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장준혁 (공학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장준혁
장준혁
성별남성
국적대한민국
시민권대한민국
학력경북대학교
서울대학교
직업전자공학자·인공지능 연구자·교수
활동 기간2000년대 ~ 현재
고용주한양대학교
소속융합전자공학부
전기정보통신기술연구소(RIEC)
ASML(음성·음향 신호처리 및 머신러닝) 연구실
현직한양대학교 융합전자공학부 정교수(2017년 ~ )
전기정보통신기술연구소장(2019년 ~ )
IEEE/ACM TASLP 편집위원(2025년 ~ )
전직인하대학교 전자공학부 조교수(2005년 ~ 2011년)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연구원(2005년)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타바버라(UC Santa Barbara) 박사후연구원(2004년 ~ 2005년)
칭호한양대학교 HYU Research Distinguished Professor(연구석학교수), 전기정보통신기술연구소장
칭호 기간연구소장(2019년 ~ )
장준혁
한글 표기: 장준혁
개정 로마자 표기: Jang Jun-hyeok

장준혁(Joon-Hyuk Chang)은 대한민국의 한양대학교 융합전자공학부 교수이자 음성·음향 신호처리 및 인공지능 연구자이다. 한양대학교 전기정보통신기술연구소(RIEC) 소장을 맡고 있으며, HYU Research Distinguished Professor(연구석학교수)로 재직한다.[1] 실환경 음성인식(ASR)·음성향상·화자/환경 인지·온디바이스 경량화 등을 연구하며, 2025년부터 IEEE 편집위원을 맡고 있다.[2]

학력

[편집]
  • 경북대학교 전자공학 학사(1998).[3]
  • 서울대학교 전기컴퓨터공학부 석사·박사.[3]

경력

[편집]
  • 2004년 ~ 2005년: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타바버라(UC Santa Barbara) 박사후연구원(Post-doc).[4]
  • 2005년: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연구원.[4]
  • 2005년 ~ 2011년: 인하대학교 전자공학부 조교수.[5]
  • 2011년 ~ 2017년: 한양대학교 융합전자공학부 부교수.[1]
  • 2017년 ~ 현재: 한양대학교 융합전자공학부 정교수.[1]
  • 2019년 ~ 현재: 한양대학교 전기정보통신기술연구소(RIEC) 소장.[1]
  • 2025년 ~ 현재: IEEE/ACM TASLP 편집위원.[2]

연구 분야

[편집]

장준혁의 연구는 음성·음향 신호처리와 딥러닝의 접목에 초점을 둔다. 주요 주제는 실환경 강건 음성인식(ASR), 잡음/잔향 제거 및 음성향상, 대역 확장, 화자·환경 인지, 이벤트 검출, 경량·온디바이스 모델링, 전이·연속 학습 등이다.[1]

주요 연구 및 기술

[편집]
  • 임베디드 음성인식 시스템(플루토, 2017) — 인터넷 연결 없이 동작하는 온디바이스 AI 스피커를 공개하였다. 음성인식·언어·음향 모델을 통합한 경량 파이프라인을 구현하였다.[6][7]
  • DNN 기반 패킷 손실 은폐(PLC) — 디지털 음성 전송에서 누락 프레임을 회복하는 회귀형 DNN 방법을 제안하였다(IEEE/ACM TASLP).[8]
  • SNR 사전 추정 기법 — 다중선형회귀(MLR)를 이용한 a priori SNR 추정으로 음성향상 성능을 개선하였다(Elsevier Digital Signal Processing).[9]
  • ASR·음성향상 통합 전처리 — 빔포밍·잔향제거 등 신호처리 모듈과 DNN/트랜스포머를 결합한 프런트엔드 통합을 추진하였다(학회·저널 다수 발표).[10]

학술 활동

[편집]
  • IEEE/ACM TASLP 편집위원(2025년 ~ ).[2]
  • 스페셜 이슈 게스트 에디터·심사 활동 등 학술 거버넌스 참여.[11]
  • 구글 스칼러 기준 피인용 및 주제 영역 공개 프로필 유지.[12]

성과

[편집]
  • 한양대학교 ASML(음성·음향 신호처리 및 머신러닝) 연구실을 이끌며 대학원·학부 연구자를 지도한다. 연구실은 2024년 INTERSPEECH에서 다수의 논문을 채택시켰고,[13] 기업 맞춤형 인재 양성에서도 성과를 보였다.[14]
  • 한양대학교 공학계 뉴스·공지에 다수의 연구성과가 소개되었으며, 음성·오디오 분야 국제 학회 채택 및 프로젝트 성과를 축적하였다.[15][16]

저서

[편집]
  • (감수) 제임스 블라호스, 박진서 옮김, 장준혁 감수, 당신이 알고 싶은 음성인식 AI의 미래(김영사, 2020). — 원서: Talk to Me: How Voice Computing Will Transform the Way We Live, Work, and Think(2019).

논문

[편집]
  • 김남수; 장준혁 (2000). “스펙트럼 전역 소프트 결정에 기반한 향상(Spectral Enhancement Based on Global Soft Decision)”. IEEE Signal Processing Letters 7(5): 108–110. doi:10.1109/97.841154.
  • 이수정; 임충수; 장준혁 (2014). “다중선형회귀 기반 a priori SNR 추정 기법(A new a priori SNR estimator based on multiple linear regression technique for speech enhancement)”. Digital Signal Processing 30: 154–164. doi:10.1016/j.dsp.2014.04.001.
  • 이병기; 장준혁 (2016). “디지털 음성 전송을 위한 심층신경망 기반 패킷 손실 은폐(Packet Loss Concealment Based on Deep Neural Networks for Digital Speech Transmission)”. IEEE/ACM Transactions on Audio, Speech, and Language Processing 24(2): 378–387. doi:10.1109/TASLP.2015.2509780.
  • 노경진; 장준혁 (2020). “다채널 환경에서 음향 사건 검출을 위한 딥러닝 기반 잔향 제거 및 빔포밍 공동 최적화(Joint Optimization of Deep Neural Network-Based Dereverberation and Beamforming for Sound Event Detection in Multi-Channel Environments)”. Sensors 20(7): 1883. doi:10.3390/s20071883.
  • 고예은; 이문학; 김동현; 장준혁 (2025). “다양성·독립성 정규화를 통한 종단간 음성인식 일반화 향상(Improving Generalization of End-to-End ASR through Diversity and Independence Regularization)”. Interspeech 2025: 3578–3582. doi:10.21437/Interspeech.2025-1309.

각주

[편집]
  1. “장준혁 HYU연구석학교수 — 음성음향신호처리 및 머신러닝 연구실(ASML)”. 《한양대학교 융합전자공학부》. 2025년 10월 16일에 확인함. 
  2. “Editorial Board — IEEE/ACM Transactions on Audio, Speech, and Language Processing” (영어). IEEE Signal Processing Society. 2025년 10월 16일에 확인함. 
  3. “Noisy speech enhancement based on improved minimum statistics and speech presence uncertainty (Author information)” (영어). 《ScienceDirect》. 2025년 10월 16일에 확인함. 
  4. “한양대 장준혁 교수, 'IEEE TASLP' 편집위원 선임”. 《NEWSIS》. 2025년 6월 18일. 2025년 10월 16일에 확인함. 
  5. “장준혁 한양대 교수, 음성 AI 최고 권위 저널 IEEE TASLP 편집위원 선임”. 《한국대학신문》. 2025년 6월 18일. 2025년 10월 16일에 확인함. 
  6. “내 목소리 알아듣는 AI스피커, 인터넷 안 돼도 대답 척척”. 《조선일보》. 2017년 11월 21일. 2025년 10월 16일에 확인함. 
  7. “한양대 장준혁 교수, 임베디드형 AI 스피커 ‘플루토’ 최초 개발”. 《한양뉴스》. 2017년 11월 24일. 2025년 10월 16일에 확인함. 
  8. “Packet Loss Concealment Based on Deep Neural Networks for Digital Speech Transmission” (영어). 《ACM Digital Library》. 2016. 2025년 10월 16일에 확인함. 
  9. “A new a priori SNR estimator based on multiple linear regression technique for speech enhancement” (영어). 《ScienceDirect》. 2014. 2025년 10월 16일에 확인함. 
  10. “Joint Optimization of Neural Acoustic Beamforming and Dereverberation for Speaker Verification” (영어). 《ISCA Archive (INTERSPEECH 2019)》. 2025년 10월 16일에 확인함. 
  11. “Special Issue: Speech, Acoustics, Audio Signal Processing with Multiple Sensors” (영어). 《MDPI Sensors》. 2025년 10월 16일에 확인함. 
  12. “Joon-Hyuk Chang — Google Scholar” (영어). 《Google Scholar》. 2025년 10월 16일에 확인함. 
  13. “장준혁 교수팀, 음성AI 분야 국제학술대회 INTERSPEECH 2024에 13편 채택”. 《한양뉴스》. 2024년 6월 14일. 2025년 10월 16일에 확인함. 
  14. “ASML 연구실, 삼성전자 MX사업부 박사 장학생 6명 동시 배출”. 《한양뉴스》. 2025년 8월 11일. 2025년 10월 16일에 확인함. 
  15. “Prof. Jang Jun-hyok’s Team Ranked 1st among Domestic Univ. at International Contest in Voice AI Field” (영어). 《Hanyang Univ. College of Engineering (ENG)》. 2025년 10월 16일에 확인함. 
  16. “장준혁 교수팀, INTERSPEECH 관련 소식” (영어). 《Hanyang Univ. College of Engineering (ENG)》. 2025년 10월 16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