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잘츠부르크 페스티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잘츠부르크 페스티벌(Salzburger Festspiele)은 1920년에 창설된 유서 깊은 음악·연극 축제로, 매년 7월 말부터 8월 말까지 약 5주 동안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에서 열린다. 개최지인 잘츠부르크는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의 출생지로, 축제는 전통적으로 모차르트의 오페라에 큰 비중을 두며 호프만스탈의 희곡 제더만(Jedermann)을 해마다 무대에 올리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1] 1967년부터는 별도 조직이 주관하는 부활절 페스티벌도 매년 개최된다.[2]

역사

[편집]

잘츠부르크에서는 1877년부터 국제 모차르테움 재단이 간헐적으로 음악제를 열었으나 1910년에 중단되었다. 1914년의 개최 계획은 제1차 세계 대전 발발로 취소되었다. 1917년 프리드리히 게마허와 하인리히 다미쉬가 ‘잘츠부르크 페스트슈필하우스 협회(Salzburger Festspielhaus-Gemeinde)’를 결성해 모차르트 작품을 중심으로 한 연례 음악·연극 축제를 추진했으며,[3] 전쟁 종결 무렵인 1918년에는 시인이자 극작가 후고 폰 호프만스탈, 작곡가 리하르트 슈트라우스, 연출가 막스 라인하르트, 무대미술가 알프레트 롤러, 지휘자 프란츠 샬크 등 다섯 명이 축제 부흥을 주도했다.[4]

호프만스탈의 정치적 글에 따르면, 이 축제는 프로이센·북독일식의 경직된 세계관과 대비되는, 다민족과 소수자·종교·문화·언어를 포용하는 수 세기 하브스부르크 원칙의 구현을 지향했다.[5][6][7]

1920년 8월 22일, 라인하르트 연출의 호프만스탈 제더만이 잘츠부르크 대성당 계단에서 알렉산더 모이시 주연으로 초연되며 축제가 공식 개막했다. 이 전통은 오늘날까지 이어져 작품은 주로 대성당 광장(Domplatz)에서 공연되며, 1921년부터는 실내악·관현악 공연도 병행되었다.[1] 1922년에는 리하르트 슈트라우스가 지휘한 모차르트의 돈 조반니로 첫 오페라 프로덕션이 이루어졌다.[8]

펠젠라이트슐레 공연장

1925년에는 뫼히히스베르크 북사면의 옛 대주교 마구간을 개조한 첫 페스티벌홀(후일 작은 페스티벌홀)이 문을 열었고,[9] 1926년에는 절벽을 파 만든 펠젠라이트슐레(Felsenreitschule)를 극장으로 개조해 개관했다.[10] 21세기에 이르러 1925년 홀은 전면 개보수되어 2006년 하우스 퓌어 모차르트(Haus für Mozart)라는 이름으로 재개관했다.[11]

1934~1937년에는 아르투로 토스카니니브루노 발터 등이 지휘자로 참여해 명성을 높였다. 1936년에는 트라프 패밀리 싱어즈가 잘츠부르크 무대에 데뷔했으며, 이들의 이야기는 훗날 뮤지컬 사운드 오브 뮤직으로 각색되었다.[12][13]

1938년 나치 독일의 오스트리아 합병(안슐루스)으로 축제는 큰 타격을 받았고, 일부 유대계 예술가들이 망명했으며 제더만 공연도 중단되었다. 1944년 7월 20일 히틀러 암살 미수 사건 이후 요제프 괴벨스의 지시에 따라 그해 여름의 ‘잘츠부르크 연극·음악의 여름’은 취소되었다.[14][15] 전쟁 종전 직후인 1945년 여름에 축제는 재개되었다.[16]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편집]
제더만, 2012
Photo: Luigi Caputo
제더만, 2014
Photo: Francisco Peralta Torrejón

전후 축제는 모차르트 중심의 여름 오페라 축제로 위상을 회복했고, 1956년에는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이 예술감독으로 취임했다. 1960년 대극장인 ‘그로세스 페스트슈필하우스(Großes Festspielhaus)’가 개관하며 새로운 전기를 맞았다.[17] 이후 모차르트와 슈트라우스 작품이 축제 레퍼토리의 축을 이루었고, 베르디 팔스타프와 베토벤 피델리오 등도 정기적으로 공연되었다.[1]

카라얀이 타계한 1989년 이후 게라르 모르티에르가 축제를 현대화·확장했고, 2001년에는 페터 루치츠카가 뒤를 이었다.[1]

21세기

[편집]
플라시도 도밍고, 프란체스코 멜리, 안나 네트렙코, 디아나 할러 — 일 트로바토레, 2014
Photo: Christian Michelides

2006년에는 (모차르트 탄생 250주년을 기념해) 모차르트의 22개 오페라 전작을 무대에 올리는 ‘모차르트 22(Mozart 22)’ 프로젝트가 진행되었고, 같은 해 개보수된 하우스 퓌어 모차르트가 재개관했다. 이 연작은 영상으로 제작되어 2006년 11월 DVD 박스로 출시되었다.[18][19][11]

2010년에는 볼프강 림의 오페라 디오니소스가 초연되었다.[20] 2011년 베를린 국립 오페라로 떠난 위르겐 플림의 뒤를 알렉산더 페레이라가 이었고, 그는 “신작 중심” 노선을 제시했다.[21] 페레이라 퇴임(2014) 후 드라마 부문 책임자였던 스벤에리크 베히톨프가 2015년 예술 프로그램을 총괄했는데, 예산 조정으로 “신작만” 기조는 일부 완화되었다.[22][23] 2018년에는 리디아 슈타이어가 축제 최초의 여성 연출가로 마술피리를 무대에 올렸다.[24]

리더십과 조직

[편집]

2016년부터 마르쿠스 힌터하우저가 인텐단트(예술감독)를 맡고 있으며, 임기는 2031년까지 연장되었다.[25][26] 2022년 1월부터는 독일·스위스 이중국적의 브랜드 전략가 크리스티나(크리스티나) 해머가 축제의 대통령(대표)을 맡고 있다. 그는 애스턴마틴·재규어·랜드로버(포드)와 메르세데스-벤츠 등에서 마케팅·커뮤니케이션을 담당한 경력이 있다.[27][28][29]

프로그램의 특징

[편집]

축제 첫 주에는 2012년부터 이어진 성음악 시리즈 ‘우베르튀르 스피리튀엘’(Ouverture spirituelle)이 펼쳐진다.[30][31] 모차르트의 고향이라는 정체성을 살린 ‘모차르트 마티네’(Mozart Matinee)도 주말 오전 모차르테움 대홀에서 정기적으로 열린다.[32][33]

빈 필하모닉과의 관계

[편집]

빈 필하모닉은 1922년부터 잘츠부르크 페스티벌의 여름 상주 오케스트라로 활동해 왔으며,[34] 해머 대표는 인터뷰에서 “빈 필하모닉이 외 지역에서 오페라를 연주하는 유일한 무대가 잘츠부르크”라고 강조했다. 또한 “103년 동안 오페라 2,400회, 콘서트 850회에 출연했다”는 통계를 소개했다.[35]

코로나19와 지속성

[편집]

코로나19 범유행 기간이던 2020년에도 축제는 엄격한 방역 계획을 수립해 제한된 규모로 공연을 이어갔으며, 바를리코프스키 연출·프란츠 벨저-메스트 지휘의 일렉트라, 크리스토프 로이 연출·요아나 말비츠 지휘의 코지 판 투테 등을 상연했다.[36] 그해 슬로건은 호프만스탈의 문구 “의지(Will)가 깨어나는 곳에는 이미 거의 이루어진 것이 있다”였다.[36]

공연장

[편집]

대표적 공연장인 펠젠라이트슐레는 바위산을 파 만든 3층 석조 아케이드가 무대 배경을 이루는 독창적 공간으로, 17세기 대성당 건축용 채석장을 바탕으로 조성되었고 1926년 축제 공연장으로 개관했다.[10]

현황

[편집]

2025년 여름 축제는 7월 18일부터 8월 31일까지 45일 동안 174회의 공연을 16개 공연장에서 선보였으며, 관객 점유율 98%대, 80개국 이상에서 25만 명 안팎이 방문했다는 요약이 발표되었다.[37][38][35]

경제

[편집]

2017년 기준 축제의 연간 티켓 매출은 약 2,700만 유로이며, 잘츠부르크 지역 내에서 연간 약 1억 8,300만 유로의 직접·간접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고용 유발 효과는 상시 및 계절 인력을 합산해 잘츠부르크 2,800명(오스트리아 전체 3,400명) 수준으로 추산되며, 공공부문에는 연간 약 7,700만 유로의 세금·부담금 수입을 제공한다.[39]

관람·구매 안내

[편집]

축제 프로그램은 통상 12월 초 공개되며, 후원자(골든 클럽·실버 클럽 등)에게 우선 배정 후 3월경 일반 판매가 시작된다. 매진 후에도 환불표가 수시로 풀리며, 티켓 오피스의 상담을 통해 대안을 제시받을 수 있다. 복장 규정은 별도로 없고, 공연자에 대한 존중이 느껴지는 수준의 단정한 복장을 권한다. 카라얀이 즐겨 찾던 토마젤리(Tomaselli), 강 건너의 바자르(Bazar) 등 카페가 상징적으로 거론된다.[35] 후원·회원제에 따른 우선 구매 및 혜택은 ‘페스티벌 친구들(Friends of the Salzburg Festival)’의 실버·골든 클럽 등급으로 운영된다.[40][41]

성령강림절 페스티벌

[편집]
그로세스 페스트슈필하우스(대극장) 입구(헤르베르트 폰 카라얀 광장)

성령강림절 페스티벌(Pfingstfestspiele Salzburg)은 매년 5월 말 또는 6월 초 성령강림절 주말에 그로세스 페스트슈필하우스와 하우스 퓌어 모차르트에서 열린다. 1973년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이 창설한 성령강림절 음악회의 전통이 1998년부터는 잘츠부르크 페스티벌 재단(Salzburger Festspielfonds)에 의해 운영되고, 오페라 상연과 바로크·고전 레퍼토리에 초점을 두도록 발전했다. 2012년부터는 이탈리아 메조소프라노 체칠리아 바르톨리가 예술감독을 맡고 있다.[42][43]

각주

[편집]
  1. “History • Salzburg Festival” (영어). 《Salzburg Festival》. 
  2. “Salzburg Easter Festival” (영어). 《Salzburg Easter Festival》. 
  3. Cliff Eisen, Simon P. Keefe 편, The Cambridge Mozart Encyclopedia(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 443쪽.
  4. Laurenz Lütteken, Richard Strauss: Musik der Moderne(슈투트가르트: Reclam, 2014), 138쪽.
  5. William M. Johnston, Zur Kulturgeschichte Österreichs und Ungarns 1890–1938(빈: Böhlau, 2015), 46쪽.
  6. “Hugo von Hofmannsthal im Ersten Weltkrieg – Requiem auf eine zerbrechliche Idee” (독일어). 《Frankfurter Allgemeine Zeitung》. 2014년 4월 18일. 
  7. Martin Hemecker, Klaus Heumann 편, Hofmannsthal. Orte(빈: Zsolnay, 2014), 336쪽.
  8. “1920–1929 • History” (영어). 《Salzburg Festival》. 
  9. “Vor 100 Jahren: Aus einem Traum entsteht ein Salzburger Festspielhaus” (독일어). 《Salzburger Nachrichten》. 2025년 7월 20일. 
  10. “Felsenreitschule • A venue of the Salzburg Festival” (영어). 《Salzburg Festival》. 
  11. “23. Juli bis 31. August (2006)” (독일어). 《Salzburger Festspiele》. 
  12. “Movie vs. Reality: The Real Story of the Von Trapp Family” (영어). 《U.S. National Archives》. 2005년 12월 1일. 
  13. “Benjamin Britten — Variations on a Theme of Frank Bridge” (영어). 《Boosey & Hawkes》. 
  14. “29 July – 2 September (1930s Timeline)” (영어). 《Salzburg Festival》. 
  15. “Der Salzburger Theater- und Musiksommer wird abgesagt (1944)” (독일어). 《Salzburger Festspiele》. 
  16. “1940er-Jahre • Salzburger Festspiele” (독일어). 《Salzburger Festspiele》. 
  17. “1960–1969 • With the opening of the Large Festival Hall” (영어). 《Salzburg Festival》. 
  18. “Hintergrund: Mozart 22” (독일어). 《Der Tagesspiegel》. 2006년 7월 18일. 
  19. “Mozart 22 – The Complete Operas (Salzburg Festival 2006)” (독일어). 《Deutsche Grammophon》. 
  20. “Dionysos (2010)” (영어). 《Salzburg Festival》. 
  21. “New to Salzburg” (영어). 《Opera News》. 2012년 5월. 
  22. “Nach Pereira: Salzburger Festspiele auf Konsolidierungskurs” (독일어). 《ORF》. 2015년 7월 8일. 
  23. “Opening of the Salzburg Festival” (영어). 《Deutsche Welle》. 2015년 7월 17일. 
  24. “Die Zauberflöte in Salzburg – Im Königreich der Fastnacht” (독일어). 《Der Tagesspiegel》. 2018년 7월 28일. 
  25. “Hinterhäuser bleibt Intendant der Salzburger Festspiele” (독일어). 《Neue Musikzeitung》. 2024년 4월 5일. 
  26. “Markus Hinterhäuser Remains Artistic Director of the Salzburg Festival” (영어). 《Salzburg Festival》. 2024년 4월 5일. 
  27. “Kristina Hammer • President” (영어). 《Salzburg Festival》. 
  28. “Press Release of the Salzburg Festival's Supervisory Board” (PDF) (영어). 《Salzburg Festival Society》. 2021년 11월 25일. 
  29. “Kristina Hammer” (영어). 《Salzburg Summit》. 
  30. “Ouverture spirituelle – Sacred Music” (영어). 《Tourismus Salzburg》. 
  31. “Spiritual, Dramatic, Profound — Ouverture spirituelle 2025” (영어). 《Salzburg Festival》. 2025년 5월 31일. 
  32. “Mozart Matinee • Bolton (2025)” (영어). 《Salzburg Festival》. 
  33. “Mozart Matinee • González-Monjás (2025)” (영어). 《Salzburg Festival》. 
  34. “Vienna Philharmonic • Salzburg Festival” (영어). 《Salzburg Festival》. 
  35. “핫플·맛집까지 다 물어봤다…잘츠부르크 축제 ‘넘버1’ 꿀팁”. 《중앙일보 더중앙플러스》. 2025년 8월 8일. 
  36. ““Wo der Wille nur erwacht …” – Wie die Salzburger Festspiele Corona trotzten” (독일어). 《Bachtrack》. 2020년 9월 16일. 
  37. “Recap: Salzburg Festival 2024” (영어). 《Salzburg Festival》. 2024년 8월 30일. 
  38. “Salzburg Festival Sells Out 98.2% Of Seats” (영어). 《Ludwig Van》. 2024년 9월 3일. 
  39. “Report Salzburg Festival: Economic engine, excellence infusion for the location” (PDF) (영어). 《Wirtschaftskammer Salzburg》. 2017년 6월 28일. 
  40. “Friends of the Salzburg Festival” (영어). 《Friends of the Salzburg Festival》. 
  41. “Private Donors • Clubs” (영어). 《Salzburg Festival》. 
  42. “Cecilia Bartoli • Salzburg Festival Whitsun” (영어). 《Salzburg Festival》. 
  43. “Salzburg Whitsun Festival 17–20 May 2024” (영어). 《Salzburg Festival》. 2024년 5월 21일.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