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저혈압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저혈압
저혈압 환자가 혈압을 측정하는 모습
저혈압 환자가 혈압을 측정하는 모습
혈압을 측정하는 환자의 모습. 수축기 혈압이 90mmHg 미만인 경우 저혈압으로 간주한다.
진료과심장학
증상어지럼증, 서투름, 현기증, 두통, 어지럼증, 피로, 구역질, 흐린 시야, 떨림, 호흡곤란, 갈증 증가, 부정맥, 흉통, 발열, 발작
합병증실신, 출혈
위험 인자고령 환자, 영양실조
진단 방식신체검사, 징후 및 증상혈압 기준
치료정맥 주사 수액

저혈압(低血壓, 영어: hypotension) 또는 낮은 혈압은 비정상적으로 혈압이 감소하는 심혈관계 질환이다.[1] 혈압은 심장이 혈액을 내보낼 때 동맥 벽에 가해지는 혈액의 힘으로,[2] 심장주기 내의 최대 및 최소 혈압인 수축기 혈압(위쪽 숫자)과 이완기 혈압(아래쪽 숫자)의 두 가지 숫자로 표시된다.[3] 일반적으로 수축기 혈압이 90 수은주 밀리미터 (mmHg) 미만이거나 이완기 혈압이 60 mmHg 미만인 경우 저혈압으로 간주한다.[4][5] 어린이에게는 다른 수치가 적용된다.[6] 하지만 실제로는 눈에 띄는 징후 및 증상이 있을 때만 혈압이 너무 낮다고 간주한다.[7]

어지럼증, 현기증, 혼란, 피로, 허약, 두통, 흐린 시야, 구역질, 목 또는 등 통증, 부정맥 또는 심장이 건너뛰거나 펄럭이는 느낌, 그리고 실신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4] 저혈압은 고혈압의 반대이다.[2] 이는 질병이라기보다는 생리학적 상태로 이해하는 것이 가장 좋다.[2] 심하게 낮은 혈압은 뇌와 다른 주요 장기에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지 못하게 하여 쇼크라고 불리는 생명을 위협하는 상태로 이어질 수 있다.[3] 쇼크는 저혈량성 쇼크, 심장성 쇼크, 분포성 쇼크폐쇄성 쇼크를 포함하여 근본적인 원인에 따라 분류된다.[8]

저혈압은 격렬한 운동 (활동), 과도한 열, 낮은 혈액량 (저혈량증)[9], 호르몬 변화[10], 혈관 확장[11], 빈혈[12], 비타민 B12 결핍증[7][13], 과민증[7], 심장 문제[14] 또는 내분비계 문제[15]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일부 약물 또한 저혈압을 유발할 수 있다.[16] 또한 환자에게 저혈압을 유발할 수 있는 증후군으로는 기립성 저혈압[17], 미주신경성 실신[18], 그리고 다른 희귀 질환들이 있다.[19][20]

많은 사람들에게 과도하게 낮은 혈압은 어지럼증실신을 유발하거나 심장, 내분비 또는 신경계 질환의 심각한 징후일 수 있다.[17]

운동을 하고 최상의 신체 상태에 있는 일부 사람들에게는 낮은 혈압이 정상일 수 있다.[21][22] 한 번의 운동 (활동)으로 저혈압이 유발될 수 있으며, 수중 운동 (활동)은 저혈압 반응을 유발할 수 있다.[23]

치료는 저혈압의 원인에 따라 달라진다.[4] 저혈압 치료에는 정맥 주사 수액 또는 혈관수축제 사용이 포함될 수 있다.[24] 혈관수축제를 사용할 때, 성인의 경우 70 mmHg 이상의 평균 동맥압 (MAP)을 목표로 하는 것이 65 mmHg 이상의 MAP를 목표로 하는 것보다 더 나은 결과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25]

징후 및 증상

[편집]

많은 사람들에게 저혈압은 눈에 띄지 않는다.[4] 일부 사람들에게는 저혈압이 기저 질환의 징후일 수 있으며, 특히 갑자기 혈압이 떨어지거나 증상과 함께 나타나는 경우 더욱 그렇다.[5] 노인들은 또한 서 있거나 식사 후 어지럼증, 실신, 또는 어지럼증과 같은 저혈압 증상의 위험이 더 높다.[4] 혈압이 충분히 낮으면 실신이 발생할 수 있다.[17]

저혈압은 때때로 특정 증상과 관련이 있으며, 그 중 많은 부분이 저혈압의 효과라기보다는 원인과 관련이 있다:[5]

원인

[편집]

저혈압은 낮은 혈액량[9], 호르몬 변화[10], 임신[26], 혈관 확장, 약물 부작용[11], 심한 탈수[7], 빈혈[12], 비타민 B12 결핍증[7][13], 과민증[7], 심장 문제[14] 또는 내분비계 문제[15]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혈액량 감소, 즉 저혈량증은 저혈압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27] 이는 출혈; 기아와 같이 불충분한 수분 섭취; 또는 설사구토로 인한 과도한 수분 손실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이뇨제의 과도한 사용으로 저혈량증이 유발될 수 있다.[16] 저혈압은 또한 발한 부재, 어지럼증 및 짙은 색 소변으로 나타날 수 있는 열사병 때문일 수도 있다.[28]

다른 약물은 다른 메커니즘을 통해 저혈압을 유발할 수 있다. 알파 차단제 또는 베타 차단제의 만성 사용은 저혈압으로 이어질 수 있다.[16] 베타 차단제는 심박수를 늦추고 심장 근육의 펌프 능력을 감소시켜 저혈압을 유발할 수 있다.[16]

정상 혈액량에도 불구하고 심한 울혈성 심부전, 대규모 심근 경색, 심장판막 문제 또는 극도로 낮은 심박수(느린맥)로 인한 심장박출량 감소는 종종 저혈압을 유발하고 급속히 심장성 쇼크로 진행될 수 있다.[14] 부정맥은 종종 이 메커니즘을 통해 저혈압을 유발한다.[14]

과도한 혈관 확장 또는 혈관(세동맥)의 불충분한 수축은 저혈압을 유발한다.[29] 이는 뇌 또는 척수 손상으로 인한 교감신경계 출력 감소 또는 부교감신경계 활동 증가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30] 자율신경계 기능의 내재적 이상인 자율신경실조증 또한 저혈압으로 이어질 수 있다.[30] 과도한 혈관 확장은 또한 패혈증[29], 산성혈증 또는 니트로글리세린, 칼슘 채널 차단제 또는 AT1 수용체 길항제(안지오텐신 II가 AT1 수용체에 작용함)와 같은 약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많은 마취제 및 기술, 특히 척수 마취 및 대부분의 흡입 마취제는 상당한 혈관 확장을 유발한다.[31]

낮은 혈압은 특정 허브 의약품[32]의 부작용이며, 이는 여러 약물과 상호작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카카오에 함유된 테오브로민은 혈관 확장제와 이뇨제[33]로서 작용하여 혈압을 낮추며,[34] 고혈압 치료에도 사용되었다.[35]

저혈압은 비만세포 활성화 증후군 (MCAS)의 증상일 수 있다.[36][37][38]

증후군

[편집]

기립성 저혈압

[편집]

기립성 저혈압은 자세성 저혈압이라고도 불리며, 흔한 형태의 저혈압이다.[17] 이는 신체 자세 변경 후에 발생하며, 일반적으로 사람이 앉거나 누워 있다가 일어설 때 발생한다.[39] 이는 보통 일시적이며, 자율신경계의 정상적인 보상 능력의 지연을 나타낸다.[40] 이는 저혈량증에서 흔히 관찰되며 다양한 약물의 결과로 나타난다.[17] 혈압강하제 외에도 많은 정신과 약물, 특히 항우울제가 이러한 부작용을 가질 수 있다.[41] 단순히 누워 있을 때, 앉아 있을 때, 서 있을 때(각 자세 변경 사이에 2분 지연) 혈압과 심박수를 측정하면 기립성 저혈압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42] 이러한 측정을 기립성 활력 징후라고 한다.[17] 기립성 저혈압은 수축기 혈압이 20mmHg 이상 감소(일부 시설에서는 이완기 혈압이 10mmHg 이상 감소)하고 심박수가 분당 20회 증가할 때 나타난다.[42]

미주신경성 실신

[편집]

미주신경성 실신은 똑바로 선 자세에서 혈압이 부적절하게 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신경실조증의 한 형태이다.[18] 미주신경성 실신은 부교감신경계의 주요 부분인 미주신경의 활동 증가의 결과로 발생한다.[18] 환자는 갑작스럽고 유발되지 않는 현기증, 발한, 시야 변화를 느끼다가 결국 의식을 잃는다.[18] 환자가 누워 혈압이 정상으로 돌아오면 의식은 종종 빠르게 회복된다.[43]

기타

[편집]

또 다른, 그러나 더 희귀한 형태는 식후성 저혈압으로, 상당한 식사 후 30분에서 75분 사이에 혈압이 급격히 떨어지는 것이다.[19] 소화와 흡수를 돕기 위해 많은 양의 혈액이 으로 전환될 때 (일종의 "내장 혈액 고임"), 신체는 뇌와 같은 필수 장기에 충분한 혈압을 유지하기 위해 심장박출량과 말초 혈관 수축을 증가시켜야 한다.[44] 식후성 저혈압은 노화나 특정 질환으로 인해 자율신경계가 적절하게 보상하지 못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여겨진다.[44]

저혈압은 차가운 손발을 특징으로 하며 정상 안압 녹내장에 취약하게 만드는 플라머 증후군의 한 특징이다.[20]

저혈압은 때때로 여성 선수 삼합증이라고도 불리는 스포츠 상대 에너지 결핍의 증상일 수 있지만, 남성에게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45]

병태생리학

[편집]

혈압은 자율신경계에 의해 지속적으로 조절되며, 혈압을 높이는 경향이 있는 교감신경계와 혈압을 낮추는 부교감신경계의 영향을 균형 잡기 위해 정교한 수용체 네트워크, 신경, 호르몬을 사용한다.[2] 자율신경계의 광범위하고 빠른 보상 능력은 정상적인 개인이 광범위한 활동과 많은 질병 상태에서 허용 가능한 혈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2] 이러한 네트워크의 작은 변화조차도 저혈압으로 이어질 수 있다.[9]

진단

[편집]
저혈압 기준 (mmHg)[46]
사무실 활동
주간 야간 24시간
<110/70 <105/65 <90/50 <100/60

대부분의 성인에서 최적의 혈압은 120/80 mmHg 이하이다.[47] 수축기 혈압이 90 mmHg 미만이거나 이완기 혈압이 60 mmHg 미만이면 저혈압으로 분류된다.[5] 그러나 일반 인구에서 90/60 mmHg 미만의 혈압 수치는 드물지 않으며,[48] 어떤 병리학적 원인이 없는 한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저혈압은 비교적 양성 질환으로 보인다.[48] 저혈압 진단은 일반적으로 혈압계로 비침습적으로 측정하거나 (대부분 중환자실에서) 동맥 카테터로 침습적으로 혈압을 측정하여 이루어진다. 저혈압을 진단하는 또 다른 방법은 동맥 카테터로 측정된 평균 동맥압(MAP)을 사용하는 것이다.[49] 또는 수술 중 혈압을 비침습적으로 연속 측정하는 혈역학 모니터링을 통해서도 가능하다. MAP가 65 mmHg 미만이면 저혈압으로 간주된다.[49] 수술 중 65 mmHg 미만의 저혈압은 급성 신장 손상[50], 심장 손상[50] 또는 수술 후 뇌졸중[51]의 위험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 일상적인 혈압 측정 중 우연히 발견된 저혈압은 특별히 걱정할 필요가 없을 수도 있지만, 서 있거나 운동하거나 식사 후에 혈압이 상당히 떨어지는 것은 증상과 관련이 있을 수 있으며 향후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47] 서 있은 후 혈압이 떨어지는 것을 자세성 또는 기립성 저혈압이라고 하며, 서 있은 후 3분 이내에 앙와위에서 서 있을 때 수축기 혈압이 20 mmHg 이상 또는 이완기 혈압이 10 mmHg 이상 감소하는 것으로 정의된다.[52][47] 기립성 저혈압은 향후 심혈관 사건 및 사망률 증가와 관련이 있다. 기립성 활력 징후는 기립성 저혈압 진단을 돕기 위해 자주 측정되며,[42] 미주신경성 실신을 평가하기 위해 틸트 테이블 검사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43]

치료

[편집]

치료는 저혈압의 원인에 따라 달라진다.[4] 무증상 저혈압의 경우 치료가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53] 증상에 따라 탈수를 예방하기 위해 수분을 더 많이 섭취하거나, 혈압을 높이는 약물을 복용하거나, 저혈압을 유발하는 약물을 조절하는 치료가 포함될 수 있다.[4] 식단에 전해질을 추가하면 경미한 저혈압 증상을 완화할 수 있으며, 아침에 카페인을 복용하는 것도 효과적일 수 있다.[54] 만성 저혈압은 증상 이상으로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경미한 경우, 환자가 반응할 수 있을 때는 환자를 눕히고 다리를 들어 올려 정맥 환류를 증가시켜 흉부와 머리의 중요 장기에 더 많은 혈액을 공급할 수 있다.[54] 역사적으로 사용되었던 트렌델렌부르크 자세는 더 이상 권장되지 않는다.[55]

저혈압 쇼크 치료는 항상 다음 네 단계를 따른다. 사망률 측면에서 결과는 저혈압이 교정되는 속도와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다.[9] 여전히 논란 중인 방법은 괄호 안에 있으며, 저혈압 교정 진행 상황을 평가하기 위한 기준도 마찬가지이다. 패혈성 쇼크에 대한 연구는 이러한 일반적인 원칙의 구분을 제공했다.[56] 그러나 이는 감염으로 인한 저혈압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므로 모든 형태의 심한 저혈압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1. 수액 보충 (일반적으로 정질액 또는 혈액제제)[9]
  2. 혈관수축제를 이용한 혈압 유지 (모두 사망 위험에 관해 동등하며, 노르에피네프린도파민보다 더 좋을 수 있다).[57] 성인의 경우 70 mmHg 이상의 평균 동맥압 (MAP)을 목표로 하는 것이 65 mmHg 이상의 MAP를 목표로 하는 것보다 더 나은 결과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25]
  3. 적절한 조직 관류 보장 (혈액 또는 도부타민을 사용하여 SvO2 >70 유지)[9]
  4. 근본적인 문제 해결 (예: 감염의 경우 항생제, 경색증의 경우 스텐트 또는 관상동맥우회로이식술, 부신기능부전의 경우 스테로이드 등)[9]

사람이 수액 주입으로 이득을 얻을 수 있는지 확인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수동 다리 올리기를 한 후 심장박출량을 측정하는 것이다.[58]

약물

[편집]

만성 저혈압은 때때로 약물 사용을 필요로 한다.[59]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약물로는 플루드로코르티손, 적혈구형성인자, 그리고 미도드린, 노르아드레날린 및 전구체 (L-DOPS)와 같은 교감신경흥분제가 있다.[17]

  • 플루드로코르티손은 만성 저혈압 또는 난치성 기립성 저혈압 환자 (심부전이 없는 경우)의 일차 치료제이다.[17] 이는 혈관 내 용량을 증가시켜 작용한다.[17]
  • 미도드린은 심한 기립성 저혈압 치료에 사용되며, 말초 혈관 저항을 증가시켜 작용한다.[17]
  • 노르에피네프린과 그 전구체 L-DOPS는 혈관 긴장도를 증가시켜 원발성 자율신경 기능 장애에 사용된다.[17]
  • 적혈구형성인자는 신경성 기립성 저혈압 환자에게 투여되며, 혈관 용량과 점성도를 증가시켜 작용한다.[17]

소아과

[편집]

소아 환자의 저혈압 정의는 아래 표에서 볼 수 있듯이 아동의 연령에 따라 달라진다.

소아 저혈압[60]
연령 수축기 혈압
만삭 신생아 <60 mmHg
영아 <70 mmHg
1-10세 아동 <70 + (연령 x 2) mmHg
10세 초과 아동 <90 mmHg

간병인이 제공하는 임상 병력은 소아 환자의 저혈압 원인을 파악하는 데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61] 저혈압이 있는 아동의 증상으로는 졸음 증가, 화장실 사용 감소 (또는 전혀 사용하지 않음), 호흡 곤란 또는 빠른 호흡, 또는 실신 등이 있다.[61] 소아 환자의 저혈압 치료는 위에 나열된 네 가지 첫 번째 단계 (치료 참조)를 따르는 성인 치료와 유사하다.[9] 아동은 산소 수치가 성인보다 더 빠르게 떨어지기 때문에 저혈압 치료 중 삽관을 받을 가능성이 더 높다.[61] 출생 후 태아 션트의 폐쇄는 태아의 "과도기 순환"에 불안정성을 유발하며, 종종 출생 후 저혈압 상태를 생성한다. 많은 영아가 션트 폐쇄를 통해 이 저혈압을 극복할 수 있지만, 평균 혈압 (MBP)이 30 mmHg 미만인 것은 심각한 뇌 손상과 관련이 있으며, 션트 폐쇄가 잘 되지 않는 미숙아에서 경험할 수 있다.[62]

어원

[편집]

저혈압의 영단어 hypotension은 고대 그리스어 hypo-(“아래” 또는 “적은”을 의미)와 영어 tension(“긴장” 또는 “팽팽함”을 의미)에서 유래한다.[63] 이는 혈관과 동맥의 불충분한 수축으로 인해 혈압이 낮아지는 것을 의미한다.[64]

각주

[편집]
  1. TheFreeDictionary > hypotension. Citing: The American Heritage Science Dictionary Copyright 2005
  2. Costanzo, Linda S. (2017년 3월 15일). 《Physiology》 Six판. Preceded by: Costanzo, Linda S. Philadelphia, PA. ISBN 978-0-323-51189-6. OCLC 965761862. 
  3. “High Blood Pressure Fact Sheet|Data & Statistics|DHDSP|CDC” (미국 영어). 《www.cdc.gov》.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 2019년 1월 9일. 2020년 1월 15일에 확인함. 
  4. “What Is Low Blood Pressure?”.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2022년 3월 24일. 2024년 6월 15일에 확인함. 
  5. Mayo Clinic staff (2024년 6월 13일). “Low blood pressure (hypotension) — Definition”. 《MayoClinic.com》. Mayo Foundation for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2024년 6월 15일에 확인함. 
  6. Flynn, Joseph T.; Kaelber, David C.; Baker-Smith, Carissa M.; Blowey, Douglas; Carroll, Aaron E.; Daniels, Stephen R.; Ferranti, Sarah D. de; Dionne, Janis M.; Falkner, Bonita; Flinn, Susan K.; Gidding, Samuel S. (2017년 9월 1일).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Screening and Management of High Blood Pressur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영어). 《Pediatrics》 140 (September 2017). doi:10.1542/peds.2017-1904. ISSN 0031-4005. PMID 28827377. 
  7. Mayo Clinic staff (2009년 5월 23일). “Low blood pressure (hypotension) — Causes”. 《MayoClinic.com》. Mayo Foundation for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2010년 10월 19일에 확인함. 
  8. Haseer Koya, Hayas; Paul, Manju (2021), “Shock”, 《StatPearls》 (Treasure Island (FL): StatPearls Publishing), PMID 30285387, 2021년 11월 29일에 확인함 
  9. Kalkwarf, Kyle J.; Cotton, Bryan A. (December 2017). 《Resuscitation for Hypovolemic Shock》. 《The Surgical Clinics of North America》 97. 1307–1321쪽. doi:10.1016/j.suc.2017.07.011. ISSN 1558-3171. PMID 29132511. 
  10. Bett, Glenna C. L. (2016년 5월 1일). 《Hormones and sex differences: changes in cardiac electrophysiology with pregnancy》. 《Clinical Science》 130. 747–759쪽. doi:10.1042/CS20150710. ISSN 1470-8736. PMID 27128800. 
  11. Oparil, Suzanne; Acelajado, Maria Czarina; Bakris, George L.; Berlowitz, Dan R.; Cífková, Renata; Dominiczak, Anna F.; Grassi, Guido; Jordan, Jens; Poulter, Neil R.; Rodgers, Anthony; Whelton, Paul K. (2018년 3월 22일). 《Hypertension》. 《Nature Reviews. Disease Primers》 4. doi:10.1038/nrdp.2018.14. ISSN 2056-676X. PMC 6477925. PMID 29565029. 
  12. Vieth, Julie T.; Lane, David R. (December 2017). 《Anemia》. 《Hematology/Oncology Clinics of North America》 31. 1045–1060쪽. doi:10.1016/j.hoc.2017.08.008. ISSN 1558-1977. PMID 29078923. 
  13. Ganjehei, Leila; Massumi, Ali; Razavi, Mehdi; Wilson, James M. (2012). 《Orthostatic hypotension as a manifestation of vitamin B12 deficiency》. 《Texas Heart Institute Journal》 39. 722–723쪽. ISSN 1526-6702. PMC 3461697. PMID 23109778. 
  14. Tewelde, Semhar Z.; Liu, Stanley S.; Winters, Michael E. (February 2018). 《Cardiogenic Shock》. 《Cardiology Clinics》 36. 53–61쪽. doi:10.1016/j.ccl.2017.08.009. ISSN 1558-2264. PMID 29173681. 
  15. Bornstein, Stefan R.; Allolio, Bruno; Arlt, Wiebke; Barthel, Andreas; Don-Wauchope, Andrew; Hammer, Gary D.; Husebye, Eystein S.; Merke, Deborah P.; Murad, M. Hassan; Stratakis, Constantine A.; Torpy, David J. (February 2016). 《Diagnosis and Treatment of Primary Adrenal Insufficiency: An Endocrine Society Clinical Practice Guideline》. 《The 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101. 364–389쪽. doi:10.1210/jc.2015-1710. ISSN 1945-7197. PMC 4880116. PMID 26760044. 
  16. Laurent, Stéphane (October 2017). 《Antihypertensive drugs》. 《Pharmacological Research》 124. 116–125쪽. doi:10.1016/j.phrs.2017.07.026. ISSN 1096-1186. PMID 28780421. S2CID 251991. 
  17. Joseph, Adrien; Wanono, Ruben; Flamant, Martin; Vidal-Petiot, Emmanuelle (April 2017). 《Orthostatic hypotension: A review》. 《Nephrologie & Therapeutique》 13. S55–S67쪽. doi:10.1016/j.nephro.2017.01.003. ISSN 1872-9177. PMID 28577744. 
  18. Jardine, David L.; Wieling, Wouter; Brignole, Michele; Lenders, Jacques W. M.; Sutton, Richard; Stewart, Julian (June 2018). 《The pathophysiology of the vasovagal response》. 《Heart Rhythm》 15. 921–929쪽. doi:10.1016/j.hrthm.2017.12.013. ISSN 1556-3871. PMC 5984661. PMID 29246828. 
  19. Merck Manual Home Edition. "Postprandial Hypotension." Last accessed October 26, 2011.
  20. Konieczka Katarzyna; Rich Robert 외 (2014). 《Flammer syndrome》. 《EPMA Journal》 5. 11쪽. doi:10.1186/1878-5085-5-11. PMC 4113774. PMID 25075228. 
  21. “Low blood pressure (hypotension)”. Bupa. 2014년 2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2. “Low blood pressure (hypotension)”. Bupa. 2024년 6월 15일에 확인함. 
  23. Rodriguez, D; Silva, V; Prestes, J; Rica, RL; Serra, AJ; Bocalini, DS; Pontes FL, Jr; Silva, Valter (2011). 《Hypotensive response after water-walking and land-walking exercise sessions in healthy trained and untrained women.》. 《International Journal of General Medicine》 4. 549–554쪽. doi:10.2147/IJGM.S23094. PMC 3160863. PMID 21887107. 
  24. Hunter, Benton R.; Martindale, Jennifer; Abdel-Hafez, Osama; Pang, Peter S. (September 2017). 《Approach to Acute Heart Failure in the Emergency Department》. 《Progress in Cardiovascular Diseases》 60. 178–186쪽. doi:10.1016/j.pcad.2017.08.008. hdl:1805/14380. ISSN 1873-1740. PMID 28865801. 
  25. Hylands, M; Moller, MH; Asfar, P; Toma, A; Frenette, AJ; Beaudoin, N; Belley-Côté, É; D'Aragon, F; Laake, JH; Siemieniuk, RA; Charbonney, E; Lauzier, F; Kwong, J; Rochwerg, B; Vandvik, PO; Guyatt, G; Lamontagne, F (July 2017). 《A systematic review of vasopressor blood pressure targets in critically ill adults with hypotension.》. 《Canadian Journal of Anaesthesia》 64. 703–715쪽. doi:10.1007/s12630-017-0877-1. PMID 28497426. 
  26. Health, Narayana (2020년 4월 28일). “Low Blood Pressure: Can it affect your pregnancy?” (미국 영어). 《Narayana Health Care》. 2023년 7월 31일에 확인함. 
  27. Perner, Anders; Cecconi, Maurizio; Cronhjort, Maria; Darmon, Michael; Jakob, Stephan M.; Pettilä, Ville; van der Horst, Iwan C. C. (June 2018). 《Expert statement for the management of hypovolemia in sepsis》. 《Intensive Care Medicine》 44. 791–798쪽. doi:10.1007/s00134-018-5177-x. hdl:10138/303662. ISSN 1432-1238. PMID 29696295. S2CID 13866817. 
  28. Al Mahri, Saeed; Bouchama, Abderrezak (2018). 〈Heatstroke〉. 《Thermoregulation: From Basic Neuroscience to Clinical Neurology, Part II》. Handbook of Clinical Neurology 157. 531–545쪽. doi:10.1016/B78-0-444-64074-1.00032-X. ISBN 978-0-444-64074-1. ISSN 0072-9752. PMID 30459024. 
  29. Singer, Mervyn; Deutschman, Clifford S.; Seymour, Christopher Warren; Shankar-Hari, Manu; Annane, Djillali; Bauer, Michael; Bellomo, Rinaldo; Bernard, Gordon R.; Chiche, Jean-Daniel; Coopersmith, Craig M.; Hotchkiss, Richard S. (2016년 2월 23일). 《The Third International Consensus Definitions for Sepsis and Septic Shock (Sepsis-3)》. 《JAMA》 315. 801–810쪽. doi:10.1001/jama.2016.0287. ISSN 0098-7484. PMC 4968574. PMID 26903338. 
  30. Dave, Sagar; Cho, Julia J. (2019), “Neurogenic Shock”, 《StatPearls》 (StatPearls Publishing), PMID 29083597, 2020년 1월 21일에 확인함 
  31. Ripollés Melchor, J.; Espinosa, Á; Martínez Hurtado, E.; Casans Francés, R.; Navarro Pérez, R.; Abad Gurumeta, A.; Calvo Vecino, J. M. (September 2015). 《Colloids versus crystalloids in the prevention of hypotension induced by spinal anesthesia in elective cesarean sect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Minerva Anestesiologica》 81. 1019–1030쪽. ISSN 1827-1596. PMID 25501602. 
  32. Tabassum, Nahida; Feroz Ahmad (2011). 《Role of natural herbs in the treatment of hypertension》. 《Pharmacognosy Reviews》 5. 30–40쪽. doi:10.4103/0973-7847.79097. PMC 3210006. PMID 22096316. 
  33. William Marias Malisoff (1943). 《Dictionary of Bio-Chemistry and Related Subjects》. Philosophical Library. 311, 530, 573쪽. 
  34. Mitchell ES, Slettenaar M, vd Meer N, Transler C, Jans L, Quadt F, Berry M (2011). 《Differential contributions of theobromine and caffeine on mood, psychomotor performance and blood pressure》. 《Physiol. Behav.》 104. 816–822쪽. doi:10.1016/j.physbeh.2011.07.027. PMID 21839757. S2CID 7003053. Theobromine ... lowered blood pressure relative to placebo 
  35. Kelly, Caleb J (2005). 《Effects of theobromine should be considered in future studies》.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82. 486–487; author reply 487–488쪽. doi:10.1093/ajcn.82.2.486. PMID 16087999. 
  36. Valent P, Akin C, Nedoszytko B 외 (2020년 11월 27일). 《Diagnosis, Classification and Management of Mast Cell Activation Syndromes (MCAS) in the Era of Personalized Medicine》. 《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 21. 3 f쪽. doi:10.3390/ijms21239030. PMC 7731385. PMID 33261124. 
  37. Afrin LB, Butterfield JH, Raithel M, Molderings GJ (2016). 《Often seen, rarely recognized: mast cell activation disease--a guide to diagnosis and therapeutic options》. 《The American Journal of the Medical Science》 48. 190–201쪽. doi:10.3109/07853890.2016.1161231. PMID 27012973. 
  38. Özdemir Ö, Kasımoğlu G, Bak A 외 (2024년 6월 9일). 《Mast cell activation syndrome: An up-to-date review of literature》. 《World J Clin Pediatr》 13. doi:10.5409/wjcp.v13.i2.92813. PMC 11212760 |pmc= 값 확인 필요 (도움말). PMID 38948000. 
  39. Freeman, Roy; Abuzinadah, Ahmad R.; Gibbons, Christopher; Jones, Pearl; Miglis, Mitchell G.; Sinn, Dong In (2018년 9월 11일). 《Orthostatic Hypotension: JACC State-of-the-Art Review》. 《J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72. 1294–1309쪽. doi:10.1016/j.jacc.2018.05.079. ISSN 1558-3597. PMID 30190008. 
  40. Mar, Philip L.; Raj, Satish R. (January 2018). 《Orthostatic hypotension for the cardiologist》. 《Current Opinion in Cardiology》 33. 66–72쪽. doi:10.1097/HCO.0000000000000467. ISSN 1531-7080. PMC 5873970. PMID 28984649. 
  41. Carvalho, André F.; Sharma, Manu S.; Brunoni, André R.; Vieta, Eduard; Fava, Giovanni A. (2016). 《The Safety, Tolerability and Risks Associated with the Use of Newer Generation Antidepressant Drugs: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Psychotherapy and Psychosomatics》 85. 270–288쪽. doi:10.1159/000447034. ISSN 1423-0348. PMID 27508501. 
  42. Low, Phillip A. (October 2015). 《Neurogenic orthostatic hypotension: pathophysiology and diagnosis》. 《The American Journal of Managed Care》 21. s248–257쪽. ISSN 1936-2692. PMID 26790109. 
  43. Kenny, R. A.; McNicholas, T. (December 2016). 《The management of vasovagal syncope》. 《QJM: Monthly Journal of the Association of Physicians》 109. 767–773쪽. doi:10.1093/qjmed/hcw089. ISSN 1460-2393. PMID 27340222. 
  44. Pavelić, Antun; Krbot Skorić, Magdalena; Crnošija, Luka; Habek, Mario (August 2017). 《Postprandial hypotension in neurological disorder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Clinical Autonomic Research》 27. 263–271쪽. doi:10.1007/s10286-017-0440-8. ISSN 1619-1560. PMID 28647892. S2CID 21683127. 
  45. Mountjoy, Margo 외 (2014). 《The IOC consensus statement: beyond the Female Athlete Triad—Relative Energy Deficiency in Sport (RED-S)》. 《British Journal of Sports Medicine》 48. 491–497쪽. doi:10.1136/bjsports-2014-093502. PMID 24620037. 
  46. Divisón-Garrote, Juan A.; Banegas, José R.; De la Cruz, Juan J.; Escobar-Cervantes, Carlos; De la Sierra, Alejandro; Gorostidi, Manuel; Vinyoles, Ernest; Abellán-Aleman, José; Segura, Julián; Ruilope, Luis M. (2016년 9월 1일). 《Hypotension based on office and ambulatory monitoring blood pressure. Prevalence and clinical profile among a cohort of 70,997 treated hypertensives》.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of Hypertension》 10. 714–723쪽. doi:10.1016/j.jash.2016.06.035. ISSN 1878-7436. PMID 27451950. 
  47. Chobanian AV, Bakris GL, Black HR, Cushman WC, Green LA, Izzo JL, Jones DW, Materson BJ, Oparil S, Wright JT, Roccella EJ (December 2003). 《Seventh report of the Joint National Committee on Preventi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Pressure》. 《Hypertension42. 1206–1252쪽. doi:10.1161/01.HYP.0000107251.49515.c2. PMID 14656957. 
  48. Owens, Pe; Lyons, Sp; O'Brien, Et (2000년 4월 1일). 《Arterial hypotension: prevalence of low blood pressure in the general population using ambulatory blood pressure monitoring》 (영어). 《Journal of Human Hypertension》 14. 243–247쪽. doi:10.1038/sj.jhh.1000973. ISSN 0950-9240. PMID 10805049. S2CID 1427554. 
  49. Mookherjee, S. Lai, C., Rennke, St. 《The UCSF Hospitalist Handbook》. 
  50. Walsh, M., Devereaux, P. et al. Relationship between Intraoperative Mean Arterial Pressure and Clinical Outcomes a er Noncardiac Surgery. Anaesthesiology. 2013;119:507-515.
  51. Bijker J., Persoon S., Peelen L., et al. Intraoperative Hypotension and Perioperative Ischemic Stroke a er General Surgery. Anesthesiology. 2012;116(3):658-664.
  52. Williams, Bryan 외 (2018). 《2018 ESC/ESH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arterial hypertension》. 《European Heart Journal》 39. 3021–3104쪽. doi:10.1093/eurheartj/ehy339. PMID 30165516. 2022년 8월 18일에 확인함. 
  53. Sharma, Sandeep; Hashmi, Muhammad F.; Bhattacharya, Priyanka T. (2019), “Hypotension”, 《StatPearls》 (StatPearls Publishing), PMID 29763136, 2020년 1월 23일에 확인함 
  54. Chisholm, Peter; Anpalahan, Mahesan (April 2017). 《Orthostatic hypotension: pathophysiology, assessment, treatment and the paradox of supine hypertension》. 《Internal Medicine Journal》 47. 370–379쪽. doi:10.1111/imj.13171. ISSN 1445-5994. PMID 27389479. S2CID 205208140. 
  55. Kettaneh, Nicolas (2008년 10월 30일). “BestBets: Use of the Trendelenburg Position to Improve Hemodynamics During Hypovolemic Shock”. 《Grand Rapids Medical Education & Research/Michigan State University》. 
  56. Rivers, E; Nguyen, B; Havstad, S; Ressler, J; Muzzin, A; Knoblich, B; Peterson, E; Tomlanovich, M (2001년 11월 8일). 《Early goal-directed therapy in the treatment of severe sepsis and septic shock.》.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45. 1368–1377쪽. doi:10.1056/nejmoa010307. PMID 11794169. S2CID 7549555. 
  57. Gamper, G; Havel, C; Arrich, J; Losert, H; Pace, NL; Müllner, M; Herkner, H (2016년 2월 15일). 《Vasopressors for hypotensive shock.》.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2. doi:10.1002/14651858.CD003709.pub4. PMC 6516856. PMID 26878401. 
  58. Bentzer, P; Griesdale, DE; Boyd, J; MacLean, K; Sirounis, D; Ayas, NT (2016년 9월 27일). 《Will This Hemodynamically Unstable Patient Respond to a Bolus of Intravenous Fluids?》. 《JAMA》 316. 1298–1309쪽. doi:10.1001/jama.2016.12310. PMID 27673307. 
  59. Arnold, Amy C.; Raj, Satish R. (December 2017). 《Orthostatic Hypotension: A Practical Approach to Investigation and Management》. 《The Canadian Journal of Cardiology》 33. 1725–1728쪽. doi:10.1016/j.cjca.2017.05.007. ISSN 1916-7075. PMC 5693784. PMID 28807522. 
  60. “Hypotension (PICU chart)” (영어). 《University of Iowa Stead Family Children's Hospital》. 2013년 6월 5일. 2020년 1월 23일에 확인함. 
  61. Mendelson, Jenny (May 2018). 《Emergency Department Management of Pediatric Shock》. 《Emergency Medicine Clinics of North America》 36. 427–440쪽. doi:10.1016/j.emc.2017.12.010. ISSN 1558-0539. PMID 29622332. 
  62. Kluckow, Martin (2018). 《The Pathophysiology of Low Systemic Blood Flow in the Preterm Infant》. 《Frontiers in Pediatrics》 6. doi:10.3389/fped.2018.00029. ISSN 2296-2360. PMC 5820306. PMID 29503814. 
  63. “Online Etymology Dictionary” (영어). 《etymonline.com》. 2016년 3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2월 10일에 확인함. 
  64. Speden, R.N.; Ryan, Ann T. (1982). 《Constriction of Ear Arteries from Normotensive and Renal Hypertensive Rabbits against Different Transmural Pressures》. 《Journal of Vascular Research》 19. 247–262쪽. doi:10.1159/000158391. ISSN 1423-0135. PMID 7115984. 

같이 보기

[편집]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