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잔디 (메신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잔디
다른 이름JANDI
원저자김대현 외
개발자토스랩
발표일2015년 5월(10년 전)(2015-05)
운영 체제웹, 윈도우, macOS, 안드로이드, iOS
플랫폼SaaS, 클라우드
언어한국어, 영어 등
종류협업 소프트웨어
라이선스독점 소프트웨어 (구독 기반)
상태서비스 중
웹사이트https://www.jandi.com

잔디(영어: JANDI)는 토스랩이 개발·운영하는 메신저 기반 업무용 협업 소프트웨어이다. 2015년 5월 국내 기업 가운데 처음으로 메신저 기반 협업툴 형태로 출시되었으며, 주제별 대화방(토픽), 멘션·스레드 댓글, 파일 미리보기·드라이브, 할 일 관리, 화상회의 연동 등을 제공한다.[1] 잔디는 모든 대화와 파일을 클라우드에 암호화 저장해 조직의 자산으로 보존하는 것을 핵심 가치로 삼는다.[2] 2024년에 창사 이래 첫 흑자를 달성했고,[3] 같은 해 10월 기준 누적 생성 팀 40만, 모바일 앱 누적 약 100만 다운로드(안드로이드 50만 이상) 및 70여 개국 진출을 기록했다.[1]

개요

[편집]

잔디는 사내 커뮤니케이션을 실시간 메신저 중심으로 전환하여 이메일·게시판 중심 업무의 지연과 개인 메신저 사용의 기록 단절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1] 창업 초기부터 “교육 없이 곧바로 쓸 수 있는 쉬운 사용성”과 “접근성·유연성 높은 SaaS 구독 모델”을 원칙으로 삼았으며, 기업 데이터의 자산화와 보안을 강조한다.[1][2]

역사

[편집]
  • 2014년: 김대현 등 공동창업으로 토스랩 설립, 메신저 기반 협업툴 개발 착수.[1]
  • 2015년 5월: 잔디 정식 출시(국내 기업 최초 메신저 기반 협업툴).[1]
  • 2016년~2020년: 사용자 팀 수 5.2만(2016.4) → 10만(2017.4) → 15만(2018.8) → 18만(2019.4) → 22만(2020.1). 코로나19 시기 수요 급증, 2020년 9월 투자 유치.[1][4]
  • 2022년 이후: 포스트 코로나로 일부 협업툴 시장 재편, 고객 유지·제품 고도화·현지화 전략 강화.[1]
  • 2024년: 첫 흑자 달성, 누적 생성 팀 40만 돌파, 모바일 다운로드 100만 근접.[3][1]
  • 2025년: AI 기반 정보관리 도구 ‘스프링클러’(Sprinkler) 정식화·확산.[5] 일본 파트너사 비전(Vision Inc.)과의 현지 협력 확대 발표.[6]

기능

[편집]
  • 토픽(주제별 대화방), 스레드 댓글, 멘션·읽음 확인, 이모티콘, 투표, 일정, 알림 센터를 통한 실시간 협업.[2]
  • 파일·문서 관리: 미리보기, 댓글 첨부 버전 관리, 잔디 드라이브 보관 및 폴더 기반 공유.[2]
  • 스마트 검색·아카이빙: 파일명·형식·대화방·기간 등 필터 검색과 즐겨찾기.[2]
  • 외부 서비스 연동: Google 드라이브, Dropbox, Trello, GitHub, JIRA 등 연동 지원.[2]
  • AI 기능(스프링클러): 대화 맥락 요약·검색·생성, 지식베이스 연동 등.[5][7]

가격 정책

[편집]

잔디는 Free·Premium·Enterprise 요금제로 제공된다. 2024년부터는 무료 정책을 조정하여 무료 용량 3GB메시지 검색 90일을 제공하도록 변경했다.[1][8]

전략과 시장

[편집]

토스랩은 고객 여정을 AARRR 기반으로 잠재고객·가망고객·무료사용자·유료고객으로 구분하고, 각 세그먼트에 맞는 메시지와 채널을 운영했다.[1] 또한 2025년에는 일본 파트너사 비전과의 협업을 통해 현지 AI 도입 확대를 추진했다.[6] 업셀링·유지 전략 및 데이터 기반 운영은 국내외 매체에서 다뤄졌다.[9]

보안과 데이터 관리

[편집]

잔디에서 공유되는 메시지·파일은 암호화되어 서버에 저장되며, 사용자가 삭제하지 않는 한 영구 보존된다. 또한 히스토리 검색·즐겨찾기, 권한 관리 등을 통해 조직 차원의 기록 관리·지식 축적을 지원한다.[2][1]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조광현 (2025년 2월 27일). “협업툴 ‘잔디’의 고객 중심 전략과 성장 - 토스랩”. 《Asan Entrepreneurship Review》. 아산나눔재단. 2025년 9월 14일에 확인함. 
  2. “잔디 기능”. 《JANDI》. 토스랩. 2025년 9월 14일에 확인함. 
  3. “Toss Lab’s JANDI reports first monthly surplus in Jan. 2024” (영어). 《Maeil Business Newspaper (English)》. 매일경제. 2024년 2월 6일. 2025년 9월 14일에 확인함. 
  4. “Corporate communication platform JANDI’s maker Toss Lab gets fresh funding of $13M” (영어). 《KoreaTechDesk》. 2020년 9월 3일. 2025년 9월 14일에 확인함. 
  5. “토스랩, 협업툴 잔디 전용 AI 기능 ‘스프링클러’ 정식 버전 출시”. 《바이라인네트워크》. 바이라인네트워크. 2025년 3월 6일. 2025년 9월 14일에 확인함. 
  6. 백봉삼 (2025년 7월 8일). “토스랩-비전, 일본 내 ‘잔디 AI’ 더 널리 알린다”. 《ZDNET KOREA》. 메가뉴스. 2025년 9월 14일에 확인함. 
  7. “AI로 진화한 메신저 기반 업무용 협업툴”. 《JANDI》. 토스랩. 2025년 9월 14일에 확인함. 
  8. 가격과 세부 혜택은 지역·시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9. “토스랩의 '잔디 몰입' 전략…챗GPT 없어도 AI로 리포트 쓰고 요약한다”. 《블로터》. 블로터. 2025년 4월 8일. 2025년 9월 14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