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정성화 (화학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정성화
정성화
성별남성
국적대한민국
시민권대한민국
학력서울대학교
한국과학기술원
직업화학자
활동 기간1990년대–현재
고용주경북대학교
소속청정화학연구실
칭호석좌교수
칭호 기간2024년 3월–현재
웹사이트http://blog.naver.com/greenchemlab
정성화
한글 표기: 정성화
한자 표기: 鄭成和
개정 로마자 표기: Jeong Seong-hwa
매큔-라이샤워 표기: Chŏng Sŏng-hwa
예일 표기: Ceng Senghwa
공식 로마자 표기: Sung Hwa Jhung

정성화(Sung Hwa Jhung)는 대한민국의 화학자이자 경북대학교 화학과 석좌교수이다.[1] 금속-유기 골격체(MOFs)와 제올라이트 등 다공성 소재를 이용한 유해물질 흡착·촉매 제거 연구로 알려져 있으며, 연구 성과는 산업 연료 정제와 수질·대기 정화 분야에 응용된다.[2] 2024년 기준 석좌교수로서 연구조언 및 후학 양성 역할을 수행하며, 2025년에는 경북대학교 기초학문융합연구원 초대 원장으로 임명되었다.[3][4]

생애와 학문적 배경

[편집]

서울대학교 화학교육과에서 학사 학위를 받고, 한국과학기술원에서 청정화학으로 석사와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5] 1990년대 초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선임연구원, 1992~2002년 삼성그룹(석유·종합화학·종합기술원) 선임·수석연구원, 2002~2007년 한국화학연구원 책임연구원을 거쳐 2007년 경북대학교 화학과 교수로 임용되었고, 2024년 3월 석좌교수로 전환되었다.[5][1]

학술적 정체성과 연구 지향

[편집]

정성화의 연구는 금속-유기 골격체와 제올라이트 같은 다공성 소재의 표면 기능화와 구조 최적화를 통해 유해 유기물과 중금속, 연료 내 질소·황 화합물, 대기 중 미세먼지 등의 선택적 제거를 달성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2] 연구 방법론은 흡착·촉매의 병행 설계, 결함·기능기 도입, 재생 가능성 및 공정 내구성 확보 등으로 요약된다.[2]

연구실과 조직 운영

[편집]

경북대학교 청정화학연구실(Green Chemistry Lab)을 이끌며, 실험실은 수질·대기 정화와 연료 정제 등 응용 현장에 적합한 소재·공정 개발을 목표로 한다.[2] 2025년에는 총장 직속 3대 융합연구원 가운데 기초학문융합연구원의 초대 원장에 임명되어 학제간 플랫폼 구축과 연구 몰입 환경 조성을 담당한다.[3]

환경정화 기술 개발

[편집]

2020년 제올라이트를 섬유 필터에 소량 도입해 초미세먼지 제거율을 면 섬유 대비 약 2배 이상 향상시키고, 실제 챔버 실험에서 약 12시간 이상 80% 이상의 제거율을 보이는 기술을 개발하였다.[6] 2012년에는 액체 연료 내 유해한 황 성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저비용·고효율 촉매-흡착 복합 소재를 제시하였다.[7][8]

다공성 소재와 촉매

[편집]

정성화는 MOF의 금속·유기 구성을 활용해 연료의 탈질·탈황, 수처리 오염물 제거, 저압 CO2 선택흡착 등에서 고성능을 입증하였다.[9]

교육과 제자 양성

[편집]

학부·대학원 강의와 연구실 운영을 통해 다공성 소재·촉매 분야의 연구자를 배출하고, 실험실습과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병행한다.[2]

경력

[편집]
  • 1990년대 초: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선임연구원[5]
  • 1992년–2002년: 삼성그룹(석유·종합화학·종합기술원) 선임·수석연구원[5]
  • 2002년–2007년: 한국화학연구원 책임연구원[5]
  • 2007년–2024년: 경북대학교 화학과 교수[5]
  • 2024년–: 경북대학교 화학과 석좌교수[1]
  • 2025년–: 경북대학교 기초학문융합연구원 초대 원장[3]

주요 연구 프로젝트

[편집]
  • 연료 정제: MOF 표면 기능화를 통한 질소·황 화합물 선택 흡착 및 재생 공정 최적화[10]
  • 대기·수질 정화: 제올라이트·MOF 기반 필터 및 저온 촉매 시스템 개발[6][2]

학술지 편집 및 학회 활동

[편집]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엘스비어) 편집위원으로 활동하며, 흡착·다공성 소재 분야 심사·편집에 참여한다.[11]

수상과 선정

[편집]
  • 클래리베이트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연구자'(HCR) 2018–2022 5년 연속 선정[12][13]
  • ScholarGPS '세계 최우수 랭킹 학자'(HRS) 최근 5년 업적 기준 2022–2024 3년 연속, 평생 업적 기준 2023–2024 2년 연속 선정[13]
  • 과학기술훈장 웅비장(2023) 수훈[14]

평가

[편집]
  • 지역 지상파 TBC는 그를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자"라고 소개하며 HRS 선정 배경으로 높은 인용성과와 응용지향 연구를 들었다.[15]
  • 경북대학교는 공식 발표에서 총 인용 수 3만7,400회와 H-인덱스 99(구글 스칼라 기준)를 제시하며 그의 연구가 학계 파급력을 갖는다고 평가하였다.[13]

저서

[편집]
  • 《과학기술, 자연과 환경》 (자유아카데미, 2020)[16][17]
과학기술 발전과 환경위기의 관계를 개론적으로 설명한다. 고등학생과 일반 독자를 대상으로 기초 개념을 풀어쓴다. 환경오염과 대응 기술을 사례 중심으로 정리한다.
  • 《기술, 에너지 및 생활과 환경》 (자유아카데미, 2024)[18]
일상과 에너지 이슈를 중심으로 과학기술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해설한다. 생활 속 화학과 환경 선택을 연결한다. 자료와 그래프를 통해 이해를 돕는다.
  • 《환경과 촉매》 (범한서적, 2002, 번역)[19]
환경 관련 촉매 기술의 기본 원리와 응용을 정리한 외서 번역서이다. 배출가스 저감과 저온 연소 등 응용 사례를 소개한다. 촉매의 역할과 한계를 균형 있게 설명한다.

논문

[편집]
  • 나즈물 아베딘 칸; 정성화 (2012). "Remarkable Adsorption Capacity of CuCl2-Loaded Porous Vanadium Benzenedicarboxylate for Benzothiophene(벤조티오펜 흡착에서 CuCl2-적재 다공성 V-BDC의 탁월한 성능)". Angewandte Chemie International Edition 51 (5): 1198–1201. doi:10.1002/anie.201105113.[20]
이 논문은 특정 MOF의 구리(I) 활성점 형성을 통해 황화합물 제거 성능을 극대화하는 원리를 제시한다. 고온 공정 없이도 금속 산화상태를 제어하는 접근을 보여준다. 연료 정제의 저에너지 대안 가능성을 확인한다. 실험으로 높은 흡착용량과 선택성을 입증한다. 재생 가능성과 반복 사용의 실용성도 평가한다.
  • 미툰 사커; 송지윤; 정아림; 김길식; 정성화 (2018). "Adsorptive removal of indole and quinoline from model fuel using adenine-grafted metal-organic frameworks(아데닌 개질 MOF를 이용한 모사 연료의 인돌·퀴놀린 흡착 제거)".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344: 593–601. https://doi.org/10.1016/j.jhazmat.2017.10.041.[21]
아데닌을 MOF 표면에 도입해 질소화합물에 대한 상호작용을 강화한다. 인돌과 퀴놀린 제거에서 상용 활성탄 대비 큰 성능 향상을 보인다. 수소 결합과 양이온–파이 상호작용 등 메커니즘을 규명한다. 저온에서의 연료 정제 가능성을 넓힌다. 재생 실험으로 반복 사용성을 확인한다.
  • 유동규; 정성화 (2022). "Selective CO2 adsorption at low pressure with a Zr-based UiO-67 MOF functionalized with aminosilanes(아미노실란 기능화 UiO-67의 저압 선택 CO2 흡착)". Journal of Materials Chemistry A 10 (—): —. https://doi.org/10.1039/D1TA09772E.[22]
저압 조건에서 CO2를 선택적으로 잡는 기능화 전략을 제시한다. 실리카계 기능기 도입으로 친화도와 선택도를 높인다. 반복 흡탈착에서 구조 안정성을 확인한다. 공정 설계 시 에너지 비용 절감을 뒷받침한다. 응용 확장을 위한 합성–성능 상관을 제시한다.

같이 보기

[편집]

연표

[편집]
연표 (펼치기)
연도 사건 출처
199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선임연구원으로 재직 시작 [1]
1992 삼성그룹(석유·종합화학·종합기술원) 선임·수석연구원 [2]
2002 한국화학연구원 책임연구원 [3]
2007 경북대학교 화학과 교수 임용 [4]
2012 Angew. Chem. Int. Ed.에 연료 탈황 관련 MOF 연구 게재 [5]
2012 액체 연료 황 성분 제거 소재 개발 발표 [6]
[7]
2018 클래리베이트 HCR 선정(이후 2022년까지 연속) [8]
2020 제올라이트 섬유 필터로 초미세먼지 제거율 향상 기술 공개 [9]
2023 과학기술훈장 웅비장 수훈 [10]
2024 경북대학교 화학과 석좌교수 임명 [11]
2024 ScholarGPS HRS(최근5년) 3년 연속·평생 2년 연속 선정(발표 2025.5) [12]
2025 경북대학교 기초학문융합연구원 초대 원장 임명 [13]
[14]

각주

[편집]
  1. “자연과학대학 화학과 정성화 교수, 석좌교수로 임명” (보도 자료). 경북대학교. 2024년 3월 8일. 2025년 11월 10일에 확인함. 
  2. “Green Chemistry Lab (정성화 교수 연구실)”. 《RnDcircle》. 2025년 11월 10일에 확인함. 
  3. “[학술] 정성화 이학부 정회원(경북대), 경북대학교 기초학문융합연구원 원장 임명” (보도 자료). 한국과학기술한림원. 2025년 6월 12일. 2025년 11월 10일에 확인함. 
  4. “경북대 3대 융합연구원 본격 가동으로 연구중심 대전환 추진” (보도 자료). 경북대학교. 2025년 6월 11일. 2025년 11월 10일에 확인함. 
  5. “정성화”. 《교보문고 인물정보》. 2025년 11월 10일에 확인함. 
  6. “화학과 정성화 교수팀, 섬유 미세먼지 제거효율 2배 이상 향상시키는 필터 개발” (보도 자료). 경북대학교. 2020년 9월 24일. 2025년 11월 10일에 확인함. 
  7. “유해한 황 성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소재 개발” (보도 자료).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교육과학기술부. 2012년 1월 31일. 2025년 11월 10일에 확인함. 
  8. “국내 연구진, 황(黃) 성분 제거 신소재 개발”. 《아시아경제》. 2012년 1월 30일. 2025년 11월 10일에 확인함. 
  9. “Selective CO2 adsorption at low pressure with a Zr-based UiO-67 metal–organic framework functionalized with aminosilanes” (영어). 《Journal of Materials Chemistry A》. 2022년 1월 10일. 2025년 11월 10일에 확인함. 
  10. “Adsorptive removal of indole and quinoline from model fuel using adenine-grafted metal-organic frameworks” (영어).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Research Portal》. 2018년 2월 15일. 2025년 11월 10일에 확인함. 
  11. “Editorial Board –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영어). 《Elsevier》. 2025년 11월 10일에 확인함. 
  12. “경북대 정성화·이상문 교수, '2018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연구자' 선정” (보도 자료). 경북대학교. 2018년 11월 28일. 2025년 11월 10일에 확인함. 
  13. “화학과 정성화 교수, 세계 상위 0.05% ‘최우수 랭킹 학자(HRS)’ 선정” (보도 자료). 경북대학교. 2025년 5월 13일. 2025년 11월 10일에 확인함. 
  14. “경북대 정성화·최상일 교수, '과학의 날' 훈장·국무총리 표창”. 《영남일보》. 2023년 4월 28일. 2025년 11월 10일에 확인함. 
  15. “경북대 정성화 교수 '2024 세계 최우수 랭킹 학자' 선정”. 《TBC 뉴스》. 2025년 5월 19일. 2025년 11월 10일에 확인함. 
  16. “[신간] 과학기술, 자연과 환경”. 《영남일보》. 2020년 10월 23일. 2025년 11월 10일에 확인함. 
  17. “과학기술, 자연과 환경”. 《Google Books》. 2025년 11월 10일에 확인함. 
  18. “기술, 에너지 및 생활과 환경”. 《교보문고》. 2024년 8월 16일. 2025년 11월 10일에 확인함. 
  19. “환경과 촉매”. 《알라딘》. 2025년 11월 10일에 확인함. 
  20. “PubMed: Remarkable adsorption capacity of CuCl2-loaded porous vanadium benzenedicarboxylate for benzothiophene” (영어). 《PubMed》. 2025년 11월 10일에 확인함. 
  21. “KNU Research Portal: Adsorptive removal of indole and quinoline...” (영어).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Research Portal》. 2025년 11월 10일에 확인함. 
  22. “Selective CO2 adsorption at low pressure with a Zr-based UiO-67...” (영어). 《RSC Publishing》. 2025년 11월 10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