원(書院)ㆍ사우(祠宇)․각급 관아 소관으로 구분하였고, 각급관아소관에서 임실현의 당시 경제사정을 엿볼 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